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287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287B1
KR100425287B1 KR10-2001-0055548A KR20010055548A KR100425287B1 KR 100425287 B1 KR100425287 B1 KR 100425287B1 KR 20010055548 A KR20010055548 A KR 20010055548A KR 100425287 B1 KR100425287 B1 KR 10042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output signal
power
low
over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187A (ko
Inventor
유정호
서종원
Original Assignee
기가텔레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가텔레콤 (주) filed Critical 기가텔레콤 (주)
Priority to KR10-2001-005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2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0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lso responsive to under-voltage

Landscapes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전기, 핸드프리기 및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수단; 상기 전원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압으로 판단될 경우 “하이”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저전압으로 판단될 경우 “로우”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전압비교수단; 상기 전원입력수단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하이”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전압비교수단의 출력신호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하는 폴링 엣지 펄스일 경우에는 일정 지연 시간 이후에 “로우”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전압비교수단의 출력신호가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변하는 라이징 엣지 펄스일 경우에는 시간 지연을 두지 않고 “하이”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펄스지연수단; 상기 펄스지연수단의 출력신호가 "로우"상태이면 상기 전원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그대로 출력하며, 상기 펄스지연수단의 출력신호가 "하이"상태이면 상기 전원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에서 스위칭된 출력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기전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과전압 입력으로부터 보호되며, 과전압 차단 후에 사용 부품을 교체하는 불편이 없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Apparatus for intercepting overvoltage with mobile-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이외의 충전기, 핸드프리기,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유기되는 과전압 입력을 차단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휴대시의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의 전압은 보통 최대 4.2V 정도를 사용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회로는 일반적으로 5V 이상의 전압 입력 시에는 소자들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110V/220V AC 또는 12V 등의 전원을 사용하여 DC/DC 변환기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핸드프리기 및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의 과전압 입력으로부터 보호를 하는 회로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전원입력수단(10)은 충전기, 핸드프리기 및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며, 이 외부 전원은 전원연결수단(20)과 과전압보호수단(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기전원수단(40)으로 입력된다. 이때, 전원연결수단(20)은 퓨즈(Fuse)로 구성되며, 과전압보호수단(30)은 제너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전원입력수단(10)에 과전압이 입력될 경우 과전압보호수단(30)의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 이상의 전압에 대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 과전류는 전원연결수단(20)의 퓨즈를 끊어지게 하여 결과적으로 과전압을 차단하는 역활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전압 차단 장치는 과전압 입력 시에 퓨즈가 끊어지게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부의 과전압 입력으로부터 보호하였으나, 과전압 입력에 의해 퓨즈가 끊어지면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퓨즈를 교체해야 되며 퓨즈가 끊어지기 직전에 순간적으로 과전압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로 입력될 가능성이 있어서 내부 소자들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과전압 입력 시에 퓨즈를 사용하지 않고 과전압 자체를 미리 차단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과전압 입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입력수단 200 : 전압비교수단
300 : 펄스지연수단 400 : 스위칭수단
500 : 단말기전원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충전기, 핸드프리기 및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입력수단; 상기 전원입력수단의 외부 전원 입력을 감지하여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전압비교수단; 상기 전압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변동되는 펄스 지연된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펄스지연수단; 상기 펄스지연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수단의 전원을 스위칭하며, 상기 펄스지연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에서 스위칭된 출력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기전원수단을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압비교수단은 상기 전원입력수단에서 전송되는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과전압으로 판단될 경우 “하이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저전압으로 판단될 경우 “로우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펄스지연수단은 폴링 엣지의 펄스 지연 수단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펄스지연수단은 상기 전원입력수단에 전압이 인가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하이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전압비교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변하는 폴링 엣지 펄스(Falling Edge Pulse)에 대해서 일정 지연 시간 이후에 “로우 ”상태로 변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펄스지연수단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변하는 라이징 엣지 펄스(Rising Edge Pulse)에 대해서는 시간 지연을 두지 않고 “하이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원입력수단(100), 전압비교수단(200), 펄스지연수단(300), 스위칭수단(400) 및 단말기전원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전압비교수단(100)은 충전기, 핸드프리기 및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며, 전압비교수단(200)은 전원입력수단(100)의 외부 전원 입력을 감지하여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기준 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입력될 경우 “하이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정상적인 전압일 경우 “로우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폴링 엣지의 펄스지연수단(300)은 전원입력수단(100)에 전압이 인가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하이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전압비교수단(200)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변하는 폴링 엣지 펄스(Falling EdgePulse)에 대해서 일정 지연 시간(Delay Time) 이후에 “로우 ”상태로 변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변하는 라이징 엣지 펄스(Rising Edge Pulse)에 대해서는 시간 지연(Time Delay)을 두지 않고 바로 “하이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스위칭수단(400)은 펄스지연수단(300)의 출력신호가 “로우 ”상태 일 때 전원입력수단(100)의 전원을 단말기전원수단(500)에 공급하며, 펄스지연수단(300)의 출력신호가 “하이 ”상태일 때는 전원입력수단(100)의 전원을 차단하여 단말기전원수단(500)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전원입력수단(100)에 전원이 입력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펄스지연수단(300)의 출력신호가 “하이 ”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칭수단(400)을 통해 전원입력수단(100)의 전원이 차단되며, 정상적인 전압이 입력된 경우 펄스지연수단(300)이 일정 지연 시간 이후에 “로우 ”상태로 변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 지연 시간 이후에 단말기전원수단(5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킨다. 한편, 입력 전압이 과전압일 경우에는 펄스지연수단(300)의 출력신호가 시간 지연을 두지 않고 바로 “하이 ”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바로 단말기전원수단(500)의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입되는 과전압 입력 자체를 미리 차단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과전압 입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과전압 보호회로 동작 후에 사용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충전기, 핸드프리기 및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수단;
    상기 전원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압으로 판단될 경우 “하이”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저전압으로 판단될 경우 “로우”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전압비교수단;
    상기 전원입력수단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하이”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전압비교수단의 출력신호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하는 폴링 엣지 펄스일 경우에는 일정 지연 시간 이후에 “로우”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전압비교수단의 출력신호가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변하는 라이징 엣지 펄스일 경우에는 시간 지연을 두지 않고 “하이”상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펄스지연수단;
    상기 펄스지연수단의 출력신호가 "로우"상태이면 상기 전원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그대로 출력하며, 상기 펄스지연수단의 출력신호가 "하이"상태이면 상기 전원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에서 스위칭된 출력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기전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55548A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KR10042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48A KR100425287B1 (ko)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48A KR100425287B1 (ko)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187A KR20010099187A (ko) 2001-11-09
KR100425287B1 true KR100425287B1 (ko) 2004-03-30

Family

ID=1971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548A KR100425287B1 (ko)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380B1 (ko) * 2003-12-05 2005-09-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기기의 과전압 보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3598A (en) * 1988-09-20 1991-08-27 Tdk Corporation High voltage supply having a voltage stabilizer
KR950010315A (ko) * 1993-09-28 1995-04-28 김광호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써플라이
KR20000044239A (ko) * 1998-12-30 2000-07-15 박태진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과전압 보호회로
JP2001136654A (ja) * 1999-11-11 2001-05-18 Nissin High Voltage Co Ltd パルス電源保護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3598A (en) * 1988-09-20 1991-08-27 Tdk Corporation High voltage supply having a voltage stabilizer
KR950010315A (ko) * 1993-09-28 1995-04-28 김광호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써플라이
KR20000044239A (ko) * 1998-12-30 2000-07-15 박태진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과전압 보호회로
JP2001136654A (ja) * 1999-11-11 2001-05-18 Nissin High Voltage Co Ltd パルス電源保護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187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441A (en) Circuit for protecting DC powered devices from improper supply voltages
JPH08140260A (ja) 電源装置
US841659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over-current prote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9842102B (zh) 一种过载短路保护电路及装置
KR1004252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US2009016725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control circuit
US5726853A (en)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telephone test set
KR100600368B1 (ko) 단말기의 과전압 방지 회로
US6597554B2 (en) Overvoltage protector of a burn-in board
KR100536577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서지/돌입 전류 제한 회로
KR100537553B1 (ko)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KR100636526B1 (ko) 단말기의 과전압 및 과전류 방지 회로
KR20040107694A (ko) 단말기의 과전압 차단 장치
KR100632107B1 (ko) 비정상 전원 인가 경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9980084238A (ko) 과전압 보호 회로
US7054124B2 (en) Method for switching over a reference voltage potential for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KR200321222Y1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19980046091A (ko) 과전압 차단회로
US5912793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PU from being damaged by overrating voltage or overrating current
KR20040096362A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19990020360A (ko) 키폰전화기의 전원 보호회로
KR100469437B1 (ko) 과전압 보호회로
KR19980057257U (ko)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보호 안정화회로
KR20060074464A (ko) 저전력 고입력 전압 특성을 갖는 비교기를 이용한 과전압보호장치
KR100347174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장치의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