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324B1 - buckle - Google Patents

buck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324B1
KR100426324B1 KR10-2001-0042042A KR20010042042A KR100426324B1 KR 100426324 B1 KR100426324 B1 KR 100426324B1 KR 20010042042 A KR20010042042 A KR 20010042042A KR 100426324 B1 KR100426324 B1 KR 10042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buckle
elastic
engagement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06491A (en
Inventor
네즈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0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32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Abstract

(과제) 걸어맞춤 해제를 위한 누르기 조작만으로 암·수부재를 이간 가능하게 하거나, 이 이간작용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거나, 부재수 및 구조상의 간이화도 용이하게 한 구조를 실현한다.(Problem) A structure is realized in which the female and male member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ly by the pressing opera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the separation operat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or the number of members and the structure can be easily simplified.

(해결수단) 수부재(3)를 암부재(2) 내에서 걸어맞춰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이 걸어맞춤을, 암부재(2)의 개구(21)로 노출된 조작부(47)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서 해제하는 버클이다. 개량점은, 조작부(47)와 아울러 상기 수부재(3)의 삽입측과 걸림/해제하는 걸어맞춤부(44)를 가지며, 암부재(2) 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스토퍼 수단(4)과, 스토퍼 수단(4) 또는 수부재(3)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조작부(47)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으로의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는 탄성 수단(37)을 구비한다. 또한, 탄성 수단(37)이 조작부(47)의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의 압압에 의해 스프링 파워를 축적한 후,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했다.(Solution means) The male member 3 is engaged in the female member 2 so as not to be pulled out, and this engagement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operating part 47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female member 2. It is a buckle to release. The improvement point has the operation part 47 and the engaging part 44 which engages / releases with the insertion side of the said male member 3, and it is installed in the female member 2 so that it can be rocked, and it touches in the said engaging direction. It is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stopper means 4, the stopper means 4, or the male member 3, and accumulates the spring pow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3 is pulled out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part 47. An elastic means 37 is provided. In addition, after the elastic means 37 accumulated the spring power by pressing in the engagement release direc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47, the engagement was released.

Description

버클{buckle}Buckle {buckl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부재끼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우에 호적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suitable for a case where member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이러한 종류의 버클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부재(50,60)를 암부재(55,65) 내에서 걸어맞춰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이 걸어맞춤을, 암부재(55,65)의 개구(56,66)로 노출된 조작부(51,6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해제하는 것이다. 걸어맞춤구조에 있어서, 도 11의 경우는, 수부재(50)의 삽입측에 형성된 평판형상의 조작부(51)와, 조작부(51)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걸어맞춤 단차부(52)를 가지며, 걸어맞춤 단차부(52)가 암부재(55)에 대한 수부재(50)의 삽입조작에 의해 개구(56)의 대응하는 걸어맞춤부분(57)과 걸어맞춰진다. 도 12의 경우는, 수부재(60)의 삽입측에 형성된 암형상 조작부(61)와, 조작부(61)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62)를 가지며, 걸어맞춤 돌기(62)가 암부재(65)에 대한 수부재(60)의 삽입조작에 의해 개구(66)의 대응하는 걸어맞춤부분(67)과 걸어맞춰진다. 또한, 도 11(b)는 도 11(a)의 H-H선 단면도이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buckle of this kind is engaged with the male members 50 and 60 in the female members 55 and 65 so as not to be pulled out. It releases by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presses the operation parts 51 and 61 exposed to the opening 56 and 66 of 65. FIG. In the engagement structure, in the case of FIG. 11, it has the flat operation part 51 formed in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50, and the engagement step part 52 formed using a part of the operation part 51. FIG. The engagement step 52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57 of the opening 56 by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male member 50 with respect to the female member 55. In the case of FIG. 12, the female-shaped operation part 61 formed in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60, and the engaging projection 62 formed using a part of the operation part 61, and the engaging projection 62 are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male member 60 into the female member 65 engages with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67 of the opening 66. Fig. 11B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in Fig. 11A.

또, 버클형태는, 종래 버클을 걸어맞춤 해제조작의 관점에서 파악하면, 도 11(a), (b)와 같이 개구(56)가 암부재(55)의 상면측에 형성되며, 조작부(51)가 개구(56)에 배치되어 사용상태에서 상기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눌러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타입(이하, 프론트 릴리스 타입이라 한다)과, 도 12와 같이 개구(66)가 암부재(65)의 측면에 형성되며, 조작부(61)가 개구(66)에 배치되어 사용상태에서 상기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눌러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타입(이하, 사이드 릴리스 타입)으로 크게 나뉜다.In addition, when the buckle form is grasp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ventional buckling release operation, the opening 5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arm member 55 as shown in Figs. ) Is arranged in the opening 56 to release the engagement by press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draw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ront release type), and the opening 66 is an arm member 65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on the side of, and the operation unit 61 is disposed in the opening 66 is divided into a ty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de release type) to release the engagement by press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the figure in the use state.

이상의 종래 버클은, 개폐부의 착탈수단 등으로서, 일상 소지품에서부터 케이스류나 주머니체 등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품에서는, 예를 들어, 허리 주머니나 서양식 의복 등에 적용시켜 도 11(a)나 도 12의 사용상태가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1의 프론트 릴리스 타입에서는, 걸어맞춤해제조작에 있어서, 조작부(51)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누르는데, 인체가 함께 눌리면서 그 압력을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안정되게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다. 도 12의 사이드 릴리스 타입에서는, 걸어맞춤 해제조작에 있어서의 조작부(61)의 압압방향이 인체의 신장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되게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 릴리스 타입에서는, 상기 도면의 화살표와 같이 조작부(61)를 양측에서 동시에 누르는 조작을 해야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상처를 입었거나 마비가 되면, 정상적으로 걸어맞춤을 해제조작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한다. 게다가, 이러한 종류의 버클은, 예를 들어, 비사용 시에는 암·수부재를 걸어맞춰 두고, 사용할 때에 이 걸어맞춤을 일단 해제조작하여 사용형태로 배치한 후, 다시 걸어맞춤조작한다. 비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경우는, 암·수부재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력(인력)을 받고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이 조작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서 일단 해제되었다고 해도, 암·수부재에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인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한, 다시 걸어맞춤상태가 되어 버린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uckle is used in many fields, such as a case belonging to a case, a bag body, etc. as a attachment / detachment means of an opening-closing par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ducts,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 waist bag or a western-style garment, the use state of Fig. 11 (a) or Fig. 12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front release type shown in Fig. 11, in the disengagement operation, the operation portion 51 is push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but the human body is pressed together so that it is easy to absorb the pressure, so the engagement cannot be released stably. In the side release type of FIG. 12, since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art 61 in the engagement release operation is in the state which follows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human body, it can release | release a engagement stably. However, in the side release type, since the operation portion 61 must be pressed simultaneously on both sides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figure, when the finger is injured or paralyzed, the engagement cannot be released normally. Occurs. In addition, the buckle of this kind is, for example, engaged with the male and female members when not in use, and once engaged with the female and male members, is released and arranged in the use form, and then is engaged again. In the non-use state, when the engagement is released, since the arm and male member are not subjected to tension (human force) in the falling direction, even if the engagement is released once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Unless the attractive force is applied to the male members in directions falling from each other, the male member is engaged agai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에 대해, 예를 들어 1개의 손가락에 의해 걸어맞춤 해제조작을 가능하게 하거나, 이 걸어맞춤해제를 위한 누르기 조작만으로 암·수부재를 이간(離間) 가능하게 하거나, 동시에 부재수 및 구조상의 간이화도 용이하게 하여, 상품가치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engagement release operation with one finger, or to allow the female and male members to be separated by only a pressing opera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for example,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members and the structure are simplified, and the product value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버클과 구성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외관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chematic external view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the buckle and the component member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상기 버클을 각 방향에서 본 도면2 is a view of the buckle in each direction;

도 3은 상기 버클의 암부재 단품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single arm member of the buckle

도 4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암부재 단품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ngle arm member as in FIG.

도 5는 상기 버클의 수부재 단품을 변형도 포함하여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ncluding a male member of the buckle.

도 6은 상기 버클의 스토퍼부재 단품을 변형도 포함하여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 stopper member unit of the buckle including a modification.

도 7은 상기 버클에 각 끈의 단부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모식도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in the state in which the end of each string attached to the buckle

도 8은 상기 버클에 대한 끈의 단부의 부착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end of the strap to the buckle

도 9는 상기 버클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main operation of the buckle

도 10은 상기 버클의 변형예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modification of the buckle.

도 11은 종래의 버클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buckle

도 12는 종래의 다른 버클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blem of another conventional buckle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버클 2 - 암부재1-Buckle 2-Female

3 - 수부재 4 - 스토퍼부재(스토퍼 수단)3-Male member 4-Stopper member (stopper means)

21 - 개구 22 - 내부21-opening 22-interior

27 - 축구멍 30 - 외판부27-shaft hole 30-outer shell

31 - 삽입판부 32 - 삽입 기부31-insert plate 32-insert base

33 - 삽입 선단부 35 - 걸어맞춤부33-Insertion tip 35-Retention

36, 38 - 홈부 37, 39 - 탄성 수단36, 38-groove 37, 39-elastic means

37a, 39a - 탄성 맞닿음 부분 41 - 탄성 날개편37a, 39a-elastic abutment 41-elastic wing pieces

44 - 걸어맞춤부 47 - 조작부44-Fittings 47-Control Pan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수부재(3)를 암부재(2) 내에서 걸어맞춰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이 걸어맞춤을 상기 암부재(2)에 형성된 개구(21)로 노출된 조작부(47)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서 해제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7)와 아울러 상기 수부재(3)의 삽입측과 걸림/해제하는 걸어맞춤부(44)를 가지며, 상기 암부재(2) 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스토퍼 수단(4)과, 상기 스토퍼 수단(4) 혹은 상기 수부재(3)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7)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서 휘어져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으로의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는 탄성 수단(37 또는 39)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수단(37)이 상기 조작부(47)의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 파워를 축적한 후,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s. 1 to 10, the male member 3 is engaged in the female member 2 so as not to fall out, and this engagement is the female member 2 In the buckle to be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47 exposed to the opening 21 formed in the opening, the engaging portion 44 to engage / release with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together with the operation portion 47. And a stopper means (4) mounted on the female member (2) so as to be swingable and supported in the engaging direction, and on one side of the stopper means (4) or the male member (3). And elastic means (37 or 39) for bending spring operation by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47) to accumulate spring pow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3) falls out. The elastic means (37)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47). Spring power by pressure in direction of disengagement After accumulating, the engagement is released.

이상의 버클에 있어서, 연결조작은, 수부재(3)를 암부재(2) 내에 삽입하거나 암·수부재(3,2)를 서로 근접시켜 밀착시킴으로써, 수부재(3)의 삽입측과 스토퍼 수단(4)의 걸어맞춤부(44)가 걸어맞춰서 연결된다. 이 연결상태는, 조작부(47)를 누르는 조작을 하면, 상기 탄성 수단(37 또는 39)이 조작부(47)의 압압에 따라서 탄성적으로 휘어져 스프링 파워를 축적한 후,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해제시에는, 탄성 수단(37 또는 39)에 축적된 스프링 파워가 수부재(3)가 빠지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부재(3)가 그 축적된 스프링 파워에 의해 걸어맞춤위치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 버클구조에서는, 종래 버클과 같이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시켜도 그것만으로는 다시 걸어맞춰져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때문에,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면서 동시에 양 부재(2,3)를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귀찮은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이 탄성 수단(37 또는 39)은,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의 스프링 파워가 조작부(47)를 누르기 조작했을 때에 비로소 축적되는, 즉 암·수부재(2,3)의 연결상태 및 연결해제상태에서는 스프링 파워가 발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된 스프링 파워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above buckle, th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male member 3 into the female member 2 or bringing the female and male members 3 and 2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lose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and the stopper means. The engaging portion 44 of (4) is engaged and connected. In this connection state, when the operation part 47 is pressed, the said elastic means 37 or 39 are elastically ben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operation part 47, accumulate spring power, and the said engagement is released. When the engagement is released, since the spring power accumulated in the elastic means 37 or 39 acts as a force for the male member 3 to fall out, the male member 3 is engaged by the accumulated spring power. It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exit from the position. Therefore, in this buckl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buckle releases the engagement so that it will not be engaged again by itself,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engagement and pull both members 2 and 3 in the falling direction at the same time. No troublesome operation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elastic means 37 or 39 accumulate only when the spring pow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3 is pulled out is pressed when the operation unit 47 is pressed, that is, the female and male members 2 and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ince the spring power is not expressed in the disconnected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intain the designed spring power in the long term.

이상의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mbodied as follows.

첫째, 상기 암부재(2)는 편평한 케이스형상을 이루며, 이 케이스형상의 편측면(20e)에 상기 개구(21)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도 11의 버클(1)에서 진술한 바와 같은 사용시의 편리성상의 문제가 없으며, 도 12의 버클과 달리 1개의 손가락으로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아, 노인, 손이나 손가락을 다친 사람에게 있어서 사용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arm member 2 has a flat case shape, and has the opening 21 on one side surface 20e of the case shape. In this structure,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re is no problem of convenience in use as stated in the buckle 1 of FIG. 11, and unlike the buckle of FIG. 12, the engagement can be released by one finger.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t the time of use, especially for infants, the elderly, people with injured hands or fingers.

둘째, 상기 탄성 수단(37 또는 39)은, 상기 스토퍼 수단(4)과 상기 수부재(3)와의 대향부분 중, 어느 일측에 대해, 홈부(36 또는 38)를 통해서 형성되며, 상기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는 탄성 맞닿음 부분(37a 또는 39a)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탄성 수단(37 또는 39)이 스토퍼 수단(4) 또는 수부재(3)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을 간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탄성 맞닿음 부분(37a 또는 39a)의 스프링 파워가 오로지 수부재(3)가 빠지는 방항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의가 있다.Second, the elastic means 37 or 39 is formed through the groove portion 36 or 38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opposing portions of the stopper means 4 and the male member 3, and the male member ( It consists of the elastic contact part 37a or 39a which accumulate | stores the said spring power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ing with the direction in which 3) falls out. This is because the elastic means 37 or 39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pper means 4 or the male member 3, thereby enabling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asily real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springs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s 37a or 39a. It is meaningful that the power can act only as a means for the male member 3 to fall out.

셋째, 상기 탄성 맞닿음 부분(37a 또는 39a)은, 수부재(3)의 판 삽입측에 형성되며, 상기 홈부(36 또는 38)의 존재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5(a)의 탄성 맞닿음 부분(37a)에서는 수부재(3)의 판 삽입측의 도중에 단차 단면(37b)(도 1 참조)을 이용한다. 도 5(d)의 탄성 맞닿음 부분(39a)에서는 수부재(3)의 판 삽입측의 삽입단측 가장자리 자체를 이용한다. 이들 구조에서는, 탄성 맞닿음 부분(37a 또는 39a)이 수부재(3)의 판 삽입측에 부설됨으로써 면적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여기에 닿는 스토퍼 수단(4)측의 대응하는 맞닿음부를 확보하기 쉽게 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ir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or 39a is formed on the plat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an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or 39a becomes elastically deformable due to the presence of the groove portion 36 or 38. That is, in the elastic contact part 37a of FIG. 5A, the stepped end surface 37b (refer FIG. 1) is used in the middle of the plat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As shown in FIG. I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a of FIG. 5D, the insertion end side edge itself on the plat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is used. In these structures, the elastic abutting portion 37a or 39a is provided on the plat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to facilitate area securing, and to secure the corresponding abutting portion on the stopper means 4 side that touches it. Make it easy to get the freedom of design.

넷째, 상기 스토퍼 수단(4)은, 상기 수부재(3)의 삽입측을 받아들일 수 있는 대략 케이스형상을 이루며, 이 케이스형상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44)와, 이 케이스형상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47)와, 이 케이스형상의 타측의 밖으로 돌출된 탄성 날개편(41)을 가지며, 상기 수부재(3)를 암부재(2) 내에서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47)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 날개편(41)의 탄성변형을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것은, 탄성 수단(37 또는 39)을 부설하는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수부재(3)측과의 대향부분을 케이스형상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부측으로 용이하게 넓게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버클기능으로서 가장 중요한 걸어맞춤부(44)가 암부재(2)의 내부 중, 스토퍼 수단(4)의 케이스형상 내(內)라는 보다 한정된 공간에 위치되어 암부재(2) 내로 들어가는 티끌 등의 영향을 잘 받지 않도록 한 것에 의의가 있다.Fourth, the stopper means 4 has a substantially case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and the engaging portion 44 formed inside the case shape and the case shape. It has the said operation part 47 formed in one side, and the elastic blade piece 41 which protruded out of the other side of this case shape, In the state which engaged the said male member 3 in the female member 2, The engagement is released alo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blade piece 41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unit 47.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secure the part opposite to the male member 3 side, which is necessary when laying the elastic means 37 or 39, to the corresponding edge portion of the case shape, and also as a buckle function. The most important engagement portion 44 is located inside the arm member 2 in a more confined space called the case shape of the stopper means 4, so that the effect of dust and the like that enters the arm member 2 well. It is meaningful to not receive.

다섯째, 수부재(3) 및 암부재(2) 및 스토퍼 수단(4)을 형성하고 있는 스토퍼 부재, 즉 3가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특히, 스토퍼 수단(4)이 암부재(3)에 대해 부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그것 자체로 부설되는 것을 특정하며, 상기 각 이점을 최소 부재수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의가 있다.Fifth, it is the structure comprised by the stopper member which comprises the male member 3, the female member 2, and the stopper means 4, ie, three members. This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the stopper means 4 are attached to the arm member 3 by itself without using an attachment member, and this makes it possible to equip each of the above advantages with a minimum number of members.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호적한 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버클의 구성부재끼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상기 버클을 각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a)는 상면도, (d)는 그 우단면(右端面)도, (c)는 그 좌단면도, (b)는 그 하면도, (e)는 그 일측면도, (f)는 그 타측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암부재 단품도이다. 그 중, 도 3(a)는 상면도, 도 3(b)는 좌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3(d)는 우단면도, 도 4(a)는 도 3(a)의 C-C선 단면도, 도 4(b)는 도 3(d)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수부재 단품을 나타내며, 5(a)는 위에서 본 상면도, 5(b)는 그 우단에서 본 도면, 5(c)는 5(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5(d)는 수부재의 변형예를 상기 5(a)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토퍼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부재의 단품도이다. 그 중, 6(b)는 상면도, 6(a)는 그 좌단에서 본 도면, 도 6(c)는 그 편측의 측면도, 6(d)는 6(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6(e)는 스토퍼 수단의 변형예를 도 6(b)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버클에 끈을 조립한 상태를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G-G선 단면도이며, 7(a)와 7(b)와 7(c)는 끈의 부착방법으로서 3가지 예를 나타내고있다. 도 9와 도 10은 버클작동을 도 2(f)의 A-A선 단면상태로 나타내고 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members of a buckle. 2 is a view of the buckle in each direction, (a) is a top view, (d) is a right end surface thereof, (c) is a left end view thereof, (b) is a bottom view thereof, ( (e) is one side view, (f) is the other side view. 3 and 4 are single members of the arm member. 3 (a) is a top view, FIG. 3 (b) is a left sectional view, FIG. 3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a), FIG. 3 (d) is a right sectional view, and FIG. 4 (a). )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3A, and FIG. 4B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3D. Fig. 5 shows a single member part, 5 (a) is a top view seen from above, 5 (b) is a view seen from the right end thereof, and 5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5 (a). Fig. 5 (d)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ale member corresponding to 5 (a). 6 is a single view of a member forming the stopp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6 (b) is the top view, 6 (a) is the figure seen from the left end, FIG. 6 (c) is the side view of the one side, 6 (d) is sectional drawing of the F-F line of 6 (a). Fig. 6E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topper means in correspondence with Fig. 6B. 7 is a top view of the strap assembled with a buckle from abov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in FIG. 7, and 7 (a), 7 (b), and 7 (c) show three examples as a method of attaching a string. 9 and 10 show the buckle operation in the A-A line cross section of FIG. 2 (f).

도면에 도시하는 버클(1)은, 암부재(2) 및 수부재(3)와, 암부재(2) 내에 조립되는 스토퍼부재(4)로 이루어지며, 모두가 수지성형품이다. 스토퍼부재(4)는, 본 발명의 스토퍼 수단에 상당한다. 그리고, 형태예의 구조특징은, 사이드 릴리스 타입임과 아울러 편측 사이드 릴리스로 한 것, 수부재(3)를 암부재(2)에 조립한 스토퍼부재(4)를 통해서 걸어맞춤이 빠지지 않도록 한 것,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누르기조작에 의해서 휘어져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으로의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는 탄성 수단(37 또는 39)을 가지고 있는 것 등에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3개의 부재(2, 3, 4)를 조립요령과 함께 명확하게 하고, 그 후, 요부작동에 대해 언급한다.The buckle 1 shown in the figure consists of the female member 2 and the male member 3, and the stopper member 4 assembled in the female member 2, and all of them are resin molded articles. The stopper member 4 corresponds to the stopp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form example is a side release type and the one side side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male member 3 through the stopper member 4 assembled to the female member 2, And an elastic means 37 or 39 for accumulating spring pow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3 is pulled out by the pressing opera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hree members 2, 3, and 4 are made clear with the assembly instructions, and then the main part operation is referred to.

(암부재) 여기에서는 도 1과 도 3 및 도 4를 주로 하여 설명한다. 암부재(2)는, 개략적인 외윤곽이 상하면(20a,20b)과, 좌우방향의 각 단면(20c,20d)과, 전후의 측면(20e,20f)과, 측면(20e)의 개구(21) 등으로 형성되며, 편평한 케이스형상을 이루고 있다. 개구(21)는, 측면(20e)의 일부에서 상면(20a) 및 하면(20b)의 대응부분에 연속하여 개설(開設)되어 있다. 개구(21) 중, 상면(20a)측에 연장되는 부분은 하면(20b)에 연장되는 부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면(20a)에는 개구(21)의 대응 가장자리부가 매끄러운 테이퍼면(21a)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면(20b)에는, 도 4(a)와 같이, 관통된 끈 통과구멍(28)이 단면(20d)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단면(20c,20d)은 내부(22)로 통하는 개구의 가장자리부분이 되어 있다.(Female member) Here, it demonstrates mainly using FIG.1, FIG.3, and FIG.4. The arm member 2 is roughly outlined with upper and lower surfaces 20a and 20b, cross sections 20c and 20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nt and rear sides 20e and 20f, and openings 21 in the side surfaces 20e. ) And has a flat case shape. The opening 21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upper surface 20a and the lower surface 20b in a part of side surface 20e. The part extended to the upper surface 20a side of the opening 21 is set larger than the part extended to the lower surface 20b. In the upper surface 20a, the corresponding edge portion of the opening 21 is formed as a smooth tapered surface 21a. On the lower surface 20b, a string through hole 28 is formed on the end face 20d side as shown in Fig. 4A. Each end surface 20c, 20d becomes the edge part of the opening which leads to the inside 22. As shown in FIG.

내부(22)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폐벽(23) 및 보강 리브(24)와, 상하면(20a,20b)의 대향 내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25,26)이나 축구멍(27)을가지고 있다. 이 중, 차폐벽(23)은, 단면(20d)측에 위치하여 대응 개소, 즉 상하면(20a,20b) 및 대응하는 측면(20e,20f)과 접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차폐벽(23)은, 사이가 약간 벌어져 있으며 이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응 외측과 내부(22)가 연이어 통하게 된다. 보강 리브(24)는, 각 차폐벽(2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도 4(a)나 도 3(d)와 같이, 보강와 아울러 특유한 외관의 부여기능도 함께 갖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것에 반해, 가이드 홈(25)은, 후술하는 스토퍼부재(4)를 조립할 때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하면(20a,20b)의 대향 내면의 대략 중간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도 4(b)와 같이 단면(20c)측에서 차폐벽(23)에 대응하는 바로 앞, 엄격하게는 축구멍(27)까지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홈(26)은, 후술하는 수부재(3)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홈(25)의 편측에 위치하며 가이드 홈(25)보다 약간 깊은 홈으로 되어 있고, 단면(20c)측에서부터 내부(22)의 약 1/3정도까지 연장되어 있다. 축구멍(27)은, 스토퍼부재(4)를 추지(樞支)하는 구멍으로서, 상면(20a)의 내면측이 오목형상(27a)으로 형성되며, 하면(20b)측이 관통구멍(27b)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nside 22 has guide grooves 25, 26 and shaft holes 27 formed in the shielding wall 23 and the reinforcing ribs 24, and on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20a, 20b, respectively. ) Among these, the shielding wall 23 is formed in the state join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ie, upper and lower surfaces 20a and 20b and corresponding side surfaces 20e and 20f, located on the end face 20d side. Each of the shielding walls 23 is slightly open in space, and the gap between them is so that the corresponding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reinforcing ribs 24 protrude to the outside of each shielding wall 23, and are designed to have reinforcement as well as a function of providing a unique appearance as shown in Figs. 4 (a) and 3 (d). On the other hand, the guide groove 25 is used when assembling the stopper member 4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groove 25 is formed in approximately the middl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pposing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20a and 20b, as shown in Fig. 4B. It extends to the shaft hole 27 strictly in front of the cross section 20c immediately corresponding to the shielding wall 23. The guide groove 26 guides the slide of the male member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groove 26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25 and is a groove slightly deeper than the guide groove 25. It extends to about one third of the interior 22. The shaft hole 27 is a hole for holding the stopper member 4, an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upper surface 20a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27a, and the lower surface 20b side is a through hole 27b. It is formed.

(수부재) 여기에서는 도 1과 도 5를 주로 하여 설명한다. 수부재(3)는, 전체가 대략 편평한 판형상을 이루며, 암부재(2)의 내부(22)에 삽입할 수 없는 외판부(30)와, 내부(22)에 출입되는 삽입판부(31)로 이루어진다. 이 중, 외판부(30)는, 삽입판부(31)가 암부재(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외주(外周)가 암부재(2)의 외주면과 대략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외판부(30)의 내측에는, 도 5(c)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끈(5) 등이 우회되어 부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구조로서, 여기에서는 외판부(30)의 두께부분에 외단면(外端面)으로부터 안쪽으로 나아가서, 거기에서 하측 바깥으로 연통된 통과구멍(30a)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통과구멍(30a)의 일부에 걸어멈춤부(30b)를 부설하고 있다. 단, 이것 자체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Male member) Here, it demonstrates mainly using FIG.1 and FIG.5. The male member 3 has an overall flat plate shape, an outer plate portion 30 which cannot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22 of the female member 2, and an insertion plate portion 31 which enters into the interior 22. Is made of. Among these, the outer plate part 30 is formed so that this outer periphery may be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rm member 2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late part 31 was inserted in the arm member 2. Moreover, inside the outer plate part 30, as shown in FIG.5 (c) and FIG.8, the string 5 etc. can be bypassed and attached. As the structure,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30a is formed in the thickness portion of the outer plate portion 30 from the outer end face to the in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side out there, and the through hole 30a A stopper part 30b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However, this itself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삽입판부(31)는, 외판부(30)에 연결된 삽입 기부(32)와, 삽입 기부(32)의 전측에 위치한 삽입 선단부(33)로 이루어진다. 삽입 기부(32)는 외판부(30)에 연결되고 외판부(30)보다 판두께가 약간 얇게 형성되며, 슬라이드 돌기(32a) 및 탄성 수단(37)을 가지고 있다. 삽입 선단부(33)는, 삽입 기부(32)보다 판두께를 약간 더 얇게 형성함과 아울러 끝으로 갈수록 판폭을 가늘게 한 부분(34) 및, 이 부분(34)의 선단에 형성된 걸어맞춤부(35)를 가지고 있다.The insertion plate part 31 consists of the insertion base 32 connected to the outer plate part 30, and the insertion front end part 33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insertion base 32. As shown in FIG. The insertion base 32 is connected to the outer plate portion 30 and is formed slightly thinner than the outer plate portion 30, and has a slide protrusion 32a and an elastic means 37. The insertion end portion 33 forms a plate thickness slightly thinner than the insertion base 32, and a portion 34 having a thinner plate width toward the end, and an engaging portion 35 formed at the tip of the portion 34. Has)

우선, 삽입 선단부(33)에 있어서, 부분(34)은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 부분(34)이 후술하는 스토퍼부재(4)의 소형 케이스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이 삽입성을 고려한 것이다. 걸어맞춤부(35)는, 수부재(3)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훅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First, in the insertion front end part 33, the part 34 is formed narrow in width as it goes to the front end side. This is a compact case of the stopper member 4, which this portion 34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insertability is taken into consideration because it is inserted inward. The engaging portion 35 is formed as a hook protrus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le member 3.

삽입 기부(32)에 있어서, 슬라이드 돌기(32a)는, 상기한 가이드 홈(26)에 대응시킨 개소에, 이 홈(26)과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되며, 수부재(3)가 암부재(2)의 내부(22)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에 가이드 홈(26)을 따라서 양호하게 슬라이드 되도록 작용한다. 이에 반해, 탄성 수단(37)은, 삽입 기부(32)의 판폭의 대략 중간 개소에 부설되며, 홈부(36)의 사이에 구획된 탄성 맞닿음 부분(37a)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즉, 이 탄성 맞닿음 부분(37a)은, 삽입 기부(32)의 전연(前緣)에있어서, 삽입 기부(32)측에 형성된 홈부(36a)와, 1단 낮게 된 삽입 선단부(33)측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홈부(36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각 홈부(36a,36b)는 판 상하로 관통되고, 또, 후측(수부재(3)의 외판부(30)측)의 홈부(36a)측이 삽입 선단부(33)측의 홈부(36b)보다 다소 홈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맞닿음 부분(37a)은, 후술하는 스토퍼부재(4)가 걸어맞춤 해제과정에서 탄성 맞닿음 부분(37a)의 단차 단면(37b)(도 1참조)에 압접되면서,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인 홈부(36a)측으로 휘어져 스프링 파워를 축적할 수 있다.In the insertion base 32, the slide projection 32a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26 mentioned above so that it can fit with this groove 26, and the male member 3 is a female member ( It acts to slide well along the guide groove 26 when inserted into the inside 22 of 2) or taken out.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ans 37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plate | board width of the insertion base 32, and is implement | achieved by the elastic contact part 37a partitioned between the groove parts 36. As shown in FIG. That is, this elastic contact part 37a is located in the leading edge of the insertion base 32, the groove part 36a formed in the insertion base 32 side, and the insertion tip part 33 side which became one step lower. It is located between the groove part 36b formed in the boundary part of the. Each groove portion 36a, 36b penetrates up and down the plate, and the groove portion 36a side of the rear side (outer plate portion 30 side of the male member 3) is larger than the groove portion 36b on the insertion tip portion 33 side. The groove width is rather large. Th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is press-fitted to the stepped end surface 37b (see FIG. 1)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while the stopper member 4 described later is engaged with the release member. Spring power can be accumulated by bending toward the side of the groove portion 36a in the direction in which.

(변형예) 도 5(d)의 수부재(3)는, 상기한 수부재(3)의 탄성 수단(37)의 구성을 변형시킨 예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변형예와 같은 부위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변경점에 대해서만 진술한다. 변형된 탄성 수단(39)은, 삽입 기부(32)보다 1단 낮게 형성된(판두께를 얇게 한) 삽입 선단부(33)의 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부설되며, 외측과 홈부(38)(판 상하를 관통한 홈부(38))와의 사이에 구획된 탄성 맞닿음 부분(39a)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즉, 이 탄성 맞닿음 부분(39a)은, 삽입 선단부(33) 중, 걸어맞춤부(35)를 형성하고 있는 측과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홈부(38)가 삽입 기부(32)측에 일부 들어간 위치에서, 판앞 중간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후술하는 스토퍼부재(4)가 걸어맞춤 해제과정에서 탄성 맞닿음 부분(39a)의 외면(39b)에 압접되면서,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인 홈부(38)측으로 휘어져 스프링 파워를 축적할 수 있다.(Modification) The male member 3 of FIG. 5D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means 37 of the male member 3 is modified.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site | part as the said modification, and only a change point is stated. The deformed elastic means 39 is laid along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insertion tip 33 formed one step lower than the insertion base 32 (which has a thin plate thickness), and penetrates the outer side and the groove 38 (up and down the plate). This is realized by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a partitioned between the groove 38. That is, this elastic contact part 39a has the groove part 38 in the insertion base 32 side in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which forms the engagement part 35 among the insertion front end parts 33. As shown in FIG. By being formed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front middle of the plate at a partially inserted position, the stopper member 4 described later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surface 39b of the elastically engaging portion 39a during the disengagement process. The spring power can be accumulated by bending toward the groove portion 38 in the direction in which 3) is released.

이상의 각 탄성 수단(37,39) 또는 탄성 맞닿음 부분(37a,39a)은, 스토퍼 수단(4)과 수부재(3)와의 대향부분 중, 어느 일측에 대해, 1이상의 홈부(36 또는 38)등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 스토퍼부재(4)의 걸어맞춤 해제과정에 있어서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는 것, 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그들 변형예 이외라도 좋다.Each of the elastic means 37 and 39 or the elastic abutment portions 37a and 39a described above has at least one groove 36 or 38 with respect to any one side of the opposing portion between the stopper means 4 and the male member 3. And the like, to accumulate spring power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3 is pulled out in the disengagement process of the stopper member 4, and the like. It may be other than this.

(스토퍼 수단) 여기에서는 도 1과 도 6을 주로 하여 설명한다. 스토퍼 부재(4)는, 수부재(3)의 삽입측을 받아 들일 수 있는 대략 편평한 소형 케이스형상을 이루며, 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44)와, 소형 케이스형상의 일측을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47)와, 조작부(47)와 반대측의 케이스 외면에 돌출된 탄성 날개편(41) 등을 일체로 구비하며, 전체가 암부재(2)의 내부(22)에 요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이 외윤곽은, 소형 케이스형상부가 상하면(40a,40b)과, 좌우방향의 각 단면(40e,40d)과, 전후의 측면(40e,40f)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형 케이스형상부가 측면(40f)에 돌출형성된 탄성 날개편(41) 및 상하면(40a, 40b)에 돌출된 축부(46) 등을 가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이 스토퍼부재(4)는, 수부재(3)의 탄성 맞닿음 부분(37a)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걸어맞춤 해제과정에서 이 탄성 맞닿음 부분(37a)을 눌러서 스프링 파워를 발현시키기 위한 맞닿음부(48)를 가지고 있다. 이 맞닿음부(48)는, 도 6(b)와 같이, 소형 케이스형상의 단면(40c)측의 형상에 있어서, 상기 도면의 최고 좌측 부근의 부분을 다소 예각으로 형성한 것이다.(Stopper means)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The stopper member 4 forms a substantially flat small case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3, and is formed by using the engaging portion 44 formed inside and one side of the small case shape. The operation part 47 and the elastic wing piece 41 which protru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peration part 47 are integrally provided, and the whole is rotatably assembled in the inside 22 of the arm member 2. In addition, the outer contour is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40a and 40b of the small case shape portion, the end surfaces 40e and 40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ront and rear side surfaces 40e and 40f, respectively. It has the form which has the elastic blade piece 41 which protruded in 40f, and the axial part 46 which protrud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40a and 40b. In addition, the stopper member 4 is disposed to face the elastic contacting portion 37a of the male member 3, and is engaged to express the spring power by pressing the elastic contacting portion 37a during the disengagement process. It has a contact 48. As shown in Fig. 6 (b), the contact portion 48 is formed at the acute angle with a portion near the top left of the figure in the shape of the end face 40c of the small case shape.

즉, 소형 케이스형상부의 내부(42)에는, 구획벽(43) 및 걸어맞춤부(44)가 부설되어 있다. 구획벽(43)은, 도 1과 도 6(d)와 같이 상하면(40a,40b)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42)에는, 구획벽(43)과 측면(40f)간의 공간에 상기한 수부재(3)의 삽입 선단부(33)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9 참조). 걸어맞춤부(44)는, 상기 걸어맞춤부(35)와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상대측이 되는 것이다. 이 걸어맞춤부(44)는, 상하면(40a,40b)에 결합되고 측면(40f)의 내측 근처에 위치하며, 측면(40f)의 측에서 대향하는 측면(40e)을 향한 훅형상 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partition wall 43 and the engaging part 44 are provided in the inside 42 of the small case shape part. The partition wall 43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40a and 40b as shown in Figs. 1 and 6d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interior 42, the insertion tip 33 of the male member 3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43 and the side surface 40f (see Fig. 9). The engaging portion 44 is to be the counterpart side which engages with the engaging portion 35 so as to be able to engage / release. The engaging portion 44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40a and 40b and is located near the inner side of the side surface 40f, and is formed as a hook-like protrusion facing the side surface 40e opposite from the side of the side surface 40f. have.

여기서, 탄성 날개편(41)은 얇은 두께의 판부분으로 되어 있고, 측면(40f)에 있어서, 기단이 축부(46)측에 위치하고 선단이 측면(40f)에서 점차 떨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작용적인 기능은, 암부재(2)에 조립된 상태(도 9 참조)에서, 스토퍼부재(4)를 일측으로 밀어서 덜컹거림을 흡수하는 것, 수부재(3)의 걸어맞춤부(35)가 걸어맞춤부(44)에 걸어맞춰진 상태를 보호하며, 또한, 이 걸어맞춤 또는 걸어맞춤 해제과정에서 탄성변위하여 이 걸어맞춤이나 걸어맞춤해제를 허용하는 것 등에 있다. 축부(46)는, 상기한 축구멍(27(27a,27b))에 끼워져 들어가도록 상하면(40a,40b)에 돌출형성되며, 측면(40f)측에 있어서, 탄성 날개편(41)의 기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축부(46)의 상세한 바는 도 1과 같이 통부(46a)의 일부가 절결부(46b)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의 구성은, 스토퍼 수단(4)이 암부재(2)에 대해 단면(20c)측으로부터 삽입될 때, 축부(46)가 상기한 대응하는 가이드 홈(25)을 따라서 압입되어 축구멍(27)과 끼워맞춤, 즉 조립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와 같이 하여, 이상의 스토퍼부재(4)는, 암부재(2)의 내부(22)에 대해 축부(46)와 축구멍(27)과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조작부(47)는, 그와 같이 하여 스토퍼부재(4)가 내부(22)에 조립되었을 때, 암부재(2)의 개구(21)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부분이다. 또, 조작부(47)의 외면에는,이 개구(21)로부터 노출되는 외면에 복수의 소형 리브(47a)가 형성되어 있다. 소형 리브(47a)는, 조작부(47)의 누르기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외관의 참신성을 기여하는 데에도 유효하게 설계되어 있다. 또, 부호 45는 후술하는 도 9(c)의 상태에서, 차단벽(23)의 대응부에 맞닿는 회동 또는 요동 규제부이다.Here, the elastic blade piece 41 becomes a thin plate part, and in the side surface 40f, the base end is inclined so that the base end may be located in the axial part 46 side, and the front end will fall gradually from the side surface 40f. The functional function is to absorb the rattling by pushing the stopper member 4 to one side in a state assembled to the arm member 2 (see FIG. 9), and the engaging portion 35 of the male member 3 is It protects the stat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art 44, and also permits thi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by elastic displacement in this engagement or release engagement process. The shaft portion 46 protrudes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40a and 40b so as to fit in the shaft holes 27 (27a and 27b) described above, and is located near the base of the elastic blade piece 41 on the side surface 40f. Located in As for the detail of the shaft part 46, a part of the cylinder part 46a is formed as the notch part 46b like FIG. The configuration of the shaft is such that when the stopper means 4 is inserted from the end face 20c side with respect to the arm member 2, the shaft portion 46 is pushed along the corresponding guide groove 25 described above and the shaft hole 27 ), That is, for ease of assembly. In this way, the stopper member 4 is assembled so as to be swingable by fitting the shaft portion 46 and the shaft hole 27 with respect to the interior 22 of the arm member 2. The operation part 47 is a part which is exposed and arrange | positioned at the opening 21 of the arm member 2 when the stopper member 4 is assembled in the inside 22 in this way. Moreov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art 47, the some small rib 47a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exposed from this opening 21. As shown in FIG. The small rib 47a is effectively designed not only to improve the pressing operability of the operation unit 47 but also to contribute to the novelty of the appearance. Reference numeral 45 is a rotational or swinging restricting portion that abuts o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locking wall 23 in the state of FIG. 9 (c) described later.

(변형예) 도 6(d)에 나타낸 변형예의 스토퍼부재(4)는, 상기한 도 5(d)에 든 변형예의 수부재(3)와 짝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 설명에서도, 상기한 변형예와 같은 부위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변경점에 대해서만 진술한다.(Modification) The stopper member 4 of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6 (d) is used in pairs with the male member 3 of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5 (d). Also in this descrip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site | part as the said modification, and only a change point is stated.

도 6(d)의 스토퍼부재(4)는, 상기한 도 6(b)의 맞닿음부(48)에 대응하는 부분(49)이 둥그스름한 모양를 띠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것은, 변형예의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형 케이스형상부를 형성하고 있는 측면(40e)이 수부재(3)의 탄성 맞닿음 부분(39a)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걸어맞춤 해제과정에서 상기 측면(40e)의 요동 단측(端側)에 의해서 상기 탄성 맞닿음 부분(39a)을 눌러 해당 부분(39a)에 스프링 파워를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stopper member 4 of FIG. 6 (d) differs in that the portion 49 corresponding to the abutting portion 48 of FIG. 6 (b) has a rounded shape. In the case of the modification, the side surface 40e which forms the small case-shaped part as shown in FIG. 10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elastic contact part 39a of the male member 3, and it is the said process in the engagement release process. This is because the elastic contacting portion 39a can be pressed by the swinging end side of the side surface 40e to express the spring power in the portion 39a.

(다른 관계부재) 이상의 버클(1)은, 종래 버클과 같이 여러가지 용도 또는 분야에 이용된다. 도 7 및 도 8은 실제로 이용될 때에, 끈(5)의 단부(5a)를 버클 대응부 즉, 암부재(2) 및 수부재(3)에 각각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끈(5)은 벨트나 띠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것이다. 끈(5) 및 단부(5a)에 대해서는, 도면상, 좌우 모두 같은 부호를 붙이고, 마치 연속된 끈이거나, 끈의 양단(5a)과 같이 도시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편의상 모식화하여, 좌우의 끈(5)이 같은 끈으로 구성되는 모양(이 때는 단부(5a)가 이 끈의 양단이 된다)과, 좌우의 끈(5)이 서로 다른 끈으로서 구성되는 모양(이 때는 각 끈의 일단이 고정되며, 각 끈의 자유단이 도면상의 대응하는 단부(5a)가 된다) 등을 포함해서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Other related members) The buckle 1 above is used for various uses or fields like the conventional buckle. 7 and 8 show an example of the attachment configuration for attaching the end 5a of the string 5 to the buckle counterpart, that is, the female member 2 and the male member 3, when actually used. Here, the string 5 is a wide range including a belt, a belt, and the like. The string 5 and the end 5a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ing, and are shown as if they are continuous strings or both ends 5a of the strings. However, this is typical for convenience only, and the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trings 5 are composed of the same string (in this case, the ends 5a become both ends of the string) and the left and right strings 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only shown, including the shape comprised as a string (in this case, one end of each string is fixed and the free end of each string becomes the corresponding edge part 5a on drawing).

도 8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끈(5)의 단부(5a)의 부착구조는 공통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대응하는 단부(5a)를 하면(20b)의 통과구멍(28)에 관통시키고, 상기 도면의 부분(29b)을 내측에 감싸도록 우회시키서, 그 우회된 부분을 봉제(縫製)(6)에 의해 상기 끈부분에 중합시킨 것이다. 도 8의 각 도면에서는, 수부재(3)에 대한 단부(5a)의 부착구조를 각각 서로 달리하고 있다. 즉, 도 8(a)의 대응하는 단부(5a)는, 상기한 통과구멍(30a)에 있어서 하측 개구로부터 걸어멈춤부(30b) 위로 유도된 후, 이 걸어멈춤부(30b)와 상기 도면의 부분(29a) 사이의 틈에 넣어져, 이 부분(29)의 하측으로 도출되며, 그 도출된 부분을 봉제(6)에 의해 상기 끈부분에 중합한 것이다. 도 8(b)의 대응하는 단부(5a)는, 상기한 통과구멍(30a)에 있어서 앞측 개구로부터 걸어멈춤부(30b)의 아래로 유도된 후, 이 걸어멈춤부(30b)와 상기 도면의 부분(29a)을 내측에 감싸도록 그대로 밖으로 도출되며, 그 도출된 부분을 봉제(6)에 의해 상기 끈부분에 중합한 것이다. 도 8(c)의 대응하는 단부(5a)는, 상기한 통과구멍(30a)에 있어서 앞측 개구로부터 걸어멈춤부(30b)의 아래로 유도된 후, 이 걸어멈춤부(30b)와 상기 도면의 부분(29a)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에 넣어져, 다시 통과구멍(30a)의 앞측 개구로부터 밖으로 도출되며, 그 도출된 부분을 봉제에 의해 상기 끈 부분에 중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여러가지 끈부착형태가 실현되며, 용도에 맞춰서 선택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각 봉제(6)는, 접합수단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용착이나 접착, 또는 커터고정 등의 다른 고정수단이라도 지장없다.In Fig. 8,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end 5a of the string 5 to the arm member 3 is common.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end 5a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8 of the lower surface 20b, and the portion 29b in the figure is bypassed so as to surround the inside, so that the bypassed portion is sewn. It superposed | polymerized in the said string part by (6). In each figure of FIG. 8,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edge part 5a with respect to the male member 3 differs, respectively. That is, the corresponding end 5a of FIG. 8 (a) is guided above the stopper 30b from the lower opening in the passage hole 30a, and then the stopper 30b and the figure of FIG. It enters in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parts 29a, and is led to the lower side of this part 29, and the derived part is superposed | polymerized on the said string part by sewing 6. The corresponding end 5a of FIG. 8 (b) is led down from the front opening in the passage hole 30a from the front opening 30b, and then of the locking portion 30b and the figure. The part 29a is drawn out as it is to wrap inside, and the derived part is polymerized to the string part by sewing 6. Corresponding end 5a of FIG. 8 (c) is led down from the front opening in the passage hole 30a from the front opening 30b, and then of the locking portion 30b and the figure. It enters into the clearance gap formed with the part 29a, and it leads out again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passage hole 30a, and the derived part is polymerized to the said string part by sewing. As described above, various forms with strings are realized in this embodiment,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In addition, each sewing 6 is only an example of a joining means, and it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adhesion | attachment, or cutter fastening.

(주작동) 이어서, 이상의 버클(1)의 걸림/해제 작동에 대해서 도 9와 도 10을 포함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한 수부재(3) 및 스토퍼부재(4)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9에 대응시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에서는, 도 9의 경우를 주로 하여 설명한다.(Main operation) Next, the engagement / release operation of the above buckl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10: corresponds to FIG. 9 about the modification of the male member 3 and the stopper member 4 mentioned above. Therefore, this description mainly explains the case of FIG.

이상의 버클(1)에 있어서, 우선, 암부재(2)와 수부재(3)의 연결조작에서는, 수부재(3)를 암부재(2) 내에 삽입하거나 암·수부재(2,3)를 서로 근접시켜 밀착조작한다. 그러면, 걸어맞춤부(35)는, 그 정상부가 스토퍼부재(4)의 내부(42)(도 6 참조)로 들어가서, 대향하는 걸어맞춤부(44)를 탄성 날개편(41)의 탄성변형을 따라서 타고 넘어, 이 걸어맞춤부(44)에 걸어맞춰진다. 도 9(a)는 그 걸어맞춤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탄성 맞닿음 부분(37a)은, 이 상태에 있어서, 대향하는 맞닿음부(48)와 비접촉 상태(또는 가볍게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로서, 그 스프링 파워가 아직 발현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도 10(a)와 같이 탄성 수단(39)의 탄성 맞닿음 부분(39a)이 스토퍼부재(4)의 측면(40e)과 비접촉상태로 되어 있어서, 스프링 파워가 발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대치된다.In the above buckle 1, first, in the connecting operation of the female member 2 and the male member 3, the male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2 or the female and male members 2, 3 are inserted.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n, the engaging portion 35 enters into the interior 42 (see FIG. 6) of the stopper member 4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44 oppose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blade piece 41. Therefore, it rides over and is engaged with this engagement part 44. FIG. Fig. 9A shows the engagement connection state. In this state, the abov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is in a non-contact state (or may be in light contact) with the opposing contact portion 48, and the spring power thereof is not yet expressed. This is because, in the above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10A,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9a of the elastic means 39 is in non-contact state with the side surface 40e of the stopper member 4, whereby spring power is expressed. It is replaced by something that is not.

암부재(2)와 수부재(3)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는, 개구(21)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부(47)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조작한다. 그러면, 스토퍼부재(4)는, 추축(46)을 지점으로 하여, 탄성 날개편(41)을 따라서 그 눌리는 방향으로 요동 또는 회동된다. 이 회동과정에서는, 도 9(b)와 같이 상기한 맞닿음부(48)가 탄성 맞닿음 부분(37a)을 누르기 때문에, 이 탄성 맞닿음 부분(37a)은 홈부(36a)의 홈내로 밀려 들어가 점차 스프링 파워가 증대된다. 이것은, 변형예에 있어서, 도 10(b)와 같이 측면(40a)의 대응부가 탄성 맞닿음 부분(39a)을 눌러서, 이 탄성 맞닿음 부분(39a)이 홈부(38)의 홈내로 밀려 들어가 스프링 파워가 증대되는 것으로 대치된다.When disconnecting the female member 2 and the male member 3, the operation part 47 exposed to the opening 21 is pressed by a finger or the like to operate. Then, the stopper member 4 swings or rotates in the pressing direction along the elastic blade piece 41 with the pivot 46 as a point. In this rotation process, since the contact portion 48 presses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as shown in FIG. 9 (b),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is pushed into the groove of the groove portion 36a. Gradually spring power is increased. In the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 10B, the counterpart of the side surface 40a pushes the elastic abutting portion 39a so that the elastic abutting portion 39a is pushed into the groove of the groove 38. It is replaced by increased power.

그리고, 상기한 스프링 파워는, 걸어맞춤부(35)가 걸어맞춤부(44)로부터 걸어맞춤해제되기 직전, 즉 도 9와 도 10의 각 (b)의 상태에서 최대가 된다. 따라서, 이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수부재(3)는, 도 9의 탄성 맞닿음 부분(37a)(도 10의 탄성 맞닿음 부분(39a))의 축적된 스프링 파워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걸어맞춤위치에서 각 도의 (c)와 같이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와 같은, 수부재(3)의 이동은, 탄성 맞닿음 부분(37a, 9a)의 스프링 파워가 오로지 수부재(3)가 빠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 슬라이드 돌기(32a)가 상기한 가이드 홈(26)으로 안내되면서 이동되는 것, 등에 의해 부드러운 작동이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해제 구조에서는, 과제에서 진술한 종래품과 같이 걸어맞춤을 해제함과 동시에 양 부재(2,3)를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야 하는 귀찮은 조작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는 것, 탄성 맞닿음 부분(37a, 9a)이 조작부(47)를 누르기 조작했을 때에 비로소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기 때문에 상기 부분의 초기 탄성(스프링 파워)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는 것, 조작부(47)를 단일하게 함으로써 도 12의 사이드 릴리스 타입에 비해 1개의 손가락이나 손의 일부분에 의해 해제조작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The spring power is maximized in the state just before the engaging portion 35 is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portion 44, that is, the angle (b) in FIGS. 9 and 10. Therefore, when this engagement is released, the male member 3 is pushed in the drawing direction by the accumulated spring power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37a (FIG. 10 elastic contact portion 39a of FIG. 10). Therefore, it moves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c) of each figure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male member 3 is such that the spring power of the elastic abutting portions 37a and 9a acts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3 is pulled out. 26) smooth operation by being moved while being guided to. Therefore, in the above engagement / release mechanism,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troublesome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and pulling both members 2 and 3 in the falling direction as in the conventional article mentioned in the problem. Since the spring power accumulates only when the contact portions 37a and 9a press and operate the operation portion 47, the initial elasticity (spring power) of the port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Compared with the side release type, the user can obtain the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release by one finger or part of the hand.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의 버클에 의하면, 특히, 걸어맞춤 해제시에 탄성 수단에 축적된 스프링 파워를 수부재가 빠지도록 하기 위한 파워로서 작용시켜서, 수부재가 그 축적된 스프링 파워에 의해 걸어맞춤 위치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종래품과 달리, 암·수부재가 떨어지는 방향의 인력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라도, 조작부를 누르는 조작만으로 암·수부재가 다시 걸어맞춰져 버릴 우려를 해소할 수 있으며, 탄성 수단에 있어서, 수부재가 빠지는 방향의 스프링 파워가 조작부를 누르는 조작을 하고서야 비로소 축적되기 때문에, 스프링의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고, 부재수도 적게 간이화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며, 사용시의 편리성상의 개선에 의한 상품가치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spring power accumulated in the elastic means at the time of disengagement acts as a power for the male member to be released, and the male member is engaged by the accumulated spring power. It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exit from the posi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can eliminate the possibility that the female and male members will be re-engaged only by pressing the operation unit even when the female and male members are not subjected to the attr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male and male members fall. Since the spring pow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is pulled out does not accumulate only after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unit,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life of the spring can be kept long, and the number of members can be simplified, too. Product value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Claims (6)

수부재를 암부재 내에서 걸어맞춰서 빠지지 않도록 하며, 이 걸어맞춤을, 상기 암부재에 형성된 개구로 노출된 조작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해제하는 버클에 있어서,In the buckle to engage the male member in the female member so as not to be release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y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exposed to the opening formed in the female member, 상기 조작부와 아울러 상기 수부재의 삽입측과 걸림/해제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암부재 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스토퍼 수단과,A stopper means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 releasing with the inserting side of the male member together with the operation portion, the stopper means being oscillated in the female member and supported in the engaging direction; 상기 스토퍼 수단 혹은 상기 수부재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휘어져 수부재가 빠지는 방향의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며,It is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stopper means or the male member, and is provided by elastic means for accumulating spring pow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is bent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상기 탄성 수단이 상기 조작부의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의 압압에 의해 스프링 파워를 축적한 후,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버클.And said engaging means is released after said elastic means accumulates spring power by pressing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of said operat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암부재는 편평한 케이스형상을 이루며, 이 케이스형상의 편측면에 상기 개구를 가지고 있는 버클.The arm member has a flat case shape, the buckle having the opening on one side of the case sha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스토퍼 수단과 상기 수부재와의 대향부분 중, 어느 일측에 대해, 홈부를 통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부재가 빠지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파워를 축적하는 탄성 맞닿음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버클.The elastic means is formed through the groove portion on either side of the opposing portion between the stopper means and the male member, and elastically elastic to accumulate the spring power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member is pulled out. Buckle consisting of touching part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탄성 맞닿음 부분은, 상기 수부재의 판 삽입측에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존재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버클.The elastic abut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plat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and the buckle is formed elastically deformable by the presence of the groove por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수부재의 삽입측을 받아들일 수 있는 대략 케이스형상을 이루며, 이 케이스형상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와, 이 케이스형상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와, 이 케이스형상의 타측의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 날개편을 가지며, 상기 수부재를 암부재 내에서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 날개편의 탄성변형을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버클.The stopper means has a substantially case shape for receiving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the engag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case shape, the operation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shape, and the case. A buckle which has an elastic wing piec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and releases the engagement alo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wing piece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part while the male member is engaged in the female memb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 및 스토퍼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스토퍼부재, 즉 3가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버클.A buckle composed of a stopper member, that is, three members, forming the male member, the female member, and the stopper means.
KR10-2001-0042042A 2000-07-12 2001-07-12 buckle KR1004263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1732A JP4201464B2 (en) 2000-07-12 2000-07-12 buckle
JPJP-P-2000-00211732 2000-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491A KR20020006491A (en) 2002-01-19
KR100426324B1 true KR100426324B1 (en) 2004-04-08

Family

ID=1870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042A KR100426324B1 (en) 2000-07-12 2001-07-12 buck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01464B2 (en)
KR (1) KR100426324B1 (en)
CN (1) CN1229047C (en)
TW (1) TW55211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34986A1 (en) * 2009-03-31 2011-10-06 D B Industr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strap of a safety harness
KR101659936B1 (en) * 2014-08-27 2016-09-26 (주)경도상사 Fastening apparatus for lace of footwear
KR101635745B1 (en) 2015-01-21 2016-07-04 (주)경도상사 Fastening apparatus for shoela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350Y1 (en) * 1984-12-20 1986-11-24 주식회사금성사 Electronic range
KR900016481U (en) * 1989-03-31 1990-10-05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Buckle
KR920005776U (en) * 1990-09-21 1992-04-21 주식회사 키프코 Plastic buckle
KR930012855U (en) * 1991-12-19 1993-07-26 와이 케이 케이 Buckle assembly
JPH11244008A (en) * 1998-03-06 1999-09-14 Ykk Corp Buck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350Y1 (en) * 1984-12-20 1986-11-24 주식회사금성사 Electronic range
KR900016481U (en) * 1989-03-31 1990-10-05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Buckle
KR920005776U (en) * 1990-09-21 1992-04-21 주식회사 키프코 Plastic buckle
KR930012855U (en) * 1991-12-19 1993-07-26 와이 케이 케이 Buckle assembly
JPH11244008A (en) * 1998-03-06 1999-09-14 Ykk Corp Buck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491A (en) 2002-01-19
JP4201464B2 (en) 2008-12-24
TW552117B (en) 2003-09-11
CN1331935A (en) 2002-01-23
JP2002017408A (en) 2002-01-22
CN1229047C (en)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7804B1 (en) 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EP2641498B1 (en) Buckle
US5305503A (en) Buckle for watch bands
WO2010038308A1 (en) Buckle
KR20080070544A (en) Buckle
US7725993B1 (en) Safety buckle with passive catch
EP1400183A2 (en) Buckle
JP2004538072A (en) Guide tabs and slides incorporating guide tabs
US10588383B2 (en) Buckle
KR100426324B1 (en) buckle
JP5170889B2 (en) buckle
WO2010101217A1 (en) Buckle with lock
TW201212848A (en) Separation inserts for slide fastener
CN111053335A (en) Wrist-worn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thereof
KR101632531B1 (en) Buckle device
KR101825925B1 (en) Locking apparatus device for case and case having the same
CN211186087U (en) Wrist-worn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thereof
KR101415445B1 (en) Buckle
US4929117A (en) Mechanism for detacheably fitting a male fixing member and a female engaging member
JP3204590B2 (en) buckle
KR200231529Y1 (en) Buckle
JP2000166616A (en) Buckle
KR0128700B1 (en) The structure of a buckle for seat belt
WO2024047796A1 (en) Fastener
WO2012137836A1 (en) Buckle assembly and opera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