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171B1 -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171B1
KR100435171B1 KR10-2002-0007237A KR20020007237A KR100435171B1 KR 100435171 B1 KR100435171 B1 KR 100435171B1 KR 20020007237 A KR20020007237 A KR 20020007237A KR 100435171 B1 KR100435171 B1 KR 10043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ymptom
stimulation
acupunctur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788A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02-000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1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침과 이침(耳鍼) 및 족침(足鍼) 등의 자극을 가하기 위한 혈도에 관한 정보를 핸드폰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하여 증상별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반도체 칩에 저장하고 핸드폰 단말기의 외측에는 전자적인 작용으로 자극을 가하는 이른바 전자침 또는 전자빔 등의 자극기구를 부설함으로써 응급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간편하게 수지침 시술을 할 수 있는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를 반도체 칩에 입력하여 핸드폰의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입력된 혈도에 관한 정보는 핸드폰의 메뉴설정에 의해 전체 번지를 선택한 후 원하는 증상처치를 위한 문자입력에 의해 해당 혈도를 표시창에 표출되게 하며, 핸드폰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는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의 적어도 한 종류의 전자 자극기구가 부설되어 필요시 인체에 무해한 전자적인 자극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국한되지 않은 채 수지침의 시술에 관련된 정보와 기구를 항상 휴대함과 아울러 휴대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SOOJI-CHIM medical treatment using hands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침과 이침(耳鍼) 및 족침(足鍼) 등의 자극을 가하기 위한 혈도에 관한 정보를 핸드폰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하여 증상별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반도체 칩에 저장하고 핸드폰 단말기의 외측에는 전자적인 작용으로 자극을 가하는 이른바 전자침 또는 전자빔 등의 자극기구를 부설함으로써 응급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간편하게 수지침 시술을 할 수 있는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지부위와 귀 및 발바닥에 분포된 경혈에 미세한 깊이로 침을 자입하거나 전자침 또는 전자빔 자극을 가하여 인체에 발생된 갑작스런 질환에 대해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 수지침(이침 및 족침을 포함하고 있음) 요법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수지침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질환의 증상별로 손바닥에 분포된 무수한 경혈 중 해당되는 반응점을 찾아 자극을 가함으로써 치료를 하게 된 것으로, 그 시술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입증되고, 급작스런 상황에 처할 때 자가 치료가 가능한 이점 때문에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받고 있는 치료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종래에 수지침 자극을 가하기 위해 증상별 반응점이 되는 경혈위치를 익히기 위해서는 수지침의 입문서이자 시술 가능한 전체 증상을 집대성하여 저술된 책자를 탐독한 후 필요시에 해당 증상에 대한 혈도를 참조하거나 반복학습과 암기를 통하여 기억한 내용을 토대로 해당되는 혈의 위치에 수지침을 시술하였다.
그러나 수지침 시술이 빈번히 요구되는 사항이 아님은 물론 수지침을 업으로 하는 전문가가 아닌 이상, 수지침 요법에 입문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책자를 휴대하는 일이 거의 없이 어느 한 장소에 비치시킨 상태에서 필요시에 해당 부분을 열람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므로, 여행을 하거나 수지침 책자를 입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수지침 시술이 필요할 경우, 자극을 가하기 위한 도구가 준비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도구를 휴대한 경우에도 머릿속에 기억하고 있는 내용 외에는 시술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어느 응급상황에 처하게 될 때에는 당황함으로 인하여 평상시에는 기억하고 있던 내용 까지도 제대로 생각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였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동이나 여행중에 부피가 큰 수지침 책자를 휴대 한다는 것은 그 자신에게도 많은 짐을 주게되는 불편이 되었으며 주변 사람의 눈에는 우매한 행동으로 비춰질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수지침 요법의 제한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급이 보편화되어 일상적으로 휴대하게 된 핸드폰을 통해 수지침 자극을 위한 증상별 반응점을 확인하고 단말기에 부설된 자극기구를 이용하여 시술할 수 있는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를 반도체 칩에 입력하여 핸드폰의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입력된 혈도에 관한 정보는 핸드폰의 메뉴설정에 의해 전체 번지를 선택한 후 원하는 증상처치를 위한 문자입력에 의해 해당 혈도를 표시창에 표출되게 하며, 핸드폰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는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의 적어도 한 종류의 전자 자극기구가 부설되어 필요시 인체에 무해한 전자적인 자극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국한되지 않은 채 수지침의 시술에 관련된 정보와 기구를 항상 휴대함과 아울러 휴대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의 전체 개요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핸드폰의 표시창을 통해 제공되는 각 증상별 혈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처리장치 11 : 메뉴설정키
12 : 표시창 20 : 혈도 입력칩
30 : 자극기구 31 : 자극기구 온, 오프 선택키
32 : 자극기구 동작부 40 : 보조장치
41 : 단자
이하, 본 발명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의 전체 개요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핸드폰의 표시창을 통해 제공되는 각 증상별 혈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은 사람에게 예기치 않게 자주 일어날 수 있는 종류의 질환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는 화상정보를 손쉽게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마련하는 것이다.
우선 질환목록을 선정하고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를 반도체 칩(20)에 입력하여 핸드폰의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입력된 혈도에 관한 정보는 핸드폰의 메뉴설정키(11)를 조작하여 고유 번지를 선택한 후 원하는 증상별로 핸드폰의 문자키를 이용하여 증상을 입력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경유하여 혈도입력칩으로부터 해당 혈도를 불러내어 표시창(12)에 표출되게한다.
핸드폰 단말기(H)의 소정 위치에는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의 적어도 어느 한 종류의 전자 자극기구(30)가 부설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연결된 자극기구 온, 오프 선택키(31)의 조작에 의해 자극기구 동작부(32)가 동작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전자적인 자극을 손바닥의 반응점에 가하게 된다.
상기 전자 자극기구(30)를 구성하는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은 수지침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을 전제로 한다.
예컨데, 본 발명에서 주요 대상으로 하는 질환은 도 3a와 같은 급성위염, 3b의 급체(갑자기 체한 것), 3c의 구토 및 3d의 복통 등과 같이 수시로 사람에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을 응급조치에 의해 호전시킬 수 있는 종류의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핸드폰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10)와 각종 혈도가 입력된 칩(20)을 상호 인터페이스화 하여 입력된 혈도정보를 소프트웨어화 함으로써, 디지탈 신호로서 변환하게 된다.
즉, 시술자가 처치 하고자 하는 질환이 도 3a와 같은 급성위염 증상일 경우 핸드폰의 메뉴설정키(11)를 조작하여 수지침 항목인 고유 번지를 선택한 후 증상별 문자입력부가 나타나면, 원하는 증상별로 핸드폰의 문자키를 이용하여 증상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경유하여 혈도 입력칩(20)으로부터 해당 혈도를 불러내어 표시창(12)에 표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시술하고자 하는 해당 혈도의 반응점을 핸드폰 표시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핸드폰 단말기에 형성된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의 적어도 어느 한 종류의 전자 자극기구(30)를 손바닥에 접촉시켜 자극을 가하게 됨으로써 수지침을 시술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병의원 및 약국 등의 진료기관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응급을 요하는 질환이 발생될 때 핸드폰에 저장된 혈도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질환에 대처할 수 있는 반응점을 인식한 상태에서 핸드폰에 부설된 자극기구를 사용하여 수지침 시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반응점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과 준비물의 휴대가 매우 간편하게 된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이 표현된 혈도를 반도체 칩에 입력한 혈도 입력칩(20)을 핸드폰의 이어폰 짹 또는 충전짹에 연결되는 단자(41)를 갖춘 별도의 보조장치(40)에 장착하여 상기 단자(41)를 통해 핸드폰의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핸드폰의 메뉴설정키(11)를 조작하여 수지침 항목을 선택한 후 증상별 문자입력부가 나타나면, 원하는 증상별로 핸드폰의 문자키를 이용하여 증상을 입력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경유하여 혈도 입력칩(20)으로부터 해당 혈도를 불러내어 표시창(12)에 표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혈도 입력칩(20)을 별도의 보조장치(40)에 장착하여 그 단자(41)를 통해 핸드폰에 연결하는 장치는 여러 종류의 핸드폰과 호환성을 높이게 되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40)에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의 전자 자극기구(30)를 부설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는 병의원 및 약국 등의 진료기관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응급을 요하는 질환이 발생될 때 핸드폰에 저장된 혈도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질환에 대처할 수 있는 반응점을 인식한 상태에서 핸드폰에 부설된 자극기구를 사용하여 수지침 시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반응점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과 준비물의 휴대가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질환목록을 선정하고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를 반도체 칩(20)에 입력하여 핸드폰의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입력된 혈도에 관한 정보는 핸드폰의 메뉴설정키(11)를 조작하여 고유 번지를 선택한 후 원하는 증상별로 핸드폰의 문자키를 이용하여 증상을 입력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경유하여 혈도입력칩으로부터 해당 혈도를 불러내어 표시창(12)에 표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2. 핸드폰 단말기(H)의 소정 위치에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의 적어도 어느 한 종류의 전자 자극기구(30)가 부설되고, 핸드폰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10)에 온, 오프 선택키(31)의 조작에 의해 자극기구(30)를 동작되게 하는 자극기구 동작부(32)가 연결되어 인체에 무해한 전자적인 자극을 손바닥의 반응점에 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장치.
  3.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이 표현된 혈도를 반도체 칩에 입력한 혈도 입력칩(20)을 핸드폰의 이어폰 짹 또는 충전짹에 연결되는 단자(41)를 갖춘 별도의 보조장치(40)에 장착하여 상기 단자(41)를 통해 핸드폰의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핸드폰의 메뉴설정키(11)를 조작하여 수지침 항목을 선택한 후 증상별 문자입력부가 나타나면, 원하는 증상별로 핸드폰의 문자키를 이용하여 증상을 입력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경유하여 혈도 입력칩(20)으로부터 해당 혈도를 불러내어 표시창(12)에 표출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40)에는 전자빔 또는 전자침등의 자극기구(30)가 부설되어 온,오프 선택키(31)의 신호를 받는 중앙제어장치(10)의 제어동작에 의해 자극기구 동작부(32)가 동작되어 자극기구(30)가 전자적인 자극을 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장치.
KR10-2002-0007237A 2002-02-08 2002-02-08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KR10043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237A KR100435171B1 (ko) 2002-02-08 2002-02-08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237A KR100435171B1 (ko) 2002-02-08 2002-02-08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788A KR20030067788A (ko) 2003-08-19
KR100435171B1 true KR100435171B1 (ko) 2004-06-09

Family

ID=3222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237A KR100435171B1 (ko) 2002-02-08 2002-02-08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90B1 (ko) 2011-10-24 2013-03-25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335692B1 (ko) 2011-10-24 2013-12-04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476A (ko) * 2002-05-30 2003-12-06 박종오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경혈 자극 시스템
KR100700593B1 (ko) * 2005-09-3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수지침 기능 지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90B1 (ko) 2011-10-24 2013-03-25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335692B1 (ko) 2011-10-24 2013-12-04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788A (ko)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952B2 (en) External medical device that identifies a response activity
CN109804331B (zh) 检测和使用身体组织电信号
McCrimmon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a custom, portable, and low-cost brain–computer interface platform
KR100693926B1 (ko)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2057994A3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ommunication between an implantable medical and a remote computer system of health care provider
KR101546405B1 (ko) 스마트 기기의 게임 화면을 이용하여 핀치 동작을 훈련시키는 손 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9741A (ko) 착용형 제어장치 및 이를 위한 인증 및 페어링 방법
KR20180085602A (ko)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CN114781516A (zh) 紧急程控设备、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Gleeson et al. Communication of direction through lateral skin stretch at the fingertip
Williams et al. Body-mounted vibrotactile stimuli: simultaneous display of taps on the fingertips and forearm
KR100435171B1 (ko)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KR100700593B1 (ko) 휴대용 수지침 기능 지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ecotti et al. A multimodal virtual keyboard using eye-tracking and hand gesture detection
US11759635B2 (en) Patient stimulation device
EP3008714A2 (en) Computer-implemented training of a procedure
KR101862109B1 (ko)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Anil et al. A tactile P300 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 system for communication in iOS devices
KR101684857B1 (ko) 휴대용 멀티자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자극장치
CN219110189U (zh) 一种用于治疗眼部疾病的中医仿真针灸设备
KR20150123029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상지 재활로봇
US202302443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ic control using a neural signal
Bocquelet et al. Ethical Reflections on Brain–Computer Interfaces
KR101224124B1 (ko) 저주파 자극 방법 및 저주파 자극 시스템
Johnson Emerg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