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647B1 -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647B1
KR100431647B1 KR10-2001-0000741A KR20010000741A KR100431647B1 KR 100431647 B1 KR100431647 B1 KR 100431647B1 KR 20010000741 A KR20010000741 A KR 20010000741A KR 100431647 B1 KR100431647 B1 KR 10043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ircuit
traffic information
loop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459A (ko
Inventor
최대순
최도혁
문학룡
류승기
김영춘
김연복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0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6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주요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교통량 조사 센터로 전송하는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대 8차선의 차량에 관한 교통정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로 구성된 센서부(100); 감지기 감도 자동보정회로가 내장된 압전신호처리회로 및 루프신호처리회로, 노면온도계측회로, 통과차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LCD 표시회로, 데이터 전송부, 스위치 입력회로가 포함된 차량검출부(200); 병렬통신회로, 노면온도계측장치, 통과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차량자료, 차량 소통 자료, 통계자료 파일(교통정보)을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 입력장치, 문 개폐감지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 상기 교통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시스템의 기본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중앙제어부(300); 스위칭회로,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DC-DC 변환기, 비상용 배터리 및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를 내장한 전원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루프감지기의 폭(d)을 감소시켜 기존장비에서 검출하기 어려웠던 저속주행 차량의 식별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정체지역에서의 주요 교통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감지기 감도 검출 및 노면온도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기 감도 자동보정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압전감지기는 감지기의 감도를 최적 상태로 유지하며, 루프감지기는 감지 감도 및 감지기를 위한 주파수 중복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정보 수집의 정확성을 확보하여 도로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도로의 확 포장에 필요한 자료를 생성함으로서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의 바탕을 이루는 핵심 기반시설로 활용된다.

Description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Traffic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piezo sensor and loop sensor}
본 발명은 급증하는 교통수요와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도로상황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는 교통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 도로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 신설 도로의 계획 및 설계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인 교통량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차선별 교통량, 점유율 등 주요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교통량 조사센터로 전송하는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루프 감지기의 폭을 줄이고, 센서부(100)에서 검출되는 신호처리의 속도를 향상시켜 정체구간에서 저속으로 주행하는 차량 및 고속 주행하는 차량의 식별능력 및 차량의 데이터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차량검출부(200)에서 센서 자동 감도 조정 회로를 이용하여 도로 포장이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센서 감도를 자동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유용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통량 조사를 위하여 영상처리 감지기, 초단파 감지기, 적외선 감지기 등이 사용되었으나 기상조건의 변화, 주야간 측정 성능의 편차, 주변 전파환경에 의한 교란 등의 문제로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량 조사장비가 주로 이용되었지만, 도3a에서와 같이 루프감지기(101,sensor)의 폭을 넓게 설치함으로서 정체지역에서 저속으로 주행하는 차량들은 하나의 루프감지기 위에 두 개의 차량이 동시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차량의 식별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차종 분류는 물론이고, 차량속도, 교통량, 점유율 등이 상당히 부정확하게 측정되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압전 및 루프감지기는 교통량 조사 장비마다 특정제품을 이용함으로써 센서 활용에 제한적인 단점이 있으며, 센서 설치 지점에 도로 포장 또는 기상조건에 따라 감지기의 감도가 저하되어 부정확한 차량정보가 수집된는 단점이 있다. 특히 교통량 조사장비의 주요 목적이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한 정보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교통정보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정체지역에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교통량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루프감지기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고속차량 및 정체지역의 저속차량에 관계없이 필요로 하는 지역의 정확한 교통정보를 검출 할 수 있으며, 감지기 감도 검출 및 노면온도계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지기의 감도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조건이나 포장 등의 상태 변화에도 자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교통정보를 유선(직렬포트를 이용한 단말기 또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개인용 휴대단말기 또는 인터넷네트워크)으로도 접속할 수 있게 하여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의 파라미터(parameter,기준값)를 변경시킬 수 있는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체지역에서 저속으로 운행되는 차량에 대한 교통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루프감지기(loop sensor)의 설치 폭을 줄임으로써 하나의 루프감지기 위에 두 개의 차량이 동시에 위치되는 경우를 배제하고, 루프감지기의 폭 감소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량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루프의 권선수를 늘리고, 차량 식별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전감지기(piezo sensor)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병행하여 활용하고,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검출부 및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신호처리 및 계산 속도를 향상시켜, 도로상에서 나타나는 차량의 주행속도 전 범위에서 통과차량 데이터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검출하고, 압전 및 루프감지기의 감도 검출 및 노면온도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기의 감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차량 감지의 신뢰성을 도로 조건이나 환경 조건 등에 상관없이 정확한 감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교통량, 차종, 도로 점유율 등 주요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나아가 하나의 차량검출부가 2개의 차선을 측정하고, 최대 4개의 차량검출부가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최대 8차선에 통과하는 차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압전(piezo) 및 루프(loop)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중 차량검출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3a도는 종래의 압전 및 루프감지기(sensor)의 배치도이다.
제3b도는 본 발명의 압전 및 루프감지기(sensor)의 배치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차량검출부 운용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 운용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센서부 101:루프감지기(loop sensor)
102:압전감지기(piezo sensor) 200:차량검출부
210:루프신호처리회로 220:압전신호처리회로
230:노면온도계측회로 240:마이크로프로세서
250:데이터전송부 260:LCD표시회로270:스위치입력회로 300:중앙제어부301:병렬통신회로 302:입력장치(키보드)303:문개폐감지장치 304:중앙처리장치
305:기억장치 306:출력장치(그래픽LCD 표시장치)
307:외부접속인터페이스 400:전원부401:스위칭회로 402:배터리 충전기 403:배터리 404:DC-DC 변환기
500:차량검출부 운용프로그램
600:중앙제어부 운용프로그램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차량검출부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3a는 종래의 압전 및 루프감지기의 배치도이며 도3b는 본 발명의 압전 및 루프감지기의 배치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차량검출부운용프로그램의 흐름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 운용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도로상에 매설되어 차량이 통과할 때 차량의 유무 및 차량의 속도 등과 같은 통과차량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의 조합인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포함하는 센서부(100);
다수개의 차선을 통과하는 차량을 동시에 감지하여 차량의 속도, 차량길이, 차량의 종류 등과 같은 통과차량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통과차량 데이터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10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센서부(100)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신호의 변화를 주파수의 변화로 변환시키며, 자동보정이 가능한 전압 및 전류 제어회로로 구성되는 자동보정기능을 포함하는 압전 및 루프신호처리회로(210,220), 도로의 표면온도를 계측하는 노면온도계측회로(230), 상기 2개의 신호처리회로에 연결되어 입력된 디지털신호 및 주파수의 변화를 차량검출부 운영프로그램(500)에 의해 처리하여 통과차량 데이터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이상 유무상태를 표시하는 LCD 표시회로(250), 각 차선의 통과차량 데이터를 중앙제어부(300)에 전송하고 중앙제어부(300)의 명령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240), 차량검출부(200) 이상 시 사용자가 리셋(reset) 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입력회로(260)를 포함하는 차량검출부(200);
상기 차량검출부(200)에 연결되어 전송된 통과차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앙제어부(300)의 명령을 전송하는 병렬통신회로(301), 상기 병렬통신회로에 연결되어 교통량, 점유율 등을 계산하고 개별차량자료, 차량 소통자료, 통계자료 파일과 같은 교통정보를 중앙처리부 운영프로그램(600)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304),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시스템의 파라미터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302), 시스템 함체 전면 및 후면의 문 개방여부를 확인하는 문 개폐감지장치(303), 도로의 표면온도를 계측하는 노면온도계측장치(304), 교통정보의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픽 LCD 표시장치와 같은 출력장치(307), 교통정보의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장치(306), 상기 교통정보를 교통정보수집센터와 같은 외부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시스템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외부접속 인터 페이스 (308,모뎀, 현장에서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처리장비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직렬포트 및 인터넷 네트 워크와 같은 유선 및 무선 인터 페이스 등)가 포함된 중앙제어부(300);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하는 스위칭회로(401), 상기 스위칭회로에 연결되어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차량검출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DC-DC 변환기(404), 정전 시에도 최대 72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정전 시에도 장비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비상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충전기(402) 및 비상용 배터리(403)가 포함된 전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0)는 루프감지기(101)와 압전감지기(102)로 구성된다.
루프감지기(101, loop sensor)는 도3b에서와 같이 도로의 차선중앙부에 전선을 루프(loop) 형상으로 매설한 센서로서, 차량과 같은 금속체가 루프 위를 통과할 때 루프 상의 자장(Magnetic Field)이 변화함으로서 루프의 인덕턴스의 변화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차량검출부(200)에서 통과차량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신호는 차량검출부(200)에서 처리되어 통과차량의 데이터 중 차량의 존재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압전감지기(102, piezo sensor)는 도3b와 같이 루프감지기(101) 좌우로 1개의 차선에 2개가 설치되며, 결정구조의 유전체가 물리적인 충격(하중)에 의하여 전기적인 전하를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센서로서, 차량의 바퀴가 도로에 매설된 압전감지기(102) 위를 통과할 때 전하가 발생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차량검출부(200)에 전기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기신호는 차량검출부(200)에서 통과차량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신호는 후술되는 중앙제어부(300)에서 처리되어 통과차량의 데이터 중 차량의 속도, 차량의 길이, 차량의 종류, 차량 축의 수 및 차량의 점유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루프감지기(101) 및 압전감지기(102)는 통과하는 차량의 유무, 속도, 길이, 차량의 종류등과 같은 통과차량 데이터를 얻기 위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a는 종래의 압전-루프-압전 감지기 설치방식의 센서부(100) 설치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두 개의 압전감지기(102) 위로 차량의 바퀴가 통과하고, 하나의 루프감지기(101) 위로 차량의 차체가 통과한다. 루프감지기(101)의 인덕턴스가 루프감지기의 단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상기 종래의 방식으로 루프감지기의 폭을증가시켜 설치하는 경우에 차량통과 시 루프감지기의 감응도가 좋고, 차량 차체가 통과하는 부분이므로 통과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저속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도 안정적으로 차량을 식별할 수 있고, 나아가 고속에서도 식별 정확도가 좋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체지역에서 저속으로 차량이 주행할 경우 루프감지기(101) 위에 2대의 차량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 차량의 식별이 불가능하여 저속에서 매우 부정확한 검출 특성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3b와 같이 루프감지기(101)의 폭(d)을 줄여서(약 1/4, 도3b에서는 루프감지기(101)의 폭(d)를 50cm로 하였으나 도로여건 및 교통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최소한 20cm이상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도 루프감지기(101) 위에 2대의 차량이 동시에 존재할 가능성이 낮아 정확한 교통정보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루프감지기(101)의 폭(d)를 감소시킴으로서 루프감지기(101)의 단면적 감소로 발생하는 인덕턴스의 감소에 따른 감응도의 저하는 루프의 권선수를 증가시켜 보완하여 루프감지기(101)의 단면적 감소에 따른 문제점을 제거함으로써 고속 주행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저속주행 차량 데이터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된다.
상기 차량검출부(200)는 보정기능이 포함된 루프신호처리회로(210), 압전신호처리회로(220), 도로의 표면온도를 계측하는 노면온도계측회로(230), 마이크로프로세서(240), 데어터 전송부(250), LCD 표시회로(260) 및 스위치 입력회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루프신호처리회로(210)는 루프감지기(101)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의한 인덕턴스(inductance)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루프감지기 자체를 발진회로의 한 부분으로 구성하여, 차량이 통과하지 않는 경우의 주파수와 차량 통과 시 루프감지기의 인덕턴스 변화에 의한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한 것으로, 도1 및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외부요인에 의한 회로 파손을 방지하는 루프보호회로(211), 상기 루프보호회로(211)에 연결되며, 측정되어질 루프감지기(101)를 후술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명령에 의해 선택하여 루프감지기(101)의 인덕턴스 변화를 주파수의 변화로 변환시키는 발진회로(212), 상기 발진회로(212)와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되어 인접한 루프감지기(101)의 발진 주파수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주파수제어회로(213), 감지기의 감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전류제어회로(214)를 포함한다.
루프보호회로(211)는 루프감지기(10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순간적으로 과도한 전자기적인 노이즈나 충격을 빛으로 소멸시켜 회로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네온램프를 부착한다. 또한 트랜스포머를 루프감지기(101)와 발진회로(212)사이에 위치시켜 양자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직류 노이즈는 차단하고, 발진회로(212)의 발진은 전자기적인 결합으로 루프감지기(101)에 전달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는 과도한 전압의 유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너다이오드를 부착하여 회로를 보호한다. 발진회로(212)는 상기 루프보호회로(211)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와 저항, 콘덴서 등 수동소자로 구성된다. 루프감지기(101)를 발진회로의 한 부분으로 구성하여 루프감지기(101)의 인덕턴스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가 발생한다. 구동되어질 발진회로(212, 차선내의 루프감지기)는 후술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의해 선택된다.감지기 신호 자동 보정은 루프 감지기 신호 발진 및 검출을 위한 발진회로(212), 루프 감지기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회로(213) 및 감지기 감도 조정을 위한 전류제어회로(214)로 구성함으로써, 루프감지기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도로 포장 시 및 노면온도계측회로(23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주파수 발진 및 검출을 위한 발진회로(212)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드간의 발진주파수의 중복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수집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도로 포장이나 도로 노면 온도의 변화 시 감지기의 감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면온도계측회로(230)의 데이터와 발진회로(212)에서 검출되는 주파수 및 감도를 이용하여 감도 저하 시 전류제어회로(214)를 통하여 루프 감지기의 자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발진회로(212)에서 감지기의 주파수 발진 및 발진 주파수 검출 기능을 통하여 인접한 루프감지기(101)가 동일한 주파수로 발진할 경우, 상호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파수제어회로(213)를 통하여 발진회로(212)를 구동한다. 후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제어신호를 통해 각 발진회로(212)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접 루프감지기(101) 및 발진회로(212)의 상호 간섭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압전신호처리회로(220)는 외부요인에 의한 회로 파손을 방지하는 압전보호회로(221), 전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신호변환용 연산증폭기(222)와 센서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전압제어회로(223)로 구분된다.신호변환용 연산증폭기(222)는 압전감지기(102) 신호를 감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40)로 전송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서는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압제어회로(223)를 이용하여 신호 감도 조정을 함으로써 검출신호의 정확성을 확보한다.
압전보호회로(221)는 압전감지기(102)를 통해 유입되는 과도한 전자기적 노이즈와 충격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과도전압억제기(Transient Voltage Supressor)와 직류적인 노이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덴서를 직렬로 삽입한 것으로 신호처리회로 초단에 부착하여 외부요인에 의한 회로의 파손이 방지된다.
신호변환용 연산증폭기(222)는 압전보호회로(221)에 연결되어 압전감지기(102)에서 발생하는 전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2단의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한다. 첫 번째 단에서는 압전감지기(102)에서 출력되는 전하를 적분기를 통하여 전압으로 변환되고(Charge amplifier), 두 번째 단에서 A/D변환기(231)에 입력되기 적합하도록 변환된 전압신호를 증폭한다.전압제어회로(223)는 신호변환용 연산증폭기(22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준으로 감도가 낮아지는 경우 검출을 위한 압전감지기의 전압이득을 조정함으로써 다른 기종의 압전감지기, 도로 포장이나 도로표면온도에 의한 변화로 인한 감지기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압전감지기(102)를 적용할 수 있게 하고, 매설 깊이의 변화, 도로용 수지의 강도에 따른 출력 신호의 변화 등 실제 설치 운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현장에서도 쉽게 전하/전압 변환의 이득률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노면온도계측회로(230)는 압전 및 루프 감지기 설치 지점의 노면 온도를 계측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압전감지기의 전압 검출 변화 및 루프감지기의 온도에 의한 주파수 발진 변화를 추정하여 감지기들의 감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계측 회로로서, 이 온도 데이터는 차량검출부(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40) 내부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각각 루프신호처리회로(210) 및 압전신호처리회로(220)를 통하여 감지기들의 감도를 자동으로 보정한다.노면온도계측회로(230)에 의해 계측된 온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전달하여 기상변화에 따른 루프감지기(101) 내부 매질의 유전율 변화 및 압전 감지기(102)의 출력 특성 변화를 보정함으로써,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차량측정 성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교통량을 수집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12비트 카운터(241), A/D변환기(242), PSP통신회로 (243) 및 차량검출부 운영프로그램(500)을 포함한다.카운터(241)는 루프신호처리회로(210)에 연결되어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한다. 도로 상의 루프감지기(101)에 차량이 존재하면 루프의 인덕턴스가 변하게 되어 차량이 없을 때와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카운터(241)을 통하여 검출하고 주파수가 변한 시간 동안을 카운트하여 통과차량의 데이터(차량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A/D변환기(242)는 압전신호처리회로(220)에 연결되어 입력된 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는 후술되는 차량검출부 운영프로그램(500)에 의해 도로에 매설된 압전감지기(102) 위로 차량의 바퀴가 통과했는지가 확인되어, 차량의 속도, 차량의 길이 및 차량의 종류 등과 같은 통과차량 데이터를 알 수 있다.
즉, 차량축의 검출시간, 차량의 존재 시작시간과 차량의 존재 종료시간을 기억하고 이를 토대로 도3b에서 도시한 센서부(100)의 설치거리와 동일한 차량 축이 두 개의 압전감지기(102)를 통과한 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고, 이때 계산된 차량속도와 차량의 존재시간으로 차량의 길이를 계산하고, 차량축의 검출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차량 축간 거리를 측정하여 차량의 종류와 같은 통과차량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때 인접차선 발진회로(212)간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4개의 발진회로(212, 8차선 도로의 경우)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동신호를 주파수제어회로(213)에 인가할 필요가 있다. 즉 차량검출부 운영프로그램(500)에 의한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출력을 통해 구동시켜야 할 발진회로(212)를 선택하여 선택된 발진회로(212)(특정 차선내의 루프감지기(101))에서의 차량유무를 검출한다.
검출된 통과차량의 데이터(차량의 유무, 차량의 속도, 차량의 길이, 차량의 종류)는 후술되는 중앙제어부(300)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가 데이터 전송부(250)의 제어선버스(252)를 통하여 PSP통신회로(243)에 입력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서 데어터 전송부(250)의 데이터버스(251)를 통하여 중앙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상기 데어터버스(251) 및 제어선버스(252)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PSP통신회로(243)에 연결된다.
차량검출부(200) 운용프로그램(500)은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 초기화 단계(s100), 상기 초기화가 이루어진 뒤 설정값 읽기 단계(s110), 입력 버퍼 확인 단계(s120), 입력 버퍼에 중앙제어부(300)로부터 명령이 입력되어 있을 경우 그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s130), 루프신호처리회로(210) 및 압전신호처리회로(220)로부터 검출신호를 확인하는 단계(s140), 검출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검출된 신호로부터 차량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50), 차량 신호 검출 후 차량이 완전히 통과하였는지 확인 단계(s160), 검출된 차량신호에서 통과차량 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s170), 연산이 완료된 통과차량 데이터를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스템 초기화 단계(s100)는 내부의 인터럽트 벡터들과 A/D변환기, 시스템 관련 주요 파라미터 및 각종 입출력 포트 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정값 읽기 단계(s110)는 차량검출부(200) 및 센서부(100) 신호 검출을 위한 각종 파라미터를 중앙제어부(300)로부터 읽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 버퍼 확인 단계(s120)는 중앙제어부(300)로부터 어떤 명령이 지령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중앙제어부(300) 명령 처리 단계(s130)는 중앙제어부(300)로부터 지령된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하였듯이 중앙제어부(300)에서 차량검출부(200)의 주파수제어회로(213)에 루프감지기(101)가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명령을 지령한 경우 이 명령을 수행한다.
검출신호 확인 단계(s140)는 루프신호처리회로(21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압전신호처리회로(22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검출신호가 없을 경우 입력 버퍼 확인 단계(s120)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신호처리회로(210) 및 압전신호처리회로(220)의 구동은 상기 중앙제어부(300)의 지령에 따라 선택된 루프감지기(101) 및 압전감지기(102)가 대상이 된다.
차량신호 검출 단계(s150)는 검출신호가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신호인지 검사하는 단계 및 차량이 통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버퍼 확인 단계(s120)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통과 확인 단계(s160)는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신호(차량신호 검출 단계(s150)에서 검출된 것)를 검사하여 차량이 통과 완료하였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및 통과중인 경우에는 검출 신호 확인 단계(s140)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데이터 연산 단계(s170)는 차량의 검출신호를 연산을 통하여 중앙제어부(300)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는 전술 한 바와 같이 차량의 유무, 차량의 속도, 차량의 길이, 차량의 종류를 의미하는 통과차량 데이터를 의미한다.
차량 데이터 전송 단계(s180)는 상기 연산이 완료된 통과차량 데이터를 출력 버퍼로 옮기는 단계, 출력 버퍼의 데이터를 PSP통신회로(243)와 데어터 전송부(250)를 통하여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감지기 감도 보정 단계(s190)은 루프신호처리회로(210), 압전신호처리회로 (220)에 의한 감지기의 감도 변화 검출 및 노면온도계측회로(230)에 의해서 계측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기 감도의 계측 및 자동보정을 시행하고 상기 입력버퍼확인단계(s120)로 되돌아 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과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차량 통과 시 센서부(100), 루프신호처리회로(210) 및 압전신호처리회로(220)의 작동여부,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서 차량 인식여부, 루프감지기(101)나 압전감지기(102)의 단선, 차량 인식의 오류, 중앙제어부(300)와 통신 이상 등 차량검출부(200)의 이상을 표시하는 LCD표시회로(260)가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된 스위치 입력회로(27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검출부(200) 이상 시 리셋 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차량검출부(200)를 최대 4개까지 연결하여 8개 차선에서 발생하는 기본적인 통과차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차종분류, 교통량, 점유율 등을 계산하고 교통정보수집센서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의 시스템의 주요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병렬통신회로(301), 입력장치(302), 문개폐감지장치(303), 중앙처리장치(304), 기억장치(305), 출력장치(306), 외부접속 인터페이스(307)를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304는 중앙제어부(300)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병렬통신회로(301)를 통하여 차량검출부(200)에서 전송하는 통과차량의 데이터와 이상정보를 수신하여 교통량 조사장비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교통량, 점유율 등을 계산하고 차종을 분리하며 소통자료, 통계파일, 개별차량자료를 생성하고, 각종 입출력 장치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필요 데이터(시스템의 주요 파라미터 등)를 입력받는다.
또한 중앙처리장치(304)는 교통량 조사장비의 설치 및 작동환경, 소비전력, 처리속도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한다. 일례로 AMD사의 ElanSC400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전력소비가 작으며, 사용온도 범위가 -25∼80℃로 작동환경에 적합하며, 클럭 주파수가 66MHz인 32비트 CPU가 이용될 수 있다.
병렬통신회로(301)는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며, 데이터 전송부(250)의 데이터버스(251)와 제어선버스(252)를 통하여 차량검출부(200)의 PSP통신회로(243)의 상태를 감시하여 차량검출부(200)의 이상 상태 및 통과차량 데이터를 전송받고, 압전감지기(102)의 신호 기준값, 루프감지기(101)의 기준값 등 차량검출부(200)의 주요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입력장치(302)는 통상 키보드가 이용되며,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어 현장에서 사용자가 장치의 주요 파라미터를 변경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문개폐감지장치(303)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함체 문에 리미트스위치를 부착하여 함체의 문이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외부(교통정보수집센터)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무단으로 개방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기억장치(305)는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어 기본적인 운용체제 및 중앙제어부 운용프로그램과 소통자료, 통계파일, 개별차량자료를 저장한다. 일 예로 기억장치(305)로는 디스크온칩이나 PCMCIA 플래시디스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6MB의 용량을 가지면 최대 50단계의 소통자료 파일과 150일간의 통계파일, 그리고 8일간 약 100만대 분의 개별 차량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장치(306, 그래픽 LCD 표시장치)는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어 측정되어진 교통정보를 표시하고, 센서부(100)의 출력특성을 그래프로 나타내며 백 라이트가 내장되어 야간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외부접속 인터페이스(307)는 출력된 교통정보를 외부(교통정보수신센터 등)로 전송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를 수신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는 모뎀 또는 랜(lan)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또는 무선 인터넷네트워크로 접속될 수 있다.
일례로 유선 인터페이스로 모뎀은 전화선로를 통하여 측정되어진 차량정보를 교통정보 수집센터로 송신하여 전국에 있는 교통량 조사장비의 데이터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고, 교통정보 수집센터에서 각 개별 교통량 조사장비의 주요 설정 파라미터를 수정할 수 있으며 무선모뎀을 사용하는 경우 원격지에서 실시간을 교통정보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접촉 인터페이스(307)로서 직렬포트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어 노트북이나 기타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교통자료를 수신하고 주요 설정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수에 제한 없이도 상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 운용프로그램(600)은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설정값을 읽어 들이는 단계(s200), 읽어 들인 설정값을 이용하여 차량검출부(200) 및 외부접속 인터페이스(307)를 초기화하는 단계(s210), 통신 관련 기능 수행을 위한 멀티스레드를 초기화하는 단계(s220), 통신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230), 차량검출부(200)로부터 통과차량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s240), 통과차량 데이터가 있을 경우 출력장치(306)에 표시하고,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s250), 자기 진단 단계(s260), 사용자 명령 검사 단계(s270), 사용자 명령 처리 단계(s280)를 포함한다.
설정값 읽기단계(s200)는 각 차선별 감지기 신호 읽기 단계와 본 발명의 시스템 정보 읽기 단계를 포함한다.
초기화단계(s210)는 차선별 감지기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검출부(200)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본 발명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접속 인터페이스(307) 및 기타 주변 장치들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멀티스레드 초기화단계(s220)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스레드를 생성(통신의 병렬처리)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기능 수행단계(s230)는 상기 멀티스레드 초기화 단계(s220)에서 실행된 통신용 스레드가 실행되는 단계로 사용자가 통신 기능을 요구하는지를 계속 검사하는 단계와 특정 통신 기능을 요구할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차량데이터 검사단계(s240)는 차량검출부(200)를 검사하여 통과차량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가 있을 경우 이를 연산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표시 및 저장단계(s250)는 교통정보를 출력장치(306)에 표시하고 기억장치(305)에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자기 진단단계(s260)는 센서부(100) 진단 단계, 차량검출부(200) 진단 단계, 전원부(400) 진단 단계 및 진단 결과를 기억장치(305)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명령 검사단계(s270)는 사용자가 입력장치(302)를 통하여 명령을 지령하였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명령이 없을 경우 차량데이터 검사단계(s240)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명령 처리단계(s280)는 사용자가 명령을 지령하였을 경우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와 수행을 완료한 후 차량데이터 검사단계(s240)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400)는 차량검출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스위칭회로(401), 배터리충전기(402), 배터리(403) 및 DC-DC전환기(404)로 구성된다.
스위칭회로(401)는 외부에서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직류로 변환한다. 일 예로 스위칭회로(401)는 AC 220V를 입력받아 DC 12V를 출력하는 스위칭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DC-DC 변환기(404)는 스위칭회로(401)에 연결되어 장비의 각 구성부문에 필요한 아날로그 전원과 디지털 전원을 생성한다. 스위칭회로(401)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보다 안정화시키고, (+), (-) 전원을 생성하여 아날로그 전원으로 활용하고, 사용전류가 큰 디지털회로에는 충분한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용화된 DC-DC 변환기(404) 2개를 이용하여 입력전압이 DC 12V이고, 출력이 ±5V인 것은 아날로그 전원으로, 출력이 +5V인 것은 디지털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회로(401)에 연결되어 정전 시에도 장비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비상용 배터리(403)과 교류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을 때 충전을 하는 배터리충전기(402)를 두어 장비의 안정성을 향상된다.
배터리충전기(402)는 배터리(403)와 스위칭회로(401) 사이에 직렬로 저항을 삽입하여 충전전류가 제한되고, 교류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을 때 DC-DC 변환기(404)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오드를 이용한다.
배터리(403)는 장비의 소비전류와 외부 온도, 정전 유지시간 등을 고려하여 용량을 선정한 것으로, 일 예로 차량용 배터리로 이용되는 용량이 50AH인 연축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은 루프감지기의 폭을 줄임으로써 하나의 루프감지기 위에 두 개의 차량이 동시에 위치되는 경우를 배제하고, 차량 식별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전감지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병행하여 활용하여 도로 상에서 나타나는 차량의 주행속도 전 범위에서 차량 정보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측정하고, 압전 및 루프 감지기의 자동 보정 회로를 적용하여 자동으로 루프감지기의 주파수 중복 방지 및 전류제어회로를 통한 감도 자동 보정, 압전감지기의 전압제어회로를 통한 자동 감도 보정을 통한 감지 성능의 향상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포장에 따른 검출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교통량, 차량속도, 차종, 도로 점유율 등 중요 교통정보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Claims (10)

  1. 도로상에 설치되며, 감지기(sensor)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센서부(100);
    상기 센서부(100)에 연결되며, 통과차량의 데이터를 검출하고 중앙처리부(300)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차량검출부(200);
    상기 차량검출부(200)에 연결되며, 차량검출부(200)의 통과차량의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하며,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교통정보의 검출 기준값(parameter)을 수신하는 다수개의 중앙제어부(300); 및,
    상기 차량검출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에 연결되며, 차량검출부(200)와 중앙제어부(300)에 필요한 전원 및 정전 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전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100)는 다수개의 루프감지기(101) 및 압전감지기(102)를 조합한 것으로서, 루프감지기(101)의 폭(d)을 최소한 200mm로 형성시키고,
    상기 차량검출부(200)는,
    외부요인에 의한 회로파손을 방지하는 루프보호회로(211), 상기 루프보호회로(211)에 연결되며 상기 루프감지기(101)의 전기신호의 변화를 주파수의 변화로 변환시키는 발진회로(212), 상기 발진회로(212)에 연결되어 인접한 상기 루프감지기(101)에 의한 주파수 간섭을 배제하는 주파수제어회로(213), 및 상기 루프감지기(101)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류제어회로(214)를 포함하는 루프신호처리회로(210);
    외부요인에 의한 회로파손을 방지하는 압전보호회로(221), 상기 압전보호회로(221)에 연결되며 상기 압전감지기(102)의 전기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신호변환용 연산증폭기(222), 및 상기 압전감지기(102)의 감도 조정을 위한 전압제어회로(223)를 포함하는 압전신호처리회로(220);
    상기 루프신호처리회로(210)에 연결되며 상기 루프신호처리회로(210)에서 발생된 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는 카운터(241), 상기 압전신호처리회로(220)에 연결되며 압전신호처리회로(220)에서 발생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242), 상기 카운터(241) 와 상기 A/D 변환기(242)의 주파수 변화량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통과차량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차량검출부 운영프로그램(500) 및 통과차량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제어부(300)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는 PSP 통신회로(243)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되며 차량정보 검출시스템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기상변화에 따른 노면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노면온도계측회로(230);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0)으로부터 검출된 통과차량 데이터를 상기 중앙제어부(300)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제어부(300)의 명령을 수신하는 데이터버스(251) 와 제어선버스(252)를 포함하는 데이터전송부(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차량검출부(200)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검출부(200)의 이상 유무를 표시 해주는 LCD 표시회로(260), 및 상기 차량검출부(200) 이상 시 리셋(reset)할 수 있는 스위치 입력회로(270)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차량검출부 운영프로그램(500)은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1단계(s100);
    중앙제어부(300)의 설정값(parameter)을 읽는 2단계(s110);
    중앙제어부(300)의 명령이 입력된 버퍼를 확인하여 버퍼에 데이터가 있으면 중앙제어부 명령을 처리(s130)하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s140)로 넘어가는 3단계(s120);
    루프신호처리회로(210) 및 압전신호처리회로(220)로부터 검출신호를 확인하여 검출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3단계로 돌아가고, 검출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단계(5단계,s150))로 진행되는 4단계(s140);
    루프신호처리회로(210) 및 압전신호처리회로(2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통과차량에 의한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3단계로 돌아가고, 통과차량에 의한 신호인 경우에는 다음단계(6단계,s160)로 진행되는 5단계(s150);
    상기 통과차량의 신호를 검사하여 차량이 통과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4단계로 돌아가고, 완료된 경우에는 다음단계(7단계,s170)로 진행되는 6단계(s160);
    통과가 완료된 차량의 신호를 연산을 통하여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하기 위한 통과차량 데이터로 변환하는 7단계(s170);
    상기 연산이 완료된 통과차량 데이터를 출력버퍼로 옮기고, 출력버퍼의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부(250)를 통하여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하는 8단계(s180);및,
    루프신호처리회로(210)와 압전신호처리회로(220)에 의한 감지기의 감도 변화 검출, 및 노면온도계측회로(230)에 의해서 계측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기 감도의 계측 및 자동보정을 시행하고 상기 3단계(s120)로 돌아가는 9단계(s1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차량검출부(200)로부터 전송 받은 통과차량 데이터를 교통정보로 변환시키는 중앙처리장치(304);
    상기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검출부(200)로부터 통과차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부(100)에 시스템의 기준값(parameter)을 전송하는 병렬통신회로(301);
    상기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시스템의 기준값을 변경 또는 확인할 수 있는 입력장치(302);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며,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함체가 무단으로 개방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는 문개폐감지장치(303);
    상기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며, 중앙제어부 운영프로그램(600) 및 차량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305);
    상기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며, 측정된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장치(306);및,
    중앙처리장치(304)에 연결되며, 무선 및 유선으로 측정된 교통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교통정보 검출시스템의 기본값을 수신 받을 수 있는 외부접속 인터페이스(3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308)는 모뎀 또는 인터넷네트워크 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이동전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중앙제어부(300)의 기억장치(305)에 저장된 중앙제어부 운영프로그램(600)은,
    설정치(센서부(100)의 정보 및 교통정보 측정장치의 시스템정보)를 읽는 1단계(s200);
    상기 설정치를 판독하여 차량검출부(200) 및 중앙처리부(300)를 초기화하는 2단계(s210);
    통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멀티스레드(thread)를 생성하고 실행시킨 후(s220), 사용자가 통신기능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3단계(s230);
    차량검출부(200)를 검사하여, 교통정보의 존재를 확인하여 교통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표시 및 저장하고(s250), 교통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단계가 실행되는 4단계(s240);
    센서부(100), 차량검출부(200) 및 전원부(400)를 진단한 후 그 결과를 기억장치(305)에 기록하는 5단계(s260);및,
    사용자가 입력장치(302)를 통하여 입력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수행하거나(s280),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4단계로 되돌아가는 6단계(s2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7. 제4항에서, 상기 전원부(400)는,
    외부의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DC)으로 변환하는 스위칭회로(401);
    상기 스위칭회로(401)에 연결되며, 직류전원을 아날로그 전원 및 디지털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DC-DC 변환기(404);
    상기 스위칭회로(401)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402);및,
    상기 배터리 충전기(402)에 연결되며, 정전 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용 배터리(4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감지기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1-0000741A 2001-01-06 2001-01-06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KR100431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741A KR100431647B1 (ko) 2001-01-06 2001-01-06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741A KR100431647B1 (ko) 2001-01-06 2001-01-06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459A KR20020059459A (ko) 2002-07-13
KR100431647B1 true KR100431647B1 (ko) 2004-05-17

Family

ID=2769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741A KR100431647B1 (ko) 2001-01-06 2001-01-06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6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195B1 (ko) * 2004-02-20 2006-07-13 요업기술원 압전검지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
KR101265654B1 (ko) * 2012-08-30 2013-05-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 검지 장치의 시공 방법
KR101326252B1 (ko) * 2012-04-10 2013-11-11 (주) 하나텍시스템 루프식 차량 검지 장치 및 방법
KR200478166Y1 (ko) * 2014-11-19 2015-09-03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 감지 장치
KR101624171B1 (ko) 2015-08-28 2016-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발전량을 가시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9847B1 (ko) 2016-11-28 2017-07-19 심용운 교통량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70097945A (ko) * 2016-02-19 2017-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노드의 감도 보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76B1 (ko) * 2005-12-23 2007-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의 윤거 산출에 의한 차량정보 검출시스템
KR100854076B1 (ko) * 2007-02-15 2008-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일의 축감지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검출시스템 및방법
KR100939962B1 (ko) * 2008-05-02 2010-0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종정보 인식장치 및 방법
KR100936444B1 (ko) * 2009-05-22 2010-01-12 렉스젠(주) 차량감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631672A (zh) * 2019-10-10 2019-12-31 成都奥森泰科技有限公司 一种谐振式车辆动态称重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465A (ko) * 1997-03-14 1998-11-05 김광호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교통 제어 시스템
KR19990021788A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교통신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465A (ko) * 1997-03-14 1998-11-05 김광호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교통 제어 시스템
KR19990021788A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교통신호 제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195B1 (ko) * 2004-02-20 2006-07-13 요업기술원 압전검지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
KR101326252B1 (ko) * 2012-04-10 2013-11-11 (주) 하나텍시스템 루프식 차량 검지 장치 및 방법
KR101265654B1 (ko) * 2012-08-30 2013-05-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 검지 장치의 시공 방법
KR200478166Y1 (ko) * 2014-11-19 2015-09-03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 감지 장치
KR101624171B1 (ko) 2015-08-28 2016-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발전량을 가시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97945A (ko) * 2016-02-19 2017-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노드의 감도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905829B1 (ko) * 2016-02-19 2018-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노드의 감도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759847B1 (ko) 2016-11-28 2017-07-19 심용운 교통량 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459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647B1 (ko) 압전 및 루프감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검출시스템
US11817716B2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8160825B1 (en) Process for remote grounding, transmission sensing, and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US9020742B2 (en) Wireless vehicle det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having enhanced response time
EP24850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detecting the presence of vehicles, with an optical sensor and a magnetic sensor
CN102722997B (zh) 一种停车位检测方法及系统
CN103942965B (zh) 地磁车辆检测器
US20040254652A1 (en) Method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 program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record medium with recorde program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 apparatus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 method for managing relay network, program for managing relay network, record medium
US20030033119A1 (en) Pole transformer load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internet network
BR112016028680B1 (pt) Sistema de comunicação de dados
EP2227033A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an underground facility
CN106875733A (zh) 基于自适应环境多传感器低功耗车辆检测系统及方法
EP3730955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ilure in current detecting circuit
CN105103366A (zh) 管理装置、通信装置、管理方法和管理系统
CN102682600A (zh) 一种交通信息检测系统
CN106408954A (zh) 车辆停车检测系统及方法
WO2020072863A1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traffic speed through intersections
SK500252020A3 (sk) Spôsob detekcie prítomnosti motorového vozidla v sledovanej zóne s identifikáciou jeho typu motora a detekčné zariadenie
KR20140008581A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이물질 감지 방법
CN105825682B (zh) 地磁车辆检测装置
Haghani et al. Automated low-cost and real-time truck parking information system.
KR20040032516A (ko) 이동식 차량정보 수집장치 및 방법
CN113554883A (zh) 车位检测装置及控制方法
CN115810812A (zh) 一种电池、电池状态检测方法及相关装置
CN212163722U (zh) 一种基于窄带物联网通信的检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