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774B1 -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7774B1 KR100427774B1 KR1020030062825A KR20030062825A KR100427774B1 KR 100427774 B1 KR100427774 B1 KR 100427774B1 KR 1020030062825 A KR1020030062825 A KR 1020030062825A KR 20030062825 A KR20030062825 A KR 20030062825A KR 100427774 B1 KR100427774 B1 KR 1004277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mary
- tank
- filtration tank
- secondary filtration
- was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4/005—Filters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or compart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침강에 의한 접촉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폐광산 폐수를 정화시키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폐 갱구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의 유속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토사나 비중이 큰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1차침전조(10); 상기 1차침전조에서 배출된 유입수가 여제(41)를 순환 통과하면서 산화철이 자연침강 및 흡착되는 1차여과조(30)와, 이후 미세한 부유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여과조(50)가 구비된 접촉여과조(20); 상기 2차여과조에서 배출되는 산화철 없는 맑은 청정수를 집수하여 방류하는 2차침전조(7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폐 갱도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를 1차침전조에서 담수하여 유속을 완화시키고, 접촉여과조에서 여과필터용 여과제를 사용하여 산화철을 자연침강 및 흡착하여 정화된 정수를 2차침전조를 통하여 방류하며, 침전조 부근에 산화철 및 여제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규모 소각로를 설치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연침강에 의한 접촉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폐광산 폐수를 정화시키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 갱도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를 1차침전조에서 담수하여 유속을 완화시키고, 접촉여과조에서 여과필터용 여과제를 사용하여 산화철을 자연침강 및 흡착하여 정화된 정수를 2차침전조를 통하여 방류하며, 침전조 부근에 산화철 및 여제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규모 소각로를 설치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석탄산업은 지난 30여년간(60∼80년대) 꾸준히 성장 발전하여 8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 년간 생산량이 2000만톤을 상회하는 명실공히 국민연료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 국민소득의 향상과 더불어 수요감소와 가격 경쟁력 약화라는 이중고를 겪게 되면서 석탄산업 전반에 걸쳐 어려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정부는 이에 대비하여 석탄산업합리화시책을 수립하고 시행한 결과 1988년에 347개 탄광이 가행되었으나 상당수의 탄광이 폐광되고 현재 11개 탄광만이 가행중이다. 이 과정에서 탄광지역의 인구감소와 경기 침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석탄산업은 탄광지역의 경제안정을 유지하면서 수요에 비해 생산과잉이 지속되는 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석탄산업정책이 필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정부는 따라서 탄광지역의 경제안정을 위하여 1995년3월 석탄산업종합대책을 수립하여 1995년부터 매년 100만톤 규모의 정부 비축을 추진해 오고 있다.
상기 비경제성 탄광을 정리하는 석탄산업합리화사업으로 단기간 동안 대부분의 탄광이 구조조정과 정리를 거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시켰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첫째 탄광지역의 경기침체 및 인구감소와 둘째 환경 및 안전 문제를 들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대표적 실예가 폐갱구 및 광산폐기물 주변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와 폐갱도 및 폐채굴적의 붕괴로부터 발생하는 지반 침하를 들 수 있다. 폐광 이후 폐갱도 및 광산폐기물에서 산성수이면서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가 아무런 정화과정 없이 그대로 주변 수계 혹은 토양으로 유출되어 환경오염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한편 상당수의 광산들이 가행당시 갱도 및 채굴적이 폐광 이후 적절한 광산보안조치가 수행되지 못한채 방치되어 각종 지표침하 등 지반의 안정성이 대두되면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즉, 이러한 광산폐수 및 지반침하 문제는 폐광지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환경 및 재해 문제로서 민원을 유발하며 폐광지역의 자연환경을 훼손하여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사안으로 되어 있다.
상기 우리나라에 산재해 있는 폐광산은 채굴 활동당시에는 배출수의 중금속, pH 등이 안정한 상태이나 휴·폐강이 되면서 갱내로 유입되는 산소와 물의 영향으로 황철광(pyrite)이 산화되어 갱내수의 pH가 4이하인 강산성 수질로 변화게 된다. 이러한 갱내수는 주변의 암석층을 통과하면서 중금속을 용해함과 동시에 여러 유해물질을 함유하게 되며, 갱내수가 배출되어 인근 하천을 오염시키고 하천바닥을 황갈색의 침전물로 덮어버리는 현상을 나타낸다. 또한 강산성의 수질로 인한 수계생태계의 파괴와 주변 논경지의 중금속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황철강의 산화과정은 반응식 (1)~(4)와 같다.
즉, FeS2+7/202+H2O→Fe2++2SO4 2-+2H+(1)
Fe2++1/4O2+H+→Fe3++1/2H2O (2)
Fe3++3H2O→Fe(OH)3+3H+ (3)
FeS2+14Fe3++8H2O→15Fe2++2SO4 2-(4)
초기에는 황철광의 단순한 분해나 산소에 의한 산화로 Fe2+가 생성되고, Fe2+는 다시 Thiobacillus ferrooxidans 등과 같은 미생물에 의해 산화된다. 산화된 Fe3+는 수산화철의 형태로 침전하게 된다. 또한 황철광은 산소에 의해 산화될 때보다 Fe3+에 의해 더 빠른속도로 산화된다.
현재 탄광에서 배출되고 있는 폐수는 limestone층을 설치하여 중화시키고 소택지에 저류시켰다가 방류하고 있으나 배출되는 폐수의 pH가 3 전후로 강산성을 띄고 있고 중금속의 함유 또한 높은 실정이다. 그리고 인근 위생매립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침출수는 1차 처리 후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이송하고 있다. 매립을 시작한지 2년 정도된 초년 위생매립지로 발생되는 침출수는 혐기화가 진행되지 않아 pH가 낮으며 BOD 농도가 COD보다 약간 높은 편으로 BOD의 농도는 대략 1000mg/ℓ전후로 배출되고 있다. 차후 하수종말처리장을 이송되는 침출수의 양이 증가하면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에 여러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상기와 같이 폐광된 금속광산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즉, 문을 닫은 국내 금속광산 가운데 오염물질 유출 가능성 이 있는 50개 광산에 대해 2007년까지 5년간에 걸쳐 광해(鑛害) 방지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정부의 예산지원을 받아 지방자치단체 주관으로 이뤄진다. 광산 폐수 등 유출수를 차단하고 폐시설물을 철거하는 작업이 주로 실시된다. 이 처럼 정부가 광해방지사업에 나선 것은 중금속이 포함된 유출수가 대량으로 흘러나오는 등 폐광 광산의 오염과 이로 인한 지역의 피해가 심각 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자연침강법을 이용하여 폐광산의 폐수를 정화하였으나, 산화철을 회수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과 아울러 작업성 및 효율성 저하로 인해 정화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과다한 시설 유지비로 인하여 지방자치 단체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연침강에 의한 접촉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폐광산 폐수를 완벽하게 정화시킴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이를 위해 폐 갱도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를 1차침전조에서 담수하여 유속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1,2차여과조가 구비된 접촉여과조에서 여과필터용 여과제를 사용하여 산화철을 자연침강 및 흡착하여 정화된 정수를 2차침전조를 통하여 방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침전조 부근에 산화철 및 여제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규모 소각로를 설치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폐 갱구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의 유속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토사나 비중이 큰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1차침전조; 상기 1차침전조에서 배출된 유입수가 여제를 순환 통과하면서 산화철이 자연침강 및 흡착되는 1차여과조와, 이후 미세한 부유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여과조가 구비된 접촉여과조; 상기 2차여과조에서 배출되는 산화철 없는 맑은 청정수를 집수하여 방류하는 2차침전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를 나타낸 전
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1차여과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1차여과조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1차 여과조의 정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1차여과조의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2차여과조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2차여과조의 평면도.
도 8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2차여과조의 어망부위의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2차여과조의 스펀지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여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차침전조 20: 접촉여과조
30: 1차여과조 50: 2차여과조
70: 2차침전조 80: 소각로
본 발명에 적용된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는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폐 갱구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의 유속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토사나 비중이 큰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1차침전조(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부호 20은 본 발명의 특징인 접촉여과조로, 이 접촉여과조(20)에는 1차침전조(10)에서 배출된 유입수가 후술하는 여제(41)를 순환 통과하면서 산화철이 자연침강 및 흡착되는 1차여과조(30)와, 이후 미세한 부유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여과조(50)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1, 2차여과조(30)(50)에는, 일측 상단과 타측 상단에 각각 유입구(32)(52)와 배출구(33)(5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1, 2차여과조(30)(5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획되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1, 2차여과조(30)(50)의 상부 높이보다 낮게 소정간격의 통로(35)(55)가 형성된 격벽(34)(54)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벽(34)(54)의 사이 1, 2차여과조(30)(5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를 제외한 사방에 그물이 구비된 한쌍의 그물망틀(40)(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그물망틀(40)(60)의 내부에 다단 적층 쌍여지며, 상하부가 상호 관통된 다수의 원통형 여제(41)(6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여제(41)(61)는 일반적인 요구르트병이나 각종 음료를 담는 PET병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차여과조(30)의 내부 바닥면에 각각 다수의 부직포(36)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 부직포(3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후 회수하여 소각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1, 2차여과조(30)(50)의 내부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그물망틀(40)(60)이 1, 2차여과조(30)(50)의 내벽과 상호 맞닿지 않게 공간부(31a)(51a)가 형성되게 설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 2차여과조(30)(50)의 중앙에도 그물망틀(40)과 그물망틀(60)의 사이에 상호 공간부(40a)(60a)가 형성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2차여과조(50)의 일측 중앙인 공간부(60a)의 사이에 촘촘한 어망(56)이 다겹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2차여과조(50)의 타측 중앙인 공간부(60a)의 사이에는 스펀지(57)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2차여과조(50)에서 배출되는 산화철 없는 맑은 청정수를 집수하여 방류하는 2차침전조(70)가 구비됨은 물론 상기 2차침전조(70)의 일측에는 산화철이 침적된 부직포(36)와 여제(41)(61)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각로(8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1, 2차여과조(30)(50)는 유입수의 유입량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됨은 물론 여제(41)(61)도 상기 1, 2차여과조(30)(50)의 용량에 의해 부피가 결정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통로(35)(55)에 유량을조절하는 수문을 설치하여 상하로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폐 갱도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는 1차침전조(10)에서 담수하여 유량 및 유속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침출수에 포함된 토사나 비중이 큰 고형물은 이 1차침전조(10)에서 침적된다.
이후 상기 1차침전조(10)를 통과한 유입수는 1, 2차여과조(30)(50)가 구비된 접촉여과조(20)를 통과하면서 맑고 깨끗하게 정화된다.
즉, 1차침전조(10)를 통과한 유입수는 유입구(32)를 통해 1차여과조(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1차여과조(30)로 유입된 유입수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굴곡되게 순환하면서 자정작용 및 침전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1차여과조(30)로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는 다수의 격벽(34) 보다 낮게 되어 격벽(34)의 끝단에 형성된 통로(35)로 밖에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수는 그물망틀(40)에 다단 격층으로 담긴 여제(41)를 통과하면서 산화철이 포함된 잉여슬러지와 부유물이 침전되어 자정작용 및 잉여슬러지의 침전작용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작용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제(41)가 상하 관통되어 유입수가 통과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와 같은 작용은 격벽(34)의 건너편에 구비된 여제(41)를 통과하면서도 발생되고 또한 이와 같은 작용은 격벽(34)에 의해 계속 순환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1차여과조(30)의 배출구(33)를 통해 배출된 유입수는 2차여과조(50)의 유입구(52)를 통해 2차여과조(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2차여과조(50)로 유입된 유입수는 전술한 1차여과조(30)에서와 같이 다수의 격벽(54)을 굴곡지게 통과하면서 1차여과조(30)를 거쳐 정화된 유입수를 안정시켜 미세한 부유슬러지를 침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2차여과조(50)를 순환 통과하는 유입수는 공간부(60a)의 사이에 설치된 어망(56)을 통과하면서 미세슬러지가 더욱 더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여과조(50)의 마지막을 빠져나가는 공간부(60a)의 사이에도 스펀지(57)가 설치되어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주게 되어 완벽하게 정화된 물을 배출구(53)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2차여과조(50)에서 배출된 물은 2차침전조(70)로 유입된 후 산화철이 없는 맑은 물을 집수한 후 방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1, 2차여과조(30)(50)에 공간부(31a)(51a)(40a)(60a)를 형성하여 유입수의 정화작용을 더욱 돕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1차여과조(30)의 바닥면에 설치된 부직포(36)와 그물방틀(40)(60)에 담겨진 여제(41)(61)를 회수한 후 소각로(80)에서 소각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직포(36)와 여제(41)(61)를 회수한 후 소각하므로 시설비 및 사후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게 소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연침강에 의한 접촉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폐광산 폐수를 완벽하게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폐 갱도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를 1차침전조에서 담수하여 유속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1,2차여과조가 구비된 접촉여과조에서 여과필터용 여과제를 사용하여 산화철을 자연침강 및 흡착하여 정화된 정수를 2차침전조를 통하여 방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침전조 부근에 산화철 및 여제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규모 소각로를 설치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에 있어서,폐 갱구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의 유속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토사나 비중이 큰 고형물을 1차침전조(10)에서 침전시키는 1차침전단계;상기 1차침전조에서 배출된 유입수가 1차여과조(30)의 여제(41)를 순환 통과하면서 산화철이 자연침강 및 흡착되는 동시에 자정작용 및 잉여슬러를 침전시키는 1차여과단계;상기 1차여과조를 거쳐 정화된 유입수를 안정시켜 미세한 부유슬러지를 2차여과조(50)에서 최종 침전시키는 2차여과단계; 및상기 2차여과조에서 배출되는 산화철 없는 맑은 청정수를 2차침전조(70)가 집수하여 방류하는 2차침전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 제 1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2차침전단계 이후에는 산화철이 침적된 부직포와 여제를 회수하여 소각로(80)에서 소각하는 소각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에 있어서,폐 갱구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의 유속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토사나 비중이 큰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1차침전조(10);상기 1차침전조에서 배출된 유입수가 여제(41)를 순환 통과하면서 산화철이 자연침강 및 흡착되는 1차여과조(30)와, 이후 미세한 부유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여과조(50)가 구비된 접촉여과조(20);상기 2차여과조에서 배출되는 산화철 없는 맑은 청정수를 집수하여 방류하는 2차침전조(7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 제 3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2차침전조(70)의 일측에는 산화철이 침적된 부직포와 여제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각로(8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 제 3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1, 2차여과조(30)(50)는,일측 상단과 타측 상단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1, 2차여과조(30)(50),상기 1, 2차여과조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획되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1, 2차여과조의 상부 높이보다 낮게 소정간격의 통로가 형성된 격벽(34)(54);상기 격벽의 사이 1차여과조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를 제외한 사방에그물이 구비된 한쌍의 그물망틀(40)(60);상기 그물망틀의 내부에 다단 적층 쌍여지며, 상하부가 상호 관통된 다수의 원통형 여제(41)(61);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 제 3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1차여과조(30)의 내부 바닥면에는 각각 다수의 부직포(3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 제 5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1, 2차여과조(30)(50)의 내부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여제가 담긴 그물망틀(40)(60)이 1, 2차여과조의 내벽과 상호 맞닿지 않게 공간부(31a)(51a)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 제 5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1, 2차여과조(30)(50)의 중앙에 구비되며, 그물망과 그물망의 사이에 상호 공간부(40a)(60a)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 제 8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2차여과조(50)의 일측 중앙인 공간부(60a)의 사이에는 촘촘한 어망(56)이 다겹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 제 8 청구항에 있어서,상기 2차여과조(50)의 타측 중앙인 공간부(60a)의 사이에는 스펀지(57)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산 폐수의 정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2825A KR100427774B1 (ko) | 2003-09-08 | 2003-09-08 |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2825A KR100427774B1 (ko) | 2003-09-08 | 2003-09-08 |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27774B1 true KR100427774B1 (ko) | 2004-04-28 |
Family
ID=3733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2825A KR100427774B1 (ko) | 2003-09-08 | 2003-09-08 |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27774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439266C (zh) * | 2006-08-04 | 2008-12-03 |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 利用矿井地下巷道空间处理矿井水的方法 |
KR100911354B1 (ko) * | 2007-07-02 | 2009-08-07 | 김동진 | 폐광 항내수로부터 중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100955590B1 (ko) | 2007-10-19 | 2010-04-3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침전수로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자연정화 시스템 |
KR101218044B1 (ko) | 2012-11-12 | 2013-01-03 | 주식회사 그린텍 | 자연형 비점 오염 처리시설 |
KR101573816B1 (ko) | 2014-01-28 | 2015-12-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성광산배수로부터 금속 수산화물의 선택적 회수를 위한 처리장치 |
KR20160102361A (ko) | 2016-08-10 | 2016-08-30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점토광물과 미세조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산성 광산배수 처리방법 |
-
2003
- 2003-09-08 KR KR1020030062825A patent/KR1004277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439266C (zh) * | 2006-08-04 | 2008-12-03 |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 利用矿井地下巷道空间处理矿井水的方法 |
KR100911354B1 (ko) * | 2007-07-02 | 2009-08-07 | 김동진 | 폐광 항내수로부터 중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100955590B1 (ko) | 2007-10-19 | 2010-04-3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침전수로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자연정화 시스템 |
KR101218044B1 (ko) | 2012-11-12 | 2013-01-03 | 주식회사 그린텍 | 자연형 비점 오염 처리시설 |
KR101573816B1 (ko) | 2014-01-28 | 2015-12-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성광산배수로부터 금속 수산화물의 선택적 회수를 위한 처리장치 |
KR20160102361A (ko) | 2016-08-10 | 2016-08-30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점토광물과 미세조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산성 광산배수 처리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5693B1 (ko) | 초기 우수 처리 장치 | |
KR100894022B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
KR100911819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1249741B1 (ko) |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 |
KR100897258B1 (ko) |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 |
KR100991492B1 (ko) |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 |
CN108862747A (zh) | 废水处理和固体回收系统 | |
CN105129969B (zh) |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 |
KR100968272B1 (ko) | 광산폐수 처리장치 | |
KR100624556B1 (ko) | 모듈형 습지기반설비와 모듈형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하천수, 호소수, 또는 유출수 정화방법 및 장치 | |
US4128477A (en) |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a discharged sewage | |
KR100427774B1 (ko) |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 | |
CN104003503A (zh) | 一种芬顿化学氧化反应的一体化泥水分离装置和方法 | |
KR101061982B1 (ko) | 총인 제거를 위한 개선된 하·폐수처리시설 | |
CN214060321U (zh) | 一种染料制造产生的废水悬浮物污泥处理装置 | |
KR100842304B1 (ko) | 폭기와 용존공기부상을 이용한 폐광산 갱내수 정화처리설비 및 처리공법 | |
JP2002172394A (ja) | ヤード排水のss除去処理方法 | |
KR100628881B1 (ko) |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 |
KR101950679B1 (ko) | 라디칼 순환제를 활용한 농촌지역 비점 오염원의 자연정화 습지 | |
KR200377629Y1 (ko) |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 |
KR100869158B1 (ko) |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및 그 방법 | |
KR101598684B1 (ko) |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 |
US11104592B2 (en) | Water treatment system | |
CN207671871U (zh) | 污水处理反应池及污水处理-净化系统 | |
KR100424748B1 (ko) | 생활오수 처리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