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829B1 -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 Google Patents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829B1
KR100425829B1 KR10-1999-0063563A KR19990063563A KR100425829B1 KR 100425829 B1 KR100425829 B1 KR 100425829B1 KR 19990063563 A KR19990063563 A KR 19990063563A KR 100425829 B1 KR100425829 B1 KR 100425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device
esd protection
input buffer
diffusion layer
e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079A (ko
Inventor
배세열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6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82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5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diodes as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이하 ESD 라 함) 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집적회로에서 ESD 테스트모드(test mode) 중의 하나인 CDM(charged device model)을 고려하여 pn다이오드가 추가된 입력버퍼(input buffer)를 형성함으로써 ESD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소자의 공정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정전기방전 보호소자{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ve device}
본 발명은 정전기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이하 ESD 라함) 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ESD 테스트모드인 CDM을 고려하여 입력버퍼에 pn다이오드를 포함시키거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FPD 또는 저항을 추가하여 CDM 및 ESD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켜 반도체소자의 공정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ESD 보호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소자는 웨이퍼 상태에서 다수개가 함께 제작된 후 칩별로 절단되어 패키징되어 제조되고, 웨이퍼 상태에서나 패키지 상태에서 제조 공정중이나 운반 중에 장비나 인체에 의해 발생되는 ESD가 인가되면 순간접압 4000V 이상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소자를 파괴하게 된다.
반도체소자가 고집적화되어 갈수록 상기와 같은 ESD 에 대한 소자의 파괴방지를 위한 대항방법이 설계상으로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내부회로 손상은 정전기 방전때 입력단자를 통해 주입된 전하가 내부회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다른 단자로 빠져나가면서 일으키는 주울(Joule)열로 인해 취약한 곳에서 정션 스파이킹(junction spiking), 산화막 균열(rupture) 현상 등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전기방전때 주입된 전하가 내부회로를 통하여 빠져나가기 전에 입력 단에 주입된 전하를 곧바로 전원공급 단자 쪽으로 방전시킬 수 있는 정전기방전 보호회로를 삽입하여야만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반도체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 단자 같은 경우는 특별하게 정전기방전 보호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풀 업(pull up)/풀 다운(pull down) 트랜지스터 자체를 정전기방전 보호용 트랜지스터로 같이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풀 업/풀 다운 트랜지스터를 정전기 방전에 대비해 강하게 설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소자의 출력단자에 정전기가 방전되었을 때 트랜지스터 자체가 튼튼하게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 회로자체가 파괴되어 이로 인해 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발생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신뢰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designer)들은 반도체의 임의의 핀이 정전기에 노출되었을 때 내부회로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핀에다 Vss 또는 Vcc 파워 핀으로 전하(charge)를 바로 방전시킬 수 있는 회로를 삽입하고, 그것 또한 ESD 에 강하게 설계하게 된다.
기존의 인체모델(human body model, 이하 HBM이라 함)과 기계모델(machine model, 이하 MM이라 함)에서는 고전압 제너레이터(high voltage generator)에서 발생된 정전기 전하를 입력 핀 또는 출력 핀으로 주입(injection)시켜 곧바로 파워 핀(Vcc, Vss)으로 방전시켜주는 메카니즘이다. 따라서, 정전기 전하의 주입과 방전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입력 핀 또는 출력 핀에서 파워 핀으로 빨리 빠져나갈수록 소자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현재 집적회로가 고속화됨에 따라 핀에서 요구되는 기생정전용량은 계속적인 제한이 되면서도 소자의 신뢰성 측면인 ESD의 요구는 더 엄격하게 적용이 되어 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생정전용량이 작아짐에 따라서 ESD 능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최적화된 ESD회로를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HBM, MM에 이어서 CDM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집적회로의 신뢰성을 위하여 CDM에 대한 능력을 올려아 될 필요가 있게 되었으나, CDM의 경우에진동(oscillation)되는 주파수(frequency)가 높아서 전류 및 전압의 오름시간(rise-time)이 상당히 짧은 편이다. 이로 인하여 MM, HBM의 ESD를 위하여 필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field bipolar transistor) 등을 사용하여 ESD 보호능력을 가지게 하지만 CDM의 오름시간이 짧아 애벌런치항복(avalanche breakdown)이 일어나기 전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입력버퍼(input buffer)쪽의 게이트 산화막에 손상을 받게 된다. 그래서 기존의 경우 CDM을 위하여 입력버퍼쪽에 FPD(field plated diode)를 사용하지만 입력버퍼의 개수가 많은 경우 그 위치선정에 있어서 제한을 받게 되며, CDM에 대한 고려를 미리하지 않은 경우 FPD의 입력버퍼쪽에 연결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CDM에 따른 최적화가 어렵게 된다. 또한 2차적인 ESD 보호소자인 FPD를 입력버퍼의 가까운 부분에 레이아웃을 하려고 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반도체소자가 고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가 계속적으로 얇아진다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n다이오드가 추가된 입력버퍼가 구비된 ESD 보호회로에 저항 또는 pn다이오드를 추가하여 반도체기판에 포지티브 차지가 있는 경우 순바이어스가 되어 방전되게 하고, 네가티브 차지가 있는 경우에는 또 다른 pn다이오드를 통해 방전하게 하여 정전기방전시 입력버퍼의 게이트절연막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하고, CDM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ESD 보호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정기 보호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보호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보호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보호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입력패드 20 : 1차 ESD보호소자
30, 60 : 저항 40 : 2차 ESD보호소자
50 : 입력버퍼 51 : p웰
52 : n웰 가드링 53, 55 : n+확산층
54 : p+확산층 70 : pn다이오드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소자는,
p웰 상부에 게이트 전극과 n+ 확산층으로 형성된 소오스/드레인영역으로 구성되는 입력버퍼와,
상기 입력버퍼의 양측에 상기 입력버퍼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n+ 확산층 및 접지단에 연결되는 p+ 확산층으로 구성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n+확산층과 연결되는 p+확산층과 전원단에 연결되는 n+확산층으로 구성되는 n웰가드링이 구비되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소자는,
입력패드와 전원단 및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는 1차 ESD보호소자와,
상기 입력패드와 입력버퍼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과,
상기 저항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2차 ESD보호소자가 구비되는 ESD보호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퍼에 3차 ESD보호소자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소자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정기 보호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입력패드(10)와 전원단 및 접지단에 연결되는 1차 ESD보호소자(20)와, 상기 입력패드(10)와 입력버퍼(50) 사이에 저항(30)이 구비되고, 상기 저항(30)과 연결되어 있는 입력버퍼(50)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입력버퍼(50)는 p웰(51) 상부에 게이트 전극과 n+소오스/드레인(55)으로 형성되고, 상기 p웰(51)의 가장자리는 n웰 가드링(5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n웰 가드링(52)에는 상기 입력버퍼(50)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p+확산층(54)과 전원단(Vcc)과 연결되는 n+확산층(5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n웰 가드링(52) 내의 p+확산층(54)은 네가티브 전하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n웰 가드링(52) 및 p+확산층(54)이 모두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버퍼(50)의 양측에 pn다이오드(70)가 구비된다. 상기 pn다이오드(70)는 접지단(Vss)에 연결되는 p+확산층(54)과 입력버퍼(50)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n+확산층(55)으로 형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보호회로도로서, 입력패드(10)과 접지단 또는 전원단에 연결되는 1차 ESD보호소자(20)와, 상기 입력패드(10)와 입력퍼버(50)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30)과,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pn 다이오드(70)를 포함하는 입력버퍼(50)가 구비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보호회로도로서, 도 2 의 구조에서 저항(30)과 입력버퍼(50) 사이에 2차 ESD보호소자(40)인 FPD(field plated diode)가 구비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보호회로도로서, 도 3 의 구조에서 2차 ESD보호소자(40)와 입력버퍼(50) 사이에 저항(60)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저항(30, 60)들은 10 ∼ 500Ω의 크기를 갖으며, 활성영역(active region)을 이용한 디퓨젼(diffusion) 저항 또는 다결정실리콘(polysilicon)이나 실리사이드(silicide)를 이용한 저항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ESD 보호소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집적적인 방법으로 충전(charge)시키는 경우 파워핀(power pin)을 통하여 충전되고, 만약 포지티브(positive) 전압을 충전한 다음 해당 핀을 통하여 방전(discharge)시키는 경우, p웰(51)에서 pn다이오드(70)를 구성하는 n+확산층(55)을 통한 전하의 흐름이 저항이 가장 작다. 이때, 게이트 산화막을 통해 전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저항이 커서 패스(path)가 형성되기 어렵다.
이러한 방법으로 입력버퍼(50)를 둘러싸고 있는 혹은 좌우에 있는 pn다이오드(70)를 통하여 CDM 방전 패스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소자는, 고집적회로에서 ESD 테스트모드 중의 하나인 CDM을 고려하여 pn다이오드가 추가된 입력버퍼를 형성함으로써 ESD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소자의 공정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p웰 상부에 게이트 전극과 n+ 확산층으로 형성된 소오스/드레인영역으로 구성되는 입력버퍼와,
    상기 입력버퍼의 양측에 상기 입력버퍼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n+ 확산층 및 접지단에 연결되는 p+ 확산층으로 구성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n+확산층과 연결되는 p+확산층과 전원단에 연결되는 n+확산층으로 구성되는 n웰가드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웰가드링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웰가드링을 구성하는 p+확산층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4. 입력패드와 전원단 및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는 1차 ESD보호소자와,
    상기 입력패드와 입력버퍼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과,
    상기 저항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2차 ESD보호소자가 구비되는 ESD보호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퍼에 3차 ESD보호소자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ESD보호소자는 pn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10 ∼ 500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활성영역(active region)을 이용한 디퓨젼(diffusion) 저항 또는 폴리실리콘이나 실리사이드를 이용한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ESD보호소자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ESD보호소자와 입력버퍼 사이에 상기 저항과 같은 크기를 갖는 또 다른 저항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소자.
KR10-1999-0063563A 1999-12-28 1999-12-28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KR10042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563A KR100425829B1 (ko) 1999-12-28 1999-12-28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563A KR100425829B1 (ko) 1999-12-28 1999-12-28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079A KR20010061079A (ko) 2001-07-07
KR100425829B1 true KR100425829B1 (ko) 2004-04-03

Family

ID=1963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563A KR100425829B1 (ko) 1999-12-28 1999-12-28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5903B2 (ja) 2002-08-02 2007-11-2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入力保護回路
KR100725361B1 (ko) * 2005-02-24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에스디 보호 소자 및 파워 클램프를 구비하는 멀티 파워블록형 집적 회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4164A (ja) * 1983-06-03 1984-12-17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4757363A (en) * 1984-09-14 1988-07-12 Harris Corporation ESD protection network for IGFET circuits with SCR prevention guard rings
KR19980034065A (ko) * 1996-11-05 1998-08-05 문정환 정전기 보호용 씨모스
KR19980084458A (ko) * 1997-05-23 1998-12-05 김영환 정전기 보호용 반도체장치
US5901022A (en) * 1997-02-24 1999-05-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 Charged device mode ESD protection circuit
KR19990061127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esd 보호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4164A (ja) * 1983-06-03 1984-12-17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4757363A (en) * 1984-09-14 1988-07-12 Harris Corporation ESD protection network for IGFET circuits with SCR prevention guard rings
KR19980034065A (ko) * 1996-11-05 1998-08-05 문정환 정전기 보호용 씨모스
US5901022A (en) * 1997-02-24 1999-05-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 Charged device mode ESD protection circuit
KR19980084458A (ko) * 1997-05-23 1998-12-05 김영환 정전기 보호용 반도체장치
KR19990061127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esd 보호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079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2379A (en) Low voltage turn-on SCR for ESD protection
US5615073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CN108701693B (zh) 用于静电放电保护的嵌入式pmos触发可控硅整流器
US5744842A (en) Area-efficient VDD-to-VSS ESD protection circuit
US8049250B2 (en) Circuit and method for power clamp triggered dual SCR ESD protection
US5895940A (en) Integrated circuit buffer devices having built-i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thyristors
KR100290917B1 (ko) 이에스디(esd) 보호회로
US7907373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circuit
US5930094A (en) Cascoded-MOS ESD protection circuits for mixed voltage chips
US5406105A (en) Electro static discharge protecting circuit
US6479872B1 (en) Dynamic substrate-coupled electrostatic discharging protection circuit
US9728512B2 (en) Electro static discharge clamping device
JPH0855958A (ja) 静電破壊保護回路
US7145204B2 (en) Guardwall structures for ESD protection
US20040089909A1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improved esd protection
US20050110092A1 (en) CMOS silicon-control-rectifier (SCR) structur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US6323523B1 (en) N-type structure for n-type pull-up and down I/O protection circuit
US7068482B2 (en) BiCMOS electrostatic discharge power clamp
US7638847B1 (en) ESD protection structure
KR100504203B1 (ko) 반도체장치의 보호소자
KR100425829B1 (ko)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US6707653B2 (en) Semiconductor controlled rectifier for use i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Ker ESD protection for CMOS output buffer by using modified LVTSCR devices with high trigger current
KR20000066799A (ko) 정전기방전 보호소자 및 그 레이아웃
KR100334863B1 (ko) 반도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