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190B1 -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190B1
KR100427190B1 KR10-2001-0014469A KR20010014469A KR100427190B1 KR 100427190 B1 KR100427190 B1 KR 100427190B1 KR 20010014469 A KR20010014469 A KR 20010014469A KR 100427190 B1 KR100427190 B1 KR 10042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transmitter
voic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602A (ko
Inventor
엄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폰
Priority to KR10-2001-001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1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22Miscellaneous with opto-electronic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는 입력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되며 음성 신호 녹음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 표시부가 구비된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수신되며 상태 신호가 상기 송신기로 송신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가 녹음되며 상기 상태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녹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는 음성을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음성을 전송 받는 수신기 및 상기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송신기는 녹음 개시 신호와 녹음 종료 신호 및 유효 반경 신호를, 상기 수신기는 유효 반경 신호를, 상기 녹음기는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로 이용함으로써, 송신기에서 무선 녹음 장치 전체를 제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송신기에 상태 표시부를 장치함으로써 전체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여 효율적인 녹음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다 많은 정보량의 전송에 따른 채널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식의 고주파 무선 통신을 함으로써 선택 주파수의 폭이 넓어지게 되고 잡음이 감소되어 보다 깨끗한 녹음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audio recording}
본 발명은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음성을 입력하는 송신기 측에서 녹음 상태 확인 및 녹음기 측의 제어를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음성의 무선 전송 및 녹음이 가능한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녹음 장치는 마이크로폰과 녹음기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음성 녹음 장치는 음성 녹음시 일체로 되어 있는 녹음기의 소음도 같이 녹음이 되어 그 녹음 성능이 낮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이 음성 녹음을 원하지 않는 경우 그 소음 및 부피로 인하여 녹음이 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어 불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방법으로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음성을 전송 받는 수신부에 장치된 음성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녹음을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을 이용하는 경우도 송신기 측에서 녹음기 측의 녹음 진행 여부를 인지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1a는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의 송신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의 송신기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외부 마이크로폰(20)과, 상기 외부 마이크로폰(20)의 잭을 수납하는 외부 입력 단자(11)와,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모듈 및 내부 안테나(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신기(10)는 상기 마이크로폰(20)으로 입력된 음성 신호를 단지 무선으로 발신하는 장치로서, 그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부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b는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의 수신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의 수신기(30)는 상기 무선으로 전송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2)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음성 출력 단자(3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신기(30)는 상기 송신기(10)에서 전송된 음성 신호를 단지 수신만 하는 장치로서 상기 음성 출력 단자(31)에 연결되는 기기에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기기가 녹음기가 되면 음성의 녹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은 부피의 송신기만을 휴대하면서 음성의 녹음이 가능하게 되지만, 단지 음성 신호의 송신만 하는 송신기와 수신만 하는 수신기의 구조상 상기 음성 출력 단자에 연결된 녹음 장치의 녹음 상태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녹음 장치의 온/오프 및 일시 정지 등의 제어 또한 송신기에서 할 수 없어 효율적인 음성 녹음이 불가능하다. 또한, 18MHz의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송수신기간에 잡음이 유입되는 경우가 많고 선택 가능 채널이 2개로 제한되어 있어 주파수 선택의 폭이 좁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송신기측에서 녹음기 측의 녹음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음기 측을 제어할 수도 있게 하여 효율적인 음성 녹음이 가능한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의 송신기를 나타낸 구조도.
도 1b는 방송용 무선 마이크로폰의 수신기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송신기를 나타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수신기를 나타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송신기를 나타낸 외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수신기를 나타낸 외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송신기 11, 101.........외부 입력 단자
20, 122, 101'...외부 마이크로폰 30, 200.........수신기
31, 202.........음성 출력 단자 300.............녹음기
110, 220........중앙 처리부 111, 221........중앙 처리 장치
112, 222........저장 장치 120.............음성 입력부
121, 102........내부 마이크로폰 123, 108........토크 스위치
130.............상태 표시부 131, 104........디스플레이
132.............백 라이트 133, 105........라이트 스위치
134.............부저 140.............음성 발신부
141, 212........무선 모듈 142, 211, 201...안테나
150.............전원 공급부 151.............배터리
152, 103........전원 스위치 230.............증폭부
240.............배터리 충전부 241.............배터리 충전 장치
242.............충전 표시부 300.............녹음기
106.............배터리 팩 107.............충전 접점부
203.............발광 다이오드 210.............음성 수신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는 입력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되며 음성 신호 녹음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 표시부가 구비된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수신되며 상태 신호가 상기 송신기로 송신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가 녹음되며 상기 상태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녹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방법은 송신기에서 녹음의 시작을 명하는 제어 신호인 녹음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녹음 준비 단계와; 상기 생성된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기를 거쳐 녹음기가 수신 받은 경우 그 응답으로서 상태 신호인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수신기를 거쳐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기에서 음성 입력을 개시하도록 하는 녹음 개시 확인 단계와; 상기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 받은 상기 녹음기가 작동하여 녹음이 이루어지는 녹음 실행 단계와; 녹음이 끝난 후 상기 녹음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녹음 종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은 송신기에 상태 표시부를 설치한 뒤 디지털 방식으로 음성 신호를 송신하거나 제어 신호및 상태 신호를 송수신하여 녹음기의 녹음 상태를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음기를 제어할 수도 있어 효율적인 녹음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는 입력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되며 음성 신호 녹음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 표시부가 구비된 송신기(100)와, 상기 송신기(100)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수신되며 상태 신호가 상기 송신기(100)로 송신되는 수신기(200)와, 상기 수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가 녹음되며 상기 상태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되는 녹음기(3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는 상기 송신기(100)에 마련된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송신하고 이를 수신기(200)에서 수신 받아 연결되어 있는 녹음기(300)로 전송하여 녹음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녹음기(300)의 동작 상태를 상기 수신기(200)를 통하여 상기 송신기(100)로 전송하여 상태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송신기(100)에서 상기 녹음기(300)의 상태 점검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송신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100)는 상기 송신기(100) 전체를 제어하며 음성 및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110)와, 상기 중앙 처리부(110)에 음성 신호를 입력시키는 음성 입력부(120)와, 상기 중앙 처리부(110)의 제어를 받아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와, 상기 중앙 처리부(11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를 송신하거나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처리부(110)에 전달하는 음성 발신부(140)와, 상기 송신기(100)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중앙 처리부(110)는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며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중앙 처리 장치(111)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처리에 사용되는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112)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1)는 멀티미디어 관련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RSST750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성 입력부(120)는 상기 송신기(100) 내에 위치하며 음성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내부 마이크로폰(121)과, 상기 내부 마이크로폰(121)의 온/오프를 결정짓는 토크 스위치(123)로 이루어져 있는데, 음성 입력의 효율을 위하여 상기 송신기(100) 밖으로 도출되어 음성 발생원 가까이에서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외부 마이크로폰(12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태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송수신 상태를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1)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송수신 상태 및 전원 공급시의 상태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부저(134) 및 어두운 곳에서의 식별 편의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31)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 라이트(132)와, 상기 백 라이트(132)의 온/오프를 결정짓는 라이트 스위치(13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성 발신부(140)는 상기 중앙 처리부(11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발신하거나 상기 녹음기(300)에서 생성된 상태 신호를 수신 받는 디지털 방식의 무선 모듈(141)과, 상기 음성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가 발신 및 수신되는 안테나(142)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무선 모듈(141)은 주파수 선택의 폭을 넓게 함과 동시에 깨끗한 음질 및 각종 제어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900MHz 40채널 그리고 디지털 방식의 송수신이 가능한 900MHz RF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테나(142)는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50)는 전원의 공급원이 되는 배터리(151)와,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단락 및 차단을 결정짓는 전원 스위치(152)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수신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수신기(200)는 상기 수신기(200) 전체를 제어하며 음성 및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220)와, 상기 중앙 처리부(2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송신기(100)에서 발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를 발신하는 음성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중앙 처리부(220)는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며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중앙 처리 장치(221)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221)의 처리에 사용되는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222)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중앙 처리 장치(221)는 멀티미디어 관련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RSST750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성 수신부(210)는 상기 송신기(100)에서 발신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 받거나 상기 녹음기(300)에서 형성된 상태 신호를 발신하는 디지털 방식의 무선 모듈(212)과, 상기 음성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가 수신 및 발신되는 안테나(211)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무선 모듈(212)은 주파수 선택의 폭을 넓게 함과 동시에 깨끗한 음질 및 각종 제어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900MHz 40채널 그리고 디지털 방식의 송수신이 가능한 900MHz RF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테나(211)는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폭부(230)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는 음성 증폭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 상기 수신기(200)는 상기 송신기(100)의 전원 공급부(150)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부(2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배터리충전부(240)는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장치(241)와, 상기 배터리(151)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24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통신에 따른 유효 반경 이탈시의 처리를 위하여 상기 수신기(200)는 무선 통신의 유효 반경 처리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100)와 연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녹음기(300)는 동작시에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하여 무선으로 상기 송신기(1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송신기를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송신기(100)는 정면에 녹음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04)가 위치하며, 그 옆에는 어두운 곳에서의 디스플레이 표시 내용 식별을 위한 백 라이트의 온/오프를 결정짓는 라이트 스위치(105) 및 외부 마이크로폰(101')의 잭을 수용하는 외부 입력 단자(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에는 중앙에 토크 스위치(108)가 위치하며, 그 밑에는 내부 마이크로폰(102)이 위치한다.
저면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 접점부(107)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전원 스위치(103)와 배터리 팩(106)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수신기를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수신기(200)는 정면에 상기 송신기(100)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03)와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201)가 외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에는 녹음기와의 연결을 위한 음성 출력 단자(202)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는 상기 송신기(100)의 전원과 토크 스위치의 온으로 제어 신호가 형성되고 이를 상기 수신기(200)를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녹음기(300)는 동작을 함과 동시에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기(200)를 통하여 상기 송신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상태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송신기(100)는 녹음 상태를 상태 표시부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친 후에 음성 녹음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녹음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배터리 표시, 안테나 표시, 테이프 표시 총 3가지가 있는데 이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표시를 달리하여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로우 배터리인 경우 배터리 표시가 깜빡이게 하여 표시하고, 그와 반대로 정상 배터리인 경우에는 배터리 표시가 깜빡거리지 않게 표시하며, 유효 반경내인 경우와 정상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안테나 표시를 나타낸다.
또한, 유효 반경을 벗어난 경우는 안테나 표시 및 테이프 표시가 깜빡이게 하여 표시하고, 녹음중일 경우에는 테이프 표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방법은 송신기에서 녹음의 시작을 명하는 제어 신호인 녹음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녹음 준비 단계(S 500)와; 상기 생성된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기를 거쳐 녹음기가 수신 받은 경우 그 응답으로서 상태 신호인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수신기를 거쳐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기에서 음성 입력을 개시하도록 하는 녹음 개시 확인 단계(S 600)와; 상기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 받은 상기 녹음기가 작동하여 녹음이 이루어지는 녹음 실행 단계(S 700)와; 녹음이 끝난 후 상기 녹음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녹음 종료 단계(S 80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녹음 준비 단계(S 500)는 상기 송신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S 510)와; 상기 전원이 공급된 송신기의 토크 스위치를 온 시키는 단계(S 520)와; 상기 온된 토크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S 530)와; 상기 토크 스위치의 온으로 인하여 녹음 개시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수신기로 무선 송신되는 단계(S 540)와; 상기 무선 송신된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 받은 상기 수신기가 상기 녹음 개시 신호를 연결되어 있는 녹음기로 전송하는 단계(S 550)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전원 스위치와 토크 스위치가 온되면 토크 스위치의 온 상태와 동일한 의미의 정상 통신을 뜻하는 안테나 표시가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녹음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모듈을 통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수신기는 연결되어 있는 녹음기로 녹음 개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녹음 개시 확인 단계(S 600)는 상기 녹음 준비 단계(S 500)에서 녹음 개시 신호를 전달받은 녹음기가 작동하는 단계(S 610)와; 상기 녹음기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녹음기에서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S 620)와; 상기 녹음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S 630)와; 상기 무선 송신된 녹음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송신기가 녹음기 작동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 640)(S 650)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녹음 준비 단계(S 500)에서 생성된 녹음 개시 신호를 전송 받은 녹음기는 동작을 개시함과 동시에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송신기는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녹음 실행 단계(S 700)는 녹음 개시 확인 단계(S 600)에서 녹음기 작동 신호를 무선 송신 받은 상기 송신기에 장치된 마이크로폰이 작동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기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S 710)와; 상기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한 상기 수신기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녹음기로 전송하는 단계(S 720)와;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가 상기 녹음기에 녹음되는 단계(S 730)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녹음 개시 확인 단계(S 600)에서 생성된 녹음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송신기의 마이크로폰이 활성화되어 음성 입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녹음기로 전송하여 녹음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녹음 종료 단계(S 800)는 상기 송신기의 토크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단계(S 810)와; 상기 토크 스위치의 오프로 인하여 상기 토크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콘 및 녹음기 작동 아이콘이 지워지는 단계(S 820)(S 830)와; 상기 토크 스위치의 오프로 녹음 종료 신호가 생성된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 상기 녹음 종료 신호가 무선 송신되는 단계(S 840)와; 상기 녹음 종료 신호를 무선 송신 받은 상기 수신기가 연결되어 있는 녹음기로 상기 녹음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850)와; 상기 녹음 종료 신호를 전송 받은 녹음기의 동작이 종료되는 단계(S 860)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토크 스위치를 오프 시키면 디스플레이 되던 상태 아이콘이 지워짐과 동시에 녹음 종료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기를 거쳐 녹음기로 전송하게 되고 이를 전송 받은 상기 녹음기는 녹음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 녹음 방법은 디지털 무선 방식으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 하기 때문에 상기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무선 모듈로 인한 유효 반경에 따른 제한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처리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녹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녹음 준비 단계(S 500')는 무선 통신의 유효 반경에 대한 처리를 위하여 상기 전원이 공급된 송신기의 토크 스위치를 온시킨 후 또 다른 제어 신호인 유효 반경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S 520')와; 상기 유효 반경 신호의 송수신 여부로 유효 반경 내인지 검사하는 단계(S 521)와; 상기 검사 결과 유효 반경 외인 경우 유효 반경 외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 52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송신기의 토크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녹음 개시 신호와는 다른 제어 신호인 유효 반경 신호를 생성 상기 수신기와 송수신 함으로써, 유효 반경 내인지를 검사하게 되고, 유효 반경 내이면 음성 녹음을 위한 다음 단계로 이동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이동을 하지 않고 유효 반경 외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효 반경 신호의 생성과 수신기와의 송수신 과정은 토크 스위치를 온시키는 단계가 아니라,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에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녹음 실행 단계(S 700')는 상기 녹음 준비 단계(S 500')에서부터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유효 반경 신호의 송수신에 의하여 녹음 진행 중 무선 통신 유효 반경의 이탈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 731)와; 상기 검사 결과 유효 반경 외인 경우 유효 반경 외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 732)와; 상기 검사 결과 유효 반경 내인 경우 계속 녹음을 진행하거나 정지되었던 녹음을 재개시하는 단계(S 73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녹음 준비 단계(S 500')에서 생성되고 송수신 되는 유효 반경 신호를 계속하여 생성 송수신하여 녹음 진행 중에도 유효 반경 이탈에 대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만약 녹음 중 유효 반경을 이탈하게 되면 유효 반경 외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녹음기의 동작을 정지 또는 일시 정지시키게 된다. 그 후에 다시 유효 반경에 진입하면 이를 확인한 후 상기 유효 반경 이탈 아이콘을 지움과 동시에 녹음을 재개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은 음성을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음성을 전송 받는 수신기 및 상기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송신기는 녹음 개시 신호와 녹음 종료 신호 및 유효 반경 신호를, 상기 수신기는 유효 반경 신호를, 상기 녹음기는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로 이용함으로써, 송신기에서 무선 녹음 장치 전체를 제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송신기에 상태 표시부를 장치함으로써 전체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여 효율적인 녹음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다 많은 정보량의 전송에 따른 채널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식의 고주파 무선 통신을 함으로써 선택 주파수의 폭이 넓어지게 되고 잡음이 감소되어 보다 깨끗한 녹음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입력된 음성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녹음의 개시, 녹음의 종료, 무선 통신의 유효 반경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신호가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되며 상기 음성 신호의 녹음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 표시부가 구비된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송신된 상기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수신되며 녹음기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 신호가 상기 송신기로 송신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가 녹음되며 상기 상태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녹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에는, 상기 송신기 전체를 제어하며 음성 및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에 음성 신호를 입력시키는 음성 입력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를 받아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처리부에 전달하는 음성 발신부와; 상기 송신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포함되며,
    상기 수신기에는, 상기 수신기 전체를 제어하며 음성 및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송신기에서 발신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태 신호를 발신하는 음성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가 포함되며,
    상기 녹음기는 동작시에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는 상기 송신기 내에 위치하며 음성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내부 마이크로폰과,
    상기 내부 마이크로폰의 온/오프를 결정짓는 토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는 음성 입력의 효율을 위하여 상기 송신기 밖으로 노출되어 음성 발생원 가까이에서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외부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송수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송수신 상태 및 전원 공급시의 상태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부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어두운 곳에서의 식별 편의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 라이트와,
    상기 백 라이트의 온/오프를 결정짓는 라이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발신부는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발신하거나 상태 신호를 수신 받는 디지털 방식의 무선 모듈과,
    상기 음성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가 발신 및 수신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수신부는 상기 송신기에서 발신된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 받거나 상태 신호를 발신하는 디지털 방식의 무선 모듈과,
    상기 음성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가 수신 및 발신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무선 통신의 유효 반경 처리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장치.
  12. 삭제
  13. 송신기에서 녹음의 시작을 명하는 제어 신호인 녹음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녹음 준비 단계와;
    상기 생성된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기를 거쳐 녹음기가 수신 받은 경우 그 응답으로서 상태 신호인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수신기를 거쳐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기에서 음성 입력을 개시하도록 하는 녹음 개시 확인 단계와;
    상기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 받은 상기 녹음기가 작동하여 녹음이 이루어지는 녹음 실행 단계와;
    녹음이 끝난 후 상기 녹음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녹음 종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준비 단계는 상기 송신기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원이 공급된 송신기의 토크 스위치를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 온된 토크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와;
    상기 토크 스위치의 온으로 인하여 녹음 개시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수신기로 무선 송신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된 녹음 개시 신호를 수신 받은 상기 수신기가 상기 녹음 개시 신호를 연결되어 있는 녹음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개시 확인 단계는 상기 녹음 준비 단계에서 녹음 개시 신호를 전달받은 녹음기가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녹음기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녹음기에서 녹음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녹음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된 녹음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송신기가 녹음기 작동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실행 단계는 녹음 개시 확인 단계에서 녹음기 작동 신호를 무선 송신 받은 상기 송신기에 장치된 마이크로폰이 작동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기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한 상기 수신기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녹음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가 상기 녹음기에 녹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종료 단계는 상기 송신기의 토크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단계와;
    상기 토크 스위치의 오프로 인하여 상기 토크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콘 및 녹음기 작동 아이콘이 지워지는 단계와;
    상기 토크 스위치의 오프로 녹음 종료 신호를 생성한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 상기 녹음 종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녹음 종료 신호를 무선 송신 받은 상기 수신기가 연결되어 있는 녹음기로 상기 녹음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녹음 종료 신호를 전송 받은 녹음기의 동작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준비 단계는 무선 통신의 유효 반경에 대한 처리를 위하여 상기 전원이 공급된 송신기의 토크 스위치를 온시킨 후 유효 반경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 반경 신호의 송수신 여부로 유효 반경 내인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유효 반경 외인 경우 유효 반경 외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실행 단계는 상기 녹음 준비 단계에서부터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유효 반경 신호의 송수신에 의하여 녹음 진행 중 무선 통신 유효 반경의 이탈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유효 반경 외인 경우 유효 반경 외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유효 반경 내인 경우 계속 녹음을 진행하거나 정지되었던 녹음을 재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녹음 방법.
KR10-2001-0014469A 2001-03-21 2001-03-21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 KR10042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69A KR100427190B1 (ko) 2001-03-21 2001-03-21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69A KR100427190B1 (ko) 2001-03-21 2001-03-21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695U Division KR200234072Y1 (ko) 2001-03-21 2001-03-21 무선 녹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02A KR20020074602A (ko) 2002-10-04
KR100427190B1 true KR100427190B1 (ko) 2004-04-17

Family

ID=2769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69A KR100427190B1 (ko) 2001-03-21 2001-03-21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1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959A (ja) * 1993-09-27 1995-04-07 Koa:Kk 声の寄せ書き録音システム
JPH10271547A (ja) * 1997-03-26 1998-10-09 Nec Shizuoka Ltd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1331131A (ja) * 1998-05-20 1999-11-30 Nec Corp 無線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伝送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032163A (ja) * 1998-07-09 2000-01-28 Twice:Kk 音声メッセージ自動送信装置
KR20010002076A (ko) * 1999-06-11 2001-01-05 라응찬 와이어리스 마이크의 녹음/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959A (ja) * 1993-09-27 1995-04-07 Koa:Kk 声の寄せ書き録音システム
JPH10271547A (ja) * 1997-03-26 1998-10-09 Nec Shizuoka Ltd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1331131A (ja) * 1998-05-20 1999-11-30 Nec Corp 無線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伝送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032163A (ja) * 1998-07-09 2000-01-28 Twice:Kk 音声メッセージ自動送信装置
KR20010002076A (ko) * 1999-06-11 2001-01-05 라응찬 와이어리스 마이크의 녹음/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02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55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ccessories coupl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5051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peech input to a speech recognition system
US7409064B2 (en)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udio player, and headphone
US5754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n operable or non-operable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radio and a vehicle kit
US20100113106A1 (en) Portable ipod charger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JP2943765B2 (ja) 移動体通信端末
MX2010010891A (es) Sistemas, metodos y aparatos para ajustar un umbral de deteccion de bateria baja de un control remoto.
JP2609038B2 (ja) 電池種類判別方法及び電池種類判別装置
KR100630077B1 (ko) 휴대폰의 전원을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충전장치 및 방법
EP2278829A1 (en) A new solar wireless sound system
US7679322B1 (en) Auxiliary power adapter having device controls
US9491705B2 (en) Radio frequency method for recharging a wireless telephone
KR100427190B1 (ko) 무선 녹음 장치 및 방법
KR200234072Y1 (ko) 무선 녹음 장치
US6580929B1 (en) Mobile phone charger also functioning as a remote sound monitoring device
US20100311406A1 (en) Phone Control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ic Appliances
JP3059885B2 (ja) 携帯電話機のバッテリ残量検出装置
CN219124204U (zh) 一种具有多种对频模式的音频传输装置
CN217643694U (zh) 一种无线麦克风混音系统
CN112450981B (zh) 一种胎心仪
JPH03293933A (ja) 無線電話機
KR100440911B1 (ko) 무선통신기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KR101126614B1 (ko) 음향신호 출력 장치
JP2005328368A (ja) オーディオ伝送システム及びアダプタ装置
KR2006006887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모드 전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