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126B1 -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 Google Patents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126B1
KR100426126B1 KR10-2001-7012881A KR20017012881A KR100426126B1 KR 100426126 B1 KR100426126 B1 KR 100426126B1 KR 20017012881 A KR20017012881 A KR 20017012881A KR 100426126 B1 KR100426126 B1 KR 10042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titanium
bone
alveolar bon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305A (ko
Inventor
장상건
Original Assignee
장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건 filed Critical 장상건
Priority to KR10-2001-701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126B1/ko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00/00013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62180A1/ko
Publication of KR2002002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에 관한 것으로서,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의 티타니움바디체를 치근형태로 성형하여 발치와에 삽입하여 치조골의 형상을 유지하고,
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로서 티타니움분말을 혼합재와 성형하여 충전한 형태로서 치조골과의 뼈융합을 도모하며, 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로서 저연성의 티타니움사를 발치와에 충전한 형태로서 치조골과의 뼈융합을 수행한다. 또한, 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로서 티타니움망을 형성하여 그 내방에 골이식재료를 함유하여 발치와에 충전할 수있게 함으로서, 발치 후에 따르는 자연치조골의 흡수현상을 막아 주며 오랜 세월이 지나도 하나의 고형체로서 치조골 내에 잔존하므로 보철수복을 원할히 하고 심미적 치료효과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심미적 보철수복을 위하여 골이식을 시술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유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Material for Alveolar Ridge Protection}
종래로부터 발치 후에 자연적으로 치조골의 흡수현상이 유발되어, 심미적 보철수복을 위하여, 특히 상악전치부의 경우 치조돌기 흡수현상이 심한 경우에는 골이식을 먼저 시술하여 치조골의 외형을 어느 정도 회복한 후에 임플랜트를 시행하는 것이 안모의 원형회복을 위한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발치후 치조골 변화에 의하여 안모부의 수축현상이 유발되면 입가에 주름을 발생하는 등 외관상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의 치조골흡수에 의한 치아부의 융기형태인 릿지(Ridge)의 형상의 변화가 오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치조골의 흡수는 의치, 특히 상악의 의치 제작 시에 시술의 제한성을 주게 되고, 하악의 경우 의치의 유지 및 안정성에 영향을 끼쳐 시술 또한 상당히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종래의 방법으로는 임플랜트 이전에 골이식을 먼저시술하여야 하므로 시술비용도 상당한 것으로서 환자의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치조골의 흡수는 임플랜트를 시술해야 할 치조골조직의 주위 환경을 부적절하게 하여 임플랜트의 크기 및 폭 제한을 가져 옴으로서 소망하는 시술을 행함에 한계가 있게 되고, 시술이후의 예후도 하악골에 비해 양호하지 않은 현실이다.
이러한 치조골의 흡수현상을 회복시키는 용도로서 사용되는 재료는 통상 골이식재료 라고 불리어 지며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안출되어 있다.
이하에서 기존의 골이식재료와 그 시술방법 및 문제점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자가골이식(autogenouse bone graft)이라는 것은 구강내 혹은 구강외의 기증부(donor site)에서 경골, 장골(iliac) 등에서 채취하여 원하고자 하는 부위에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생골수(vital bone marrow)와 해면골(cancellous bone)을 이식할 경우 주위해당 부위의 치근이 흡수되는 경향이 있고 구강내의 자가 골이식 재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그 사용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그 다음, 타가이식(allograft) 및 이종이식편재료(xenograft materials)가 있으며 이는 동결된 타가이식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성공률은 한계가 있고,
탈염(demineralized)하거나 탈석회질화(decalcified)된 동결된 타가 골이식재(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의 경우는 사용의 확신을 주는 증명할만한 임상 데이터가 부족할 뿐더러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하나의 골이식재로서 합성 골이식재(synthetic bone graft materials)로서 사용하는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입자는 2 가지형태의 화학적 구조를 가지는데,
첫째, 영구적인 비재흡수성재(non-resorbable material)로 3염기인산칼슘(tribasic calcium phosphate:hydroxylapatite,HA:이하 'HA'라함 )은 매우 작은 입자인 HA-S(직경 15 m 이하)와 구형입자형태로 HA-500, 1000( 직경 500-1000 m)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둘째 재흡수성 세라믹으로서 베타 인산삼칼슘(beta triclacium phosphate =TCP)으로서 생물적흡수재(bioresorbable material)이며 작은 입자형태( 직경 100 m 이하)로 흡수속도는 느리고 일정한 비율로 흡수되지는 않는다.
이들 둘 다 골형성유도성질(bone inductive capacity)은 없고 자가형 골이식을 위한 증량재(extender)의 역할을 하며 비자극성 충진재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5산화인산칼슘알루미늄(aluminum calcium phosphorus pentoxide )은 재흡수성 임플랜트재료로서 매우 작은 입자형태( 직경 70 m 이하) 로 고정제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며, 사용 후 약 3주 후에는 조직학적 검사에서 흡수현상을 보이며 그 사이로 조직성장 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골이식재료와 함께 사용되는 혼합제는 의료용석고(plater of paries :calcium sulfate)가 있으며 합성임플랜트 재료의 하나로서 조직과 친화력이 좋고 흡수성이 있으나 골생성력이 부족하다.
고밀도침착물의 하이드록시일러퍼타이트(hydroxylapatite:HA) 입자(상품명:orthomatrix HA-500)와,의료용석고(미국식품의약청의 기준치: USG Medical Grade Calcium Sulfate HemihydrateB,0.85% 의 K₂SO₄를 함유)를 각각, 1:1 혼합한 혼합물(HA/PP)의 경우는, 치은박리상피의 치근단부 이동을 막아 주며 하이드로록시러퍼타이트 입자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임상적 조작을 용이 하게 하고 쉽게 해당부위에 충진을 할 수 있게 하는 생물학적 적합성과 생물학적 재흡수성 재료이다.
또한, 2 가지의 유기산으로서 알파케토글루탈레이트(alpha-ketoglutarate)와 말레이트(malate)를 고정제로서 사용할 경우에도 생물학적 재흡수성과 적합성을 가지며 흡수와 동시에 입자 사이로 조직성장상의 조직학적 소견을 보인다.
기존의 방법으로 발치 후 즉시 합성골로서 동결된 타가이식골이나
골대체재료(상품명; Bioplant HTR, hydroxylapatite, silicate) 등으로 발치와 자리를 발치를 행함과 동시에 채워 주는 방법으로 실시하나 장기간의 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골대체 재료가 치조골 내에서 일차적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생성 형상이 HA입자 주위로 침착되나 상당한 시간의 2차적 경과 후에는 점차적인 흡수현상은 아주 느리게 나타난다. 또한 동결된 골의 경우사람이나 소, 양의 뼈를 갈아서 만들었기 때문에 광우병이나 AIDS 등의 감염의 우려로 인하여 사용을 줄이거나 제한하고 있으며, 상기의 HTR 의 경우는 도 7 에서의 구조상으로 볼 때 최외부의 수산화칼슘(Ca(OH)4:도면에서는 CH)은 골수의 혈액분과 반응하여 골생성으로 이어지고,
그 내방의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클릴레이트(PHEMA:polyhydroxyethy- lmetaacrylate)는 X-선 조영성을 갖는 성질로 골생성완료와 함께 생체로 흡수되며,
또 그 최하부 층을 구성하는 폴리메틸메타아클릴레이트(PMMA:polymethy- lmetaacrylate)는 생물학적 적합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료로서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부서지지 않으며 골 생성완료 후에도 흡수되지 않고 골 내에 남아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료의 강도는 주위의 뼈보다는 그 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상악의 구치부등의 뼈의 질이 좋지 않은(밀도가 낮은) 곳에 치아 임플랜트 시술을 병행한다면 치조골 주위의 강한 밀도를 가지는 주위의 뼈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임플랜트의 기본적인 초기 고정성 및 안정성을 저해하게 되며 발치 후,
HTR을 이식한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 임플랜트 시술을 하더라도 여전히 주위의 뼈의 밀도증대는 기대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위에 치아 임플랜트를 해야 할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넓은 폭을 가지는 임플랜트의 크기를 선택하여야 한다.
통상 5 - 6 mm 이상의 폭을 가지는 사이즈의 임플랜트를 이식 할 경우에는 주위 뼈를 너무 많이 제거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충분한 뼈의 높이와 폭이 있어야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인공뼈의 대치물에 의한 방법으로 발치와(拔齒渦)에 즉시 충전하더라도 치조골의 흡수현상은 예방할 수 있으나, 이 다음 임플랜트 시술에는 또 다시 임플랜트를 위한 치조골내의 치아 임플랜트바디를 위한 공간을 위해 결국 부분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래치드릴로서 리밍작업을 시술하여야 하며,
결국 이식된 골이식재료는 치조골릿지의 흡수현상은 일시적으로 예방하는 효과는 있으나 결국 치아 임플랜트를 위해 제거하여야 하므로 시술자나 환자 모두에게 번거롭고도 비경제적인 일이 되는 것이다.
치조골의 내의 HA와 같은 비재흡수성 골이식재료는 치조골내의 그 형상을 유지하며 잔존할 수 있는 기간은 10여년 이상이라는 연구보고가 있으나 영구적으로 부분적인 체적의 변화는 유발되기 마련이다. 그리고 주위의 뼈와 인공이식된 골이식재료로 충전된 부위의 치아의 밀도의 차이에 기인하는 문제는 계속 연구과제로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골이식에 대한 종래로부터의 방법에 대하여 기술적인 방법과 사용 물질에 대한 응용된 실시예를 학술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그 가능성을 가지고 응용하여 그 사용방법과 편의성을 구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이 형성하는 융기선인 치조돌기(Ridge)가 흡수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예방재에 관한 것이다.
도 1 A,B,C 는 종래의 발치이후의 치조돌기의 융기부가 흡수되는 진행상태를 도시하는 치아부의 단면도, D, 는 치주염에 의한 치주골흡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E 는 노령화에 따른 생리적 치조돌기의 흡수현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A,B,C 는 종래의 발치이후의 치조골의 흡수와 동반한 안모의 수축상태의 경시적인 변화를 도시하는 상악부의 단면도.
도 3 A 치아 탈락이전의 정상 상악부의 정면도, B 는 상악전치부의 치조골흡수후 잔존 치조골과 인공 도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 는 치조골상태에 따른 의치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하악부 단면도.
도 5 는 치조골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도시하는 하악부 단면도.
도 6 은 종래의 골이식시술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 은 HTR 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 A 내지 D 는 본 발명의 치조골의 리지예방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치조골부 단면도.
도 9 A 내지 F 는 치조골 흡수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시술방법을 도시하는 치조골부 단면도.
도 10 A, 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치조골부 단면도.
도 11 은 도 9 와 도 10 을 동시에 결합한 실시예의 단면도 및 확대된 예시적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치조골 흡수예방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 은 도 12 실시예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 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티타니움사를 도시하는 평면도, B 도 내지 D 도는 시술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E 는 본 발명의 일부를 종래의 자가골편이식시에 본스크류대용으로 사용할 수있음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티타니움바디의 사용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 A,B 는 본 발명의 티타니움바디 사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티타니움바디 사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 은 임베딩 임플랜트와 함께 시술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 는 종래의 임플랜트시술시에 사용되는 임플랜트바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 은 종래로부터의 임플랜트를 위한 리밍작업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적합한 티타니움바디의 외관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A-A 선단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티타니움바디의 외관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 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티타니움사의 예시적인 사시도, B 도는 티타니움사의 사용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C 도는 시술한 상태에서의 티티니움사의 충전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D 도는 심하게 굴절된 치근 첨단부에 충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26 은 종래의 임플랜트 시술시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상악부의 단면도.
도 27 A 는 본 발명의 상악부에의 적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B, C 는 시술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티타니움분말의 입자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29 는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측정기준을 도시하는 치아부의 사시도.
도 30 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상악소구치부의 측정기준 및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발치이후의 치조골 흡수 현상을 발치 후,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추후에 발생할 치조골 흡수현상을 미리 예방하고 발치후, 일정기간 경과 후의 보철시술 시에 덴탈아취원형(Dental arch form)을 보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심미적인 치료를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발치 후 환자의 경제적 사정으로 인하여 즉시 임플랜트 시술을 할 수없는 경우 본 발명의 장치물을 발치와(拔齒渦) 를 통하여 즉시 넣어 둠으로써 치조골의 원형 보존(ridge protection)은 물론 차후의 임플랜트 시술시 상부 구조물만 제거 후 그 소켓 내방을 통하여 곧바로 영구적인 임플랜트를 바로 시술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발치후 아무론 조치없이 방치한 부위에는 치조골이 심하게 흡수되어 치조골이식을 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번거로운 골이식 시술을 생략할 수 있어 심미적인 보철의 시술과 치아 임플랜트에서의 치과의사의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하며 또한,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치조골 흡수현상을 사전에 줄여 안모의 변형을 최소한 줄임으로서 시술자 및 환자의 심리적인 위축을 방지하고 하는 등의 다양한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발명은 순수 티타니움(pure titanium) 혹은 티타니움합금(titanium alloy) 으로 만든 치근형의 형태를 한 것 등의 다양한 적용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치아임플랜트의 순수 티타니움금속의 인체와의 생리적인 생물적합성, 생체역학적이고도 생체기능적 골지향성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치조골 내에서 영원히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존재하며 이로 인하여 치조골은 자체 비기능적인 형태의 티타니움바디(non-functional embedding titanium temporary implant 또는 non-functional embedding titanium permanent implant)를 중심으로 그 주위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여 치조돌기의 흡수를 막아주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사상은 발치와(渦)를 통하여 즉시 해당치아의 치근형의 평균치 사이즈형으로 기존의 생물학적 적합성, 비재흡수성, 골친화적 티타니움바디를 넣는 방법으로 치조골의 치조돌기(릿지)를 보호하는 것이다.
치조골은 생리학적인 특성상, 자연치아의 소실 후, 일정기간이 경과함과 동시에 서서히 골흡수현상을 보이는데 통상 발치에 따른 치조골의 리지흡수(치조골의 생리학적인 흡수)와, 치주염에 의한 병리학적인 흡수, 치조골의 노령화에 따른 흡수 등으로 구분된다.
도 1 A,B,C 에서 와 같이, 치조골(B) 및 검(gum:G)으로부터 치아(T)의 발치이후에 치아(T)의 치근(R)이 제거된 공간부(V)에는 혈액이 응고하게 되어 응혈(Blood Clot:BC)이 잔존한 이후에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골생성유도가 생겨 골화되지만 치아를 잃을 경우 치조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골흡수 현상을 일으켜 함몰한 함몰부(S)가 유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D, E에서는 치주염에 의한 증세를 도시하고 있으며 치주염으로 인한 치아(T)주변부의 치조골(B) 흡수영역(A)이 유발되어 치아(T)가 상당히 잇몸(gum:G)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생리적 및 병리적 변화로 인하여 자연치아의 탈락 후 환자의 외모는 도 2 에서 와 같이, 치조골의 흡수와 동반하여 안모의 수축변형(RG)을 초래하여 입주위로 주름이 생긴다. 도면에서 UP 는 윗입술이다.
이로 인하여 치아탈락 후 인공보철술을 시행하더라도 그 해당 하부 치조골은 계속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악골이 작아지는 (수축) 원인이 되어 보철물의 제작을 어렵게 하거나 치열과 악궁의 형태가 부조화를 이루어 상하의 교합관계를 더욱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는 도 3 A 도에서와 같이, 탈락된 치아(ET)의 치조정상선(L)에도 불구하고 인공보철을 행하여 인공치아(AT)를 시술한 경우 치조정상선(L)까지 인공치아(AT)를 형성하여도 도 3 B 와 같이, 외관상 어색하며 자연치아의 외관재현이 어렵게 되고, 보철물의 외형을 치근형 도재로 된 관 형태로 할 수있으나 외관상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심한 치조골 흡수 후 부분 치아탈락 아취부를 보철회복 시술을 하더라도 기능이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부분의치로 인한 교합력의 과중한 편중현상으로 수축된 점막의 짧은 리지 형태로 된 흡수가 심한 부위는 통증유발의 원인이 되며,
하악부 단면을 도시하는 도 4에서 치조골(B)상에 의치플랜지(F)를 설치하고 인공치아(AT)를 시술한 경우,
의치플랜지(F) 하방의 교합부면(S)의 치조정(DC)이 산마루형상으로 구성되므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TG 는 혀이다.
특히, 상악 전치부의 4 개 이상의 치아가 발치되고, 치조골의 흡수가 심한 경우 보철수복의 어려움은 물론, 임플랜트시술도 흡수가 심한 경우 힘들게 되며 하악단면을 도시하는 도 5 에서,
하치조신경관(IC)과 치조골(B) 상면까지의 높이(H)이 작아 임플랜트의 시술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상악 전치부의 좌우 중절치 및 측절치가 탈락되는 경우, 치조골의 흡수가 심한 상태에서는 상악의 보철수복작업(bridge work)을 아무리 심미적으로 하더라도 제대로 자연치아가 있을 때의 자연아취 형상을 재현할 수 없기 때문에 골이식술과 같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상 모든 치과의사들로 하여금 심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과제로 남게 되는 것으로서 도면 6 도는 하악의 치조골(B)의 검(G)을 벌려 자가적인 골이식체(AB)를 삽입하여 다시 검(G)을 원위치시켜 봉합부(ST)에서 봉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 A 내지 D 에서는 치조골 (B)에 대하여 치아(T)가 외부충격등으로파단(F)이 유발된 경우, 발치를 수행하고(도B) 깊이 및 폭 측정용의 게이지(G)로 깊이를 측정한 후 본 발명의 티타니움바디(TB)를 삽입하여 봉합(ST)을 수행함을 보여주고 있다.
치조골의 흡수현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치근형을 넣을 수 없는 경우 도 9 A 내지 E에서와 같이, 치조골 (B)에 대하여 치아(T)를 발치하고, 깊이측정용의 게이지 (G)로 깊이를 측정한 후(도9C) 발치와(O)의 정부로부터 지름 2-3 mm의 래치리머(LR)를 이용하여 일정길이 만큼 원통형의 확장공(EO)을 형성한 후, 포스트(P)를 일체로 가지는 본 발명의 티타니움바디(TB)를 치근형의 하방부에 연장하여 삽입하고 봉합 (ST)을 수행할 수있다.
도 8 의 방법과 동일하나 도 10 에서와 같이, 치조골 릿지보호와 동시에 추후에 일어날 치아 임플랜트 시술계획과 더불어 정상적인 발치와(O)를 통하여 티타니움바디(TB)를 넣어두되, 티타니움바디(TB)를 상방에 분리되는 상방바디(TBU)와 이미 임플랜트를 위한 구조물의 형태를 취한 지지체(A) 형태의 하방바디(TBL)로 분리구성하고, 상방바디(TBU) 는 저면에 함입한 웰부(W)와 기계적인 결합을 수행하는 록킹테이퍼(LC)를 가지고, 하방바디(TBL)은 기존의 임플랜트시스템에서 처럼 상방의 포스트 (P)를 가짐으로서 후일 임플랜트시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발치와(O)를 통한 원통형의 임플랜트바디를 위한 드릴링등의 사전작업을 배제함 으로서 시술자와 환자 양자의 시간적, 경제적 부담과 드릴링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을 제거 하고 이에 필요한 각종 드릴링에 필요한 장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B 에서와 같이, 티타니움바디 (TB) 상부의 구조모양을 잇몸상부까지 연장하여 추후 임플랜트를위한 2차 시술시 마취없이 할 수있게 된다.
도 9 와 도 10 을 동시에 결합한 형태로서는 도 11 에서 와 같이, 치조골(B)의 흡수 현상과 치근 정부의 원통형의 포스트(P)을 각각 연장하여 구비하는 다른 티타니움바디(TBL,TBL')를,
상방의 티타니움바디(TBU)와 결합한 형태로 사용함 으로서 릿지보호와 치아 임플랜트를 동시에 얻고자 할 때 유용하다. 또한, 티타니움바디(TBL')의 길이와 폭 등을 서로 달리하여 치아 임플랜트의 강도를 높여 교합력에 충분히 견딜 수있도록 하여 하부 치조골의 상태에 따라 달리 이식할 수있다.
기존의 골이식재료와 함께 혼합한 티타니움분말을 사용하여 구성함 으로서 티타니움을 일종의 입자(TP)형으로서 형성하여 기존의 골이식재의 혼합제와 함께 치근형의 일정한 형태의 고형체를 사용함으로서 도 12 와 같은 티타니움바디(TB)를 구성할 수 있게 되고,
치아가 발치된 부위의 소켓 주위 치조골의 강도증대 효과를 기대하여 기존의 골이 식재료를 놓을 경우, 비재흡수성, 생물학적접합성 골친화적인 성질 때문에 골생성유도의 효과를 일으켜 조직성장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티타니움입자(TP)를 함께 넣을 경우 티타니움입자(TP)의 핵을 중심으로 치밀골이 침착생성되어 해당 부위의 골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골결합력을 증대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있다.
또한 도 13 에서와 같이, 티타니움 입자(TP1,TP2,TP3..)의 사이즈를 달리하거나 TP4 에서 처럼 입자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기존의 이식재료와 함께 도 14 에서 와 같은, 티타니움사(titaniumthreads:TT) 혹은 티타니움망(titanium mesh:TM) 형태를 결합하여 이용하는 방법으로 시술자의 조작과 경제적 이득을 높혀 주며, 미래의 실제 임플랜트를 시술할 때도 리밍작업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주위 골의 밀도를 높혀 주는 결과를 줄 수 있게 한다. 티타니움사(TT)의 경우 균일하고 조작이 용이한 정도의 굵기로서 만들어 도 14 에서 처럼, 심하게 치근의 끝이 굽은 발치와(O)로 치공구(TO)로서 응축되도록 밀어넣거나 이와 동시에 골이식성 재료를 함께 시술하여 도 14C 에서 처럼 결과를 얻을 수있다.
도 14D 는 상악치의 낮은 밀도의 치조골 내로 삽입 시술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역시 티타니움사(TT) 자체만을 응축하여 삽입하던가 또는 골이식성재료를 혼합하여 시술함을 도시한다. 또, 도 14 E 의 경우, 자가골편 (SB)이식시 골접합을 위한 티타니움나사의 사용이 불가능할 시에 티타니움사 (TT)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는 삽입공을 통하여 넣고 매듭을 지어 줌으로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된다. SB 는 날카롭게 흡수된 하악치조돌기이다.
도 15 는 이러한 개념 하에 기존의 임플랜트의 모양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지면서 발치 후 즉시 넣는 자연치아의 치근형의 외형을 그대로 재현한 일정한 크기의 평균사이즈를 가지는 치근형(unfunctional embedding imlant)의 형태의 티타니움바디(TB)로 하고 그 표면은 HA코팅 또는 TPS코팅(C)을 수행하여 치조골(B)내에 존재하게 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6 에서는 티타니움바디(B)를 투입함에 있어서, 사용에 편의성을 더하고 또 그 외형의 표면을 고정도로 연마하여 연마면(P)을 형성하여 제거에도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제거가능한 비기능성 삽입임플랜트(removable unfunctional embedding implant:본 발명에서 'RUFEI'라함)를 구현할 수 있고,
넣는 방법에 따라서는, 치조골내매몰형(surbmerge-type)과 치은외노출형(non-submerge type)으로 구분할 수있다.
이러한 형태를 응용하여 발치 후 즉시 넣어 두되, 이 다음 치아 임플랜트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종래로부터의 치아 임플랜트의 지지체(A:abutment)와 상호 호환성(도17)을 부여하도록 그 상부에 일부를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그 하부 티타니움바디 (TB)는 제거하지 아니하는 기능성임베딩임플랜트(irremovable functional embedding implant=IRFEI)
를 구현할 수도 있다.(도18)
종래의 방법으로는 도 19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치 후, 즉시 임플랜트 시술을 행할 경우 원통형의 둥근 형태로서 외방에 나사산(OT)을 가지는 임플랜트바디(IB)에 중앙부에 내부나사산(IT)에 치공구 파지용의 육각너트(N)를 삽입하여 구성하고,
그 외방에 HA코팅 또는 TPS코팅(C)등을 수행하여 구성함으로서 임플랜트의 제조시 기계적인 가공 및 시술작업이 대단히 복잡함에 의하여 제조원가의 상승과 더불어,
일반적인 환자의 발치 후, 즉시 임플랜트의 시술은 시술의 난이성과 시술시간의 연장으로 인하여 모든 치과환자 들에게도 시술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실 예로 미국의 경우 한 개의 임플랜트 시술 시, 환자의 부담이 적게는2000.00 불에서 약 3000.00 불 정도(상부보철수복료는 제외)의 비용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즉시 임플랜트를 시술하더라도 기존의 임플랜트의 경우 모든 형태가 실린더 형태의 원통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발치 후 즉시 임플랜트를 하더라도 발치와를 통하여 약간의 리밍작업을 위한 드릴링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도 20 과 같이, 각종시술장비의 사용과 치조골 내로 넣는 방법의 복잡성 등으로 인한 환자의 추가비용은 어쩔 수 없이 고가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발치 후 즉시 임플랜트 시술의 경우 정상적인 발치와인 경우 아무런 조치 없이 곧바로 IRFEI이나 RUFEI 등을 선택하여 그냥 넣어 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치과의사 및 환자에게는 일차적으로 많은 부담을 줄이고, 치조골 리지의 유지를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IRFEI 즉, 발치 후 즉시 임플랜트 시술의 경우 그 외형이 자연치아의 치근형과 유사하고 외부표면적도 크며 임플랜트바디의 외형도 실린더 형의 원통형이 아니고 중심에서 외방으로 가면서 편평한 타원형체를 형성하여 임플랜트바디의 회전도 확실히 방지되기 때문에 이상적인 임플랜트의 한 분야로 채택될 수있다.(도 21)
또한 IRFEI의 2차 시술시 일부상부가 제거되고 남은 부분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위는 도 22 에서와 같이, 외부 표면에 톱니모양의 돌출한 핀(F) 또는 비정형성의 언더컷이 부여되어 치조골과의 기계적인 결합은 물론 최대한의 외부 표면적의 증가를 도모할 수있고, 물론 HA코팅(C)이나 TPS코팅을 하여 골화작용을 부가적으로 도울 수 있다.
도 23 A 는 일정한 형태의 굵기를 가지는 티타니움재의 실같은 모양으로 형성한 티타니움사(TT)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23 C와 같이 발치와(O)를 통하여 직접 밀어넣어 압축시킬 수있을 정도의 굵기와 연성을 지니도록 하고, 부분적으로 혼합제를 혼용하여 밀도를 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티타니움사(TT) 자체의 충분한 연성으로 인하여 어떠한 치근형의 발치와(O) 이더라도 구석구석 까지 채워줄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도 23 B에서와 같이, 임플랜트재료의 임플랜트바디(IB)외방에 티타니움사(TT)을 감싸서 발치와로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4 에서와 같이, 치아의 치근형으로서 그 외형을 이루는 외부막의 형태를 굵기가 가는 티타니움사(TT)로서 직조한 티타니움망(TM)을 그물망사 형상으로 하여 치근형을 만드는 몰드에 넣고 일정한 형태로 찍어 자루형의 치근형 내에 여러 가지 골이식재료(BG)를 넣고 이것을 발치 소켓 내에 넣어둘 때 자루형의 외부막의 망사 형태는 그 외형을 유지하는 일정한 형태를 영원히 가지는 고형체를 이루면서 그 내부로는 골이식재료를 일정비율로 넣고 내부로 조직성장이 일어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주 목적은 HA 세라믹입자의 단점인 전체를 한 덩어리 형태로 조작하기 어렵고 또한 일정한 결함부에 넣고 싶어도 가루 자체가 제자리에 위치시키기가 힘들기 때문에(기존의 HA 입자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분산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입자의 형태유지를 도모하고 비산(Spray)을 막아주며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티타니움망을 발치와에 넣을 경우 차후의 치아 임플랜트를 위한 처치는 위의 IRFEI 와는 달리 새로운 임플랜트를 위한 천공은 당연히 드릴링 될 수 있도록 리밍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을 정도의 강도와 두께를 부여 하여야 하며, 기존의 어떤 형태의 임플랜트를 선택하던지 관계없이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가능 하여야 한다.
도 25 는 티타니움 플라즈마스프레이(TPS)로 만든 입자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다. 티타니움을 미세분말 형태( 직경 10-20 m)의 티타니움입자(TP)로 하여 이것을 생물학적 적합성을 가지는 혼합제(MA)와 치근형의 형태로 일정한 형태의 고형체를 미리 평균 치근형의 다양한 종류의 사이즈로 만들어 두었다가 필요 시에 발치와를 통하여 넣는 방법으로 기존의 골이식 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에 비해 훨씬 경제적이고 대량제조가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시술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유용성을 지니고 있다.
이때,가루형의 작은 분말은 일종의 뼈성장 가능성의 유도체이기보다는 생물학적 적합 재료의 성질을 이용한 단순 영구 비재흡수성 리지예방재로서 이를 중심으로 이미 알려진 대로 그 주위에 뼈일체화가 일어 나며 혼합제의 사용비에 따라 농도를 쉽게 달리 변화시킬 수 있어 임플랜트된 부분의 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뼈의 밀도를 증대하는 방법이 될 수있다.
기존의 골이식재료는 생물학적 적합성, 비재흡수성 또는 흡수성, 골생성유도기능과 보조적인 골증량체 등의 역할에 주안점을 두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골이식재료에 티타니움입자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방사선적 불투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입자의 조성비율에 따라 주위 뼈의 밀도의 차이를 기존의 방법에서보다는 비교가되지 않을 정도로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특히 도 26 에서와 같이, 상악(UB)의 뼈의 질이 나쁜( 밀도가 낮은)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뼈의 밀도가 낮은 만큼 임플랜트바디(IB)만 큰 것을 상대적으로 선택하거나, 또한 임플랜트의 길이 또한 필요 이상으로 긴 쪽을 선택하여 뼈의 밀도가 낮은 곳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되었으나,
이러한 티타니움 입자 형태를 이용할 경우 도 27 B 에서 와 같이, 임플랜트바디(IB)보다 조금 더 넓게 혹은 같은 굵기로 드릴링하여 컨덴서 등의 치공구(TL)로서 티타니움입자(TP)와혼합제(MA)를 밀어넣어 도 27 C 에서 와 같이 완전히 밀어넣고 다시 조금 더 큰 사이즈의 치공구(TL')을 사용하여 마무리를 지으면, 일종의 콘크리트화된 티타니움바디(TB)를 형성한 후에 통상적인 종래로부터의 임플랜트바디(IB)를 시술할 수 있어 주위 골조직의 질의 향상은 물론 치조골을 삭제해야 할 뼈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도 28 에서 와 같이, 티타니움분말의 입자(TP)를 미세한 구형파우더로 순수 티타니움을 고온 상태의 액상에서 고압의 분사장치를 통하여 미세한 분말 상태로 만들어서 이것을 발치와에 투입함으로써 치조골 흡수형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또한, 입자가 미세하면서도 다양한 표면처리(HA코팅:C)가 가능 하여 치조골 생성을 빨리 촉진시키며, 티타니움 입자의 핵을 중심으로 골생성효과가 고형화 되며 장기간 시간이 지나도 흡수현상을 보이지 않는다. 사용방법은 같다.
1.구형의 티타니움 입자의 파우더(=TPS powder and spherical type)자체를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2. 티타니움 입자의 파우더를 HA코팅하여 사용하는 방법
3. 티타니움 입자의 파우더를 혼합제(MA)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
PP, alphaketoglutarate, marlate 등을 각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티타니움 입자의 파우더와 HA 코팅, 혼합제를 같이 사용하는 방법
상품명 PP, alphaketoglutarate, malate 등을 각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공된 본 발명의 티타니움 고형바디의 형태의 실제 치수를 이하에서 개시한다.
RUFEI로서 각 치아가 갖는 치근의 굵기 및 설협측 평편형태로 임시 임플랜트를 심는 다면 치조골의 외형을 최대한 유지하는 형태의 폭을 가지는 양측으로 평편한 콘형상의 모양인 도 29에서 장경(LW), 단경(TW), 전체 치아길이(L)로서 표준화하고 하기의 값은 예시적으로 바람직한 것이지만 인종, 연령, 지역등에 따라서 가변되는 값을 가짐은 물론이다.
상악전치부 중절치를 위한 RUFEI 의 크기
1. 정상사이즈 장경측 폭 6.0 mm,
단경측폭 5.0mm,
전체 RUFEI 길이 12.0mm
2.스몰사이즈: 장경측 폭 5.5mm,
단경측 폭 4.5mm,
전체 RUFEI 길이 11.0mm
상악전치부 측절치를 위한 RUFEI 의 크기:
장경측 폭 4.5mm,
단경측 폭 3.5 mm
전체 RUFEI 길이 10.0mm
하악전치부: 장경측 폭 3.5mm,
단경측 폭 2.5,
전체 RUFEI 길이 11.0mm
견치: 1. 정상사이즈 장경측 폭 6.5mm,
단경측 폭 5.5mm
전체 RUFEI 길이 14.0mm
2.스몰사이즈: 장경측 폭 5.5mm
단경측 폭 4.5mm
전체 RUFEI 길이 13.0mm
하소구치: 장경측 폭 5.0mm,
단경측 폭 4.0,
전체 RUFEI 길이 10.0 mm
상소구치(UT)는 치근의 형태가 치근 끝으로 갈수록 분기화가 심하고 결국 협설측 방향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상부1/2은 표준화가 가능하나, 하부1/2은 결국 도 30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티타니움 입자 등으로 채운 뒤 상부부만 표준화 할 수밖에 없거나 분지화되는 부위를 적당한 크기의 드릴링을 하여 기존의 RUFEI 나 IRFEI 를 할 수있다. 그러나 최소한의 치근형을 위한 형태 한가지만 만들어 보편적인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1/2: 장경측 폭 5.0mm,
단경측 폭 4.0mm,
RUFEI 길이 7.0mm
하부1/2: 본 발명의 골이식 재료이용
하소구치의 범용 사용이 가능한 RUFEI 의 크기:
장경측 폭 5.0mm,
단경측 폭 4.0mm
전체 RUFEI 길이 11.0mm
상악 제1 대구치-근협측치근(mesio-buccal root : mbr), 원협측치근(disto-buccal root : dbr), 구개부측치근(palatal root : pr)등을 합친 형태로 3 union root form 의 형태나 각각 단일 치근형으로 표준화하였다.
① 3 유니온치근형(union root form) : mbr- 폭 2.0mm, mbr- 길이 5.0mm
dbr- 폭 2.0mm, dbr- 길이 5.0mm
pr- 폭 4.0mm, pr- 길이 10.0mm
②위의 경우를 각각 분리한 형태
상악 제2대구치-상동
하악제1대구치-mr,dr,등으로 2 union form 혹은 분리 한 형태
1.2 union root form: mr-장경측 폭 4.0mm,
단경측 폭 2.5mm,
길이 7.0mm.
dr-장경측 폭 4.5mm
단경측 폭 3.0mm,
길이 7.5mm
2. 각 단일 치근형single root form 은 위를 각 각 따로 분리함.
하악제2대구치- 상 동
특히 구치부의 경우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각 각의 치근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더 유리하다. 그리고 예외적인 케이스의 경우에 티타니움 입자와 파우더 시술의 형태로서 임플랜트 할 수도 있다.
또한 IRFEI와 RUFEI의 티타니움바디는 하기와 같은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우선, 헤드의 구조는 취급이 용이하도록 헤드의 상부 끝 부분에 그루우브 또는 파지할 수 있는 함입홈 등을 부여하여야 한다. 일정기간 필요 충족 조건을 다한 후 환자의 요구에 의하여 치아 임플랜트를 요구 할 시에는 제거가 용이하여야 한다. RUFEI(임시임플랜트)의 경우는 상부가 교합력의 영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둥근 구형 형태를 갖춰야 하며, 최하부의 구조 역시 둥근 외형으로 주변 치조골에 대해 최대한의 표면적을 허용하여 교합력의 분산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또한 제거에 용이 하도록 전체 표면은 고정도로 연마하여 장기간 치조골 내에 유지되더라도 치조골과 결합되지 않고 기능적인 고정된 상태만을 유지하여야 한다.
영구 임플랜트를 위하여 잠정적인 치조골 유지를 위해 넣어두었던 RUFEI 나 IREFI 의 상부구조물을 제거할 시에 해당부위의 잇몸을 통하여 그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임시 임플랜트 최상부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된 생물학적 적합성이 좋은 플라스틱재료를 흑색으로 만들어 영구 임플랜트 시술 시 육안으로 보고 위치를 확인 후 제거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제조의 복잡성등으로 인하여 동일한 티타니움 재질로 만들어도 무방하다.
IRFEI의 하부구조는 상부 제거 시에도 치조골과 확실한 결합을 위한 형태를 가져야 하며 확실한 골융합이 이루어지도록 특수 TPS 나 HA 로 코팅되고 부가적으로 기계적인 상호결합력이 부여되도록 외형을 핀형태나 다양한 그루우브형태를 부여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는, RUFEI (removable unfunctional embedding 임플랜트)를 발치 후 즉시 발치와를 통하여 넣을 둘 경우 발치 후에 따르는 자연치조골의 흡수현상을 막아 주며 오랜 세월이 지나도 하나의 고형체로서 치조골 내에 잔존하므로 보철수복을 원할히 하고 심미적 치료효과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종래와 같은 심미적 보철수복을 위하여 골이식을 시술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어떠한 치조골 수복재료 및 시술보다 저렴하며, 대량 생산에 의해 모든 발치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RFEI 경우 형태의 변화를 줄 경우 추후 실제 임플랜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임플랜트 시술을 위한 환자의 드릴링에 따르는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영구적으로 치조골 내에서 변하지 않고 체적의 변화를 주지 않기 때문에 안모의 변화를 줄여서 입가의 주름을 생기지 않으며, 나이가 들어도 젊은 모습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악의 의치 제작 시, 유지력을 높여 저작기능의 향상은 물론 의치통증유발 지점도 줄여주며, 하악의 경우 치조골흡수가 심하게 일어난 환자의 경우 하악의 의치의 제작시 어려운 점이 많았으나, 본 발명의 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의치 제작에 무리가 없어 저작능력의 상승과 함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치아발치 후 나타나는 치조골붕괴 현상을 줄여서 부정교합이 되는 원인을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골이식 시술 시 함께 시술함으로써 특히 상악골의 뼈의 질이 좋지 않은 경우 티타니움 자체에 의하여 강도와 주위의 치조골의 밀도를 높이는 결과가 되어서 임플랜트주위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바, 이는기존의 임플랜트의 이식의 경우에는 주위 뼈의 질이 좋지않을 경우 임플랜트의 넓이 자체를 크게 하여 기본적인 임플랜트의 초기 고정성 및 안정성을 얻고자 하는데 비하여 적은 양의 치조골삭제와 적당한 크기의 임플랜트의 선택으로도 안정성을 용이하게 제공한다.
부가적으로는 치아 임플랜트시스템은 치아 상실 후 곧바로 혹은 일정기간이 지난 다음 임플랜트를 하기 때문에 치조골의 처치에 대한 개념은 오직 보호의 개념보다는 필요 혹은 불필요 개념에 따라 골이식 재료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모든 환자의 발치 후에 따르는 리지보호를 필수 불가결한 조건으로 시행함을 원칙으로 할 수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모든 환자는 본 발명의 시술에 따라 간단히 발치와 더불어 시행함으로써 치조골흡수로 인한 보철물의 애로 사항이 사전에 개선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치조골흡수의 예방방과 함께 외모의 모습이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더 이상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입가의 주름살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되며,
부가하여 발치시술과 더불어 곧바로 임플랜트 시술을 할 경우 지금의 번거로운 시술자의 드릴링에 대한 환자들의 부담을 줄여주고, 시술자 또한 짧은 시간 내에 시술을 마칠 수 있다.
또 기존의 원형의 실린더 형에서 탈피하여 자연 치아의 치근형에 최대한 접근하였기 때문에 교합력에 대한 저항력 및 힘의 분산 작용이 기존의 어떠한 임플랜트 시스템보다도 뛰어나다는 유용성을 가진다.
또한, 모든 환자는 발치에 따르는 부담감과 자연치아에 대한 미련 때문에 실제 심리적으로 상당한 충격을 받게 되는 것이 사실로써,
자연치아의 소실과 동시에 수술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줌으로써 이제 치과계의 보철에 대한 개념을 자연스럽게 모든 환자에게 임플랜트와 연계하여 접근할 수 있으므로 발치에 따르는 심리적 충격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고,
실제 최근 임플랜트 시술과 더불어 많은 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경제적 부담감 또한 줄여 줄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게 심리적 부담감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등의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Claims (20)

  1. 삭제
  2. 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의 티타니움바디체로 이루어져 치근형태로 성형된 뒤 발치와에 삽입되어 치조골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바디체는 상방바디와 하방바디의 2개이상의 분리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방바디는 그 내방에 웰부 및 록킹테이퍼면을 구비하여 기계적으로 하방바디의 임플랜트용 포스트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바디는 상호 포스트와 웰부 및 록킹테이퍼면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1 개 이상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바디체는 치조골내에 매몰되거나 잇몸 외방으로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바디체와 그 분리체는 그 상단부가 내방으로 함입한 치공구 파지용의 그루우브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바디체는 그 외방 표면이 고정도로 연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바디체는 그 외방 표면이 플라즈마 스프레이(TPS)와 HA(3염기인산칼슘:tribasic calcium phosphate:hydroxylapatite)처리로 구성된 표면처리방법중에서 선택된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바디는 그 외방 표면에 핀, 그루우브 등의 치조골과의 기계적인 결합을 증대하는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의 티타니움바디체로 이루어져 치근형태로 성형된 뒤 발치와에 삽입되어 치조골의 형상을 유지시키되, 상기 티타니움바디는 티타니움분말과 협동하여 발치와를 충전시키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분말은 구형입자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분말은 플라즈마 스프레이(TPS)와 HA처리로 구성된 표면처리방법중에서 선택된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15. 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인 저연성의 티타니움사로 이루어져 발치와에 충전되어 치조골과 뼈융합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사는 골이식재료와 함께 발치와에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17. 자연치아의 치근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인 티타니움망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방에 골이식재료를 함유하여 발치와에 충전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망 내에 타티니움분말과 티타니움사가 수용되어 치근형의 형태로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사는 티타니움바디의 외주연에 권취되어 발치와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20. 제2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움바디와 상기 티타니움망은 시술지의 평균적인 표준크기로서 기성화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KR10-2001-7012881A 2000-02-21 2000-02-21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KR10042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7012881A KR100426126B1 (ko) 2000-02-21 2000-02-21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0/000135 WO2001062180A1 (ko) 2000-02-21 2000-02-21 The method and its materials for alveolar ridge protection
KR10-2001-7012881A KR100426126B1 (ko) 2000-02-21 2000-02-21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305A KR20020027305A (ko) 2002-04-13
KR100426126B1 true KR100426126B1 (ko) 2004-04-08

Family

ID=1971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881A KR100426126B1 (ko) 2000-02-21 2000-02-21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6354A (zh) * 2021-12-31 2022-04-19 北京劲松口腔医院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用于牙槽骨缺失的钛网构件及其制作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7443A (en) * 1983-04-20 1987-08-18 Boehringer Mannheim Corporation Submergible post-type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5004422A (en) * 1989-11-09 1991-04-02 Propper Robert H Oral endosteal implant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and implanting them
EP0458258A1 (en) * 1990-05-22 1991-11-27 Impladrill Limited Device for performing surgical implants
US5102414A (en) * 1988-12-10 1992-04-07 Imz Fertigungs-Und Vertriebsgesellschaft Fur Dentale Technologie Mbh Implantable fixing device for extraoral applications
US5135394A (en) * 1989-01-06 1992-08-04 Olympus Optical Co., Ltd. Extraction cavity filling memb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549677A (en) * 1991-05-13 1996-08-27 Walter Durr Implant with pressing surface
KR100279178B1 (ko) * 1998-02-27 2001-01-15 한기석 다공성치아임플랜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7443A (en) * 1983-04-20 1987-08-18 Boehringer Mannheim Corporation Submergible post-type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5102414A (en) * 1988-12-10 1992-04-07 Imz Fertigungs-Und Vertriebsgesellschaft Fur Dentale Technologie Mbh Implantable fixing device for extraoral applications
US5135394A (en) * 1989-01-06 1992-08-04 Olympus Optical Co., Ltd. Extraction cavity filling memb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004422A (en) * 1989-11-09 1991-04-02 Propper Robert H Oral endosteal implant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and implanting them
EP0458258A1 (en) * 1990-05-22 1991-11-27 Impladrill Limited Device for performing surgical implants
US5549677A (en) * 1991-05-13 1996-08-27 Walter Durr Implant with pressing surface
KR100279178B1 (ko) * 1998-02-27 2001-01-15 한기석 다공성치아임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305A (ko) 200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ell et al. A 15-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Kenney et al. The use of a porous hydroxylapatite implant in periodontal defects: I. Clinical results after six months
US8485820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ne growth
Tinti et al. Clinical classification of bone defects concerning the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US20040137406A1 (en) Immediate provisional implant
Wagner Clinical and histological case study using resorbable hydroxylapatite for the repair of osseous defects prior to endosseous implant surgery
CA2157780A1 (en) Radiopaque dental composite and materials
US20070099152A1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090202963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Chaushu et al. Anterior atrophic mandible restoration using cancellous bone block allograft
JP4350945B2 (ja) 一時的歯槽歯科準備インプラント
RU2521847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денталь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KR100426126B1 (ko) 치조골의 치조돌기 흡수예방재
de Groot Dental implants
Parr et al. Implant‐borne suture expansion in rabbits: A histomorphometric study of the supporting bone
WO2001062180A1 (ko) The method and its materials for alveolar ridge protection
KR100742306B1 (ko)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Young Porous titanium dental implants
Denissen et al. The interface of permucosal dense apatite ceramic implants in humans
Zheng et al. The influence of extraction on the stability of implanted titanium microscrews: a biomechanical and histomorphometric study.
RU2182817C1 (ru) Внутрикостный корневой остеокондуктивный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и материал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Bloc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hydroxylapatite-coated implants
Preservation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synthetic bone alloplast
US20230210638A1 (en) Dental membrane
RU2098040C1 (ru) Литая культевая штифтовая вкла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