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573B1 - 가변크라운로울용오일공급관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크라운로울용오일공급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573B1
KR100427573B1 KR1019970700323A KR19970700323A KR100427573B1 KR 100427573 B1 KR100427573 B1 KR 100427573B1 KR 1019970700323 A KR1019970700323 A KR 1019970700323A KR 19970700323 A KR19970700323 A KR 19970700323A KR 100427573 B1 KR100427573 B1 KR 10042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loading
pipes
oil supply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4971A (ko
Inventor
페카 키비오자
아리 레흐토
리스토 하이코
Original Assignee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952419A external-priority patent/FI98089C/fi
Application filed by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7070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22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 F16C13/024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adjustable for positioning, e.g. radial movable bearings for controlling the defl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oll mantle
    • F16C13/026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adjustable for positioning, e.g. radial movable bearings for controlling the defl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oll mantle by fluid pressure
    • F16C13/028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adjustable for positioning, e.g. radial movable bearings for controlling the defl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oll mantle by fluid pressure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along the length of the roll mantle, e.g. hydraulic j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2Rolls; Their bearing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2Rolls; Their bearings
    • D21G1/0206Controlled deflection rolls
    • D21G1/0213Controlled deflection rolls with deflection compensation means acting between the roller shell and its supporting member
    • D21G1/022Controlled deflection rolls with deflection compensation means acting between the roller shell and its supporting member the means using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Pape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변크라운로울(10)은 고정 로울축(11) 및 상기 축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방사상 방향으로 로울맨틀의 내측면(12')에 작용되는 유압로딩요소(131…13n)에 의해 로울축(11)에 지지되는 로울맨틀(12)을 포함하고, 로딩요소에 의해 로울맨틀(12)의 축방향프로파일이 조절될 수 있다. 축방향 관통구멍(16)은 로울축(11)으로 형성됐으며, 이 구멍은 원통형보어(141,…14n)들과 또는 실질적으로 방사상 보어(151,…15n)또는 등가물의 관(56a)을 통하는 유압로딩요소(131,…13n)들의 등가물과 연통되고, 적어도 오일공급파이프(211,…21n)들은 축방향 관통구멍(16)에, 적어도 로울(10) 단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설치됐고, 이 파이프들을 통해 압력유체는 유압로딩요소(131,…13n)들에 공급되게 배치된다. 중간플랜지(53) 또는 등가물이 로울축(11)에 있는 축방향 관통구멍(16)으로, 로딩요소(131,…13n)들의 위치에 설치되고, 이 플랜지들이 분배부품으로 작용하며, 로딩요소(131,…13n)들과 연결되며, 상기 분배부품을 통해 유압유체가 로딩요소(131,…13n)로 전달될 수 있도록, 로딩요소에 전달되는 오일공급파이프(211…21n)가 이 플랜지에 연결되고, 이에의해 상기 로딩요소(131,…13n)에 의해 발생된 로딩이 소정방식으로 조정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관 시스템
본 발명은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로울은 고정로울축과 상기 고정로울축상에서 회전되게 배치되고 방사상 방향으로 로울맨틀의 내측면에 작용되는 유압로딩요소들에 의해 로울축에 지지되는 로울맨틀을 포함하고, 로딩요소들에 의해 로울맨틀의 축방향 프로파일이 조절될 수 있고, 로울축으로 축방향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은 실질적으로 방사상 보어 또는 등가물의 관을 통해 유압로딩요소들의 원통형 보어들 또는 등가물과 연통되며, 적어도 오일공급파이프들이 축방향 관통구멍에 적어도 로울단부들 중 하나를 통해 설치되고, 이 파이프들을 통해 유압유체가 유압로딩요소들에 공급되도록 배치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제지기계들 또는 종이 피니싱기계들용의 많은 상이한 가변크라운로울들이 공지됐고, 이 로울들에 대해 가변크라운로울, 구역에서 조정가능한 로울, 및 등가물과 같이 상이한 명칭이 사용됐다. 대개, 이들 로울은 크고 또는 관형의, 고정 로울축 및 축 둘레에 회전되게 배치된 로울맨틀을 포함한다. 상기 축과 상기 맨틀사이에, 맨틀의 내측면 및/또는 압력유체용 챔버 또는 일련의 챔버들에 작용되는 미끄럼슈(glide-shoe)장치가 설치되고, 그래서 닙에서 맨틀의 축방향 프로파일이 소정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조정될 수 있다.
가변크라운로울에서, 복잡한 오일분배시스템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로울이 오일이 전달돼야 하는 많은 지점들을 갖기 때문이다. 이들 지점들은 가변크라운로울에 압력유체가 전달돼야하는 구역들, 윤활을 필요로 하고, 윤활유가 통과되는 다양한 지점들, 가열유체 공급용의 가능한 로울 가열수단, 및 오일을 소비하는 등가물의 물건(objects)들을 포함한다. 로울이 많은 다양한 오일소비 물건들을 갖기 때문에, 로울은 물론 또한 소비오일용 관시스템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에서, 오일분배관시스템은 많은 상이한 대체방식으로 가변크라운로울에서 완성됐다.
종래기술의 해결책은 예컨데 미국특허 제 4,222,324호에 기술됐고, 이 특허에서, 자체의 축방향 보어는 가변크라운로울에 있는 각각의 구역을 위해 가변크라운로울의 로울축으로 형성됐고, 이 축방향 보어를 통해 오일은 방사상 보어를 통해 구역으로 전달됐다. 따라서, 이와같은 로울에서, 상당한 량의 보어 및 다양한 파이프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했다. 이는 오일분배관시스템의 제조비용이 고가인 결점을 초래하고, 관시스템은 상기 관에 즉시 남는 다양한 찌꺼기, 기계 칩 및 등가물에 대해 세심한 제조가 요구된다. 더욱이, 로울의 가능한 가열 및 윤활을 위해, 필요한 보어들을 로울축으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했고, 또는 이들 기능을 위해 로울에 특정의 독립된 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했다.
제 2의 종래기술의 해결책이 예컨데 미국 특허 제 4,292,716호에 기술됐고, 이 특허의 구조에서 큰 직경의 축방향 보어는 로울축으로 형성됐으며, 이 보어에 일련의 파이프들이 설치됐고, 다수의 파이프들을 포함하며, 이 파이프를 통해 유압유체가 로울의 구역에 배치된 유체정역학 로딩요소들에 전달된다. 일련의 파이프는 많은 밀봉요소에 연결되고, 이에의해 일련의 파이프는 구역사이의 로울의 축방향 보어에 관련하여 밀봉된다. 일련의 파이프가 많은 밀봉지점을 포함하고, 따라서 많은 시일을 포함하는 것이 이 장치의 주목할만한 결점들 중 하나이다. 더욱이, 일련의 파이프에 포함된 파이프는 구역에 요구된 압력을 견디도록 매우 높은 품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구조의 또다른 문제점은 시일 마찰에 관련된다. 예컨데, 상기 미국특허에 따른 구조는 고비용이고 제조가 복잡한 이들 결점으로부터 또한 유발된다. 또한, 그와같은 해결책에서 예컨데, 로울의 가능한 가열 및 윤활될 지점들에 대해 독립된 관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같은 구조에서, 로울의 구역들이 항상 만들어진다면, 상기 문제들은 밀봉될 물체의 수가 이에따라 증가될 때 더욱 강조된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예컨데, 미국 특허 제 4,106,405호에 기술됐다. 상기 특허의 해결책에서, 큰 직경의 중앙구멍은 로울축으로 형성됐고, 이 구멍에 공축으로 배치된 파이프들이 설치됐으며, 이 파이프를 통해 압력유체가 로울의 구역으로 공급된다. 이 해결책은 또한 많은 상이한 결점들을 포함하고, 이 결점들중 예컨데 인접구역들에 요구된 압력들이 상당히 실질적으로 서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벽두께가 커야 한다는 점이 언급돼야 한다. 따라서, 파이프의 좌굴위험이 상당히 높다. 한편으로는 파이프가 서로 밀봉돼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로울축으로 형성된 중앙구멍에 관련하여 파이프들이 밀봉되야 하기 때문에 또한, 파이프의 밀봉은 이 해결책에서 상당히 문제가 된다. 따라서, 제조관점에서, 그와같은 오일분배시스템은 복잡하고 값비싸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 로울의 가능한 가열을 위해 로울은 독립된 유체분배시스템이 설치돼야 한다.
종래의 또다른 해결책이 예컨데, 미국특허 제 5,103,542호에 기술됐다. 이 특허의 해결책에서, 로울에 있는 오일분배관시스템은 한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로울축으로 형성된 축 방향 구멍에 설치된다. 필요한 경우 프로파일은 구역들, 윤활관들, 소비오일관으로 전달되는 압력유체용 관, 및 필요한 경우 유체가열용 관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 프로파일 해결책의 장점이다. 실제, 그와같은 해결책은 로울에 있는 구역의 분배가 그리 밀집되지 않고, 즉 로울에 있는 구역의 수가 크지 않을 때 매우 이롭다. 구역의 수가 증가되야 하는 경우, 이 해결책은 밀봉될 지점들이 더욱 증가되는 사실과 관련된 결점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 해결책이 사용될 때, 관의 수는 상당히 제한된다. 큰 수의 시일 및 거의 없는 움직임(play) 때문에, 특히 구역의 수가 많을 때 로울축으로의 프로파일 설치가 상당히 어렵다. 프로파일 시일의 적당한 밀봉품질이 보장되도록, 축에 있는 중앙구멍을 호닝(hone)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 관 시스템에 의해 상기 기술됐고 종래기술에 관련된 많은 결점들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중간 플랜지 또는 등가물이 로울축에 있는 상기 축방향 관통구멍으로, 로딩요소의 위치에 설치되고, 이 플랜지가 분배부품으로 작용되며 로딩요소가 연결되고, 상기 분배부품을 통해 압력유체가 로딩요소로 전달될 수 있도록 로딩요소에 전달되는 오일공급파이프가 중간 플랜지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로딩요소에 의해 발생된 로딩이 소정방식으로 조정가능한 것이 주요 특징이다.
종래기술의 해결책에 대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본 발명이 필요한 경우 소정 압력의 오일이 로울에 있는 로딩요소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현재, 가변크라운로울에 의해 더욱 정밀한 프로파일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그 목적은 로울에 있는 각각의 로딩요소로 소정의 조정 가능한 압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된 종래 기술의 해결책에 의해, 이는 달성할 수 없고 적어도 간단한 수단에 의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많은 다른 장점을 포함하고, 이중 다음은 언급되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관 시스템은 낮은 벽두께를 갖추고 매우 큰 압력(100바 보다 훨씬 큼)에 견딘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관시스템에서, 원형의 큰 관이 사용되고, 이는 낮은 유동손실을 가져온다. 관의 수는 신속히 크게 제조될 수 있다. 구조 때문에, 밀봉은 일반적인 O-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더욱 값비싼 피스톤 시일의 사용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것 때문에, 오일공급관 시스템의 설치는 용이하고, 이 해결책은 큰 시일마찰을 포함하지 않으며, 로울축의 제조가 더욱 신속해지는데, 그 이유는 중앙구멍이 호닝가공될 필요가 없고 중앙구멍으로 이르는 보어가 라운드될 필요가 없기때문이다. 더욱이, 로울축에 있는 중앙구멍을 위해, 더 큰 치수의 편차가 종래기술보다 허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 및 특징적인 특성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실시예에 의해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분배시스템이 설치된 가변크라운로울의 완전한 개략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관시스템의 제 1실시예의 확대도.
도 2A는 도 2의 A-A선에서 본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분배부품의 개략도.
도 2B는 도 2의 B-B선에서 본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단부 플랜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2에 상응하는 확대도.
도 3C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분배부품으로서 도 2A에 상응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출원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상응하는 확대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은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분배부품으로 도 2A에 상응하는 확대도.
도 6A는 도 5A에 상응하는 것일지라도,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분배부품으로서 도 5B에 상응하는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도 2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관시스템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9A 및 도 9B는 예컨데 도 6A 및 도 6B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오일공급관시스템 및 분배부품의 또다른 사용가능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1에서, 가변크라운로울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됐다. 가변크라운로울(10)은 로울축(11)과 상기 로울축상에서 회전되게 배치된 로울맨틀(12)을 포함한다. 도 1의 도면에서, 가변크라운로울(10)은 소위 닙로울이고, 이 닙로울은 백업로울(17)을 갖춘 닙(N)을 형성한다. 로울축(11)과 로울맨틀(12) 사이에, 로딩요소(loading element)들이 설치되고, 이는 로울맨틀의 내측면(12')에 작용하며, 이 수단에 의해 로울맨틀(12)은 소정방식으로 로울맨틀의 축방향 프로파일을 조정하도록 닙평면에 장착된다. 도 1의 도면에서, 로딩요소(131…13n)들은 로울축(11)으로 형성된 방사상 원통형 보어(bore)(141…14n)들에서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크라운로울(10)은 구역들에서 조정가능한 소위 가변크라운로울이고, 이 로울에서 가변크라운로울(10)에 있는 로딩요소(131…13n)들 각각은 각 로딩요소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게 자체의 구역을형성한다.
로울축(11)으로 관통구멍(16)이 형성되고, 이 구멍은 로울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실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소위 중앙구멍인 상기 축방향구멍(16)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관 시스템이 설치됐고, 이 시스템은 도 1에서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20으로 표시됐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오일공급관 시스템(20)은 단부플랜지(22)를 관통하여 각각의 로딩요소(131…13n)까지 지나는 오일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공급관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각 로딩요소(131…13n)로 전달되는 방사상 보어(151…15n)에 연결된다. 로울축(11) 반대단부에 있는 단부플랜지는완전히 개략적으로 도시됐고, 도면부호 22a로 표시됐다. 가변크라울로울(10)에서 로딩(131…13n)의 수가 너무 많아서 모든 로딩요소들을 지나는 파이프(211…21n)들이 동일한 중앙구멍(16)에 설치될 수 없는 경우, 로딩요소(131…13n)들까지의 오일공급은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고, 그래서 가변크라운로울(10) 중심선의 상이한 측면에 위치된 로딩요소들까지 오일은 이에 따라서 가변크라운로울의 상이한 단부로부터 공급된다. 그다음 물론 가변크라운로울(10) 축(11)의 각 단부에서, 가변크라운로울의 좌측단부에 위치될 도1에 도시된 것과 비슷한 단부플랜지(22)가 사용되고, 이 경우 오일공급 및 오일공급파이프(211…21n) 각각은 양단부를 통해 가변크라운로울로 통과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관시스템의 제 1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과 같이, 또한 도 2에서 로울축은 도면부호 11로 표시됐고, 축관통중심 구멍은 도면부호 16으로 표시됐으며, 로딩요소들의 방사상 원통형 보어들은 도면부호 141, 및 142로 표시됐고, 원통형 보어들로부터 중앙구멍(16)으로 연장되는 방사상 보어들은 도면부호151및 152로 표시됐으며, 오일공급파이프들은 도면부호211…21n로 표시됐고, 오일공급파이프들이 가변로울로 지나는 단부플랜지는 도면부호 22로 표시됐다. 또한, 도 2는 조임나사(22')와 같은 조임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 조임수단에 의해 단부플랜지(22)는 로울축(11)의 단부에 부착된다. 단부플랜지(22)에 관하여, 또한 도 2B가 참고됐고, 여기에서, 단부플랜지(22)는 도 2의 B-B선을 따른 도면으로 도시됐다. 도 2B에서, 도면부호 22"는 조임나사(22')용으로 단부플랜지(22)를 관통하는 구멍들을 가르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울축(11)으로 로울축에 있는 중앙구멍(16)으로 형성된 각각의 방사상 원통형 보어(141…142)의 위치에서, 오일공급관용 분배부품(23) 즉 중간플랜지가 설치됐고, 이 분배부품(23)을 통해 압력유체가 각 로딩요소로 전달된다. 중간플랜지923)에 관하여, 도 2A가 부가적으로 참고됐고, 도 2A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도면으로 상기 중간플랜지를 보여준다. 중간플랜지(23)로, 방사상 보어(26)가 형성됐고 보어의 바닥은 폐쇄됐으며 로울축(11)으로 형성된 원통형 보어(141,142)로 통하는 방사상 보어(151,152)로 개방된다. 더욱이, 분배부품 또는 중간플랜지(23)로 축방향보어(27)가 형성됐고, 보어의 바닥은 폐쇄됐으며, 이 보어는 상기 방사상 보어(26)에 연결된다.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오일공급관 시스템의 공급파이프(211,212)는 상기 축방향 보어(27)에 연결되고, 이 파이프를 통해 압력유체는 관련 중간플랜지(23)가 위치된 로딩요소로 공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공급관(211,212)과 중간플랜지(23) 사이의 연결부(joint), 즉 분배부품은 고정된다.
도 2 및 도 2A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중간플랜지(23)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그래서 상기 중간플랜지에 큰 관통구멍(25)이 존재하며, 이 구멍을 통해 다른 로딩요소들로 전달되는 압력유체공급파이프들이 통과된다. 이미 초기에설명된 바와같이, 도 2의 실시예에서, 오일공급파이프(211…21n)들과 이에 상응하는 중간플랜지(23) 사이의 연결부는 고정되고, 그래서 상기 연결부는 또한 빈틈이 없으며 추가적인 밀봉이 필요하지 않다. 다른 관점에서, 도 2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중간플랜지(23)의 외측면으로, 방사상 보어(26)의 양측에 환형그루브(groove)(24')들이 형성됐고, 그 그루브로 O-링 시일(24)들이 결합되며, 이 시일들이 로울축(11)으로 형성된 중앙구멍(16)의 내측면(16')에 중간플랜지(23)를 밀봉시키도록 밀봉이 설치됐다. 따라서, 각각의 로딩요소 및 각각의 원통형 보어(141,142) 마다 두 개의 O-링(24)에 의한 밀봉이 설치됐고, 오일공급은 기타 시일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중간플랜지(23)들은 중앙구멍(16)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으나 예컨데, 열팽창 때문에 약간의 "움직임(live)"이 허용된다. 그러나, 이는 단부플랜지(22)로부터 약간 멀리 위치된 중간플랜지(23)를 통과하고 열팽창효과가 가장 큰 오일공급파이프들이 더욱 큰 범위의 만곡을 수행하고, 그래서 이들 만곡이 열팽창을 흡수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열팽창이 흡수되고 오일공급파이프(211,…21n)들에 의해 고려되는 중요한 결점이 아니다. 단부플랜지(22)에 밀접 위치된 중간플랜지(23)를 통과하는 오일공급파이프들은 더욱 짧아지고, 이 경우 열팽창은 중요결점이 아니다.
도 3A, 도 3B 및 도 4는 오일공급이 수행될 수 있고 열팽창이 오일공급관 시스템에 고려될 수 있는 약간 상이한 모드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3C는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중간플랜지를 보여준다. 이들 실시예는 이전의 설명과 상이하다는 관점에서 다음에 기술될 것이고, 그래서, 상응하는 방식으로 유사점에 관하여 상기에 기술된 설명이 참고됐다. 오일공급파이프(211…21n)들은 상기에 기술된 것과 비슷하게 단부플랜지(22)를 통하여 로울로 통과되고, 그래서 차례가 된 각각의 오일공급파이프는 분배부품의 중간, 즉 중간플랜지에 의해 각각의 로딩요소와 연통되고, 중간플랜지는 도 3A - 도 3C 및 도 4에 도면부호 33으로 표시됐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같이, 지금 논의되고 있는 실시예에서, 중간플랜지(33)는 비슷하고, 그래서 환형이고, 도 3C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으며, 큰 관통구멍(35)을 포함한다. 중간플랜지(33)로, 여전히 도 2의 실시예에 기술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오일공급파이프(211…21n)들 중 하나가 분배부품으로 작동되고 로딩요소위치에 배치된 중간플랜지(33)에 연결될 수 있도록 축방향 보어(37)가 형성됐다. 지금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관련된 오일공급파이프와 중간플랜지(33) 사이의 연결부는 또한 도 2의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고정됐다. 더욱이, 중간플랜지(33)로 방사상보어(36)는 도 2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됐고, 이 방사상 보어(36)는 축방향보어(37)와 연통된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원통형보어(141,142)들의 바닥으로 큰 방사상보어(151,152)가 형성됐고, 이 방사상보어는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축(11)의 중앙구멍(16)과 연통되며, 더욱이 지금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원통형보어(141,142)들의 바닥상에, 지지부품(14a)이 설치됐고, 이 지지부품은 방사상보어(151,152)를 덮으며, 도 3A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 지지부품(14a)으로 중간파이프(36a)가 밀봉되게 고정됐고, 상기 파이프(36a)의 반대단부는 밀봉되게 중간플랜지(33)에 있는 방사상보어(36)에 설치되며, 상기 밀봉은 O-링 시일(34)에 의해 수행된다. 중간파이프(36a)는 또한 O-링 시일(36b)에 의해 지지부품(14a)에 대해 밀봉된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원통형보어(141,142)와 중간플랜지(33) 사이에 관으로 작용되는 중간파이프(36a)는 강성 관이다. 그와같은 해결책은 큰 열팽창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사용될 수 있다. 도 3A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로울축(11)에 있는 중앙구멍(16)에서 중간플랜지(33)의 작은 축방향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작은 열팽창은 도 3A에 도시된 해결책에 또한 수용될 수 있다.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이와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중간플랜지(33)는 중앙구멍의 내측면(16')에 대한 밀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3B의 경우에, 탄성관은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플랜지(33)를 원통형 보어(141,142)에 연결시키는 중간파이프(36'a)로 사용된다는 관점에서,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A에 설명된 해결책과 상이한다. 따라서, 도 3B의 실시예는 열팽창으로 인한 중간플랜지(33)의 상당한 축방향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열팽창으로 인한 중간플랜지(33)의 이동이 상당히 큰 경우, 물론 방사상 보어(151,152)들은 이와같은 이동이 가능해질 정도로 충분히 커야 한다.
중간플랜지(33)와 원통형 보어(141,142)사이의 연결에 대하여, 도 4의 실시예는 도 3A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도 4의 실시예에서, 강성 중간파이프(36a)가 유사하게 사용되고, 이 파이프는 한편으로는 시일(34,36b)에 의해 지지부품(14a)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플랜지(33)에 밀봉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예컨데 열팽창을 고려하는 탄성은 각각의 공급파이프(211…21n)에 탄성중간부품(21')이 설치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 공급파이프(211…21n)에 설치됐다. 따라서, 도 4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가능한 열팽창은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중간플랜지(33)들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열팽창으로부터 발생되는 공급파이프 (211…21n)의 증가된 그리고 감소된 길이들이 탄성 중간부품(21')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도 4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큰 온도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 또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5A, 도 5B 및 도 6A, 도 6B의 실시예는 예컨데 열팽창 때문에 중요한 변화들이 공급파이프(211…21n)들의 길이예 예견될 수 있는 경우를 특히 가르키고, 이 경우 각 원통형 보어(141,142)의 위치에 배치되어 분배부품으로 작동되는 중간플랜지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중간플랜지는 도면부호 53으로 표시됐고, 도 6A 및 도 6B에서 중간플랜지는 도면부호 53으로 각각 표시됐다. 중간플랜지(43,53)자체는 축방향 보어(47,57)들에 설치되고, 이에 공급파이프(211…21n)들 중 하나가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연결될 수 있다. 지금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공급파이프와 중간플랜지 사이의 연결부는 강성이고 밀폐된다. 중간플랜지들은 여전히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큰 구멍(45,55)을 포함하고, 이 구멍을 통해 다른 공급파이프들이 통과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6A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큰 직경의 방사상 보어(151,152)는 원통형보어(141,142)의 바닥으로 형성됐고,이 방사상 보어들은 원통형(141,142)들을 로울축(11)으로 형성된 중앙구멍(16)에 연결시킨다. 각각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부품(14b,14c)은 방사상 보어(151,152)상, 원통형 보어(141,142)의 바닥상에 설치됐다. 지지부품(14b,14c)과 중간플랜지(43,53)사이에 이들을 연결시키도록 중간파이프(46a,56a)가 설치됐고, 이 중간파이프를 통해 압력유체가 원통형보어(141,142)로 전달된다. 중간파이프(46a,56a)는 도 5A의 실시예와 도 6A의 실시예에서 강성관이다. 이미 초기에 설명됐던 바와같이, 도 5A 및 도 6A의 실시예들은 특히 공급파이프(211…21n)들 길이의 큰 변화가 온도 때문에 예상될 수 있는 경우를 가르킨다. 도 5A 및 도 6A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들의 길이변화는 각각의 경우에 한편으로는 중간파이프(46a,56a)와 중간플랜지(43,53) 사이의 연결부들 및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부품(14b,14c)이 관절로 연결되도록 고려된다.
도 5A 및 도 5B의 경우에, 중간파이프(46a)는 관절파이프 연결부(articulated pipe joint)(46c)에 의해 중간플랜지와 연결되고, 이는 축(S)둘레로 중간플랜지(43)에 관련하여 중간파이프(46a)의 피봇을 가능하게 하며, 이 축은 실질적으로 로울축에 수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파이프(46a)에 수직이다. 비슷한 관절파이프 연결부(46b)는 관절파이프연결부(46c)의 피봇축에 평행하다. 따라서, 온도 때문에 공급파이프(211…21n)들의 길이가 변화될 때, 중간플랜지(43)들은 상기 관절파이프연결부(46b,46c)들이 중간플랜지(43)들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로울축(11)에 있는 중앙구멍(16)의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는 도 5A,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와 아주 광범위하게 유사하고, 그래서 또한 이 실시예에서, 중간플랜지(53)와 지지부품(14c) 양자는 관절파이프 연결부(56b,56c)에 설치되고, 이 연결부에 중간파이프(56a)가 연결된다.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 관절파이프 연결부들이 구형 연결부(56b,56c)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구형연결부들은 보다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그러나 결점중 하나는 구조로 인한 고비용이다.
도 7에서,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공급파이프(211…21n)들은 분배부품들로 작용되는 중간플랜지들과 결고하게 연결된 것이 중요한 특징인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됐고 중간 플랜지들은 도 7에서 도면부호 63으로 표시됐으며, 그래서 특히 도 7의 경우에 공급파이프들과 중간플랜지(63)들 사이의 연결부에 나사연결부(21")가 사용된다. 도 7에서, 환형 중간플랜지의 구멍은 도면부호 65로 표시됐다. 이와달리, 로울축에 있는 중앙구멍(16)에서 중간플랜지(63)의 축방향 이동이 또한 방지되는 것은 도 7의 실시예의 또다른 중요한 특징이다. 도 7에 따라서, 이것이 달성되고, 그래서 원통형보어(141,142)의 바닥에 형성된 방사상 보어에 중간파이프(66a)가 설치되고, 이 파이프는 중간 플랜지를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도 7에 따라서, 중간파이프(66a)는 링시일(64)에 의해 중간플랜지(63)에 추가적으로 밀봉된다. 중간파이프(66a)는 예컨데 나사연결부(threaded joint)에 의해 로울축(11)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은 실시예는 공급파이프(211…21n)의 길이에 큰 변화를 허용하지 않는다.
도 8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중간플랜지들은 도면부호 73으로 표시됐고, 중간플랜지를 관통하는 구멍들은 도면부호75로 표시됐다. 로울축(11)에 있는 중앙구멍(16)의 제위치에 중간플랜지(73)들을 설치하는 것은 도 7에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비슷하고, 그래서 중간플랜지(73)들의 축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또한 도 8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중간파이프(76a)는 원통형 보어(141,142)의 바닥으로 형성된 방사상 보어에 설치됐고, 이는 동시에 중간플랜지(73)들을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더욱이, 중간파이프(76a)는 링시일(74)에 의해 중간플랜지들에 밀봉된다. 도 7의 설명과 다른점은, 도 8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온도에 기인한 길이의 변화가 공급파이프(211…21n)들과 중간플랜지(73)들 사이의 연결부에 의해 보상되고, 이 연결부는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것이 가능하고 그래서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공급파이프(211…21n)들과 중간플랜지(73)들 사이의 연결부는 견고한 것이 아니라 공급파이프가 중간플랜지(7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공급파이프(211…21n)들과 중간부재들 사이의 연결부들이 O-링 시일(78)에 의해 밀봉되기 때문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그래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은 실시예는 얼마간 도 6A, 도 6B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합이다. 지금 논의되고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지지부품(14d)이 원통형 보어(141,142)로, 방사상보어(151,152)들 상에, 원통형 보어(141,142)들의 바닥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중간파이프(86a)는 로울축(11)으로 형성된 중앙구멍(16)에 설치된 중간플랜지(83)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와 비슷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간플랜지(83)와 지지부품(14d) 양자에 관절연결부(86b,86c)들이 설치되고, 이 연결부들은 도 9A 및 도 9B의 실시예의 구형 연결부인 것이 도 6A 및 도 6B와 비슷한 특징이다. 이들 관절 연결부(86b,86c)들은 예컨데 온도에 기인하여 발생된 공급파이프(211…21n)의 길이변화 때문에 중앙구멍(16)에서 축방향으로 중간플랜지(83)들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금 논의되는 실시예는 공급파이프(211…21n)들이 중간플랜지(83)들에 견고히 연결되고, 이 플랜지들은 분배부품으로서 작용하며, 그래서 나사연결부(21)들이 공급파이프들과 중간플랜지(83)들 사이의 연결부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도 7과 비슷하다. 다른 관점에서, 중간플랜지(83)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비슷하고, 그래서 큰 관통구멍(85)이 중간플랜지(83)에 존재하고 이 관통구멍을 통해 다른 공급파이프들이 중간플랜지(83)를 통과한다.
가열/냉각될 로울의 경우에 가열/냉각 유체용 파이프시스템뿐만아니라 복귀 오일파이프 또는 등가물의 관을 로울축(11)으로 형성된 중앙구멍(16)에공급파이프(211…21n)들에 추가하여 또한 설치가능한 것이 모든 실시예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상기 파이프들은 중간플랜지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중앙구멍에 간단히 통과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로 기술됐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만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고, 예컨데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래서 본 발명의 상이한 대체품 또는 실시예들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발명 아이디어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음을 보일 수도 있다.

Claims (10)

  1.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관시스템에서, 이 로울(10)은 고정 로울축(11)과 상기 로울축상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로울맨틀의 내측면(12')에 작용하는 유압로딩요소(131…13n)에 의해 로울축(11)상에 지지된 로울맨틀(12)을 포함하고, 로딩요소에 의해 로울맨틀(12)의 축방향프로파일이 조정될 수 있고 로울축(11)으로 축방향 관통구멍(16)이 형성됐으며, 이 구멍은 원통형보어(141,…14n)들과 또는 실질적으로 방사상 보어(151,…15n)또는 등가물의 관(36a,36'a,46a,56a,66a,76a, 86a)을 통하는 유압로딩요소(131,…13n)들의 등가물과 연통되고, 축방향 관통구멍(16)에서, 적어도 로울(10) 단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적어도 오일공급파이프(211,…21n)들이 설치됐으며, 이 파이프를 통해 유압유체가 유압로딩요소(131,…13n)들에 공급되게 배치되되, 중간플랜지(23,33,43,53,63,73,83) 또는 등가물이 로울축(11)에 있는 상기 축방향 관통구멍(16)으로 로딩요소(131,…13n)들의 위치에 설치되고, 이 플랜지들이 분배부품으로 작용하며, 로딩요소(131,…13n)들과 연결되고, 로딩요소에 연결되는 오일공급파이프(211,…21n)가 플랜지에 연결되며, 그래서 상기 분배부품을 통해 유압유체가 로딩요소(131,…13n)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의해 상기 로딩요소(131,…13n)에 의해 발생된 로딩이 소정방식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분배부품(23,33,43,53,63,73,83)들은 로울(10)에 있는 각 로딩요소(131,…13n)의 위치에 설치됐고, 이에의해 소정방식으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압력이 로울에 있는 로딩요소(131,…13n)들 각각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분배부품(23,33,43,53,63,73,83)은 실질적으로 중간플랜지들이고, 이들 플랜지는 축방향으로 큰 관통구멍(25,35,45,55,65,75, 85)을 포함하며, 로딩요소/요소(131,…13n)들에 전달되는 공급파이프/공급파이프(211,…21n)들은 다른 분배부품들에 전달되는 공급파이프들이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동안 플랜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간 플랜지(23)들의 외측원주면들이 서로 축방향 거리에 위치된 두 개의 링시일(24)에 의해 로울축에 있는 축방향 구멍(16)의 벽(16')에 밀봉되고, 방사상 보어(151…15n)를 방사상으로 관통하는 중간플랜지(23)로부터 로딩요소(131,…13n)들까지 상기 링시일들 사이에 연결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간플랜지(33,43,53,63,73,83)들은 중간플랜지로부터 로딩요소의 원통형 보어(141,…14n)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간플랜지 및 상기 원통형 보어에 밀봉되는 중간파이프(36a,36'a,46a,56a,66a,76a, 86a)에 의해 상응하는 로딩요소(131…13n)들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중간파이프(36a,36'a,46a,56a,66a,76a, 86a)는 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중간파이프(36'a)는 중간플랜지(33)들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중간파이프(46a,56a,86a)는 중간플랜지(43,53,83)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도록 관절연결부(46b,46c;56b,56c;86b,86c)에 의해 중간플랜지 (43,53,83) 및 로딩요소(131…13n)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공급파이프(211…21n)들이 중간플랜지(33)들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공급파이프들이 밀봉(78)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공급파이프(211…21n)들은 중간플랜지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라운로울용 오일공급시스템.
KR1019970700323A 1995-05-18 1996-04-18 가변크라운로울용오일공급관시스템 KR100427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2419 1995-05-18
FI952419A FI98089C (fi) 1995-05-18 1995-05-18 Öljynsyöttökanavisto taipumakompensoitua telaa var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4971A KR970704971A (ko) 1997-09-06
KR100427573B1 true KR100427573B1 (ko) 2004-10-22

Family

ID=854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0323A KR100427573B1 (ko) 1995-05-18 1996-04-18 가변크라운로울용오일공급관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86054B1 (ko)
JP (1) JP4153034B2 (ko)
KR (1) KR100427573B1 (ko)
CN (1) CN1046794C (ko)
AT (1) ATE211529T1 (ko)
CA (1) CA2195461C (ko)
DE (1) DE6961833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8654B2 (en) * 2004-03-05 2007-08-21 Rohm and Haas Dënmark Finance A/S Compliant pressure roller with uniform nip pressure
DE102010040149A1 (de) * 2010-09-02 2012-03-08 Voith Patent Gmbh Walze für eine Papier- oder Karton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8081A5 (ko) * 1976-07-13 1978-12-15 Escher Wyss Ag
DE2847029C2 (de) * 1978-10-25 1980-11-13 Escher Wyss Ag, Zuerich (Schweiz) Durchbiegungseinstellwalze
DE3533210A1 (de) * 1985-09-18 1987-03-26 Kuesters Eduar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liniendruckverteilung in walzenanordnungen und entsprechende steuereinrichtung
CH681246A5 (ko) * 1989-08-04 1993-02-15 Escher Wyss 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794C (zh) 1999-11-24
KR970704971A (ko) 1997-09-06
DE69618331D1 (de) 2002-02-07
ATE211529T1 (de) 2002-01-15
CN1154734A (zh) 1997-07-16
CA2195461C (en) 2007-06-26
EP0786054B1 (en) 2002-01-02
EP0786054A1 (en) 1997-07-30
CA2195461A1 (en) 1996-11-21
JP4153034B2 (ja) 2008-09-17
DE69618331T2 (de) 2002-09-19
JPH10503273A (ja) 199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1607C (fi) Vals av manteltyp.
CA1162771A (en) Roll for use in calenders or the like
US4639990A (en) Roll for treating webs, preferably webs of paper
CA2085883C (en) Self-loading controlled deflection roll
US5033176A (en) Sag compensating roll for roll presses
US4962577A (en) Work roll with improved support and lubricating system for an hydraulically supported roll
US5549427A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pressure medium
FI89977C (fi) Formreglerbar vals
US4089094A (en) Press roll with controllable deflection
US5103542A (en) Fluid distribution system for a variable-crown roll
KR100427573B1 (ko) 가변크라운로울용오일공급관시스템
JPH0413480B2 (ko)
CA1316032C (en) High heat flux roll and press utilizing same
US5599263A (en) Oil feed system for a variable-crown roll
CA1316737C (en) Controllable roll
US5843282A (en) Heated roll bearing system
US5419242A (en) Roller arrangement with a deflection compensation roller
EP0933471B1 (en) Shoe press
FI110014B (fi) Menetelmä paperikoneen tai vastaavan telan putkimaisen telavaipan liukulaakeroimiseksi ja liukulaakeroitu tela
US20020004440A1 (en) Deflection compensated roll for paper/board or finishing machine
FI82125C (fi) Foerfarande foer reglering av temperaturen av en boejningskompenserad vals med reglerbar temperatur och ett temperaturregleringssystem avsedd foer genomfoering av foerfarandet.
US6042694A (en) Shoe press
US58657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in end areas of a roll mantle of a variable-crown roll having glide bearings
CA2011337C (en) Air-controlled rotary joint compensator
US20060019808A1 (en) Variable crown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