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205B1 -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205B1
KR100429205B1 KR10-2001-0042615A KR20010042615A KR100429205B1 KR 100429205 B1 KR100429205 B1 KR 100429205B1 KR 20010042615 A KR20010042615 A KR 20010042615A KR 100429205 B1 KR100429205 B1 KR 10042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croll bar
folder
main bod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06732A (en
Inventor
오동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05B1/en
Publication of KR2003000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철(凸) 형태로 튀어나와 구성되어 있는 스크롤바를 힌지부분에 구성함으로써 전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폴더형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폴더부분과 본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폴더를 접거나 펴는데 이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구성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스크롤 바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nd in particular, a scroll bar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iron on the main body of a clamshell mobile terminal in a hinge portion to form a scroll bar that can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provided. A mobile terminal having such a scroll bar includes a hinge part which is configured between a folder part and a main body of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and used to fold or unfold the folder, in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And a scroll bar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of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철(凸) 형태로 튀어나와 구성되어 있는 스크롤바를 힌지부분에 구성함으로써 전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nd in particular, a scroll bar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iron on the main body of a clamshell mobile terminal in a hinge portion to form a scroll bar that can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provided.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는 단순히 길죽한 형태의 바(bar)형, 바(bar)형의 키 패드 부분에 뚜껑을 달아놓은 것 같은 플립형, 단말기 표시소자인 LCD(Liquid Crystal Display)부분과 키 패드 부분을 분리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한 폴더형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separat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ortion and a keypad portion, which are flip-type and terminal display elements, such as a lid attached to a bar type bar or bar type keypad portion. It is divided into one folder type so that it can be folded.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처음에는 단순히 음성 통신에만 이용하였지만 근래에는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 청취나, MP3 뮤직(Music)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킨 후 필요할 때 재생하여 듣기도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Such mobile terminals were initially used only for voice communication, but recently,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have been released, such as listening to AM or FM radio broadcasting, downloading and storing MP3 music, and playing and listening when necessary. have.

이동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다른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버튼들로 이루어진 키 패드부,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이동 단말기의 기능설정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display)와, 키 패드를 보호하기 위한 플립(flip),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와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 사양으로 통화시 다른 사람에게 통화내용이 들리지 않도록 할 때 사용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과, 차량운전시 사용하는 핸즈프리 키트(kit),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Cable)로서 예를 들면 리셉터클(Receptacle)이 있다.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to and from a base station, a speaker for allowing a user to listen to a voice signal,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a function button for pressing a phone number or other data of another mobile terminal. Keypad section consisting of a phone number, a display for displaying a dialed telephone number or a character or video indicating the function setting or status of the current mobile terminal, a flip for protecting the keypad,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t consists of an earphone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ata transmission unit and earphones. Optionally, a microphone-in-ear earphone, a hands-free kit for driving a vehicle, and a cable for transmitting data can be used as a receptacle (optional). Receptacle).

그리고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가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부분에 동서남북형태로 구성되는 4 way navigation key나 조이스틱(joy stick), 스크롤 바(scroll bar) 등이 입력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mobile terminal has more various functions, a 4 way navigation key, a joy stick, a scroll bar, etc., which are configured in east, west, north, and south forms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are used as input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폴더형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것으로, 폴더형 이동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문자나 영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가 구성된 폴더부(5)와, 키패드부(2)가 구성된 본체부(6)와, 폴더부(5) 및 본체부(6)를 연결시키는 힌지부(7)와, 본체부(6)에 구성되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를 입력시키거나, 메뉴 등을 표시부(1)에 표시하는 스크롤 바(3)로 구성된다. 이때 스크롤 바(3)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형상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기본적으로 본체부(6)에 구성되는 스크롤 바(3)는, 본체부(6)에서 일정부분 철(凸)형태를 갖고 있어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을 돕는다. 그리고 폴더부(5)의 표시부(1)아래쪽에는 폴더부(5)를 닫을 때 폴더부(5)의 표면과 본체부(6)의 표면이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스크롤 바 홈(4)이 형성되어 있다.The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represents a folder type mobile terminal.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basically includes a folder unit 5 including a display unit 1 for displaying a text or an image, and a keypad unit 2. Is configured in the main body portion 6, the hinge portion 7 connecting the folder portion 5 and the main body portion 6, and the main body portion 6 to the scrolling mo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r. And a scroll bar 3 for inputting data or displaying a menu or the like on the display unit 1.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ure 2 showing the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croll bar (3) from the side, basically the scroll bar (3) configured in the main body portion 6, the fixed portion ( 형태) It has a form to help the user scroll. A scroll bar groove 4 is formed below the display portion 1 of the folder portion 5 so that the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5 and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6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older portion 5 is closed. It is.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패드부(2)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이동 단말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기능 등을 확인하기도 하는데, 이때 메뉴기능은 다수개의 메인 메뉴와 다수개의 메인 메뉴 각각의 하부에 구성된 다수개의 서브 메뉴 등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메뉴는 표시부(1)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다수개의 메인 메뉴를 확인하거나 메인 메뉴 하부의 서브 메뉴를 확인하면서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향 키를 누르거나, 서브 메뉴에 할당된 번호를 키패드부(2)의 키패드들에서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In such a mobile terminal, a user may input characters and the like by using a keypad of the keypad unit 2 and check a menu func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by default, and the menu func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in menu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ub-menus and the like arranged under each of the plurality of main menus, such a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At this time, the user presses a direction key to check a menu to be selected while checking a plurality of main menus or a sub menu below the main menu, or inputs the number assigned to the sub menu to the keypads of the keypad 2. You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choosing.

이와 같은 종래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mobile terminal having such a conventional scroll ba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스크롤 바가 이동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롤 바를 구성하기 위한 본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First, since the scroll bar is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main body for configuring the scroll bar increases.

둘째, 본체에 구성된 스크롤 바 때문에 폴더를 닫는 경우 폴더와 본체가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폴더에 스크롤 바 홈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폴더부의 표시부 자체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영상의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게 되었다.Second, when the folder is closed due to the scroll bar configured in the main body, the scroll bar groove should be formed in the folder so that the folder and the main body can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maller size adds to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철(凸) 형태로 튀어나와 구성되어 있는 스크롤바를 힌지부분에 구성함으로써 전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by configuring the hinge portion of the scroll bar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iron in the main body of the folding mobile terminal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that can reduce.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폴더형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폴더부분과 본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폴더를 접거나 펴는데 이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구성되며 상기 이동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스크롤 바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the hing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older portion and the main body of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and used to fold or unfold the folder, and Is configured to the hinge portion and a scroll bar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롤 바는 상기 힌지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힌지부와는 분리되어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로 스크롤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스크롤 바의 측면 직경은 상기 스크롤바 양측의 상기 힌지부의 측면 직경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scroll bar is configured to be scrollable up, down, left, or right, up, down, left, and right by being separated from the hinge part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inge part, and the side diameter of the scroll bar is smaller than the side diameters of the hinge parts on both sides of the scroll bar. Or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3 illustrat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 : 표시부 12 : 키 패드부11: display portion 12: key pad portion

13 : 스크롤 바 15 : 폴더부13: scroll bar 15: folder

16 : 본체 17 : 힌지부16: body 17: hinge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3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에 스크롤 바(13)가 구비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문자나 영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1)가 구성된 폴더부(15)와, 키패드부(12)가 구성된 본체부(16)와, 폴더부(15) 및 본체부(16)를 연결시키는 힌지부(17)와, 상기 폴더부(15)와 본체부(16) 사이에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부(17)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시키고, 표시부(11)에 표시하는 스크롤 바(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롤 바(13)는 도면상에는 상하방향으로 스크롤 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좌우 방향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oll bar 13 in a general clamshell mobile phone, and is basically a folder part including a display part 11 for displaying a text or an image. 15, the main body 16 including the keypad portion 12, the hinge portion 17 connecting the folder portion 15 and the main body portion 16, the folder portion 15 and the main body portion ( 16), preferably between the hinges 17 to input a control command of the mobile terminal us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1. Consisting of a scroll bar 13. In this case, although the scroll bar 13 is configured to scroll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drawing, it may be configured to scro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r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이와 같은 스크롤 바는 기본적으로 이동 단말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기능 등을 확인 할 때 필요에 따라 스크롤 바(13)를 스크롤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메뉴기능은 다수개의 메인 메뉴와 메인 메뉴 각각의 하부에 서브로 구성된 다수개의 서브 메뉴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메뉴는 기본적으로 폴더부(15)의 표시부(11)에 표시된다.Such a scroll bar basically shows that the scroll bar 13 can be used as needed when checking a menu func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menu fun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menus and a main menu.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ub-menu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subs at the bottom, which is bas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11 of the folder section 15.

이때 사용자는 다수개의 메인 메뉴를 확인하거나 메인 메뉴 하부의 서브 메뉴를 확인하면서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확인하기 위하여 키패드부(12)에 구성된 방향 키를 누르거나, 서브 메뉴에 할당된 번호를 키패드부(12)의 키패드들에서 일일이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presses a direction key configured in the keypad 12 to check a plurality of main menus or a sub-menu under the main menu, and confirms a menu to be selected by the user, or inputs a number assigned to the sub-menu.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lect the keypads of the unit 12 can be eliminated.

그리고 스크롤 바(13)가 힌지부(17)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와 동일한 크기의 본체부(16)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경우에 키패드부(12)의 크기를 크게할 수도 있고, 폴더부(15)의 표시부(11)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가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원터치로 동작 가능한 핫키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키패드부(16)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많은 개수의 핫키 구성할 수 있다.Since the scroll bar 13 is formed on the hinge portion 17, the size of the keypad portion 12 is increas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portion 16 having the same size as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The size of the display portion 11 of the folder portion 15 can be increased. 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terminal has more various functions, in the case of configuring a hotkey that can be operated with one touch, a larger number of hotkeys can be configured as the space of the keypad 16 can be utilized.

이때 스크롤 바(13)의 직경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와 같이 힌지부(17)의 측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scroll bar 13 can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side diameter of the hinge portion 17, such a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ure 4, or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크롤 바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스크롤 바가 폴더부와 본체부를 연결시켜주는 힌지부에 구성되므로 본체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폴더부 역시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경박단소화에 유리하다.First, in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the scroll bar is composed of a hinge part connecting the folder part and the main body part, so that the size of the main body part can be reduced, and the folder part can also reduce its size,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advantageous to

둘째, 스크롤 바가 힌지부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롤 바와 키패드부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스크롤 바를 구동시키면서 키패드부를 잘못 구동시킬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scroll bar is configured in the hinge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croll bar and the keypad portion is farther away,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that may incorrectly drive the keypad portion while driving the scroll bar.

셋째, 첫째의 효과에서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크기를 줄이지 않는 경우에는 전반적인 표시부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고, 키패드부의 크기 역시 크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in the first effect, if the size of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is not reduced, the size of the overall display unit can be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keypad unit can also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Claims (3)

폴더형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상기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폴더부분과 본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폴더를 접거나 펴는데 이용되는 힌지부와,A hinge part configured between the folder part and the main body of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and used to fold or unfold the folder; 상기 힌지부에 구성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기능을 확인하는 스크롤 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bar configured to the hinge un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r to confirm a menu func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바는 상기 힌지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힌지부와는 분리되어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로 스크롤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croll bar is configured to be scrollable up, down, left, right, up, down, left, or right in a center portion of the hing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바의 측면 직경은 상기 스크롤바 양측의 상기 힌지부의 측면 직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a side diameter of the scroll bar is smaller than or equal to a side diameter of the hinge portions at both sides of the scroll bar.
KR10-2001-0042615A 2001-07-14 2001-07-14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KR100429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15A KR100429205B1 (en) 2001-07-14 2001-07-14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15A KR100429205B1 (en) 2001-07-14 2001-07-14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32A KR20030006732A (en) 2003-01-23
KR100429205B1 true KR100429205B1 (en) 2004-04-28

Family

ID=2771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15A KR100429205B1 (en) 2001-07-14 2001-07-14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0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32A (en)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076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housing element and keypad disposed therein
EP1775596B1 (en)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JP32831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able housing element control
US5991644A (en)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EP1367804B1 (en)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US7068259B2 (en) Key data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9990000037A (en) Portable terminal with flip cover in both directions
EP2001205A9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62635B1 (en) Key input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344592A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100630127B1 (en) Folder-type radiotelephone with sub display unit and driving method of the sub display unit
KR100429205B1 (en)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 bar
KR100367550B1 (en)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JP2000236376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KR100927835B1 (en) Handheld terminal
KR100983270B1 (en) Mobile phone
KR200228906Y1 (en)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KR20030068684A (en) Key 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10069200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hot key input and method of executing a hot key thereof
KR200255274Y1 (en) Mobile terminal having side key
KR10065185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110834A (en) Side button in mobile phone
KR100447589B1 (en) Mobile phone having a dual key pad
KR20010025887A (en) Cellular phone having a dual functioned antenna with a directional mike
KR200282150Y1 (en) Structure of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