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175B1 -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175B1
KR100432175B1 KR10-2002-0000142A KR20020000142A KR100432175B1 KR 100432175 B1 KR100432175 B1 KR 100432175B1 KR 20020000142 A KR20020000142 A KR 20020000142A KR 100432175 B1 KR100432175 B1 KR 10043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put
scan code
scan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884A (ko
Inventor
정회선
최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언어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to KR10-2002-000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175B1/ko
Priority to CN02123174A priority patent/CN1430137A/zh
Publication of KR2003005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나의 로마자 병음 기준스캔코드와 숫자가 할당되고,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생성제어코드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로마자 병음 전이스캔코드들이 그룹별로 구별하여 할당된 제 1 클러스터들과, 생성제어코드와 기능키가 각각 할당된 제 2 클러스터들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 제 1 클러스터들에 할당된 기준스캔코드와 생성제어코드의 입력에 의해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전이되어 생성되는 전이스캔코드들의 관계가 정의된 룩-업 테이블, 키 어레이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기준스캔코드 또는 전이스캔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캔코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System for entering Chinese PinYin using 12 key array}
본 발명은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스캔코드를 설정하고 생성제어코드를 이용하여 기준스캔코드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변형하여 전이스캔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중국어 한어 병음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일반적인 유선 통신 서비스의 기술 확대와 더불어 로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기초한 개인 휴대 통신과 같은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가입자 수의 비약적인 증가에 힘입어 이에 따른 각종 부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현재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들 중에서 문자 전송 서비스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이성에 기인하여 이용자들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문자 전송 서비스의 응용 분야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외에도 전화를 통해 주식 정보 전화 서비스를 접속한 후 원하는 회사 이름을 입력하면 시세를 알려주는 주식 정보 서비스에 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를 이용한 도서관 장서 안내, 항공권 예약, 무인 114 서비스 등 다양한 전화 음성 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그 응용 분야로 들 수 있으며, 또 다른 응용 분야로는 자판수가 적어야 하는 전자 수첩, 팜탑(Palm Top) 컴퓨터 등의 소형 종합 자판 시스템과, 인터넷 TV,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작동 및 입력 장치 대용으로서의 자판 시스템과, 전자 자물쇠, 현금 자동 지급기 등과 같이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지닌 입력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문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제한된 수의 문자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문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문자를 용이하게 및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체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신속하게 원하는 문자를 추출하거나 조합할 수 있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은 여러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방식은 각각의 입력버튼에 복수의 문자를 배정하고, 해당 입력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 횟수에 따라 각기 다른 스캔코드를 생성하도록 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입력속도가 떨어지고 문자입력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국어 한어 병음을 로마자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키패드의 클러스터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기준스캔코드와 그룹별 전이스캔코드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 내 스캔코드들과 키입력 시퀀스의 관계를 정의한 표이다.
도 5 내지 도 13은 도 3의 정의에 따라 각각의 기준스캔코드와 전이스캔코드의 관계를 설명하는 상태 전이도(state transition diagram)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로마자 병음 기준스캔코드와 숫자가 할당되고,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생성제어코드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로마자 병음 전이스캔코드들이 그룹별로 구별하여 할당된 제 1 클러스터들과, 생성제어코드와 기능키가 각각 할당된 제 2 클러스터들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 제 1 클러스터들에 할당된 기준스캔코드와 생성제어코드의 입력에 의해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전이되어 생성되는 전이스캔코드들의 관계가 정의된 룩-업 테이블, 키 어레이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기준스캔코드 또는 전이스캔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캔코드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시스템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기준스캔코드들은 해당 클러스터들에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그룹지어 배치하고, 생성제어코드는 방향성을 갖도록 대응하는 클러스터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클러스터들에 할당된 전이스캔코드들의 각 그룹내의 전이는 생성제어신호의 연속적인 키입력에 의해 수행된다.
일실시예로, 기준스캔코드는 'b', 'd', 'zh', 'a', 'o', 'e', '', 'i' 및 'u'를 포함하며, 이 실시예에 따라 기준스캔코드와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의 관계가 [표 1]과 같이 정의된다.
또한, 상기한 기준스캔코드에 따라 룩-업 테이블 내의 스캔코드들과 키입력시퀀스의 관계는 [표 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숫자는 각 클러스터에 할당된 숫자를 나타내며, [*]와 [#]는 생성제어코드가 할당된 클러스터의 기능키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키 어레이(10)에는 다수개의 클러스터들(cluster; 입력 버튼들)이, 예를 들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클러스터에는 복수개의 로마자 병음코드들과 생성제어코드 그리고 숫자와 기능키가 선택적으로 할당된다. 로마자 병음코드는 기준스캔코드와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생성제어코드에 의해 전이(transition)되어 생성되는 전이스캔코드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러스터는 C1에서 C12까지 12개로 이루어지며, C1 내지 C9로 이루어지는 제 1 클러스터에는 하나의 기준스캔코드와 다수개의 전이스캔코드를 포함하는 로마자 병음코드와 숫자가 할당되고, C10과 C12로 이루어지는 제 2 클러스터에는 생성제어코드와 '*', '#'의 기능키가 할당된다. 제 2 클러스터는 단독적인 입력으로는 생성제어코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 '#'의 기능키 입력의 효과를 갖는다.
도 4를 도시된 바와 같이, 로마자 병음코드는 모두 41개이고, 이 중에서 기준스캔코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d', 'zh', 'a', 'o', 'e', '', 'i' 및 'u'의 9개이고, 나머지는 전이스캔코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클러스터에 할당된 전이스캔코드는 기준스캔코드를 중심으로 동일 행(row)과 하부 행(row)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생성제어 코드, 즉 좌(left)제어코드(◀) 우(right)제어코드(▶)는 각각 클러스터 C10과 C12에 배치되어 시각적으로 방향성을 갖는 것처럼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생성제어코드를 방향성을 갖는 것처럼 표시함과 동시에, 전이스캔코드를 기준스캔코드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동일 행 또는 하부 행과 같이 일정한 위치를 갖도록 배치함으로써 생성제어코드를 개재한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전이스캔코드로의 전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어떤 생성제어코드를 입력해야 원하는 전이스캔코드를 얻을 수 있는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러스터에 할당된 기준스캔코드와 전이스캔코드의 관계가 생성제어코드를 개재하여 정의되어 있다.
스캔코드 생성모듈(20)은 키 어레이(10)에서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룩-업테이블(30)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로마자 병음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로마자 병음코드를 스택(40)에 푸시하고, 입력이 완료된 경우 스택(40)으로부터 로마자 병음코드를 출력모듈(50)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1st group transition scan code)는 기준스캔코드로부터 left 제어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스캔코드이고,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2nd group transition scan code)는 기준스캔코드로부터 right 제어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스캔코드를 말한다.
도 5 내지 도 13의 상태 전이도를 참조하여 각각의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생성 제어코드에 의해 전이스캔코드가 생성되는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숫자는 키 어레이(10)의 각 클러스터에 할당된 숫자를 나타내며,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할당된 숫자에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번호를 부가하여 전이스캔코드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C1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b'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Push)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1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 'p', 'm', 'f'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b'를 순차적으로 교체(Replace)한다.
right 제어코드 C12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2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 'z', 'c', 's'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b'를 순차적으로 교체한다.
따라서, left 및 right 제어코드는 양자 모두 기준스캔코드와 각 그룹 전이스캔코드 사이에서 순환적으로 상호 전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Pop)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C2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d'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Push)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1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 't', 'n', 'l'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d'를 순차적으로 교체(Replace)한다.
right 제어코드 C12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2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2그룹 전이스캔코드 'j', 'q', 'x'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d'를 순차적으로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Pop)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C3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zh'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1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 'ch', 'sh', 'r'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zh'를 순차적으로 교체한다.
right 제어코드 C12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2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 'g', 'k', 'h'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zh'를 순차적으로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C4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a'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1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 'ai', 'ao'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a'를 순차적으로 교체한다.
right 제어코드 C12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2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2그룹 전이스캔코드 'an', 'ang'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a'를 순차적으로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C5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o'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을 입력하면, 제 1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 'ou'가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o'를 교체한다.
right 제어코드 C12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2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 'ong'가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o'를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C6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e'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을 입력하면, 제 1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 'ei'가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e'를 교체한다.
right 제어코드 C12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제 2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 'en', 'eng'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e'를 순차적으로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C7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이나 right 제어코드 C12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전이스캔코드이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를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C8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i'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이나 right 제어코드 C12 중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전이스캔코드 'in', 'ing'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로드 'i'를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C9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면, 기준스캔코드 'u'가 입력코드 스택(40)에 푸시된다.
left 제어코드 C10을 입력하면, 제 1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1 그룹 전이스캔코드 'y'가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u'를 교체한다.
right 제어코드 C12를 입력하면, 제 2 그룹으로 전이되어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 'w'가 생성되어 입력코드 스택(40)의 스캔코드 'u'를 교체한다.
클러스터 C1이 아닌 클러스터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현재 스캔코드 입력 스택(4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코드가 팝되어 출력모듈(50)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기준스캔코드와 각각의 전이스캔코드가 생성제어코드에 의해 순환되면서 변환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전이스캔코드로 손쉽게 전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원하는 전이스캔코드가 다른 그룹의 전이스캔코드에 속해 있더라도 생성제어코드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러한 변경들은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축소형 키 어레이에 대응하는 클러스터에 기준스캔코드와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생성제어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다수의 전이스캔코드를 그룹별로 할당하고, 이들 사이의 전이를 생성제어코드를 통하여 수행함으로써 문자입력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기준스캔코드와 전이스캔코드들을 일정한 형태로 위치시킴으로서 상호 시각적으로 구별이 용이하게 하고, 생성제어코드를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함으로써 직감적으로 스캔코드들 간의 전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하나의 로마자 병음 기준스캔코드와 숫자가 할당되고, 상기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생성제어코드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로마자 병음 전이스캔코드들이 그룹별로 구별하여 할당된 제 1 클러스터들과, 상기 생성제어코드와 기능키가 각각 할당된 제 2 클러스터들로 이루어진 키패드;
    상기 제 1 클러스터들에 할당된 기준스캔코드와 상기 생성제어코드의 입력에 의해 상기 기준스캔코드로부터 전이되어 생성되는 전이스캔코드들의 관계가 정의된 룩-업 테이블;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기준스캔코드 또는 전이스캔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캔코드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스캔코드들은 해당 클러스터들에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그룹지어 배치하고, 상기 생성제어코드는 방향성을 갖도록 대응하는 클러스터에 배치한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스터들에 할당된 전이스캔코드들의 각 그룹내의 전이가 상기 생성제어신호의 연속적인 키입력에 의해 수행되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스캔코드는 'b', 'd', 'zh', 'a', 'o', 'e',, 'i' 및 'u'를 포함하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스캔코드와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 전이스캔코드의 관계가 하기의 표와 같이 정의되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 내의 스캔코드들과 키입력 시퀀스의 관계가 하기에 도시된 표에 의해 정의되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병음 입력시스템(여기서 숫자는 각 클러스터에 할당된 숫자를 나타내며, [*]와 [#]는 생성제어코드가 할당된 클러스터의 기능키를 나타낸다).
KR10-2002-0000142A 2002-01-02 2002-01-02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KR10043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142A KR100432175B1 (ko) 2002-01-02 2002-01-02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CN02123174A CN1430137A (zh) 2002-01-02 2002-06-26 用减少的键阵列输入汉语拼音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142A KR100432175B1 (ko) 2002-01-02 2002-01-02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884A KR20030058884A (ko) 2003-07-07
KR100432175B1 true KR100432175B1 (ko) 2004-05-17

Family

ID=1971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142A KR100432175B1 (ko) 2002-01-02 2002-01-02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2175B1 (ko)
CN (1) CN1430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38B1 (ko) 2010-11-29 2011-08-25 김민겸 버튼의 3번 연속눌러짐에 의한 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7311B2 (en) * 2002-03-28 2005-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05039064A1 (en) * 2003-10-15 2005-04-28 Yun-Kee Kang Method of inputting chinese language using mobile terminal
CN106556426A (zh) * 2016-11-21 2017-04-05 国网四川省电力公司巴中供电公司 一种电力监测高灵敏采样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38B1 (ko) 2010-11-29 2011-08-25 김민겸 버튼의 3번 연속눌러짐에 의한 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884A (ko) 2003-07-07
CN1430137A (zh)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3760A (en) Language-dependent letter input by means of number keys
AU2002351591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keyboard
US7656316B2 (en) Reduced keyboard characte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CN1290262C (zh) 往无线通信设备中输入字符的方法和设备
CN1965287B (zh) 在手持移动通信设备中输入符号的用户界面
US200501830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put confirmation in mobile terminal device
CN1890949B (zh) 用于输入字符和数字到移动通信终端显示器的设备和方法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CN1379309A (zh) 字符选择方法和字符选择设备
JP3515669B2 (ja) 数字型情報アドレス入力装置
KR100432175B1 (ko)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MacKenzie et al. Text entry using a small number of buttons
US20050100147A1 (en) Text messaging without a keyboard
KR100361621B1 (ko)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456617B1 (ko)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및 입력 방법
EP15404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text input in a mobile device
KR20030043532A (ko)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1265506A (ja) 入力装置および通信端末
KR1013362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Balakrishnan et al. A one-mode-for-all predictor for text messaging
KR100339341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EP1591874B1 (en) Reduced keyboard lette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