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349B1 -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349B1
KR100434349B1 KR10-1999-0048372A KR19990048372A KR100434349B1 KR 100434349 B1 KR100434349 B1 KR 100434349B1 KR 19990048372 A KR19990048372 A KR 19990048372A KR 100434349 B1 KR100434349 B1 KR 10043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dditional data
unit
data servic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178A (ko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3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인 단 방향 데이터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한 채널을 방송용 채널로 지정하여 단방향의 데이터 방송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허용된 WLL 시스템에서 여러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부가서비스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부가서비스의 종류별로 해당 고유번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와,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로부터 인가 받은 서비스 종류의 고유번호 마다 각각 상이한 형태의 암호 코드를 선택하는 암호 선택부와, 검출부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암호 선택부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 코드에 의하여 암호화하는 데이터 암호화부와,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신호와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서비스 고유번호를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결합하는 패킷 데이터 멀티플렉서와,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무선가입자망 제어부를 특징으로 하고, 해당 가입자 단말기에게만 해독암호 신호를 전송하여 희망하는 단말기에서만, 부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A DEVICE OF ADDITIONAL DATA SERVICING FOR WLL}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인 단 방향(One Way) 데이터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한 채널을 방송(Broad Casting)용 채널로 지정하여 단방향 또는 일방향의 데이터 방송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허용된 무선가입자망(WLL) 시스템에서 여러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가입자망은 양방향의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장치이며, 부가적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로서, 뉴스(News), 증권정보, 일기예보, 스포츠 소식, 음악서비스, 부동산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단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가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는 양방향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별도의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설명한다.
도1 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기능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 프레임 구성도 이다.
상기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부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이 있는 무선가입자망(WLL)은 컴퓨터(Computer)로 이루어져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공급부(10)와,
무선가입자망(WLL)의 전체를 제어하며 스위칭 및 가입자 관리를 하는 무선가입자망(WLL) 제어부(20)와,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와 연결되어 무선의 무선가입자망(WLL) 전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30)과,
상기 기지국(30)과 무선으로 연결되며, 각 가입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무선가입자망(WLL)의 단말기(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서비스 데이터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의 컴퓨터로 이루어진 서비스 공급부(10)는 뉴스, 증권정보, 교통정보. 부동산정보, 날씨 안내, 스포츠 소식 등 다양한 종류의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에 인가한다.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는 상기 서비스 공급부(10)로부터 인가 받은 다양한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중에서, 가입자가 공급을 희망하는 해당 부가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희망 가입자 단말기(40)에만 전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부가 데이터 서비스에 상기 희망 가입자 단말기의 해당 고유(ID)번호를 첨부하여, 상기 기지국(30)에 인가하며, 상기와 같이 기지국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 프레임 구성은 첨부된 도2와 같다.
상기 기지국(30)으로부터 단방향(One Way)으로 출력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는 모든 단말기(40)에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40)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단말기 고유(ID)번호를 확인하여, 자신의 고유(ID)번호 인 경우에만, 상기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여 단말기(40) 자체의 메모리(Memory) 장치에 보관한 후 사용자에 의하여 필요한 때에 확인하거나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에 즉시 표시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는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의 가입자 관리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조회하여, 종류별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는 가입자 단말기(40)의 해당 고유(ID) 번호를 추출하고, 동시에 가입자가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를 분류하여 필요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만 해당 단말기(40)에 일대일(Point to point)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는 각각의 가입자에게 일대일의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종래의 기술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가 점점 다양해지고, 또한, 부가서비스를 희망하는 가입자의 숫자가 점점 늘어날수록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의 부하(Load)를 증가시켜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의 특정 통신 채널을 부가 데이터 서비스 방송용으로 할당하고, 부가 데이터 서비스 종류마다 데이터의 형태를 서로 상이하게 암호화하여 전송하며,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허용된 부가 서비스 데이터만을 해독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인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송신장치는, 부가서비스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부가서비스의 종류별로 해당 고유번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와,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로부터 인가 받은 서비스 종류의 고유번호 마다 각각 상이한 형태의 암호 코드를 선택하는 암호 선택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암호 선택부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 코드에 의하여 암호화하는 데이터 암호화부와, 상기 암호화부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서비스 고유번호를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결합하는 패킷 데이터 멀티플렉서와,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무선가입자망 제어부를 특징으로 하고
또한,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수신장치의 구성수단은 무선가입자망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부가 데이터 서비스 패킷 신호를 분리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패킷 신호를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및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고유번호로 분리하는 패킷데이터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패킷데이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인가된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버퍼와, 상기 패킷데이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인가된 부가서비스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해독암호를 검색하여 있을 경우에 출력하는 해독암호 공급부와,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로부터 해독암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지연버퍼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해독하는 해독부와, 상기 해독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해독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록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기억부와,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기능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 프레임 구성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제어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입자 단말기의 상세 기능블록도 이고,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프레임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서비스 공급부 20 : 무선가입자망 제어부
21 : 검출부 22 : 암호화부
23 : 패킷데이터 멀티플렉서 24 :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
25 : 암호 선택부 26,43 : 제어기
30 : 기지국 40 : 단말기
41 : 고주파부 42 : 패킷 데이터 디멀티플렉서
44 : 지연버퍼 45 : 해독암호 공급부
46 : 해독부 47 : 표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서비스 데이터 공급(송수신) 장치를 설명한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제어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입자 단말기의 상세 기능블록도 이고,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 프레임 구성도 이다.
상기의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부가 데이터 서비스 송신 장치의 무선가입자망(WLL) 제어부(20)는, 증권정보, 음악 서비스, 부동산정보, 스포츠 소식 등 다양한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공급부(10)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다양한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중에서 어떠한 종류의 부가서비스 인지를 검출하는 검출부(21)와,
상기 검출부(21)가 검출하여 출력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서비스 고유(ID) 번호 발생부(24)와,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24)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 종류별 해당 고유(ID) 번호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암호 변환 방법 중에서, 해당하는 한가지의 암호 변환 방법을 선택하는 암호 선택부(25)와,
상기 암호 선택부(25)로부터 인가 받은 데이터의 암호화 방법에 의하여, 상기 검출부(21)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22)와,
상기 암호화부(22)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24)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고유번호를 패킷(Packet) 형태의 데이터로 멀티플렉싱 하는 패킷 데이터 멀티플렉서(23)와,
각 기능부를 제어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 및 저장하는 제어기(26)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무선가입자망 부가 데이터 서비스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기(40)는, 단방향(One Way)의 무선으로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패킷 신호를 분리하는 고주파부(41)와,
상기 고주파부(41)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패킷(Packet) 신호를 분리하여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고유(ID) 번호와 암호화된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분리하는 패킷 데이터 디멀티플렉서(42)와,
상기 패킷 데이터 디멀티플렉서(42)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기록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잠시 보관한 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버퍼(44)와,
상기 패킷 데이터 디멀티플렉서(42)로부터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를 구분하는 신호로써,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고유(ID) 번호에 해당되는 해독암호 신호를 자체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만 해당되는 해독암호를 출력하는 해독암호 공급부(45)와,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45)로부터 해독암호를 인가 받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지연버퍼(44)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인가 받은 해독암호에 의하여 해독하므로써, 정상적인 부가 데이터 서비스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해독부(46)와,
상기 해독부(46)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용 데이터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는 표시부(47)와,
상기 해독부(46)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후술하는 제어기(43)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메모리(Memory)에 기록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47)에 출력하는 기억부(48)와,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3)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송수신)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가입자망(WLL)을 통하여 방송할 각종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즉, 증권정보, 날씨정보, 스포츠 소식, 음악 서비스, 부동산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기 서비스 공급부(10)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서비스 종류가 무엇인지 분류하여 검출하는 무선가입자망(WLL) 제어부(20)의 상기 검출부(21)는 검출된 서비스의 종류를 상기 서비스 고유(ID) 번호 발생부(24)에 인가하므로써, 각각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마다 고유한 번호(SVC ID)를 일정하게 발생하게 한다.
상기 서비스 고유(ID) 번호 발생부(24)는 상기 발생한 해당 고유(ID) 번호(SVC ID)를 상기 암호 선택부(25) 및 패킷 데이터 멀티플렉서(23)에 각각 인가한다.
상기 암호 선택부(25)는 상기 서비스 고유(ID) 번호 발생부(24)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고유(ID) 번호(SVC ID) 별로 각각 다른 암호화 변환 방식을 상기 제어기(26)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암호화부(22)에 출력한다.
상기 암호 선택부(25)에는, 무선가입자망(WLL)이 서비스하는 모든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는 암호화 변환 방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26)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24)로부터 인가 받은 서비스 고유번호(SVC ID)에 대응하는 암호화 변환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SVC ID)에 대응하는 암호화 변환 방식은 무선가입자망(WLL) 운용자의 제어에 의하여 수시로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변경된다.
상기 검출부(21)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 공급부(10)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상기 암호화부(22)에 그대로 인가한다.
상기 암호화부(22)는 상기 암호 선택부(25)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 변환 방식에 의하여 상기 검출부(21)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용 데이터 신호를 암호화로 변환(DATA) 한 후, 상기 패킷 데이터 멀티플렉서(23)에 인가한다.
상기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신호(DATA)를 인가 받은 패킷 데이터 멀티플렉서(23)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24)로부터 인가 받은 서비스 고유번호(SVC ID)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 프레임(Frame)으로 결합시키고, 이러한 패킷 데이터 프레임은 첨부된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여러 종류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기지국(30)에 인가되고, 무선 경로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40)에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는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40)가, 희망하는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암호화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해독암호를 해당 단말기(40)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40)는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45)의 메모리에 기록 저장한다.
상기 단말기(40)의 고주파부(41)에서는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상기 패킷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디멀티플렉서(42)에 인가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디멀티플렉서(42)는 상기 제어기(43)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신호(DATA)를 상기 지연버퍼(44)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SVC ID)는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45)에인가한다.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45)에는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로부터 전송된 해독암호가 해당 서비스 고유번호(SVC ID)에 연계되어 기록 및 보관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무선가입자망 제어부(20)에 의하여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변경되므로, 부가 서비스를 희망하지 않는 단말기(40)는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SVC ID)에 해당하는 해독암호를 인가 받지 못하게 된다.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45)는 해당되는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지 않는 단말기(40)의 경우, 해당되는 해독암호가 기록 및 저장되어 있지 않게 되고, 상기 해독부(46)에 해독암호를 공급하지 못하게 되며, 필요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는 단말기(40)는 희망하는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항상 해독 할 수 있는 해독암호를 서비스 고유번호(SVC ID)와 연계하여 기록 및 저장하게 된다.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45)로부터 해독암호를 공급받은 상기 해독부(46)는 상기 지연버퍼(44)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연된 후 인가된 상기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해독하게 되고, 해독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내용은 상기 표시부(47)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기억부(48)에 기록 및 저장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는 단말기(40)에만 해당되는 해독암호를 전송하고, 희망하지 않는 단말기(40)에는 해독암호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부가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한다.
또한, 기지국(30)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방송(Broad Casting)을 해당되는 모든 단말기(40)에 일대일로 각각 방송하지 않고, 모든 단말기(40)를 대상으로 한번만 하고 해당되는 데이터의 내용이 갱신되는 경우에만 새로운 내용을 방송하게 됨으로써, 무선가입자망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에서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는 각각의 가입자에게 일대일의 개별적으로 방송하지 않고, 동시에 모든 단말기를 향하여 방송하므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며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줄이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는 가입자 단말기에게만 해독암호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무선가입자망 제어부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희망하는 단말기를 직접 관리하게 되고, 희망하는 단말기에서만, 부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많은 숫자의 가입자에게 허용된 부가 서비스만 제공할 수 있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부가서비스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해당 고유번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와,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로부터 인가 받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각각 상이한 형태의 암호 코드를 선택하는 암호 선택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암호 선택부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 코드에 의하여 암호화하는 데이터 암호화부와,
    상기 암호화부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고유번호 발생부로부터 인가 받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고유번호를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결합하는 패킷 데이터 멀티플렉서와,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송신 장치
  2. 무선가입자망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부가 데이터 패킷 신호를 분리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패킷 신호로부터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신호 및 해당 데이터에 의한 서비스의 고유번호 신호를 분리하는 패킷데이터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패킷데이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인가된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버퍼와,
    상기 패킷데이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해독암호를 검색하여 있는 경우에만 출력하는 해독암호 공급부와,
    상기 해독암호 공급부로부터 해독암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지연버퍼로부터 인가 받은 암호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해독하는 해독부와,
    상기 해독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해독부로부터 인가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록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기억부와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기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수신 장치.
KR10-1999-0048372A 1999-11-03 1999-11-03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 KR10043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372A KR100434349B1 (ko) 1999-11-03 1999-11-03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372A KR100434349B1 (ko) 1999-11-03 1999-11-03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178A KR20010045178A (ko) 2001-06-05
KR100434349B1 true KR100434349B1 (ko) 2004-06-04

Family

ID=1961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372A KR100434349B1 (ko) 1999-11-03 1999-11-03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09B1 (ko) * 2001-10-23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상업적 방송 서비스 방법및 장치
KR100749998B1 (ko) * 2006-03-13 2007-08-1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트래픽암호화 알고리즘 선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2997A (ko) * 1996-07-03 1998-04-30 양승택 휴지 중인 이동국으로의 단문전달 방법
US5794142A (en) * 1996-01-29 1998-08-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network services activation through the use of point-to-point short message service
KR19990015662A (ko) * 1997-08-08 1999-03-05 이홍선 게임 서비스 방법 및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호출시스템
KR19990080479A (ko) * 1998-04-17 1999-11-15 윤종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폰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9990085320A (ko) * 1998-05-15 1999-12-06 서정욱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KR20000000049A (ko) * 1998-07-30 2000-01-15 김현민 페이저용 전송망을 이용한 문자정보 전송방식과 수신제어기능이 포함된 문자 디스플레이 무선수신기
US6091961A (en) * 1996-12-12 2000-07-18 Alcatel System for broadcasting messages from a mobile radio terminal
KR20000060789A (ko) * 1999-03-19 2000-10-16 조정남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주문형 정보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142A (en) * 1996-01-29 1998-08-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network services activation through the use of point-to-point short message service
KR980012997A (ko) * 1996-07-03 1998-04-30 양승택 휴지 중인 이동국으로의 단문전달 방법
US6091961A (en) * 1996-12-12 2000-07-18 Alcatel System for broadcasting messages from a mobile radio terminal
KR19990015662A (ko) * 1997-08-08 1999-03-05 이홍선 게임 서비스 방법 및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호출시스템
KR19990080479A (ko) * 1998-04-17 1999-11-15 윤종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폰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9990085320A (ko) * 1998-05-15 1999-12-06 서정욱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KR20000000049A (ko) * 1998-07-30 2000-01-15 김현민 페이저용 전송망을 이용한 문자정보 전송방식과 수신제어기능이 포함된 문자 디스플레이 무선수신기
KR20000060789A (ko) * 1999-03-19 2000-10-16 조정남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주문형 정보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178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0660B2 (en) Receiver
KR101011521B1 (ko) 스트리밍 콘텐츠의 권한 미세 관리
JP3538200B2 (ja) 多重仮想チャンネルを同時に許認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60233359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ith a single frequency network
KR100798196B1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50094042A (ko)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들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의브로드캐스팅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A2442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3008566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対称鍵を管理する処理及び、この処理を実行する装置
JPH09307564A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
KR20040065466A (ko)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합 이동 통신 단말의 보안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7567793B1 (en) Inform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method
US8306223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mitting encrypted control message based on mobile multimedia broadcast
KR20060131562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2281972B1 (ko) 디코더 내의 해독키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코더
CN100547955C (zh) 一种移动多媒体业务保护的方法、系统及设备
JP3634437B2 (ja) 衛星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受信局装置
KR100434349B1 (ko) 무선가입자망의 부가 데이터 서비스 공급 장치
JP2004179755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PT1374586E (pt) Sistema e procedimento de transmissão de dados codificados com chave codificada
KR100420742B1 (ko) 방송 장치 및 수신 장치
JP5173151B2 (ja) アドレス生成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100956273B1 (ko)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 및 장치
KR100695082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수신 제한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JP2016116065A (ja) 受信機、送信機、及びコンテンツの受信方法
JPH10241287A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