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088B1 - 책 받침대 - Google Patents

책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088B1
KR100431088B1 KR10-2001-0046074A KR20010046074A KR100431088B1 KR 100431088 B1 KR100431088 B1 KR 100431088B1 KR 20010046074 A KR20010046074 A KR 20010046074A KR 100431088 B1 KR100431088 B1 KR 10043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handle member
hole
pa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176A (ko
Inventor
김효태
Original Assignee
김효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태 filed Critical 김효태
Priority to KR10-2001-004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08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only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책의 두께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전면측과 상면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측면부에 ⊂자형의 책 클램프(40)를 체결나사(S)로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1)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 양 측면부에 대향되게 폴딩공(12)이 형성되고, 배면에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수용되는 책(B) 저면의 일부분을 받치기 위한 받침편(13)이 형성된 책 홀더부재(10)와; 상기 폴딩공(12) 내측으로 장착되어 책 홀더부재(10)로부터 폴딩 시키기 위한 설치공(21)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전면 길이방향에 장공(22)이 형성된 손잡이부재(20)와; 책(B) 페이지의 양측 면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페이지 고정바(31)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V자형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페이지 고정바(31)의 각 일단과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장공(22)에 관통되고 너트(N)로 연결 설치되는 조정노브(32)를 포함하는 페이지 고정부재(30)와;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설치공(32)에 양단이 장착되는 조립턱(51)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본체(52)를 갖되, 본체 전면에 상기 고정바(31)를 손잡이부재로부터 돌출을 안내하기 소정직경의 가이드편(53)이 절곡 형성된 받침부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절첩 가능하면서 휴대하면서 볼 수 있는 책을 책 받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책 받침대는 한 손으로 좁은 공간 등에서 기타 편안한 자세로 책을 볼 수 있어 양손을 이용하여 책을 잡는 일반적인 책 홀딩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 받침대{Book supporter}
본 발명은 책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읽고자 하는 책의 두께 범위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책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책을 받쳐들어 좁은 공간의 장소 또는 기타 자세에서도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은 그 내용에 따라 제본되는 두께가 달라지며, 페이지 사이즈가 각양각색이다.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책은 흔히 휴대하고 다니면서 볼 수 있는 소설, 교과서, 참고서 수준의 두께를 갖는 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상기와 같은 책은 가방이나 책보 등을 이용하거나 그냥 손으로 들고 다니면서 휴대할 수 있는데, 대중이 이용하는 버스나, 전철 등에서 책을 보는 사용자는 통상 양손을 사용하여 책을 펼치거나 한 손은 펼쳐진 책의 저면 두께부분을 홀딩하고, 또 한 손은 책장의 넘어감을 방지하기 위해 페이지의 상면을 지긋이 눌러주는 상태에서 책을 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책을 봄에 있어, 우선 책을 받쳐들고 보기 때문에 사용자는 책을 받치는 양손의 각도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장시간 책을 봄에 있어 팔과 손목부위에 통증을 수반하는 사례를 알면서도 겪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손을 사용하여 책을 읽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어느 자세에서도 불편한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은 특히 소설책과 같이 줄 수가 비교적 많은 경우, 다음 페이지까지의 시간이 오래 지체될 때 더욱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아무래도 불편하다.
또한, 양손으로 책을 붙잡는 상태에서는 팔의 각도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단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한 책 받침대가 시판되고는 있으나, 여기서 책 받침대는 책상 등과 같이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탁자 등에 책 받침대를 거치용으로 고정시켜 놓고 이 책 받침대에 책을 펼쳐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책을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하였는 바, 이는 우선적으로 장소에 제한을 받게되어 휴대하고 다니기에 어렵고, 또 사용자가 서있는 자세에서는 절대적으로 책 받침대의 기능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책의 두께 범위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책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책을 받쳐들어 좁은 공간의 장소 또는 기타 자세에서도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책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책의 두께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전면측과 상면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측면부에 ⊂자형의 책 클램프를 체결나사로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 양 측면부에 대향되게 폴딩공이 형성되고, 배면에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수용되는 책 저면의 일부분을 받치기 위한 받침편이 형성된 책 홀더부재와; 상기 폴딩공 내측으로 장착되어 책 홀더부재로부터 폴딩 시키기 위한 설치공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전면 길이방향에 장공이 형성된 손잡이부재와; 책 페이지의 양측 면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페이지 고정바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V자형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페이지 고정바의 각 일단과 상기 손잡이부재의 장공에 관통되고 너트로 연결 설치되는 조정노브를 포함하는 페이지 고정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설치공에 양단이 장착되는 조립턱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본체를 갖되, 본체 전면에 상기 고정바를 손잡이부재로부터 돌출을 안내하기 소정직경의 가이드편이 절곡 형성된 받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책 받침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 받침대에 책을 결합 상태에서 손잡이부재가 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 받침대에 책을 결합 상태에서 페이지 고정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책 홀더부재 11: 체결공
12: 폴딩공 13: 받침편
20: 손잡이부재 21: 설치공
22: 장공 30: 페이지 고정부재31: 페이지 고정바 32: 조정노브
40: 클램프 50: 받침부재
51: 조립턱 53: 가이드편
B: 책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인 책 받침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 받침대에 책을 결합상태에서 손잡이부재가 폴딩되도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 받침대에 책을 결합한 상태에서 페이지 고정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 받침대를 책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 받침대를 책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책 받침대의 구성은 책 홀더부재(10), 손잡이부재(20), 페이지 고정부재(30), 받침부재(50)로 나뉘어 진다.
상기 책 홀더부재(10)는 책(B)의 두께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전면측과 상면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측면부에 ⊂자형의 책 클램프(40)를 체결나사(S)로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1)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 양 측면부에 대향되게 폴딩공(12)이 형성되고, 배면에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수용되는 책(B) 저면의 일부분을 받치기 위한 받침편(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상기 폴딩공(12) 내측으로 장착되어 책 홀더부재(10)로부터 폴딩 시키기 위한 설치공(21)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전면 길이방향 중앙에 장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책 홀더부재(10)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상태로 절곡 형성된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폴딩공(12)은 손잡이부재(20)의 설치공(21)으로부터 180°회전하기 위한 반원형의 회전부(12a)와 책 홀더부재(10)로부터 손잡이부재(20)를 펼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b)가 연이어 형성된 형상, 모양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페이지 고정부재(30)는 책(B) 페이지의 양측 면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페이지 고정바(31)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0)로부터 V자형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페이지 고정바(31)의 각 일단과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장공(22)에 관통되고 너트(N)로 연결 설치되는 조정노브(32)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 고정바(31)는 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정노브(32)를 축으로 엇갈리는 형태로 펼쳐진 책(B)의 페이지에 안내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페이지 고정바(31)의 일단에는 조정노브(32)측에 관통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31a)이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노브(32)는 상기 페이지 고정바(31)의 연결공(31a)에 관통되어 연결 설치되도록 체결나사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50)는 손잡이부재(20)의 설치공(21)에 안내 결합되어 상기 폴딩공(12)에 안내되어 손잡이부재를 책 홀더부재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조립턱(51)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본체(52)를 갖되, 본체 전면에 상기 고정바(31)의 손잡이부재로부터 출몰을 안내하는 소정직경의 가이드편(53)이 절곡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책 받침대의 조립 설치 및 설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책 홀더부재(10)의 폴딩공(12)에는 손잡이부재(20)의 설치공(21)에 관통 설치되어 돌출된 받침부재(50)의 조립턱(51)부분을 상기 폴딩공(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결합시켜 준다. 여기서 폴딩공(12)으로 장착되는 조립턱(51)은 폴딩공(12)의 회전부(12a)에 먼저 안내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이 부분의 결합은 상기 조립턱(51)이 180°회전되는 범위 즉, 손잡이부재(20)를 책 홀더부재(10)와 수평되게 하거나, 책 홀더부재(10)로부터 절첩되도록 한 상태에서 폴딩공(12)의 지지부(12b)에 삽입 안내되어 사용상에 따라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재(20)가 결합된 책 홀더부재(10)의 상측부위에는 ⊂자형의 책 클램프(40)를 안내한 상태에서 클램프(40)에 읽고자 하는 책(B)의 두께부분(제본부위)을 위치시켜 준다. 상기 클램프(40)에에 위치되는 책(B)의 두께부분은 상기 클램프(40)에 및 책 홀더부재(10)에 일부분 두께부분이 수용됨과 동시에, 책(B)의 저면 부분은 도면상에서의 책 홀더부재(10) 하부에 형성된 받침편(13)에지지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책 홀더부재(10)의 상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11)으로는 체결나사(S)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준다.
상기 체결나사(S)의 체결력 정도는 곧 상기 클램프(40)에의 양측을 가압하는 상태로 클램프(40)으로 하여금 책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손잡이부재(20)는 언급한 바와 같이 폴딩공(12)의 지지부(12b)로부터 삽입되거나, 폴딩공(12)의 회전부(12a)로부터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책(B)을 가방 등에 휴대할 때에는 손잡이부재(20)를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50)에 형성된 조립턱(51)부분은 폴딩공(12)의 회전부(12a)로부터 회전되어 폴딩공(12)의 지지부(12b)에 안내되는 상태가 되며, 반대로 상기 조립턱(51)을 축으로 손잡이부재(20)를 펼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재(20)를 하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받침부재(50)의 조립턱(51)부분은 지지부(12b)로부터 벗어나며, 폴더공(12)의 회전부(12a)를 통해 손잡이부재(20)가 회동되어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다시 손잡이부재(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준다.이때의 상기 조립턱(51)은 폴딩공(12)의 지지부(12b)에 다시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부재(20)는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어 이때부터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재(20)를 쥔 상태에서 책(B)을 받쳐 들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책 받침대를 이용하여 책을 펼친 상태에서 해당하는 페이지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부재(20)에 구비된 페이지 고정부재(30)에 의해 페이지를 잡아줄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는 손잡이부재(20)의 장공(22)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조정노브(32)를 밀어 올리면, 상기 손잡이부재(20)의 배면에 설치된 받침부재(50)의 가이드돌기(53)에 페이지 고정바(31)가 분기되어 엇갈리는 형태로 V자형으로 돌출되며, 이때 돌출되는 페이지 고정바(31)의 일단부위는 소정각도로 상방향을 향하고 고정바(31)는 상기 받침부재(50)의 본체(52)에 안착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펼쳐진 양측 페이지의 상면에 위치되어 해당하는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공(22)을 통해 조정노브(32)에 의해 조정되는 페이지 고정바(31)는 상기 조정노브(32)의 체결나사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펼쳐진 책의 다음 페이지를 넘기는 상태에서 조정노브(32)를 후진시키면, 상기 페이지 고정바(31)는 다시 받침부재(50)의 가이드편(53)을 따라 손잡이부재(2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태가 되며, 페이지를 넘긴 상태에서 다시 조정노브(32)를 밀어 올리면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사용자는 책의 페이지를 넘길 때에만 또 한 손을 사용함으로써 양손을 책을 붙잡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매우 편리함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책을 받쳐 들 수 있음은, 좌석에 앉아있는 자세, 서있는 자세 및 누운 자세에서도 책 홀더부재에 페이지를 넘기고 또 이를 고정할 수 있어, 특히 좁은 공간에서도 팔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책을 읽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하면서 휴대하면서 볼 수 있는 책을 책 받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책 받침대는 한 손으로 좁은 공간 등에서 기타 편안한 자세로 책을 볼 수 있어 양손을 이용하여 책을 잡는 일반적인 책 홀딩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책의 두께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전면측과 상면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측면부에 ⊂자형의 책 클램프(40)를 체결나사(S)로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1)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 양 측면부에 대향되게 폴딩공(12)이 형성되고, 배면에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수용되는 책(B) 저면의 일부분을 받치기 위한 받침편(13)이 형성된 책 홀더부재(10)와;
    상기 폴딩공(12) 내측으로 장착되어 책 홀더부재(10)로부터 폴딩 시키기 위한 설치공(21)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전면 길이방향에 장공(22)이 형성된 손잡이부재(20)와;
    책(B) 페이지의 양측 면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페이지 고정바(31)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V자형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페이지 고정바(31)의 각 일단과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장공(22)에 관통되고 너트(N)로 연결 설치되는 조정노브(32)를 포함하는 페이지 고정부재(30)와;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설치공(21)에 양단이 장착되는 조립턱(51)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본체(52)를 갖되, 본체 전면에 상기 고정바(31)를 손잡이부재(20)로부터 돌출을 안내하기 소정직경의 가이드편(53)이 절곡 형성된 받침부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공(12)은 받침부재(50)의 조립턱(51)이 회전180°회전하기 위한 반원형의 회전부(12a)와, 상기 조립턱(51)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책홀더부재(10)로부터 손잡이부재(20)를 펼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고정바(31)는 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정노브(32)로부터 상호 엇갈리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KR10-2001-0046074A 2001-07-30 2001-07-30 책 받침대 KR100431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074A KR100431088B1 (ko) 2001-07-30 2001-07-30 책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074A KR100431088B1 (ko) 2001-07-30 2001-07-30 책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176A KR20030012176A (ko) 2003-02-12
KR100431088B1 true KR100431088B1 (ko) 2004-05-10

Family

ID=2771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074A KR100431088B1 (ko) 2001-07-30 2001-07-30 책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25B1 (ko) 2006-10-19 2007-05-28 장용철 북 그립
KR200460602Y1 (ko) 2009-09-02 2012-06-04 이재민 휴대용 독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25B1 (ko) 2006-10-19 2007-05-28 장용철 북 그립
KR200460602Y1 (ko) 2009-09-02 2012-06-04 이재민 휴대용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176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478A (en) Paper holder having a secure gripping feature
KR100431088B1 (ko) 책 받침대
US20070090264A1 (en) Book-Holding Device
US7150236B1 (en) Portable writing platform for providing a stable writing surface adjacent to a book
US4949933A (en) Document holder for computer keyboard
US6439612B1 (en) Book holder
US20030001065A1 (en) Foldable book rest
CN210870369U (zh) 床上桌
KR200432732Y1 (ko) 학생용 책상 탈부착식 독서대
KR20080026452A (ko) 학생용 책상 탈부착식 독서대
KR100919993B1 (ko) 책장의 펼침유지수단을 가지는 서적
WO2003047391A1 (en) Book holder
KR200228534Y1 (ko) 자석을 이용한 책 받침대
KR102493375B1 (ko) 독서대
KR200310981Y1 (ko) 독서대
CN215685603U (zh) 一种图书馆用便于调节的阅读桌
CN220551697U (zh) 一种广角度分屏显示器
KR960007175Y1 (ko) 책받침대가 부설된 책상
CN218682813U (zh) 一种折叠式阅读支架
CN220742547U (zh) 一种语文阅读用书签
KR19980058035U (ko) 절첩식 휴대용 테이블
JP2852036B1 (ja) 書見台
KR100458758B1 (ko) 독서대
KR200460602Y1 (ko) 휴대용 독서대
KR960011310B1 (ko) 절첩 가능한 2단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