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100B1 -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100B1
KR100426100B1 KR10-2001-0064218A KR20010064218A KR100426100B1 KR 100426100 B1 KR100426100 B1 KR 100426100B1 KR 20010064218 A KR20010064218 A KR 20010064218A KR 100426100 B1 KR100426100 B1 KR 10042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440A (ko
Inventor
여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1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데이터의 송수신 겸 전력 충전이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가 개시된다. 본 복합장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통신단자, 및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공급단자를 구비한 제1연결부를 갖는 전자책 및 제1통신단자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자 및 전력공급단자로부터 출력된 전력을 입력받는 수전단자를 구비하며 제1연결부와 결합 가능한 제2연결부, 및 수전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며, 제1통신단자 및 전력공급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을 가지며, 제2통신단자 및 수전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이고, 제2통신단자 및 수전단자는 각각 제1통신단자 및 전력공급단자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호 결합시 제1통신단자와 제1통신단자가, 그리고 전력공급단자와 수전단자가 후크 결합된다. 이러한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에 의하면, 제1통신단자와 제2통신단자를 통해 전자책과 휴대용 단말기가 상호 단단히 결합되며, 전자책의 학습내용을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된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전자책에 전송하는 것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Combination system of E-book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자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저장매체와의 결합이 용이한 전자책에 관한 것이다.
전자책은 종이에 인쇄된 도서의 내용을 전자화한 정보(이하 전자문서라 한다)를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표시장치를 통하여 보여주고,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읽고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전자문서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상업 또는 비영리로 제공되고 있으며, 전자책을 통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다운로드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취득 및 저장할 수 있다.
전자책은 전자 문서를 저장하기 위하여, 내부에 메모리 등과 같은 보조기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전자책은 인터넷에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할수 없는 야외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또는 내부 보조기록장치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때, 해당 전자문서를 저장하기 위해 외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외부 저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 기록 장치,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전자책은 휴대용 저장장치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서로의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필요하다. 전자책과 휴대용 저장장치를 동시에 안치할 공간이 부족한 야외에서는 케이블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예를 들면,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이 전자책과 휴대용 저장장치를 동시에 안치할 수 없는 공간에서 사용되는 경우, 케이블은 주변사람에 불편을 끼치게 되며, 사용자 역시 휴대 및 작동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전자책에 연결되는 휴대용 저장장치는 자체 구동을 위해 전력을 입력받는데, 이를 위해 휴대용 저장장치의 부속품이 따르게 되어 제품을 휴대하는 데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 전자책과 휴대용 저장장치를 안전하게 안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저장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의 휴대 및 연결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이 적용된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의 예를 도시한 상면도,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도,
도 4는 도 2의 제1연결부를 A-A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제2연결부를 B-B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4의 제1연결부와 도 5의 제2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전자책 42 : 제1마이콤
44 : 동작표시부 46 : 마이크
47 : 오디오 재생부 48 : 스피커
50 : 제1연결부 53 : 제1통신단자
54 : 전력공급단자 56 : 제3연결부
58 : 제4연결부 60 디스플레이장치
70 : 기록매체 80 : 휴대용 단말기
81 : 제2마이콤 82 : 연결부
83 : 제2통신단자 84 : 수전단자
85 : 저장스위치 86 : 충전부
88 : 제5연결부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통신단자, 및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공급단자를 구비한 제1연결부를 갖는 전자책, 및 상기 제1통신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력을 입력받는 수전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 가능한 제2연결부, 및 상기 수전단자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이고, 상기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는 각각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는 상호 결합시 상기 제1통신단자와 상기 제1통신단자가, 그리고 상기 전력공급단자와 상기 수전단자가 후크 결합되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상기 제2연결부는 외부 기록매체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책의 동작 상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합상태, 및 상기 결합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한다.상기 동작표시부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통신단자 및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공급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통신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력을 입력받는 수전단자를 구비한 외부 디바이스가 결합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동작 상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결합상태, 및 상기 외부 디비이스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부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을 가지고 , 상기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는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전자책에 의해 달성된다.상기 동작표시부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단자 및 전력을 입력받는 수전단자를 구비하며, 외부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및 상기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수전단자에 입력된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상기 연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기록매체가 각각 결합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통신단자와 상기 수전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전력을 상기 수전단자에 출력하는 전력공급단자를 가지며, 상기 통신단자와 상기 수전단자는 각각 상기 인터페이스단자와 상기 수전단자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및 충전을 겸한 연결부를 갖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는, 데이터로 저장된 학습 내용을 열람 및 편집할 수 있는 전자책(40), 및 전자책(40)에 결합가능하며 전자책(40)과 데이터의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80)를 갖는다.
전자책(40)은, 제1마이콤(42), 제1연결부(50), 제3연결부(56), 및 제4연결부(58)를 갖는다. 제1마이콤(42)은 데이터의 송수신, 해당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및 저장 등과 같은 전자책(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1연결부(50)는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3연결부(56)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어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제4연결부(58)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60)와 연결되어 제1마이콤(42)으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표시명령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6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50)는 제1통신단자(53), 및 전력공급단자(54)를 갖는다. 제1통신단자(53)는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력공급단자(54)는 전자책(40)에 입력되는 전력 및/또는 전자책(40) 자체의 전력을 외부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책(40)은, 제1연결부(50)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결합여부,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 전자책(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4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책(40)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부(47),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48), 및 외부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46)를 가지고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인 휴대용 단말기(80)는, 제2연결부(50), 충전부(86), 제5연결부(88), 및 제2마이콤(81)을 갖는다. 제2연결부(50)는 전자책(40)의 제1연결부(50)와 결합되며, 제2통신단자(82) 및 수전단자(84)를 갖는다. 제2통신단자(82)는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전단자(84)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전력을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통신단자(82) 및 수전단자(84)는 각각 제1연결부(50)의 제1통신단자(53) 및 전력공급단자(54)와 결합된다.
충전부(86)는 수전단자(84)가 전력공급단자(5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력공급단자(54)로부터 출력된 전력이 수전단자(84)에 수신되면, 수신된 전력을 충전하여 휴대용 단말기(80)의 동작 전력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마이콤(81)은 충전부(86)에 충전된 소정의 전력을 통해 단말기를 구동 및 작동시킨다. 제5연결부(88)는 외부 기록매체(7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마이콤(81)은 제5연결부(88)에 결합된 기록매체(7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 및 기록매체(7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제2마이콤(81)은 기록매체(70)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제2통신단자(83)와 결합된 제1통신단자(53)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이 적용된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의 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는, 전자책(40)의 상측의 양측부에 휴대용 단말기(80)가 결합되도록 제1연결부(50)가 마련되고, 전자책(40)의 우측 상단에 마련된 제1연결부(50)에는 휴대용 단말기(8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전자책(40)은 휴대용 단말기(80)의 결합 상태,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80)의 동작 상태, 및 전자책(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44)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 동작표시부(44)는 각 제품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책(40)의 외측 상부에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60),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48), 및 음성을 감지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46)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통신단자(53)와 제2통신단자(83)를 통해 전자책(40)과 휴대용 단말기(8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전자책(80)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휴대용 단말기(80)에 저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휴대용 단말기(80)에 결합된 기록매체(70)의 데이터를 전자책(40)에 전송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80)의 저면도이다. 휴대용 단말기(80)의 저면에는 전자책(40)의 제1연결부(50)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82), 및 외부 기록매체(70)가 결합되는 제5연결부(8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부(50) 및 제5연결부(88)는 각각 제1연결부(50) 및 기록매체(70)가 겸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연결부(50)와 기록매체(70)의 연결부(미도시)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80)에는 제1연결부(50) 및 기록매체(70)가 결합될 수 있는 세 개의 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80)에는 데이터를 저장할 기록매체(70)를 선택하도록 기록스위치(85)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50)에 제2연결부(82)가 결합된 상태에서 기록매체(70)에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할 경우, 기록스위치(85)가 기록매체(70)가 삽입된 제5연결부(88)를 지시할 수 있도록 기록스위치(85)를 회전시킨다.
도 4는 도 2의 A-A 선을 따른 제1연결부(50)의 단면도이다. 제1연결부(50)는 두개의 링으로 형성되어, 제2통신단자(83)와 결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단자(53), 및 제1통신단자(53)의 외부에 배치되며 수전단자(84)와 결합되어 전력을 수신 받는 전력공급단자(54)를 갖는다. 이때, 제1통신단자(53) 및 전력공급단자(54)는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도 5는 도 3의 B-B 선을 따른 제2연결부(82)의 단면도이다. 제2연결부(82)는 제2통신단자(83) 및 수전단자(84)를 갖는다. 제2통신단자(83) 및 수전단자(84)는 각각 링형상을 가지며,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2통신단자(83) 및 수전단자(84)는 제1통신단자(53) 및 전력공급단자(54)와 각각의 링이 동축적으로 상호압입 결합된다.
도 6은 도 4의 제1연결부(50) 및 도 5의 제2연결부(82)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제1통신단자(53)는 제2통신단자(82)와 상호 압입 결합되고, 전력공급단자(54)는 수전단자(84)와 상호 압입결합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 및 전력의 공급/수신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통신단자(53)와 전력공급단자(54)가 각각 제2통신단자(82)와 수전단자(84)에 결합된 상태에서, 예상치 않은 외부 충격에 따른 결합 해체를 방지하기 위해 후크 결합되도록 제1통신단자(53), 전력공급단자(54), 제2통신단자(82), 및 수전단자(84)의 단부가 링의 내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휘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통신단자와 제2통신단자를 통해 전자책과 휴대용 단말기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전자책의 학습내용을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된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전자책에 전송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력공급단자와 수전단자를 통해 전자책과 휴대용 단말기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전자책의 전력공급단자를 통해 출력된 전력을 수전단자를 통해 수신 받아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통신단자, 및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공급단자를 구비한 제1연결부를 갖는 전자책; 및
    상기 제1통신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력을 입력받는 수전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 가능한 제2연결부, 및 상기 수전단자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이고, 상기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는 각각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는 상호 결합시 상기 제1통신단자와 상기 제1통신단자가, 그리고 상기 전력공급단자와 상기 수전단자가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외부 기록매체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의 동작 상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합상태, 및 상기 결합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5. 제 4에 있어서,
    상기 동작표시부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6. 삭제
  7. 삭제
  8.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통신단자 및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공급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통신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력을 입력받는 수전단자를 구비한 외부 디바이스가 결합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동작 상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결합상태, 및 상기 외부 디비이스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부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을 가지고 , 상기 제2통신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는 상기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표시부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10. 삭제
  11.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단자 및 전력을 입력받는 수전단자를 구비하며, 외부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및 상기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수전단자에 입력된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상기 연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기록매체가 각각 결합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통신단자와 상기 수전단자는 동축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단자 및 상기 수전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전력을 상기 수전단자에 출력하는 전력공급단자를 가지며, 상기 통신단자와 상기 수전단자는 각각 상기 인터페이스단자와 상기 수전단자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삭제
KR10-2001-0064218A 2001-10-18 2001-10-18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KR10042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18A KR100426100B1 (ko) 2001-10-18 2001-10-18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18A KR100426100B1 (ko) 2001-10-18 2001-10-18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40A KR20030032440A (ko) 2003-04-26
KR100426100B1 true KR100426100B1 (ko) 2004-04-06

Family

ID=2956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218A KR100426100B1 (ko) 2001-10-18 2001-10-18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46B1 (ko) 2007-07-23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2164U (ko) 2019-03-25 2020-10-07 이사라 새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2535A1 (en) 2010-09-08 2012-03-15 Anuroop Iyengar An intelligent portable e-book/ e- reader
CN104021810A (zh) * 2013-02-28 2014-09-03 联想(北京)有限公司 可移动存储设备及用于其的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358A (ja) * 1989-03-02 1990-09-12 Nec Corp 携帯用電子ブック
JPH09319686A (ja) * 1996-05-30 1997-12-12 Hitachi Ltd 情報表示システム、メモリカード及び情報端末
JPH11126142A (ja) * 1997-10-23 1999-05-11 Nec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10060717A (ko) * 1999-12-27 2001-07-07 조영선 전자책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전화장치
JP2001216274A (ja) * 2000-02-02 2001-08-10 Citizen Watch Co Ltd 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30028207A (ko) * 2001-09-27 200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 확장 장치
KR101282194B1 (ko) * 2010-12-03 2013-07-0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Y형 페라이트 및 이로 제조된 페라이트 성형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358A (ja) * 1989-03-02 1990-09-12 Nec Corp 携帯用電子ブック
JPH09319686A (ja) * 1996-05-30 1997-12-12 Hitachi Ltd 情報表示システム、メモリカード及び情報端末
JPH11126142A (ja) * 1997-10-23 1999-05-11 Nec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10060717A (ko) * 1999-12-27 2001-07-07 조영선 전자책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전화장치
JP2001216274A (ja) * 2000-02-02 2001-08-10 Citizen Watch Co Ltd 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30028207A (ko) * 2001-09-27 200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 확장 장치
KR101282194B1 (ko) * 2010-12-03 2013-07-0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Y형 페라이트 및 이로 제조된 페라이트 성형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46B1 (ko) 2007-07-23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2164U (ko) 2019-03-25 2020-10-07 이사라 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40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1409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TWI483116B (zh) 通過標準裝置連接器的可選擇內容之傳輸
US20090011793A1 (en) Flash Memory Cell Phone With Integrated Male And Female Connectors
US20060149895A1 (en) Flash memory with integrated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wireless capability
JP2006048682A (ja) フラッシュメモリー駆動装置とデータ伝送方法
AU2006201137A1 (en) Memory module with audio playback mode
US20080274647A1 (en) Usb Data-Audio Signal Multiplexing Transmission Line
RU2001131412A (ru) Система приема,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тареи, портатив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US7466963B2 (en) Paper rack with functions of accessing and playing multimedia files
US7066392B1 (en) Multimedia connector reader device
KR100426100B1 (ko) 전자책/휴대용 단말기 복합장치
US9305594B2 (en) Cable having audio recording and play back
US7054177B2 (en) Power adapter
US20020142194A1 (en) Battery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30062882A1 (en) Extended jacket with video input and output
KR200388682Y1 (ko)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장착된 휴지걸이
CN101501608A (zh) 具有集成的公和母连接器以及无线能力的闪速存储器
US20050205278A1 (en) Cable system to exchange data
CN104137020B (zh) 包括在电源设备中的有线通信连接器
CN101356489B (zh) 键盘以及管理键盘与手持媒体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
KR100279601B1 (ko)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스테이션 장치
US20020128050A1 (en) Battery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115930U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アクセス機能付ペーパーホルダ
JP3104763U (ja) 携帯電話機用icタグ読取装置
KR20120041451A (ko)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프로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