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241B1 -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241B1
KR100430241B1 KR10-2002-0027890A KR20020027890A KR100430241B1 KR 100430241 B1 KR100430241 B1 KR 100430241B1 KR 20020027890 A KR20020027890 A KR 20020027890A KR 100430241 B1 KR100430241 B1 KR 10043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eflection
voltage
valu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956A (ko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2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2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및 수직 편향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은, 배면전극, 선음극, 제어전극, 신호전극, 집속전극, 수평 편향 전극, 수직 편향 전극이 차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되고 이 전극들을 내면에 스크린이 구비된 상판과 배면측의 하판 사이에 수용하여 진공상태로 밀봉하고, 스크린을 매트릭스 상의 소구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소구분마다 상기 전극들이 대응하여 전자빔을 소구분 단위로 스크린 상에 주사함으로써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 중에서 하나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계단파 형태를 가지고, 다른 하나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계단파 전압에 실리는 DC값을 가지며, +/- 두 전극에 인가되는 편향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전자빔을 수평/수직 방향으로 편향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이다.

Description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Color Flat Panel Display Drive}
본 발명은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및 수직 편향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형의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장치로, EL디스플레이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소자(PDP), 액정 디스플레이소자(LCD)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평판형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소자들(전자빔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화상 디스플레이소자)은 모두 휘도, 콘트라스트, 색 재현성 등의 성능 면에서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 기술한 기존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장치(EL디스플레이소자, PDP, LCD 등)가 갖고 있는 제한(휘도, 콘트라스트, 색재현성 등의 문제)을 극복하기 위하여, 브라운관에 버금가는 고품질의 화상을 전자빔을 사용한 평판 상의 장치에서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자빔의 형광 스크린 주사를 기반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후술한 상기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린 상의 화면을 매트릭스(matrix) 상의 구분(unit cell)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구분마다 전자빔을 편향 주사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칼라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 이다.
도1은 상기 후술한 전자빔의 형광 스크린 주사를 기반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1은 이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배면 벽체(하판이라고도 한다)(1), 배면 전극(2), 캐소드 필라멘트(선음극)(3), 전자 빔 제어전극(4), 신호전극(5), 집속전극(6), 수평 편향 전극(7), 수직 편향 전극(8), 페이스 플레이트(상판이라고도 한다)(9)이 차례로 배열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상기 각 전극들이 진공 상태로 수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배면전극(2)은 평판상의 도전재료로 구성되며 선음극(3)에 대하여 평행으로 설치된다. 상기 선음극(3)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하게 분포하는 전자빔을 발생하도록 복수개의 본(도1에서는 4본만 표현되어 있다)이 배치되어 있고, 선음극(3)은 예를 들면 텅스텐 선의 표면에 산화물 음극 재료가 도포되어 구성된다. 제어전극(4)은 전자빔의 인출을 위한 전극으로서 선음극 위쪽 스크린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전극(2)과 대향하고, 수평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된 관통공의 열을 상기 각각의 선음극에 대향하는 수평선 상에 가지는 도전판으로 구성된다.
신호전극(5)은 상기 제어전극(4)의 관통공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이 있고 복수개가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가늘고 긴 도전판의 열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전극(5)의 각 도전판에서는 제어전극(4)의 상기 관통공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동일한 모양의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
집속전극(6)은 신호전극(5)의 관통공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는 도전판으로 구성되며, 수평 편향 전극(7)은 단부에서 서로 맞물리는 도전판 2매를 동일 평면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린 형태로 되어 있다. 수직 편향 전극(8)도 단부에서 서로 맞물리는 도전판 2매를 동일 평면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
스크린은 상기 선음극으로부터 차례로 전극들을 통과하면서 인출, 신호변조, 집속, 편향된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를 상판 즉, 페이스 플레이트(9) 내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메탈 백(metal back)층이 부가되어 구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상의 구분으로 유닛 셀(10)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전극(4), 신호전극(5), 집속전극(6), 수평 편향전극(7), 수직 편향 전극(8)은 각각 절연성 접착제의 일종인 프리트 글래스(frit glass) 봉으로 접합되며, 각 전극체(2,3,4,5,6,7,8)를 절연성 접착제와 각 전극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한 절연성 스페이서(spacer)로 간격을 유지시켜 전극 어셈블리(전극체)를 구성한다.
도1에 표현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2의 신호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서 VD는 수직 구동신호, HD는 수평 구동신호이다.
선음극(3)에는 선음극 구동전압(21~24)이 인가되어 전자를 방출시킨다. 선음극 구동전압(21~24)은 직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가 순차적으로 상대적인 (-)펄스가 입력되어 전자를 방출시키는데, 선음극(3)은 전자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히터 전류를 흘려서 가열한다. 배면전극(2), 선음극(3), 제어전극(4)에 각각 적절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선음극(3)의 표면으로부터 쉬트(sheet) 상의 전자빔을 방출시킨다.
이 때 선음극(3)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의 양은 제어전극(4)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서 결정되고, 쉬트 상의 전자빔은 제어전극(4)의 관통공(4a)에 의해서 복수개로 분할되어 다수의 전자빔류(11)가 된다. 도1에서는 1개의 전자빔류만 표현하였다.
제어전극(4)에서 방출된 쉬트 상의 복수 전자빔류는 신호전극(5)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그 통과량이 각각의 전자빔류 마다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즉, 신호전극(5)은 접지되어 있다가 (+)펄스가 입력되어 제어전극(4)을 통과한 전자를 통과시키는데, 접지되어 있는 타이밍에서는 전자를 통과시키지 않는다. 또한 인가되는 펄스의 폭으로 전자의 양을 제어하는데, 제어전극(4) 사이의 전위차로 전자의속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전극(5)을 통과한 전자빔은 집속전극(6)의 관통공(15)의 정전렌즈 효과에 의해서 집속 및 정형된다. 수평 편향 전극(7) 및 수직 편향 전극(8)은 상기 집속 및 정형된 전자빔을 각각의 도전판에 가해지는 편향전압에 따라 편향시키고, 편향 제어된 전자빔은 해당 유닛 셀 내의 형광 스크린에 주사되어 소망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즉, 집속전극(6)을 통과한 전자빔은 편향전극(7,8) 각각의 서로 인접하며 대향하고 맞물린 도전판에 가해지는 전위차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되고, 스크린의 메탈 백 층에는 예를 들어 10kV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전자빔은 고 에너지로 가속되어 메탈 백에 충돌하고 형광체를 발광시킨다. 이 때 전기한 바와 같이 화면을 매트릭스 상으로 분할하여 소 구분(유닛 셀)(10)의 집합체로 했을 때, 각각의 유닛 셀들에 상기 분리된 전자빔을 각 1본씩 대응시켜 전자빔을 해당 유닛 셀 내에만 편향 및 주사하는 것에 의해 전체 화면(full screen)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각 화상에 대응한 RGB 영상신호를 상기 신호전극(5)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동화상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수평 편향 전극(7)에 가해지는 편향 전압으로는 계단파가 입력되는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25)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26)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자빔이 유닛 셀 내에서 1H 시간 동안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고, 다음 라인을 스캔하기 위해서 다시 유닛 셀의 좌측으로 돌아온다.
상기 수직 편향 전극(8)에 가해지는 편향 전압으로는 계단파가 입력되는데,(+)전극에 인가되는 (+)전압(28)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27)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자빔이 유닛 셀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고, 다음 순번의 선음극에 상대적인 (-)펄스가 입력되어 전자가 방출될 때에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자빔이 유닛 셀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편향된다.
도3은 종래의 수평 편향 방식과 수직 편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압 파형(a)과 수직 편향 전압 파형(b)을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전극(4), 신호전극(5), 집속전극(6)의 관통홀 1개를 통과한 전자빔은 수평 및 수직 편향 전극(7,8)에 의해서 전체 화면 중의 일부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수평 편향 전극(7)은 수평 방향으로, 수직 편향 전극(8)은 수직 방향으로 편향을 시키기 위해서 (+),(-) 전압을 인가하게 되고, 이를 위하여 제어전극, 신호전극, 집속전극의 관통홀 1개 주위에는 2개의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전극을 가져야 하고, 화면 전체적으로는 매우 많은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극을 가지게 된다.
수평 편향 (+)전극에는 (+)의 수평 편향 전압(25)이 인가되고, 수평 편향 (-)전극에는 (-)의 수평 편향 전압(26)이 인가되는데, 각각의 수평 편향 전압은 6단계의 계단파 형상이며, 1H 기간 동안 편향이 끝나면 다시 유닛 셀(10)의 좌측으로부터 스캔하기 위해서 파형이 급격하게 변화를 나타내며 원래의 값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전자빔은 두 전극에 걸리는 전압(25,26)의 차이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편향된다.
수직 편향의 경우도 수평 편향과 마찬가지로 (+)전극에는 (+)의 수직 편향전압(28)이 걸리고, (-)전극에는 (-)의 수직 편향 전압(27)이 걸리며, 12H 동안 12단계의 계단파 형상으로 편향 전압이 걸리게 됨으로써, 전자빔은 두 전극에 걸리는 전압(27,28)의 차이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 편향된다. 물론 수직 편향 전압의 경우도 12H 기간 동안 편향이 끝나면 다시 유닛 셀(10)의 좌측으로부터 스캔하기 위해서 파형이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며, 원래의 값으로 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에 의하면 그 편향전압(25,26,27,28)이 편향 전압에 실리는 DC값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인 형태의 파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편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할 때, 유사한 구성의 회로가 2회 반복하여 구성되어야 하므로 편향 전압 생성회로부 및 편향 구동회로부 등, 편향 회로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편향 전압중 하나의 편향 전압은 계단 구조를 가지고, 다른 하나의 편향 전압은 DC 형태를 가지고 전자빔의 편향 구동을 수행함으로써, 편향 전압 생성회로부 및 편향 구동부의 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평 편향 전극과 수직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 전압 파형 중에서 하나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편향 전압은 계단파 형태를 가지고, 다른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편향 전압은 상기 계단파 전압에 실리는 DC값을 가지고 전자빔의 편향 구동을 수행함으로써, 편향 전압 생성 회로부 및 편향 구동부의 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신호 파형도
도3은 종래의 수평 및 수직 편향 전압 파형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 편향 전압 파형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전압 발생기의 회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전압 발생기의 신호 파형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은, 배면전극, 선음극, 제어전극, 신호전극, 집속전극, 수평 편향 전극, 수직 편향 전극이 차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되고 이 전극들을 내면에 스크린이 구비된 상판과 배면측의 하판 사이에 수용하여 진공상태로 밀봉하고, 스크린을 매트릭스 상의 소구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소구분마다 상기 전극들이 대응하여 전자빔을 소구분 단위로 스크린 상에 주사함으로써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 중에서 하나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계단파 형태를 가지고, 다른 하나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계단파 전압에 실리는 DC값을 가지며, +/- 두 전극에 인가되는 편향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전자빔을 수평/수직 방향으로 편향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에서,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수평 편향전압은 수평 1주기(1H) 내에서 소정 시간마다 그 전압값이 계단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값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반복하고, (-)전극에 인가되는 수평 편향전압은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DC값과 동일한 값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에서,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전압은 수직 1주기마다 그 전압값이 계단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값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반복하고, (-)전극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전압은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DC값과 동일한 값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극에 인가되는 계단파 편향 전압은 상기 DC값을 기준으로 하여 제1전압 레벨만큼 상한치가 제한되고, 상기 DC값을 기준으로 하여 제2전압 레벨만큼 하한치가 제한되어, 상기 상한치 및 하한치 사이에서 계단적인 감소와 복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도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편향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압의 파형을 보여준다. 도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편향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 편향 전압의 파형을 보여준다.
도4의 (a)를 참조하여 수평 편향 구동방법부터 설명한다. 수평 편향 전극(7)의 (+)전극에 인가되는 수평 편향 전압(41)은 1/6H의 시간마다 그 값이 변화되는 계단파 형태이다.
변화의 형태는 가장 높은 수평 편향 전압에서 가장 낮은 수평 편향 전압으로 단계적으로 감소한 후, 다시 가장 높은 수평 편향 전압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구동 패턴을 보이고 있다. 가장 높은 수평 편향 전압은 DC값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상한치를 제한하는 제1전압 레벨(V1)을 더한 값이고, 가장 낮은 수평 편향 전압은 DC값을 기준으로 할 때 그 하한치를 제한하는 제2전압 레벨(V2)만큼 작은 값이다.
한편, 수평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수평 편향 전압(42)은 DC값이다. 이 DC값은 (+)전극에 인가되는 계단파 전압의 평균 전압, 즉 (+)전극에 인가되는 수평 편향전압에 실리는 DC값이 된다.
따라서, 전자빔(11)은 계단적인 감소와 복귀를 반복하는 (+)수평 편향전압(41)과 DC전압(42)의 차이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편향된다.
같은 방법으로 수직 편향 구동도 이루어진다. 도4의 (b)를 참조하여 수직 편향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수직 편향 전극(8)의 (+)전극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 전압(43)은 1H의 시간마다 그 값이 변화되는 계단파 형태이다. 변화의 형태는 가장 높은 수직 편향 전압에서 가장 낮은 수직 편향 전압으로 단계적으로 감소한 후, 다시 가장 높은 수직 편향 전압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구동 패턴을 보이고 있다. 가장 높은 수직 편향 전압은 DC값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상한치를 제한하는 제1전압 레벨을 더한 값이고, 가장 낮은 수직 편향 전압은 DC값을 기준으로 할 때 그 하한치를 제한하는 제2전압 레벨만큼 작은 값이다.
(-)전극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 전압(44)은 DC값이다. 이 DC값은 (+)전극에 인가되는 계단파 전압의 평균 전압, 즉 (+)전극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전압에 실리는 DC값이 된다.
따라서, 전자빔(11)은 계단적인 감소와 복귀를 반복하는 (+)수직 편향전압(43)과 DC전압(44)의 차이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 편향된다.
도5는 상기한 계단파형의 편향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의 예를 보여주며, 수평 편향 전압을 발생하거나 수직 편향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에 공히 적용될 수 있다. 도6은 도5에서 'charge', 'discharge', 'VC2(출력 콘덴서 C2의 충전/방전 전압)'의 타이밍 및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입력 전원인 충전(charge) 파형에서 하이(high)인 구형파가 입력되면 FET(M3)는 온(on)된다. 즉, N채널 FET(M3)이 소스 보다 게이트의 입력 전압이 높은 Vgs > 0 상태가 되므로 FET(M3)가 온된다. FET(M3)가 온되면 P채널 FET(M4)의 게이트에는 저항(R5)의 상단에 걸린 전압 V(-) + V1이 저항(R5,R6)에 의해서 분배되어 걸리고 P채널 FET(M4)는 Vgs < 0 상태가 되므로 FET(M4)는 온된다.
이 때 입력전원인 방전(discharge) 파형에서 로우(low)인 '0'가 입력되면 N채널 FET(M1)의 소스보다 게이트의 입력이 낮은 Vgs < 0 상태가 되므로 FET(M1)는 오프(off)가 되고, FET(M2)의 소스와 게이트에는 동일한 전압이 걸리게 되어 FET(M2)도 오프된다. 따라서 저항(R4)의 상단에는 V(-) - V2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 N 채널 FET(M5)의 소스와 게이트에 동일한 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FET(M5)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FET(M4)는 온, FET(M5)는 오프인 상태에서 FET(M4)의 소스 전압이 저항(R7)을 통해서 콘덴서(C2)에 충전된다. 즉, V1 → M4 → C2 → V(-) →'0'(GND)의 경로로 콘덴서(C2)는 충전된다. 이와 같이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은 편향 구동 최고 전압 레벨이 되고, 이 전압 레벨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discharge' 신호에 의해서 콘덴서(C2)가 방전을 단계적으로 하게 된다.
즉, 입력 전원인 방전(discharge) 타이밍에서 구형파가 입력되면 N채널 FET(M1)는 소스보다 게이트의 입력이 높은 Vgs > 0 의 상태가 되므로 FET(M1)는 온되고, P채널 FET(M2)의 게이트에는 저항(R1)의 상단에 걸린 전압인 V(-)가 저항(R1,R2)에 의해서 분배되어 걸리고, 이에 따라 FET(M2)는 Vgs < 0 상태가 되어 온된다.
한편, FET(M5)의 게이트는 V(-)가 저항(R3,R4)에 의해서 분배된 전압이 걸리고, N채널 FET(M5)의 소스보다 게이트의 입력이 높은 Vgs > 0 인 상태가 되므로 FET(M5)는 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 전원인 충전(charge) 파형이 로우(low)가 입력되면 N채널 FET(M3)의 소스보다 게이트의 입력이 낮은 Vgs < 0 인 상태가 되어 FET(M3)는 오프된다. 따라서 FET(M4)의 소스와 게이트에는 동일한 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FET(M4)는 오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FET(M5)는 온, FET(M4)는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8)을 통해서 방전된다. 콘덴서(C2)의 방전 경로는 상기한 DC값을 기준으로 하여 두가지의 경로로 나뉜다. 먼저, DC값 이상의 충전 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콘덴서(C2)로부터, 저항(R8), FET(M5), 전원(V2), 콘덴서(C2)의 루프를 방전 경로로 하며, 방전이 계속되어 DC값 이하의 레벨이 되는경우에는 전원 V(-)로부터 V2, C2, R8, M5, V2의 경로로 충전(즉, V2만큼 '-'로 방전)하여 하한치까지 방전을 하게 된다. 즉, 방전(discharge) 전압을 하이(high)로 인가해 줄 때마다 상기 콘덴서(C2)에 충전되었던 전압이 FET(M5)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방전됨으로써 계단파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콘덴서(C2)가 설정된 하한치까지 방전하게 되면 그 타이밍에서 다시 충전(charge) 구형파가 입력되고, 이 것으로 인하여 콘덴서(C2)는 초기의 충전 상한치로 재충전하게 되고, 이후에는 다시 방전(discharge) 펄스 입력에 대응하여 계단적으로 감소하는 파형을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평,수직 편향전압 파형을 각각의 +/- 전극에 가해줄 때, 서로 대칭인 2개의 계단파를 사용하는데 따른 복잡한 회로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따라서 편향 회로의 구성을 1/2로 간소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품수 감소와 작업 공수의 절감, 그리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4)

  1. 배면전극, 선음극, 제어전극, 신호전극, 집속전극, 수평 편향 전극, 수직 편향 전극이 차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되고 이 전극들을 내면에 스크린이 구비된 상판과 배면측의 하판 사이에 수용하여 진공상태로 밀봉하고, 스크린을 매트릭스 상의 소구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소구분마다 상기 전극들이 대응하여 전자빔을 소구분 단위로 스크린 상에 주사함으로써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 전압 파형 중에서 하나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계단파 형태로 인가하고, 다른 하나의 편향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계단파 전압에 실리는 DC값을 인가하며, +/- 두 전극에 인가되는 편향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전자빔을 수평/수직 방향으로 편향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수평 편향전압은 수평 1주기(1H) 내에서 소정 시간마다 그 전압값이 계단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값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반복하고, (-)전극에 인가되는 수평 편향전압은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DC값과 동일한 값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전압은 수직 1주기마다 그 전압값이 계단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값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반복하고, (-)전극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전압은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DC값과 동일한 값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극에 인가되는 계단파 편향 전압은 상기 DC값을 기준으로 하여 제1전압 레벨만큼 상한치가 제한되고, 상기 DC값을 기준으로 하여 제2전압 레벨만큼 하한치가 제한되어, 상기 상한치 및 하한치 사이에서 계단적인 감소와 복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KR10-2002-0027890A 2002-05-20 2002-05-20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KR10043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90A KR100430241B1 (ko) 2002-05-20 2002-05-20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90A KR100430241B1 (ko) 2002-05-20 2002-05-20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56A KR20030089956A (ko) 2003-11-28
KR100430241B1 true KR100430241B1 (ko) 2004-05-03

Family

ID=3238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890A KR100430241B1 (ko) 2002-05-20 2002-05-20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2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56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267E1 (en) Method for driving a gas-discharge panel
EP1416465A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s
US5004950A (en) Plasma display panel arranged with auxiliary electrode
GB2389453A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4352101A (en) Flat panel display system
JPS5832897B2 (ja) 画像表示装置
KR20020066922A (ko)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6373451B1 (en) Method for driving AC plasma display panel
JPH0613197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US6166490A (en) Field emission display of uniform brightness independent of column trace-induced signal deterioration
KR1007985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207911B2 (en) Display device
KR100430241B1 (ko)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구동방법
US6653793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drive operation
US6605897B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driving method
KR10027756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89950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소자의 편향 회로
US2007025278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0329777B1 (ko) 어드레스 구간에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KR20020029489A (ko)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KR100318064B1 (ko) 고주파구동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5877597A (en) Display device
KR100415614B1 (ko) 액티브 형 평면 전계방출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950001491B1 (ko) 칼라방전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293521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