KR100437714B1 -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714B1
KR100437714B1 KR10-2001-0056350A KR20010056350A KR100437714B1 KR 100437714 B1 KR100437714 B1 KR 100437714B1 KR 20010056350 A KR20010056350 A KR 20010056350A KR 100437714 B1 KR100437714 B1 KR 100437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eads
filament
presen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164A (ko
Inventor
김영일
안호열
Original Assignee
안호열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열, 김영일 filed Critical 안호열
Priority to KR10-2001-005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7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2Incandescent light sources, e.g. filament or halogen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를 이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리드(21)(22); 및 상기 리드(21)(22)의 중간에 도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코일(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리드(21)(22)는 양자간의 거리(WL)를 5.0±0.30㎜로 유지하고, 상기 코일(23)은 권취경(CD)을 1.743±0.03㎜로 유지하고, 상기 코일(23)은 권취길이(CL)를 5.0±0.30㎜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24V-55W 규격 반경방향 코일방식의 할로겐 램프가 광속과 수명에 있어 최적화된 조건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Construction of Filament for Automobile Lamp}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12V-55W 규격 반경방향 코일방식의 할로겐 램프가 광속과 수명에 있어 최적화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헤드램프를 비롯한 자동차용 전구로는 할로겐 램프가 사용되는 바, 투명한 인클로저, 인클로저에 투입되는 충진재, 리드와 코일로 이루어진 도체, 리드를 지지하는 절연체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외에도 조사광의 직진성을 향상하기 위한 반사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수명이 장기간 유지되고, 가격이 저렴하며, 충분한 광속을 유지하여야 하는 바, 상기한 주요 구성품 개개의 규격 및 상호 연관되는 배치관계가 이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텅스텐이나 몰리브덴을 사용하는 리드 및 텅스텐 와이어를 사용하는 필라멘트는 도체로서 리드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순간 저항이 있는 필라멘트에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하고 온도가 높아지면서 빛을 낸다.
이때 램프의 주요 기능인 광속(Lumen: Lm)은 눈에 느끼는 빛의 양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필라멘트를 포함한 주요 구성품의 다양한 설계요소에 의해 결정되고 수명시간과도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할로겐 램프가 광속과 수명에 있어 최적화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필라멘트를 주요 치수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를 주요 치수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가 적용되는 완제품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21: 제 1 리드 12, 22: 제 2 리드
13, 23: 코일 24: 인클로저
25: 단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체를 이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리드(21)(22); 및 상기 리드(21)(22)의 중간에 도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코일(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리드(21)(22)는 양자간의 거리(WL)를 5.0±0.30㎜로 유지하고, 상기 코일(23)은 권취경(CD)을 1.743±0.03㎜로 유지하고, 상기 코일(23)은 권취길이(CL)를 5.0±0.30㎜로 유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필라멘트를 주요 치수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를 주요 치수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통상 할로겐 램프는 초소형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연색성이 좋아 빛의 3원색에 가장 가깝고, 조도와 수명이 우수하다. 빔이 정확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자동차의 등화장치 용도로 적절하다.
도 1 및 도 2에서, 부호 CL은 코일(13)(23)의 권취길이, LL은 제 1 리드(11)(21) 및 제 2 리드(12)(22)의 길이, CD는 코일(13)(23)의 권취경, WL은 제 1 리드(11)(21) 및 제 2 리드(12)(2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CDL은 LL에 CD를 더한 길이를 의미한다.
램프는 필라멘트의 코일(23)을 배치하는 형태에 따라 축방향 방식 또는 반경(축직각)방향 방식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전자는 코일(23)의 권취 중심선이램프의 조사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형태이고, 후자는 코일의 중심선이 램프의 조사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형태이다. 리드의 길이, 코일의 권취경, 코일의 권선수 등의 규격이 동일하다면 후자의 방식이 보다 높은 광속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램프에서는 하이빔 용도로 채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반경방향 방식의 램프에 관련되며 제 1 리드(21), 제 2 리드(22), 코일(23)로 이루어진 필라멘트에 있어서 주요 규격이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비교될 수 있다. 리드(21)(22)의 길이(LL) 치수와 코일(23)의 총권선수(TT)는 그대로 두고, 리드(21)(22) 사이의 길이(WL), 코일(23)의 권취경(CD), 코일(23)의 권취길이(CL)에 변화를 주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23)의 권취경(CD), 권취길이(CL) 및 리드(21)(22) 사이의 거리(WL)를 약간 증가시킨다.
통상 리드(21)(22)와 코일(23)을 포함한 도체의 총중량을 증가시킬수록, 코일(23)의 권취경(CD)을 감소시킬수록 필라멘트의 수명이 연장된다. 그러나 중량의 증가는 수명을 감소시키고 전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적절한 범위에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표 1에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경우는 권취경(CD)만 변경하면서 결과를 비교하고, 마지막 네 번째 경우는 코일(23)의 권취경(CD), 권취길이(CL) 및 리드(21)(22) 사이의 거리(WL)를 변경하면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첫 번째의 경우 권취경(CD)을 0.01㎜ 증가시켜 1.73㎜로 제작한 결과 광속이 미달하면서 수명이 300시간에 불과하다. 두 번째의 경우 권취경(CD)을 0.02㎜ 증가시켜 1.74㎜로 제작한 결과 광속은 적절하나 수명이 400시간에 불과하다. 세 번째의 경우 권취경(CD)을 0.03㎜로 증가시켜 1.75㎜로 제작한 결과 광속은 상기한 두 경우에 비하여 향상되나 오히려 수명이 저하된다. 네 번째의 경우 코일(23)의 권취경(CD)은 상기 두 번째 경우와 동일하게 하고 본 발명의 다른 조건인 코일(23)의 권취길이(CL) 및 리드(21)(22) 사이의 거리(WL)를 증대시킨 결과 광속은 상기 두 번째 및 세 번째 경우의 중간으로 유지되는 반면 수명이 500시간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네 번째의 경우 광속 및 수명시간에서 규정치를 만족하므로 가장 바람직한 최적치로 볼 수 있다.
[표 1]
C.D. T.T. 광속 수명시간 비 고
H3 24V 55W 1.73±0.03 6 1320 300 수명미달
1.74±0.03 6 1420 400 수명미달
1.75±0.03 6 1520 300 수명미달
1.74±0.03 6 1452±80 500 최 적
이때, 본 발명에서 리드(21)(22)의 길이는 9.5㎜로 변하지 않지만 코일(23)의 권취경(CD)이 1.743㎜로 0.023㎜가 증가됨에 따라 도시의 CDL도 11.243㎜로 0.023㎜ 증가된다. 리드(21)(22) 사이의 거리(WL)는 코일(23)의 권취길이(CL)와 동일하게 각각 0.3㎜ 증가된다.
표 2는 도 1에서 도 2로 규격을 변화함에 따른 특성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광속과 수명의 향상을 모두 도모한다. 동일한 전압 28V를 인가할 때 전류가 2.049A에서 2.317A로 증가되면서 전력이 57.37W에서 64.9W로 증가된다. 광속이 13.1% 정도 증가되면서 수명시간도 2배로 증가된다.
[표 2]
전압(V) 전류(A) 전력(W) 광속(LM) 수명시간
종 래 28 2.049±0.04 57.37±2 1227±80 250
본 발명 28 2.317±0.04 64.9±2 1452±80 5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가 적용되는 완제품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부호 24는 인클로저로서 석영유리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로도 높은 광출력 즉 효율을 낼 수 있고 충진되는 할로겐 가스는 필라멘트의 증발을 방지한다. 부호 25는 내부의 리드(21)(22) 중 일측과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전원 케이블과 접속되는 단자를 나타낸다.
필라멘트 축은 기준 평면(RP: reference plane)과 직교되는 기준 축(RA: reference axis)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편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램프는 24V 55W의 규격으로 완성되는데, 설정된 수명시간 내에 온도 분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흑화현상이 없을 뿐 아니라 열 충격에 강하여 발광 작동중에 물이 묻어도 파열되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할로겐 램프가 광속과 수명에 있어 최적화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도체를 이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리드(21)(22); 및
    상기 리드(21)(22)의 중간에 도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코일(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 램프용 필라멘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드(21)(22)는 양자간의 거리(WL)를 5.0± 0.30㎜로 유지하며, 상기 코일(23)은 권취경(CD)을 1.743±0.03㎜로 유지하면서 권취길이(CL)를 5.0± 0.30㎜로 유지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01-0056350A 2001-09-13 2001-09-13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KR10043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350A KR100437714B1 (ko) 2001-09-13 2001-09-13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350A KR100437714B1 (ko) 2001-09-13 2001-09-13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164A KR20030027164A (ko) 2003-04-07
KR100437714B1 true KR100437714B1 (ko) 2004-06-30

Family

ID=2956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350A KR100437714B1 (ko) 2001-09-13 2001-09-13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7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164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196419B (en) Process for preparing new diphosphonic acid derivatives furthe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reof
US4598342A (en) Low wattage double filament tungsten-halogen lamp
HU198804B (en) High pressure sodium discharge lamp
US8084928B2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incorporating two filaments for daylight operation
JP5029934B2 (ja) 車両ヘッドライト用の電気白熱ランプ
CN1305216A (zh) 放电灯、放电灯用电极,和放电灯电极的制作方法
KR100437714B1 (ko)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KR101282234B1 (ko) 헤드라이트 램프
KR100420874B1 (ko) 반사코팅된백열전등
KR100437715B1 (ko) 자동차용 램프의 필라멘트 구조
US4918354A (en) Compact coiled coil incandescent filament with supports and pitch control
KR100437713B1 (ko) 자동차 램프용 필라멘트의 구조
KR100437712B1 (ko) 할로겐 램프용 필라멘트의 구조
US5883468A (en) Tungsten halogen lamp with specific fill material, fill pressure, and filament coil parameters
CA2385282C (en) Halogen lamp
HU198419B (en) Vehicle headlight system and electric lamp for same
EP0271857B1 (en) Compact coiled coil incandescent filament with supports
CA1278817C (en) Incandescent lamp having an improved axial mounting structure for a filament
JPH03101049A (ja) 白熱ランプ
JP3277783B2 (ja) 白熱電球
US20020171360A1 (en) Compact high-voltage electric light-bulb
KR20050118692A (ko) 할로겐 듀얼 빔 램프
US5025188A (en) Elongate tubular incandescent lamp with filament shorting bars
JP2004039497A (ja) 自動車用放電電球
CA1245278A (en) Line-voltage low-wattage tungsten-halogen lamp with means for reducing the voltage across the fil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