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983B1 -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사용권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사용권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983B1
KR100436983B1 KR10-2001-7013982A KR20017013982A KR100436983B1 KR 100436983 B1 KR100436983 B1 KR 100436983B1 KR 20017013982 A KR20017013982 A KR 20017013982A KR 100436983 B1 KR100436983 B1 KR 10043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goods
user
license
fil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659A (ko
Inventor
박효준
Original Assignee
박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준 filed Critical 박효준
Priority to KR10-2001-701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9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등록 서버는 특정 디지털 상품 생산자에 종속되어 있지 않으며 모든 디지털 상품 생산자들에 공개되어 있다. 상품 생산자는 자신의 디지털 상품을 이 서버에 등록하고 이 상품의 등록 파일을 서버로부터 받는다. 이 상품 생산자는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품과 상품 등록 파일을 합친 후 암호화한다. 이 공용 디지털 상품이 사용자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면 이 디지털 상품은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디지털 상품 수행 프로그램에 의해 연결되어 처리된다. 이 프로그램은 이 디지털 상품을 복호화 한 후 상품 식별명을 읽고 사용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수령한 사용권 파일을 참조한다. 만약 사용권이 없으면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이 상품의 사용권을 구매하도록 요청한다.

Description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시스템{DIGITAL PRODUCT LICENSE CONTROL SYSTEM BASED ON INDEPENDENT DIGITAL PRODUCT REGISTRATION SERVER}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에 대한 기술은 가핑클 심슨 (Garfinkel, Simson)의 저서 프리티 굿 프라이버시(Pretty Good Privacy) 또는 쉬나이어 브루스(Schneier, Bruce) 저서 응용 암호학(Applied Cryptography) 등에 상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P3 또는 VOD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를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등록 서버는 디지털 상품 생산자와 독립적으로서 모든 디지털 상품 생산자가 참여할 수 있다. 모든 디지털 상품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시스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수정이 되어야 한다. 디지털 상품 생산자는 본 발명에 따른 등록 서버에 등록이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혼자서 수행이 될 수 없는 MP3나 VOD 같은 디지털 상품은 특정한 프로그램(연주기)에 의해 처리가 된다.
디지털 상품 생산자는 자신의 디지털 상품을 연주기 정보와 함께 등록 서버에 등록하고 서버로부터 해당 상품의 등록 파일을 수령한다. 해당 상품 생산자는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지털 상품과 그 상품의 등록 파일을 합친 후 암호화를 한다. 이 결과물은 공용 디지털 상품의 형태를 갖는다. 공용 디지털 상품은 같은 "sampleMP3.ds1"과 같은 특별한 파일 타입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암호화된 공용 디지털 상품이 사용자 컴퓨터에서 수행이 되면 그 디지털 상품은 사용자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의 일부인 디지털 상품 수행 프로그램에 연결이 되어진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상품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되어지며 더블 클릭에 의해 수행이 되어진다. 디지털 상품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되는 디지털 상품 수행 프로그램이 해당 디지털 상품을 처리하게 된다. 그 프로그램은 해당 디지털 상품을 복호화하고 상품 등록 파일로부터 상품 식별 번호를 읽는다. 해당 프로그램은 해당 디지털 상품을 위한 사용권이 있는지를 알기 위해 사용권 파일을 조사한다. 만약 사용권이 없으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그 디지털 상품을 위한 사용권을 사도록 요청한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권을 사면 프로그램은 구매한 사용권이 들어 있는 새로운 사용권 파일을 서버로부터 받고 프로그램은 그 디지털 상품을 개인용 디지털 상품 형태로 바꾼다.
개인용 디지털 상품은 "sampleMP3.ds2"와 같은 특정한 파일 타입을 갖는다. 사용권이 있으면 프로그램은 공용 디지털 상품을 언제든지 개인용 디지털 상품으로 바꿀 수 있다. 개인용 디지털 상품은 해당 개인용 디지털 상품을 만들 때 사용되었던 그 사용자의 신분증 파일이 없으면 해석이 될 수 없다. 그 프로그램은 개인용 디지털 상품을 수행하기 위해 연주기를 호출한다. 권한을 갖지 않은 사용자는 개인용 디지털 상품을 사용할 수 없다. 사용권 파일도 역시 권한을 갖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으며, 이것은 사용권 파일이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 서명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사용권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비밀키가 필요하고 그 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암호를 알아야 한다. 사용권 파일은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전자 서명이 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로 불법적인 사용권을 추가하려고 변조할 수 없다. 사용권 파일은 사용권 정보 이외에도 3가지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사용자 식별 번호, 컴퓨터 식별 번호, 소유자 식별 번호이다. 만약 사용권 파일에 들어 있는 사용자 식별 번호가 사용자 신분증 파일에 들어 있는 사용자 식별 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그 사용권 파일은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유효한 사용권 파일로 인정받지 못한다.
만약 사용권 파일의 CPU 식별 번호가 실제 프로세서의 식별 번호(예, 인텔 펜티엄 프로세서 III의 PSN)와 다르면 이 사용권 파일 역시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무시되어 진다. 따라서 권한을 가진 사용자라 할지라도 권한을 갖지 않은 컴퓨터 상에서는 개인용 디지털 상품을 수행할 수 없다.
모든 디지털 상품 생산자는 그들의 디지털 상품을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등록한다. 중앙 등록 서버는 등록된 상품 정보들을 전세계의 등록 서버들에게 전달한다. 사용자가 수행하는 등록은 3가지가 있다. 사용자 등록, CPU 등록및 디지털 상품 사용권 등록. 사용자는 한 사람이 한번씩 등록을 하게 된다. 이 후에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CPU 마다 한번씩 CPU 등록을 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특정 CPU의 특정 상품마다 한번씩 디지털 상품 사용권 등록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모든 등록은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연결된 상태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사용자 등록 시에 사용자는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로부터 신분증 파일의 일부를 받는다. 이 신분증 파일의 일부를 받은 후,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공개키/비밀키 쌍과 등록 서버의 공개키를 덧붙여 전체 신분증 파일을 만든다. 이 신분증 파일이 있어야 CPU를 등록하고 디지털 상품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분증 파일은 특정 CPU에 종속되어 있지 않으며 이 파일은 그 사용자의 모든 컴퓨터에 복사되어야 한다.
컴퓨터 등록을 할 때 사용자는 등록 서버로부터 사용권 파일을 받게 된다. 이 사용권 파일은 사용자가 새로운 상품을 구매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새로 받게 된다. 또한 유효 기간 때문에도 새로운 사용권 파일을 정기적으로 받게 된다. 유효 기간 또는 갱신 기간은 신분증 파일 또는 사용권 파일의 장기간 사용을 방지하여 준다.
디지털 상품의 사용권은 특정 사용자의 특정 CPU에게 주어진다. 공용 디지털 상품을 수행함으로써 직접 구매를 하는 경우 외에도 간접적인 구매 방법이 있다. 공용 디지털 상품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 구매를 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 상에서 상품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화면 표시되는 해당 디지털 상품 목록 중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게 디지털 상품 구매 요청을 보내게 된다.
사용권 파일은 특정 CPU에 종속되어 있다. 사용권 파일은 특정 사용자의 특정 CPU에게 주어진다. 신분증 파일과 사용권 파일은 모두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등록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 서명이 되어 있다. 따라서 오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만이 해당 파일을 수정할 수가 있다.
위에 언급된 방법, 즉 사용자/CPU 기반 사용권 방식, 이외에 2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사용자 기반 사용권이다. 이 사용권은 사용권 파일 상에 CPU에 관한 제약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단순히 특정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사용권이다. 이 사용권은 어느 CPU에서도 사용될 수 있고 오직 사용자에 의해서만 강력히 통제된다. 또 다른 하나의 방식은 컴퓨터 기반 사용권이다. 이 사용권은 사용권 파일 상에 사용자에 대한 제약 사항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단순히 특정 CPU에게 주어지는 사용권이다.
일반적으로 사용권 파일은 사용자의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가 되지만 CPU 기반 사용권 파일은 CPU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가 된다. CPU 기반 사용권의 경우, 그 CPU만을 위하여 하나의 키 쌍이 만들어진다. 사용자/CPU 기반 사용권 방식과 사용자 기반 사용권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키쌍이 사용되어지고 CPU를 위한 키쌍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회사의 경우 PC 및 워크스테이션의 사용자 이외에 소유자가 있다. 이 소유자는 해당 PC 및 워크스테이션의 사용자를 바꿀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만약 사원이 회사를 떠나면, 회사 즉 소유자는 해당 PC의 사용자를 새롭게 지정할 수가 있다.
사용권 파일에는 사용자 정보 외에 소유자 정보가 들어 있다. 만약 디지털 상품이 PC와 같이 충분한 구성을 갖추지 못한 MP3 Player와 같은 장치에서 수행될 때, 디지털 상품은 컴퓨터에서 구매되어 해당 장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신분증 파일, 사용권 파일 및 해당 디지털 상품을 해당 장치로 옮겨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 신분증 파일 및 사용권 파일은 보통 단순화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MP3 Player와 같은 장치는 CPU ID를 갖지 않을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의 CPU 식별 명을 갖는 것처럼 처리되어진다.
만약 해당 장치의 사용자가 컴퓨터를 갖지 않은 경우, 어느 컴퓨터에서도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해당 장치를 위한 신분증 파일과 사용권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디지털 상품 생산자 컴퓨터 상의 생산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를 위한 비밀키/공개키쌍을 생성한다. 이어서,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와 연결하여 생산자의 공개키를 중앙 등록 서버에 보내고 등록 서버의 공개키를 받는다.
또한, 상품 생산자당 한번씩 생산자를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등록하고 신분증 파일의 일부를 받는다. 생산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생산자 비밀키/공개키 쌍과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의 공개키를 서버로부터 받은 신분증 파일 일부에 덧붙여 전체 신분증 파일을 만든다. 서버로부터 받은 신분증 파일의 부분은 생산자 정보를 생산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등록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 서명한 파일이다.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연주기 정보와 함께 디지털 상품을 등록하고 서버로부터 디지털 상품 등록 파일을 받는다.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는 전세계의 모든 등록 서버에 이 상품 정보를 배포한다. 등록된 디지털 상품 정보는 상품 식별명, 가격, 연주기 정보, 등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등록된 디지털 상품 목록으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선택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로서는 공용 디지털 상품을 더블 클릭하고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의 안내를 따라 디지털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더 편리한 방법이다.
생산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디지털 상품과 그 디지털 상품의 등록 파일을 합친 후 이 것을 암호화한다. 그 결과물은 공용 디지털 상품의 형태가 된다.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이 사용자를 위한 비밀키/공개키 쌍을 만든다.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목록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그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연결한다. 그 서버에 사용자의 공개키를 전달하고 그 등록 서버로부터 해당 서버의 공개키를 받는다.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한 사람 당 한번 씩 사용자를 등록하고 등록 서버로부터 신분증 파일 부분을 받는다.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이 부분 신분증 파일에 사용자 공개키/비밀키 쌍과 서버의 공개키를 덧붙인다. 이 부분 신분증 파일은 사용자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서명 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이 사용자 신분증 파일은 CPU 등록과 디지털 상품 사용권 등록 때 반드시 필요하다.
CPU마다 한번 씩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CPU 등록을 하고 사용권 파일을 수령한다. 이 사용권 파일은 사용자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서명 된 CPU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으로부터 공용 디지털 상품을 다운로드한다. 사용자 컴퓨터 상에서 공용 디지털 상품을 더블 클릭한다.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디지털 상품 수행 프로그램이 더블 클릭된 디지털 상품에 연결된다. 이 디지털 상품 수행 프로그램은 공용 디지털 상품을 복호화하고 상품 등록 파일로부터 상품 식별명을 읽는다. 해당 디지털 상품의 사용권이 있는지 알기 위해 사용권 파일을 조사한다.
해당 디지털 상품에 대한 사용권이 없으면 사용권을 구매하거나 처리를 중단한다.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된 사용권을 포함하는 새로운 사용권 파일을 수령한다. 사용권이 있는 경우 공용 디지털 상품을 개인용 디지털 상품으로 변환한다. 개인용 디지털 상품을 수행하기 위해 연주 프로그램을 호출한다.
서버는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 안에 사용자 정보, CPU정보, 구매 된 디지털 상품 정보들을 저장한다.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복제한다. 이것은 백업 및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서버간에 수행되는 기능을 위해서 수행된다. 서버간에 수행되는 기능은 사용자가 디지털상품 등록 서버를 바꾸는 경우 및 디지털 상품의 사용자를 변경하는 경우이다.
사용자를 변경하는 경우 이전 사용자와 새로운 사용자가 같은 등록 서버에 속하고 있으면 등록 서버내의 기능 수행이지만 두 사용자가 서로 다른 서버에 속해 있으면 서버간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효 기간 또는 갱신 기간에 따라 신분증 파일과 사용권 파일을 변경한다. 이 유효 기간 또는 갱신 기간은 허용되지 않는 오랜 기간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여 준다. 사용자의 변경 경우에 CPU의 소유자는 CPU의 사용자 변경을 한다. 사용권 파일은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서버들과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을 기반으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는 모든 디지털 상품 생산자들로부터 상품 정보를 받아 전세계의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들에게 등록된 디지털 상품 정보를 배포한다. 이 중앙 서버는 모든 디지털 상품 생산자와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들을 연결하여 준다. 일반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는 중앙 서버로부터 받은 디지털 상품 정보들을 사용자들에게 주고 사용자들로부터 등록 요청을 받아 사용권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일반 사용자 패키지, 일반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패키지,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패키지 및 디지털 상품 생산자용 패키지가 있다.

Claims (6)

  1. (a) 디지털 상품 생산자 컴퓨터 상의 생산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를 위한 비밀키/공개키 쌍을 생성하는 단계;
    (b)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와 연결하여 생산자의 공개키를 중앙 등록 서버에 보내고 등록 서버의 공개키를 받는 단계;
    (c) 상품 생산자당 한번씩 생산자를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등록하고 신분증 파일의 일부를 받고, 생산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생산자 비밀키/공개키 쌍과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의 공개키를 서버로부터 받은 신분증 파일 일부에 덧붙여 전체 신분증 파일을 만들되, 상기 서버로부터 받은 신분증 파일의 부분은 생산자 정보를 생산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등록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 서명한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d) 상기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연주기 정보와 함께 디지털 상품을 등록하고 서버로부터 디지털 상품 등록 파일을 받는 단계;
    (e) 상기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는 전세계의 모든 등록 서버에 이 상품 정보를 배포하고, 이 때에 등록된 디지털 상품 정보는 상품 식별명, 가격, 연주기 정보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등록된 디지털 상품 목록으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되, 상기 사용자는 공용 디지털 상품을 더블 클릭하고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의 안내를 따라 디지털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
    (f) 생산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디지털 상품과 그 디지털 상품의 등록 파일을 합친 후 이 것을 암호화하여 공용 디지털 상품의 형태를 제작하는 단계;
    (g)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이 사용자를 위한 비밀키/공개키 쌍을 만들고,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목록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그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연결하고, 그 서버에 사용자의 공개키를 전달하고 그 등록 서버로부터 해당 서버의 공개키를 받는 단계;
    (h) 상기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한 사람 당 한번 씩 사용자를 등록하고 등록 서버로부터 신분증 파일 부분을 받고,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이 부분 신분증 파일에 사용자 공개키/비밀키 쌍과 서버의 공개키를 덧붙이되, 이 부분 신분증 파일은 사용자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서명 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i) CPU 마다 한번씩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CPU 등록을 하고 사용권 파일을 수령하되, 이 사용권 파일은 사용자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서버의 비밀키로 전자서명 된 CPU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j) 사용자는 인터넷으로부터 공용 디지털 상품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 컴퓨터 상에서 공용 디지털 상품을 더블 클릭하는 단계;
    (k)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디지털 상품 수행 프로그램이 더블 클릭된 디지털 상품에 연결되고, 이 디지털 상품 수행 프로그램은 공용 디지털 상품을 복호화하고 상품 등록 파일로부터 상품 식별명을 읽는 단계;
    (l) 해당 디지털 상품의 사용권이 있는지 알기 위해 사용권 파일을 조사하고, 해당 디지털 상품에 대한 사용권이 없으면 사용권을 구매하거나 처리를 중단하고,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된 사용권을 포함하는 새로운 사용권 파일을 수령하고, 사용권이 있는 경우 공용 디지털 상품을 개인용 디지털 상품으로 변환하는 단계;
    (m) 개인용 디지털 상품을 수행하기 위해 연주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
    (n) 서버는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 안에 사용자 정보, CPU정보, 구매 된 디지털 상품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o) 상기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백업 및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 서버간에 수행되는 기능을 위해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복제하고, 여기서 서버간에 수행되는 기능은 사용자가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바꾸는 경우 및 디지털 상품의 사용자를 변경하는 경우이고, 사용자를 변경하는 경우 이전 사용자와 새로운 사용자가 같은 등록 서버에 속하고 있으면 등록 서버 내의 기능 수행이지만 두 사용자가 서로 다른 서버에 속해 있으면 서버간의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p) 사용자가 유효기간 또는 갱신 기간은 허용되지 않는 오랜 기간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효 기간 또는 갱신 기간에 따라 신분증 파일과 사용권 파일을 변경하는 단계;
    (q) 사용자의 변경 경우에 CPU의 소유자는 CPU의 사용자 변경을 하되, 사용권 파일은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중앙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만이 존재하는 경우 전세계 모든 등록 서버에 상품 정보를 배포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l)에서 특정 CPU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 사용자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권 파일에 "사용자 기반의 사용권"이라는 표지가 있으면 CPU 정보를 검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상품 사용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 사용자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권 파일에 "CPU 기반의 사용권"이라는 표지가 있으면 사용자 정보를 검사하지 않고,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는 대신에 CPU암호를 입력하며, 컴퓨터를 위한 CPU를 등록 할 때 사용자 디지털 상품 등록 프로그램은 CPU를 위한 비밀키/공개키 쌍을 만들며 그 공개키를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에 전달하되, 사용권 파일은 CPU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서버에 의해 전자 서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파일, 사용권 파일 및 디지털 상품을 MP3 플레이어를 포함한 특정한 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만약 디지털 상품이 PC와는 달리 고유 아이디가 없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신분증 파일, 사용권 파일은 PC에서 사용되는 경우보다 단순화된 것으로 다시 만들어지고, 기본적으로 이와 같이 고유 아이디가 없는 장치들은 사용권 파일을 갖는 컴퓨터의 일부처럼 처리되고, 상기 고유 아이디가 없는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CPU ID를 갖는 것처럼 처리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컴퓨터가 없는 경우 상기 과정은 기타 다른 컴퓨터에서도 처리 될 수 있으며, 사용자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프로그램은 이 장치들을 위한 사용권 파일과 사용권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사용권 관리 방법.
KR10-2001-7013982A 2001-11-02 1999-06-05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사용권 관리 시스템 KR10043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7013982A KR100436983B1 (ko) 2001-11-02 1999-06-05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사용권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7013982A KR100436983B1 (ko) 2001-11-02 1999-06-05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사용권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659A KR20020022659A (ko) 2002-03-27
KR100436983B1 true KR100436983B1 (ko) 2004-06-23

Family

ID=1971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982A KR100436983B1 (ko) 2001-11-02 1999-06-05 독립적 디지털 상품 등록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사용권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9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659A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929B1 (ko)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RU2402809C2 (ru) Гибкая архитектура лицензирования для лицензирования цифрового приложения
JP3130267B2 (ja) 暗号エンベロープの作成方法
JP4467255B2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drm)方式に関連したコンテンツのパブリッシング
US7860802B2 (en)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in content rights management systems
JP5102887B2 (ja) 権利を行使するためのシステムの複数のデバイスによって読み出し可能なディジタル作品の権利を譲渡するシステム
US7412061B2 (en) Encrypting a digital object on a key ID selected therefor
US20170116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mmerce and Rights Management for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Rights Ledger
CN103942470B (zh) 一种具有溯源功能的电子音像制品版权管理方法
US20040243819A1 (en) Using a flexible rights template to obtain a signed rights label (SRL) for digital content in a rights management system
US200500217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30084306A1 (en) Enforcement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roaming a license to a plurality of user devices
US200401935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licensing distribution
CA2405489A1 (en) Secure digital content licensing system and method
KR20020083851A (ko)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EP0968585A1 (en) Digital product rights management technique
CA2456400A1 (en) Publishing digital content within a defined universe such as an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NO333104B1 (no) Sikker arkitektur med server-plugins for administrasjonssystemer for digitale rettigheter
JPH10301904A (ja) 取引コード化された解読キーを有する暗号システム
KR20010075272A (ko) 저작권 정보 관리 시스템
TW530267B (en) Multimedia player for a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KR100773963B1 (ko) 핑거프린팅 관리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 코드 전달 방법
WO2003067486A1 (fr) Système de gestion de contenu dans une liaison web
JP2003140762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ソフトウエア販売システム
US20040010470A1 (en) Anti-piracy system for software and digital entertai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