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850B1 - 컴퓨터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850B1
KR100433850B1 KR10-2001-0036406A KR20010036406A KR100433850B1 KR 100433850 B1 KR100433850 B1 KR 100433850B1 KR 20010036406 A KR20010036406 A KR 20010036406A KR 100433850 B1 KR100433850 B1 KR 10043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axis wheel
axis
whe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629A (ko
Inventor
이광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텍
Priority to KR10-2001-003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8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볼과, 상기 볼의 회전에 따라 각각 회전하는 X축 휠 및 Y축 휠과,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각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로부터 마우스의 X축 방향 이동거리 및 Y축 방향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한 마우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마우스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일측으로 설치한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의 파형이 쵸핑되도록,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타측으로 설치한 발광소자의 발광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종래보다 전력소모가 작고, 발광소자의 광특성 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마우스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용 마우스{wireless mouse}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커서 또는 다른 물체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 보통 손에 쥐기 편한 모양의 작은 상자 모양으로 되어있으며, 손가락이 닿는 곳에 2 또는 3개의 버튼이 달려 있다. 이것을 손으로 잡고 평평한 패드위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컴퓨터의 화면에는 화살표나 십자 모양 등의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이게 된다. 특정한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갖다 놓고 버튼을 클릭(Click)하거나, 버튼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드래그(Drag)하거나, 버튼을 재빨리 두 번 연속하여 더블 클릭(Double-click)함으로써 여러 가지 명령을 수행 할 수 있다. 마우스가 그래픽 입력장치로서 갖는 장점은 입력좌표의 정확성과 손쉬운 커서 이동 기능, 그리고 버튼 기능의 다양한 조합으로 매우 사용하기 편하다는 것이다. 마우스는 근래에 그래픽뿐만이 아니라 윈도우와 메뉴를 사용하는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입력장치가 되었다.
통상적으로 마우스(100)는 볼(110)과, X축 휠(120) 및 Y축 휠(130)과, 발광소자(121)(131) 및 수광소자(122)(132)와, 제어부(140) 및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볼(110)은 마우스(100)의 하단에 삽입 설치되어 마우스 패드상에서 마우스(100)를 이동할 때 회전하게 된다.
상기 X축 휠(120) 및 Y축 휠(130)은 상기 볼(110)과 그 일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볼(100)의 회전에 의해 각각 회전되며, 그 원주 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발광소자(121)(131) 및 수광소자(122)(132)는 상기 X축 휠(120)과 Y축 휠(130) 각각의 휠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121)(131)로부터의 광출력을 상기 수광소자(122)(132)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상기 X축 휠(120) 및 Y축 휠(130)의 원주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부위를 지날때, 상기 발광소자(121)(131)에서 출력된 광신호는 수광소자(122)(132)에 의해 수신되고, 절개부위가 아닌곳을 지날때 광출력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발광소자(121)(131)는 2개의 광출력을 하고, 상기 각 수광소자(122)(132)는 2개의 광출력을 각각 수신함으로써 수신되는 순서에 의해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마우스가 움직인다는 것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각 수광소자(122)(132)의 수광신호로부터 마우스의 X축 방향 이동거리 및 Y축 방향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한 마우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마우스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한다.
도 2a 내지 도 2c 는 종래의 마우스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 도 2a 는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파형도, 도 2b 는 수광소자에 의해 수신되는 파형도, 도 2c 는 제어부에 의해 인식되는 파형도이다.
즉, 종래의 경우 발광소자(121)(131)에는 도 2a 에 도시한 바와같이 항상 전류가 인가되었으며, 볼(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X축 휠(120) 및 Y축 휠(130)이 회전하면, 그 원주 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형상에 의해 발광소자(121)(131)에 의해 출력되는 광은 주기적으로 단속 즉, 상기 X축 휠(120) 및 Y축 휠(130)의 원주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부위를 지날때, 상기 발광소자(121)(131)에서 출력된 광신호는 수광소자(122)(132)에 의해 수신되고, 절개부위가 아닌곳을 지날때 광출력이 차단되어 상기 수광소자(122)(132)에 수신되는 전류파형은 도 2b 에 도시한 것처럼 된다.
상기 수광소자(122)(132)에 수신되는 전류파형은 제어부에 의해 도 2c 에 도시한 디지탈 파형으로 변환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되어 컴퓨터의 모니터상에서 마우스 포인터가 제어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기 발광소자에 전류가 계속 공급되었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크고, 발광소자의 광특성 열화에 따라 성능저하 및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마우스의 발광소자의 광특성 열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컴퓨터용 마우스의 구성도
도 2a 는 종래의 컴퓨터용 마우스의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파형도
도 2b 는 종래의 컴퓨터용 마우스의 수광소자에 의해 수신되는 파형도
도 2c 는 종래의 컴퓨터용 마우스의 제어부에 의해 인식되는 파형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파형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수광소자에 의해 수신되는 파형도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제어부에 의해 인식되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우스 110 : 볼
120 : X축 휠 121, 131 : 발광소자
122, 132 : 수광소자 140 : 제어부
150 : 인터페이스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는 볼과; 상기 볼의 회전에 의해 각각 회전되되, 그 원주 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X축 휠 및 Y축 휠과;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각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로부터 마우스의 X축 방향 이동거리 및 Y축 방향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한 마우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마우스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일측으로 설치한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의 파형이 쵸핑되도록,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타측으로 설치한 발광소자의 발광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무선 RF 송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는 도 1 에 도시한 것처럼 통상적인 볼(110)과; 상기 볼(110)의 회전에 의해 각각 회전되되, 그 원주 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X축 휠(120) 및 Y축 휠(130)과; 상기 X축 휠(120)과 Y축 휠(130) 각각의 휠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발광소자(121)(131) 및 수광소자(122)(132)와; 상기 각 수광소자(122)(132)의 수광신호로부터 마우스(100)의 X축 방향 이동거리 및 Y축 방향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한 마우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마우스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는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상기 발광소자(121)(131)의 발광주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광소자(122)(132)에 의해 수신되는 파형을 쵸핑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발광소자(121)(131)에 항상 전류가 공급되는 종래와는 다르게 도 3a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발광소자(121)(131)에 전류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인가했다 단속했다를 반복, 예컨데 상기 발광소자(121)(131)에 소프트웨어적으로 28㎲ 동안 전류를 공급하고 122㎲ 동안 전류를 단속함으로써, 발광소자(121)(131)의 발광주기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X축 휠(120) 및 Y축 휠(130)의 원주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부위를 지날때는 상기 발광소자(121)(131)에서 출력된 광신호는 수광소자(122)(132)에 의해 수신되고, 절개부위가 아닌곳을 지날때는 광출력이 차단되어 상기 수광소자(122)(132)에 의해 수신되는 전류파형은 도 3b 와 같고, 이 수광소자(122)(132)에 의해 수신되는 전류는 제어부(140)에서 도 3c 와 같이 쵸핑된 디지탈 형태의 파형으로 변환된다.
이 쵸핑된 디지탈 형태의 파형으로부터 상기 제어부(140)는 X축 방향 이동거리 및 Y축 방향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한 마우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종래와는 다르게 발광소자가 계속 광을 출력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광 출력 및 단속을 계속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작고, 발광소자의 광특성 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마우스의 성능저하를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무선 RF 송신부를 채용함으로써 무선방식으로 상기 쵸핑된 신호로부터 생성된 마우스 신호를 컴퓨터로 출력함으로써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같이 함으로써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는 종래보다 전력소모가 작고, 발광소자의 광특성 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마우스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2)

  1. 볼과; 상기 볼의 회전에 의해 각각 회전되되, 그 원주 부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X축 휠 및 Y축 휠과;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각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로부터 마우스의 X축 방향 이동거리 및 Y축 방향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한 마우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마우스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일측으로 설치한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의 파형이 쵸핑(Chopping)되도록, 상기 X축 휠과 Y축 휠 각각의 휠 타측으로 설치한 발광소자의 발광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무선 RF 송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KR10-2001-0036406A 2001-06-25 2001-06-25 컴퓨터용 마우스 KR10043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406A KR100433850B1 (ko) 2001-06-25 2001-06-25 컴퓨터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406A KR100433850B1 (ko) 2001-06-25 2001-06-25 컴퓨터용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29A KR20030001629A (ko) 2003-01-08
KR100433850B1 true KR100433850B1 (ko) 2004-06-04

Family

ID=2771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406A KR100433850B1 (ko) 2001-06-25 2001-06-25 컴퓨터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8427A (ja) * 1988-05-27 1989-12-01 Hitachi Ltd 座標入力装置
JPH06314160A (ja) * 1993-04-28 1994-11-08 Fujitsu Ltd 多次元座標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KR970002559A (ko) * 1996-11-14 1997-01-28 양덕환 켬퓨터용 마우스구조
JPH11259233A (ja) * 1998-03-13 1999-09-24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00018866U (ko) * 1999-03-30 2000-10-25 김경진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휠이 내장된 마우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8427A (ja) * 1988-05-27 1989-12-01 Hitachi Ltd 座標入力装置
JPH06314160A (ja) * 1993-04-28 1994-11-08 Fujitsu Ltd 多次元座標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KR970002559A (ko) * 1996-11-14 1997-01-28 양덕환 켬퓨터용 마우스구조
JPH11259233A (ja) * 1998-03-13 1999-09-24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00018866U (ko) * 1999-03-30 2000-10-25 김경진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휠이 내장된 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29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5144A (en) Mouse pointing device having integrated touchpad
US5341133A (en) Keyboard having touch sensor keys for conveying information electronically
US5963195A (en) Hardware-selectable mouse movement
US5489922A (en) Hand worn remote computer mouse
US7298359B2 (en) Notebook computer with detachable infrared multi-mode input device
US5355148A (en) Fingerpoint mouse
JP4937272B2 (ja) ワイヤレスデバイスのパフォーマンスと効率の向上
US20040041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brid pointing device used with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0242421A (ja) 座標入力装置
US20050030279A1 (en) Multi-functional pointing and control device
US9250717B2 (en) Mouse with a finger triggered sensor
US6115029A (en) Graphical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graphical pointer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7453436B2 (en) Hand-held on-screen control device
KR100433850B1 (ko) 컴퓨터용 마우스
US7145549B1 (en) Ring pointing device
KR20030080064A (ko) 커서 속도의 수동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4670738A (en) Computer input technique
CN110727344B (zh) 虚拟现实系统、交互控制方法
KR100462353B1 (ko) 다기능 무선 마우스
JP2539779B2 (ja) カ−ソル制御装置
KR19980014398U (ko) 손 부착형 유선 마우스
WO2009060434A2 (en) Miniature computer pointing device
KR20040009310A (ko) 펜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체 보정방법
JP2002278699A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
JP3077533U (ja) マ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