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732B1 -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 Google Patents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732B1
KR100424732B1 KR10-2001-0003255A KR20010003255A KR100424732B1 KR 100424732 B1 KR100424732 B1 KR 100424732B1 KR 20010003255 A KR20010003255 A KR 20010003255A KR 100424732 B1 KR100424732 B1 KR 100424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
primer
electric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027A (ko
Inventor
석명호
Original Assignee
석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명호 filed Critical 석명호
Priority to KR10-2001-000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7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7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약의 발파에 사용되는 발파기에 접속된 모선, 보조 모선 및 모선과 전기뇌관 사이에 접속되는 각선을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선 접속구는 한 쌍의 각선, 한 쌍의 각선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접속구 및 한 쌍의 각선중 나머지 하나의 각선에 연결되는 제2 접속구를 구비한다. 제1 접속구는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1 단면부의 중심부에 제1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도통되는 접합돌기를 구비하고, 제2 접속구는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2 단면부의 외주면에 제1 접속구와 체결되기 위한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접속구가 체결되어 한 쌍의 각선이 도통되도록 제2 단면부의 중심부에 제2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접속되는 접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선이나 모선의 결선시 각선, 모선 및 전기뇌관의 관체가 작업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고 결선을 할 수 있어 인체의 정전기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누설전류 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누설전류나 지전류 등에 의한 폭발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Wire Connector for Electric Detonator and Firing Line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약의 발파 등에 사용되는 발파기에 접속된 모선과 모선 및 전기뇌관 사이에 접속되는 각선을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해체나 건설 공사 등에 폭약의 발파 작업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이 때, 전기뇌관에 연결되는 각선이나 발파기에 연결되는 모선은 발파 작업을 위해 전선 단부의 피복을 박리해야 한다. 박리된 각선이나 모선은 다른 전기뇌관의 모선, 각선, 보조 모선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각선 등의 연결 부위는 물 또는 습기가 많은 터널 등의 장소에서는 지전류 또는 누설전류에 대해 노출될 염려가 많아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특히 폭약에 전기뇌관을 설치하는 작업자와 전기뇌관의 관체가 직접 접촉된 경우 더욱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각선 등의 연결시 보통 작업자의 손을 통해 여러 회 꼬아서 사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경우 물이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는 작업자의 신체 부분과 각선 등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가 접촉하여 정전기 등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 폭발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그리고, 각선은 그 굵기가 가늘기 때문에 현장 작업원의 실수로 결선의 누락이 생기는 경우 결선 부위를 찾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그밖에도, 작업중 비나 눈이 오면 하던 작업을 중지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때도 피복이 벗겨진 각선 부위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매우 위험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선이나 모선의 결선시 각선이나 모선이 작업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결선 할 수 있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누설전류 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에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접합돌기 및 접합부의 제1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접합돌기 및 접합부의 제2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접합돌기 및 접합부의 제3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접합돌기 및 접합부의 제4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도 6 및 도 7의 탄성 도체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선 접속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전기뇌관을 직렬연결하여 발파 작업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선 접속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전기뇌관을 병렬 연결하여 발파 작업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선 접속구 및 모선의 연결을 위한 모선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모선 접속구를 사용하여 모선과 각선의 연결을 완료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도 13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에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각선 접속구 및 모선의 연결을 위한 모선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A 및 1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단면도이다.
도 20A 내지 20D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0', 110" : 전기뇌관 120 : 각선 접속구
130, 130' : 각선 140, 140', 140", 210 : 제1 접속구
150, 150', 150", 220 : 제2 접속구
131 : 제1 단면부 132 : 제2 단면부
141 : 접합돌기 142 : 제2 결합부
143 : 제1 콘택부 144 : 돌기부
145 : 제1 탄성도체 146 : 제3 탄성도체
148 : 돌출부 149 : 용접부
151 : 접합부 152 : 제1 결합부
153 : 기둥체 154 : 제2 콘택부
155 : 체결홈 156, 158 : 밀봉면
157A, 157B, 157C, 157D : 체결돌기
159 : 제2 탄성도체 160 : 고리
162 : 도체 도금부 163 : 결선부
170 : 발파기 171 : 캡
172 : 중간 접속구 173 : 각선 접속부
174 : 접합부 175 : 결합부
176 : 내장 전선 177 : 캡 연결부
178 : 동공 179 : 모선
180 : 모선 접속구 190 : 병렬 접속구
191 : 제3 접속구 192 : 제4 접속구
193, 194 : 전선 195 : 제5 접속구
196 : 제6 접속구 212 : 제1 지지부
213 : 제1 이동성 도체부 214, 224 : 제1 걸림편
215, 225 : 제2 걸림편 216 : 탄성 도체
217 : 기둥 218 : 도체 도금부
219 : 탄성체 221 : 제1 결합부
222 : 제2 지지부 223 : 제2 이동성 도체부
226 : 요홈 227 : 각선 접속부
228, 236 : 지지부 229 : 제3 이동성 도체부
230 : 고리 231 : 고정홈
232 : 패킹 233 : 패킹홈
237 : 이동성 도체부 238 : 제1 걸림편
239 : 제2 걸림편 14, 210' : 제1 보조 접속구
15, 220' : 제2 보조 접속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는 폭약을 폭파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뇌관을 직렬 결선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뇌관 각각에 구비되는 각선 접속구로서, 상기 전기뇌관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각선과,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어느 하나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접속구와,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나머지 하나의 각선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접속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1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도통되는 접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2 단면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 및 타 전기뇌관의 제2 접속구가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접합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각선이 도통되도록 상기 제2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2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접속되는 접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뇌관의 직렬 결선시 이웃하는 전기뇌관에 구비된 각선 접속구의 제1 및 제2 접속구가 교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의 외형은 상호 결합하여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합돌기 및 접합부의 구성은 한 쌍의 각선을 도통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뇌관(110)에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120)가 연결된다. 각선 접속구(120)는 전기뇌관(110)에 연결되는 한 쌍의 각선(130,130')과 상기 한 쌍의 각선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로 구성된다. 즉, 전기뇌관(110)에 연결된 각선(130)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구(140) 및 전기뇌관(110)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각선(130')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구(1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1 접속구(140)와 제2 접속구(150)는 상호 체결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구조의 각선 접속구(120)를 복수개 연결함으로써 발파 작업을 위한 뇌관(110)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접속구(140)는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연장 또는 접속되도록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제1 접속구(140) 끝단의 평면부인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도전성의 접합돌기(141)를 구비하고, 제2 접속구(150)는 당해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가 삽입되는 제2 접속구(150) 끝단의 평면부인 제2 단면부(132)의 중심부에 접합부(151)를 구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가 결합하는 경우 접합돌기(141)와 접합부(151)가 접촉하여 한 쌍의 각선(130,130')이 서로 도통하도록 한다. 접합부(151)에는 용접이나 도금처리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폭파 작업을 위해 각선(130, 130')을 땅 속에 매설하는 경우 각선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각선의 절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테스터를 사용하여 각선의 도통 여부를 시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선 접속구에 의하면 도통 시험시 테스터의 두 단자를 제1 접속구(140)의 접합돌기(141)와 제2 접속구(150)의 접합부(151)에 접촉하여 각선의 도통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통 시험이란 수 ㎃ 정도의 약한 전류를 전선을 통해 흘려보냄으로써 뇌관을 폭발시키지 않고서도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만약 연결이 잘못되었거나 전선이 끊어진 부분이 있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도통 테스터에서 전류값이 측정되지 않게 되며, 이로부터 회로의 이상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도통 시험 결과 이상이 발견되면 잘못된 부분을 정정한 후에 발파를 실시함으로써 발파가 실패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발파가 실패되어 전기뇌관 중 일부만 폭발된 경우에는 발파현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불발된 전기뇌관이 폭발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발파시 불발 뇌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통 시험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접속구(140)의 접합돌기(141)와 제2 접속구(150)의 접합부(151)를 도통 시험시의 접점으로 이용함으로써 도통 시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파 작업 및 그 후처리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의 사시도이다.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는 외부 전류를 차단하여야 하므로 절연물질이 재질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의 습기나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가 결합하여 밀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2 접속구(150)의 제2 단면부(132) 외주면에 제1 결합부(152)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152)에 의한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의 체결 방법은 후술할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에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선 접속구의 미사용시 보관의 용이함이나 외부의 누설전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고리(160)를 사용하여 제1 접속구(140)에 추가로 제2 접속구(15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제1 보조 접속구(14)를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제2 접속구(150)에는 제1 접속구(14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제2 보조 접속구(15)를 추가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 예 1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접합돌기(141) 및 접합부(151)의 제1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접속구(140)에는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형성한 접합돌기(141) 단부까지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연장되어 삽입되고, 접합돌기(141) 단부에 제1 콘택부(143)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접속구(150)는 제1 접속구(140)의 접합돌기(141)와 접합부(151)가 어긋나지 않고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155)을 구비하고 있다. 체결홈(155)은 제2 단면부(132)와 동심이고 그 지름이 제2 단면부(132)보다 작으며, 접합돌기(141)가 압박 삽입될 수 있도록 접합돌기(141) 외경 이하의 크기로 중심부가 비어 있는, 접합부(151)가 노출된 형태의 기둥체(153)를 제2 단면부(132) 상에 추가로 형성하므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각선의 도통 시험을 위해 제2 접속구(150)의 기둥체(153)에 접합부(151)로부터 연장되는 제2 콘택부(154)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테스터의 두 단자를 제1 접속구(140)의 제1 콘택부(143)와 제2 접속구(150)의 제2 콘택부(154)에 접촉하여 각선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는 외부 전류를 차단하여야 하므로 절연물질이 재질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의 습기나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는 결합하여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제1 접속구(140)의 제1 단면부(131) 외주면에 제2 결합부(142)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를 체결하였을 때접합돌기(141)와 체결홈(155), 제2 결합부(142)의 단부와 제1 결합부(152)의 단부인 밀봉면(156)이 상호 체결되어 밀봉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변형 예 2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접합돌기(141) 및 접합부(151)의 제2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접속구(140)는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연장 또는 접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접합돌기(141)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접속구(150)는 당해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가 삽입되는 제2 단면부(132)의 중심부에 접합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접합돌기(141)와 접합부(151)의 체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2 단면부(132) 상의 접합부(151) 둘레에 다수의 체결 돌기(157A, 157B, 157C, 157D)를 구비한다. 다수의 체결 돌기(157A, 157B, 157C, 157D)에 의해 이루어지는 체결홈의 둘레는 접합돌기(141)의 두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체결 돌기(157A, 157B, 157C, 157D) 각각은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하므로써 제1 접속구(140)와 제2 접속구(150)의 체결시 다수의 체결 돌기(157A, 157B, 157C, 157D)가 접합돌기(141)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는 외부 전류를 차단하여야 하므로 절연물질이 재질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의 외형은 결합하여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방법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 예 3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접합돌기(141) 및 접합부(151)의 제3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접속구(140)는 제1 접속구(140)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접속되는 제1 탄성 도체(145)를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구비하고, 제2 접속구(150)도 당해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에 접촉되는 제2 탄성 도체(159)를 제2 단면부(132)의 중심부에 구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가 결합하는 경우 제1 탄성 도체(145)와 제2 탄성 도체(159)가 접촉하여 한 쌍의 각선(130,130')이 서로 도통하도록 한다.
도통 테스트 시에는 테스터의 두 단자를 제1 탄성 도체(145) 및 제2 탄성 도체(159)에 접촉하여 각선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는 외부 전류를 차단하여야 하므로 절연물질이 재질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의 습기나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의 외형은 결합하여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 예 4
도 7은 도 1의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에서 접합돌기(141) 및 접합부(151)의 제4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1 접속구(140)는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접속되는 제3 탄성 도체(146)를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구비하고, 제2 접속구(150)는 당해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에 형성되는 접합부(151)를 제2 단면부(132)의 중심부에 구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가 결합하는 경우 제3 탄성 도체(146)와 접합부(151)가 접촉하여 한 쌍의 각선(130,130')이 서로 도통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3 탄성 도체(146)의 길이는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의 결합시 접합부(151)와 접촉할 수 있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하여야 한다.
도통 테스트시에는 테스터의 두 단자를 제3 탄성 도체(146) 및 접합부(151)에 접촉하여 각선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습기나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의 외형은 결합하여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탄성 도체부(A)의 상세 단면도로서, 제1 접속구(140)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선(130)과 탄성 도체(145, 146)의 접속은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선(130)을 제1 접속구(140)를 관통하여 제1 단면부 표면까지 삽입하고 탄성 도체(145, 146)와 접촉되도록 한 후, 각선(130)과 탄성 도체(145, 146)의 접촉부에용접을 실시하여 형성된 용접부(149)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구(140)의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돌출부(148)를 형성하고 각선(130)을 돌출부(148) 표면까지 삽입한 후, 돌출부(148)의 상면에 각선(130)과 접속되도록 도체 도금부(162)를 형성하고 도체 도금부(162)의 상면에 탄성 도체(145, 146)를 접속시키므로써 각선(130)과 탄성 도체(145, 146)가 도통되도록 한다.
각선 접속구의 직렬 연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선 접속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전기뇌관을 직렬 연결하여 발파 작업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에서는 세 개의 전기뇌관을 발파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기뇌관의 결선법은 직렬 결선과 병렬 결선으로 나누어지는데, 직렬 결선은 결선작업이나 저항측정이 용이하고, 어느 한 부분이라도 불량한 부분이 존재하면 도통 시험시 회로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뇌관 전체가 불발되므로 발파 실패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현장에서 직렬 결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각각의 전기뇌관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접속구(140, 140', 140") 및 제2 접속구(150, 150', 150")는 모두 각각 상호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이다. 어느 하나의 전기뇌관에 연결된 제1 접속구는 이웃하는 전기뇌관의 제2 접속구와 체결되며, 제2 접속구는 이웃하는 전기뇌관의 제1 접속구와 체결된다. 즉, 첫 번째 전기뇌관(110)의 제1 접속구(140)는 두 번째 전기뇌관(110')의 제2 접속구(150')와 체결되며, 두 번째 전기뇌관(110')의 제1 접속구(140')는 세 번째 전기뇌관(110")의 제2 접속구(150")와 체결된다. 첫 번째 전기뇌관(110)의 제2 접속구(150) 및 세 번째 전기뇌관(110")의 제1 접속구(140")는 발파를 위해 후술하는 발파기(170)에 연결된 모선 접속구(180)에 연결되어 모선과 도통하게 된다.
각선 접속구의 병렬 연결
도 10은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전기뇌관을 병렬 연결하여 발파 작업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복수의 전기뇌관을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병렬 접속구(190)가 도입된다. 상기 병렬 접속구(190)는 암수 한 쌍의 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제3 접속구(191)와 제4 접속구(192)를 복수로 구비한다. 제3 접속구(191)는 상기에서 기술한 제1 접속구(1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4 접속구(192)는 상기에서 기술한 제2 접속구(1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3 접속구(191)는 제2 접속구(150)와 체결되며, 제4 접속구(192)는 제1 접속구(140)와 체결된다. 병렬 접속구(190)는 복수개의 제3 접속구(191)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93)을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통노드를 구비한 제5 접속구(195)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제4 접속구(192)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94)을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통노드를 구비한 제6 접속구(196)를 구비한다. 상기 공통노드는 도체를 이용하여 병렬 접속구(190) 내부에 또는 제5 접속구(195) 및 제6 접속구(196) 내부에 선택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5 접속구(195) 및 제6 접속구(196)도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접속구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개 전기뇌관(110)의 제2 접속구(150)는 각각 제3 접속구(191)에 체결되어 각선(130')과 전선(193)이 도통하게 되고, 제1 접속구(140)는 제4 접속구(192)에 체결되어 각선(130)과 전선(194)이 도통하게 된다. 그리고 제5 접속구(195) 및 제6 접속구(196)는 후술하는 발파기(170)의 모선 접속구(180)에 연결되면 발파를 위한 작업이 마무리된다.
제1 실시예의 각선 접속구와 모선의 연결
도 11은 도 1의 각선 접속구 및 모선의 연결을 위한 모선 접속구(18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발파기(170)에 연결되는 모선(179)의 길이는 30m 이상이며 가격이 비싸고, 일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계속해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모선을 대체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모선을 계속 사용하면서 각선 접속구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선 접속구를 창안하였다.
본 발명의 모선 접속구(180)는 캡(171)과 중간 접속구(172)로 구성된다. 중간 접속구(172)는 내부 몸체를 비어 있게 하여 모선과 각선의 연결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그 단부에 각선 접속구의 제1 접속구(140)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선 접속부(173)를 구비한다. 상기 각선 접속부(173)의 구조는 제2 접속구(150) 구조와 동일하다. 즉, 제1 접속구(14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접합부(174)를 구비하고, 제1 접속구(140)와 체결되어 밀봉될 수 있도록 제1 접속구(140)와 맞물리는 외주 부분에 결합부(175)를 형성한다. 상기 각선 접속부(173)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각선 접속부(173)와 체결되는 각선 접속구 부분이 제2 접속구(150)인 경우에는 반대로 제1 접속구(140)의 형태로구성된다.
중간 접속구(172)는 그 내부에 전선(176)을 내장하고 상기 전선이 상기 각선 접속부(173)에 이어져 상기 각선 접속부(173)와 제1 접속구(140)가 밀봉되어 체결되는 경우 상기 내장된 전선(176)과 각선(130)이 서로 도통하게 된다. 한편, 중간 접속구(172)는 캡(171)과 체결될 수 있도록 캡 연결부(177)를 구비한다. 캡 연결부(177)는 외부 둘레면에 나사선을 구비한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원뿔 형상은 모선(179)과 내장 전선(176)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다등분되어 있다. 상기 캡 연결부(177)의 재질은 부도체 성질과 탄력성을 갖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171)은 상기 캡 연결부(177)의 나사선에 맞추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홈을 구비한다. 상기 캡(171)에는 모선이 캡 내부를 가로질러 통과할 수 있도록 동공(178)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모선 접속구(180)를 사용하여 모선(179)과 각선(130)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선(179)을 캡(171)의 동공(178)에 삽입하여 모선(179)이 캡(171)을 관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접속구(172)에 내장된 내장 전선(176)의 일단부와 상기 모선(179)의 일단부를 피복을 벗겨낸 후 결선한다. 상기 모선(179)과 내장 전선(176)의 결선부가 중간 접속구(172)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선부(163)를 캡 연결부(177)를 통해 밀어 넣는다. 그리고, 캡(171)의 나사홈과 캡 연결부(177)의 나사선을 끼워 맞추어 캡(171)과 캡 연결부(177)를 체결한다. 이 때 캡은 캡 연결부(177)의 다등분되어 있는 원뿔 구조를 압박하여 원뿔구조가 모선(179)을 단단히 압박하게 하여 모선(179)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끝으로, 각선 접속부(173)를 제1 접속구(140)와 연결하여 내장 전선(176)과 각선(130)이 도통되도록 한다.
도 12는 모선 접속구(180)를 사용하여 모선과 각선의 연결을 완료한 후의 구조의 단면도이다. 모선(179)과 내장 전선(176)의 결선부(163)가 중간 접속구(17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습기나 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전기뇌관(110)에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120)가 연결된다. 각선 접속구(120)는 전기뇌관(110)에 연결되는 한 쌍의 각선(130, 130')과 상기 한 쌍의 각선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접속구(210) 및 제2 접속구(220)로 구성된다. 즉, 전기뇌관(110)에 연결된 각선(130)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구(210) 및 전기뇌관(110)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각선(130')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구(2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1 접속구(210)와 제2 접속구(220)의 외형은 상호 체결하여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하나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접속구(210)는 그 내부에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접속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성 도체부(213)를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구비하고, 제2 접속구(220)도 당해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가 접촉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2 이동성 도체부(223)를 제2 단면부(132)의 중심부에 구비하여, 제1 접속구(210) 및 제2 접속구(220)가 결합하는 경우 제1 이동성 도체부(213)와 제2 이동성 도체부(223)가 접촉하여 한 쌍의 각선(130, 130')이 서로 도통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213, 223)는 각각 각선(130, 130')과 접촉되는 부분이 개방된 기둥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기둥 형태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부(212, 222) 내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213, 223)의 상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걸림편(214, 224)을 제1 및 제2 지지부(212, 222)의 내벽에 형성하며, 제1 걸림편(214, 224)과 상응하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걸림편(215, 225)을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213, 223)의 외벽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속구(210 ,220)는 제1 및 제2 지지부(212, 222),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213, 223), 제1 및 제2 걸림편(214, 224, 215, 225)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밀봉부(B)를 가지며, 결합/밀봉부(B)에 대한 설명은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이러한 구조의 각선 접속구(120)를 복수개 연결함으로써 발파 작업을 위한 뇌관(110)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각선(130, 130')의 도통 여부를 시험할 때에는 테스터기의 두 단자를 제1 이동성 도체부(213) 및 제2 이동성 도체부(223)의 상면에 접촉하여 각선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접속구(210) 및 제2 접속구(220)는 외부 전류를 차단하여야 하므로 절연물질이 재질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의 습기나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접속구(210) 및 제2 접속구(220)는 결합하여 밀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2 접속구(220)의 제2 단면부(132) 외주면에 제1 결합부(221)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221)에 의한 제1 접속구(210) 및 제2접속구(220)의 체결 방법은 후술할 것이다.
도 14A 및 14B는 도 13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에서 결합/밀봉부(B)의 상세 단면도로서, 제1 접속구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성 도체부(213)는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선(130)을 접속구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각선(130)에 탄성 도체(216)를 접촉시킨 후, 탄성 도체(216)를 내부가 빈 구조의 기둥(217)으로 덮은 다음 기둥(217) 상면에 도체 도금부(218)를 형성하여 타 접속구와 도통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여기에서 기둥(217)의 최소 높이는 지지부(212)의 높이와 같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성 도체부(213)는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선(130)을 기둥(217)의 상면까지 충분한 길이로 연장하여 삽입하고 각선(130) 둘레에 탄성체(219)가 위치하도록 하며, 기둥(217) 상면에 각선(130)과 접촉되는 도체 도금부(218)를 형성하여 이 도체 도금부(218)에 의해 타 접속구와 도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탄성체(219)에 의해 기둥(217) 내로 충분히 연장된 각선(130)의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탄성체(219)는 각선(130)이 기둥(217)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드시 도체일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방법으로 형성한 이동성 도체부(213)는 외벽에 제2 걸림편(215)을 구비하는데, 지지부(212)와 이동성 도체부(213)와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성 도체부(213) 외벽의 선택된 부분에 대향하는 한 쌍의 요홈(226)을 형성하고, 이 요홈(226)에 제2 걸림편(215)을 형성한다. 요홈(226)이 형성되고 제2 걸림편(215)을 형성하기 전 상태의 이동성 도체부(213)의 평면도를 도 15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선 접속구의 미사용시 보관의 용이함이나 외부의 누설전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고리(230)를 사용하여 제1 접속구(210)에 추가로 제2 접속구(22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보조 접속구(210')를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제2 접속구(220)에는 제1 접속구(21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보조 접속구(220')를 추가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각선 접속구와 모선의 연결
도 17은 도 13의 각선 접속구 및 모선의 연결을 위한 모선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모선 접속구는 캡(171) 및 중간 접속구(172)로 이루어지며, 캡(171) 및 중간 접속구(172)의 구성은 도 11에 도시한 모선 접속구와 동일하다. 한편, 각선 접속부(227)의 구조는 제2 접속구(220) 구조와 동일하다. 즉, 제1 접속구(2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3 이동성 도체부(229)를 구비하고, 제1 접속구(210)와의 밀봉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지지부(2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선 접속부(227)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각선 접속부(227)와 체결되는 각선 접속구 부분이 제2 접속구(220)인 경우에는 반대로 제1 접속구(210)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술한 모선 접속구를 사용하여 모선(179)과 각선(130)을 연결하는 방법은 도 11에 설명한 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각선 접속구의 경우에도 도 9에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각선 접속구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0에 설명한 것과 같이 병렬 접속구를 도입하여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접속구의 형상은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은 한 쌍의 각선에 한 쌍의 접속구 각각을 밀봉되도록 연결한 후 각각의 접속구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이동성 도체부를 마련하여 한 쌍의 각선을 서로 도통시킬 수 있다는 것임을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기뇌관(110)에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120)가 연결된다. 각선 접속구(120)는 전기뇌관에 연결되는 한 쌍의 각선(130,130')과 상기 한 쌍의 각선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220)로 구성된다. 제1 접속구(140)와 제2 접속구(220)는 상호 체결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제1 접속구(140)는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연장 또는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접합돌기(141)를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구비하고, 제2 접속구(220)는 당해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가 접촉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이동성 도체부(237)를 제2 단면부(132)의 중심부에 비하여,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220)가 결합하는 경우접합돌기(141)와 이동성 도체부(237)가 접촉하여 한 쌍의 각선(130, 130')이 서로 도통하도록 한다.
이동성 도체부(237)는 각선(130')과 접촉되는 부분이 개방된 기둥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기둥 형태를 갖는 지지부(236) 내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이동성 도체부(237)의 상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지지부(236)의 내벽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걸림편(238)을 형성하며, 걸림편(238)과 상응하도록 이동성 도체부(237)의 외벽에 한 쌍의 제2 걸림편(239)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속구(140 ,220)는 지지부(236), 이동성 도체부(237), 제1 및 제2 걸림편(238, 239)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밀봉부를 가지며, 결합/밀봉부의 상세 구성은 도 14 및 도 15와 동일하다.
한편, 각선의 도통 시험시에는 테스터의 두 단자를 제1 접속구(140)의 접합돌기(141)와 제2 접속구(220)의 이동성 도체부(237)에 각각 접촉하여 각선의 도통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이러한 구조의 각선 접속구(120)를 복수개 연결함으로써 발파 작업을 위한 뇌관(110)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변형 예
도 19A 및 1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단면도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 예로서 도 19A를 참조하면, 제1 접속구(140)는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형성된 접합돌기(141) 단부까지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연장되어 삽입되고, 접합돌기(141) 단부에 제1 콘택부(143)를 구비한다.제2 접속구(220)의 구성은 도 18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220)가 결합하는 경우 제1 콘택부(143)와 이동성 도체부(237)가 접촉하여 한 쌍의 각선(130,130')이 서로 도통하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 예로서 도 19B를 참조하면, 제1 접속구(140)는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13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접속되는 제1 탄성 도체(145)를 제1 단면부(131)의 중심부에 구비하고, 제2 접속구(220)는 도 18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220)가 결합하는 경우 제1 탄성 도체(145)와 이동성 도체부(237)가 접촉하여 한 쌍의 각선(130,130')이 서로 도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220)의 외형은 서로 체결하여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0A 내지 20D에서 후술할 것이다. 한편, 각선 접속구의 미사용시 보관의 용이함이나 외부의 누설전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고리를 사용하여 제1 접속구(140)에 추가로 제2 접속구(22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보조 접속구를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제2 접속구(220)에는 제1 접속구(14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각선 접속구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0에 설명한 것과 같이 병렬 접속구를 도입하여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선 접속구의 체결
도 20A 내지 20D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의 모든 실시예에 대한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로서, 체결을 위한 각선 접속구의 외형만을 고려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접속구(140, 210) 및 제2 접속구(150,220)의 외형은 상호 체결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접속구(150) 내로 제1 접속구(140)를 밀어 넣어 제2 접속구(150)의 제1 결합부(152)가 제1 접속구(140)를 압박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접속구(140)의 외경(φ1)이 제2 접속구(150)의 내경(φ2)보다 0 내지 0.5㎝ 크도록 하고, 제1 접속구(140)의 단부 모양을 둥글게 처리하여 제2 접속구(15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탄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여야 한다.
도 20B는 도 18A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접속구(140)에 제2 결합부(142)를 추가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제1 접속구(140)의 외경(φ1)이 제2 접속구(150)의 내경(φ2)보다 0 내지 0.5㎝ 크도록 하고, 제1 접속구(140)의 단부 모양을 둥글게 처리하여 제2 접속구(15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탄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52)가 제2 결합부(142)를 압박하여 외부로부터의 누설전류 등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0C는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가 나사 결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 접속구(140)의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142)가 추가로형성된 구조에서 제2 결합부(142)의 일단부 내측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제1 결합부(152)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한다. 또한, 제2 결합부(142)에 돌기부(144)를 형성하고 제1 결합부(152)에 밀봉면(158)을 형성하게 되면 제1 접속구(140) 및 제2 접속구(150)의 나사 결합시 돌기부(144)와 밀봉면(158)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접속구의 밀봉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D는 제1 및 제2 접속구의 밀봉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선 접속구의 밀봉부분에 패킹(232)을 도입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접속구(140)의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142)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에서 제2 결합부(142) 단부에 돌기부(144)를 형성하고, 제2 접속구(150)의 단부에 밀봉면(158)을 각각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1 결합부(152)의 저부에 패킹(232)이 위치하도록 하면 제1 접속구(140)의 돌기부(144) 내주면이 제2 접속구(150)의 패킹(232)과 마찰하게 되어 밀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서로 맞물려 체결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갖는 돌기부(144) 및 밀봉면(158)을 결합할 때 제1 결합부(152) 저부에 형성된 패킹(232)이 밀봉 강도를 높여주어 외부로부터 습기나 지전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패킹(232)이 제2 접속구(15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패킹(232)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제 1결합부의 외주면에 패킹홈(233)을 형성하여야 하고, 제1 접속구(140)와 제2 접속구(150)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패킹(232)과 접촉하는 제1 접속구의 돌기부(144) 일단에 상기 패킹(232)을 압박 및 수납할 수 있는 고정홈(231)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선과 각선 또는 각선과 모선의 결선시에 결선부가 외부의 습기나 물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누설전류나 지전류 등에 의해 폭발 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전기뇌관의 관체와 직접 접촉하더라도 지전류 등에 의한 폭발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손 등의 신체를 결선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결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체의 정전기 등에 의한 안전 사고의 위험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선 접속구에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색상을 입혀 사용하면 결선 작업시 각선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종래보다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수반한다. 아울러, 도통 시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발파작업 전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6)

  1. 폭약을 폭파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뇌관을 직렬 결선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뇌관 각각에 구비되는 각선 접속구로서, 상기 전기뇌관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각선과,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어느 하나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접속구와,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나머지 하나의 각선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접속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1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도통되는 접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2 단면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 및 타 전기뇌관의 제2 접속구가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접합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각선이 도통되도록 상기 제2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2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접속되는 접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뇌관의 직렬 결선시 이웃하는 전기뇌관에 구비된 각선 접속구의 제1 및 제2 접속구가 교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접합돌기 단부까지 상기 각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연장되어 삽입되고, 상기 접합돌기 단부에 제1 콘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제1 접속구의 상기 접합돌기와 상기 접합부가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단면부 상에 상기 접합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2 단면부와 동심이고 중심부가 비어 있으며 중심부 둘레의 길이가 상기 접합돌기 둘레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탄성의 기둥체를 형성하므로써 이루어지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기둥체 단부에 상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콘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접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단면부 상에 상기 접합부가 노출되게 하는 다수의 체결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이루어지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돌기는
    상기 제1 접속구 및 상기 제2 접속구가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접합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과 접속되는 탄성 도체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돌기는
    상기 제1 단면부 중심부에 상기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과 접속되는 제1 탄성 도체이고,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제2 단면부 중심부에 상기 제2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와 접촉되는 제2 탄성 도체를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각선과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도체는 각각 상기 제1 단면부 및 상기 제2 단면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용접부에 의해 접촉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선과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도체는 상기 제1 단면부 및 상기 제2 단면부의 중심부에 각각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된 도체 도금부에 의해 각각 접촉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에 고리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접속구와 동일한 외형의 제1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하고, 상기 제2 접속구에 고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접속구와 동일한 외형의 제2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와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제2 접속구 내로 상기 제1 접속구를 밀어 넣어 상기 제2 접속구의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접속구를 압박하도록 상기 제1 접속구의 외경을 상기 제2 접속구의 내경보다 0 내지 0.5㎝ 크게 형성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속구 내로 상기 제1 접속구를 밀어 넣어 상기 제2 접속구의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접속구의 상기 제2 결합부를 압박하도록 상기 제1 접속구의 외경을 상기 제2 접속구의 내경보다 0 내지 0.5㎝ 크게 형성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내측 일단부에 나사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의 제1 결합부의 외측 일단부에 나사선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 일단부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밀봉면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제1 결합부 저부에 패킹 및 상기 패킹을 고정하기 위한 패킹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구의 제2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 일단에 상기 패킹을 압박 및수납하기 위한 고정홈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5. 삭제
  16. 발파기와 접속되고, 내부 몸체가 비어 있는 중간 접속구 및 상기 중간 접속구와 체결되기 위한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 접속구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되는 각선 접속부와, 상기 각선 접속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간 접속구의 외부로 연장되는 내장 전선과, 외부 둘레면에 나사선을 구비한 원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중간 접속구의 타 일단에 형성되며 모선과 상기 내장 전선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원뿔 형상이 다등분되어 있는 캡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캡은 상기 중간 접속구의 상기 캡 연결부의 나사선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원뿔 형태로 형성된 나사홈과, 모선이 상기 캡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동공을 구비하여, 상기 전기뇌관에 연결된 상기 각선이 상기 발파기에 접속되도록 하는 전기뇌관용 모선 접속구.
  17. 폭약을 폭파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뇌관을 직렬 결선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뇌관 각각에 구비되는 각선 접속구로서, 상기 전기뇌관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각선과,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어느 하나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접속구와,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나머지 하나의 각선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접속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1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도통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성 도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2 단면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체결되기 위한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 및 타 전기뇌관의 제2 접속구가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이동성 도체부와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각선이 도통되도록 상기 제2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2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접속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2 이동성 도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뇌관의 직렬 결선시 이웃하는 전기뇌관에 구비된 각선 접속구의 제1 및 제2 접속구가 교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 및 상기 제2 접속구 각각은
    상기 제1 이동성 도체 및 상기 제2 이동성 도체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고 밀봉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이동성 도체부 및 상기 제2 이동성 도체부 외측의 제1 단면부와 제2 단면부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걸림편을 각각의 내벽에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는
    상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걸림편을 각각의 외벽에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는 대향하는 요홈을 외벽의 선택된 부분에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편은 상기 요홈 내에 형성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는
    상기 각선과 각각 접촉되는 탄성 도체, 상기 탄성 도체를 감싸기 위한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면에 상기 탄성 도체가 접촉되도록 형성된 도체 도금부를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동성 도체부는
    상기 각선을 상기 제1 및 제2 접속구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각각 연장하여 삽입하고, 상기 각선을 감싸기 위한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에 상기 각선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도체 도금부 및 상기 기둥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면부와 상기 기둥 상면에 접속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와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제2 접속구 내로 상기 제1 접속구를 밀어 넣어 상기 제2 접속구의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접속구를 압박하도록 상기 제1 접속구의 외경을 상기 제2 접속구의 내경보다 0 내지 0.5㎝ 크게 형성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속구 내로 상기 제1 접속구를 밀어 넣어 상기 제2 접속구의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접속구의 상기 제2 결합부를 압박하도록 상기 제1 접속구의 외경을 상기 제2 접속구의 내경보다 0 내지 0.5㎝ 크게 형성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내측 일단부에 나사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의 제1 결합부의 외측 일단부에 나사선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제1 단면부 외주면에 제2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 일단부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밀봉면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제1 결합부 저부에 패킹 및 상기 패킹을 고정하기 위한 패킹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구의 제2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 일단에 상기 패킹을 압박 및 수납하기 위한 고정홈을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에 고리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접속구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제1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하고, 상기 제2 접속구에 고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접속구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제2 보조 접속구를 추가로 부착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30. 삭제
  31. 폭약을 폭파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뇌관을 직렬 결선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뇌관 각각에 구비되는 각선 접속구로서, 상기 전기뇌관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각선과,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어느 하나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접속구와, 상기 전기뇌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각선중 나머지 하나의 각선의 타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접속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1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도통되는 접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구는 당해 각선이 접속되는 끝단의 평면부인 제2 단면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접속구와 체결되기 위한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구 및 타 전기뇌관의 제2 접속구가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접합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각선이 도통되도록 상기 제2 단면부의 중심부에 상기 제2 접속구와 연결된 각선과 도통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이동성 도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뇌관의 직렬 결선시 이웃하는 전기뇌관에 구비된 각선 접속구의 제1 및 제2 접속구가 교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이동성 도체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고 밀봉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상기 이동성 도체부 외측의 제2 단면부 상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접합돌기 단부까지 상기 각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연장되어 삽입되고, 상기 접합돌기 단부에 제1 콘택부를 구비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돌기는
    상기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과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단면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탄성 도체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35. 제34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과 상기 탄성 도체는
    각각 용접부에 의해 접촉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구로 삽입되는 각선과 상기 탄성 도체는
    상기 제1 단면부의 중심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상면까지 상기 각선을 연장하여 삽입한 후,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된 도체 도금부에 의해 접촉되는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KR10-2001-0003255A 2000-01-28 2001-01-19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KR10042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255A KR100424732B1 (ko) 2000-01-28 2001-01-19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4298 2000-01-28
KR1020000004298 2000-01-28
KR1020000046818 2000-08-12
KR20000046818 2000-08-12
KR10-2001-0003255A KR100424732B1 (ko) 2000-01-28 2001-01-19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027A KR20010078027A (ko) 2001-08-20
KR100424732B1 true KR100424732B1 (ko) 2004-03-30

Family

ID=2735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255A KR100424732B1 (ko) 2000-01-28 2001-01-19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188B1 (ko) 2011-02-21 2012-10-2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발파용 결선커넥터
KR101368957B1 (ko) 2013-06-20 2014-02-28 심익현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KR101368953B1 (ko) * 2011-05-03 2014-02-28 심익현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20B1 (ko) * 2015-06-09 2016-02-12 심익현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KR102129307B1 (ko) 2018-12-19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2114221B1 (ko) 2018-12-19 2020-05-22 주식회사 한화 태깅용 노출부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496A (en) * 1978-07-12 1980-01-31 Daimler Benz Ag Short circuiting safety device for electric detonator
US5375524A (en) * 1993-11-16 1994-12-27 Larson; Larry J. Blasting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use
EP0849562A2 (en) * 1996-12-19 1998-06-24 Sasol Mining Initiators (Proprietary) Limited Connectors for wired networks for detona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496A (en) * 1978-07-12 1980-01-31 Daimler Benz Ag Short circuiting safety device for electric detonator
US5375524A (en) * 1993-11-16 1994-12-27 Larson; Larry J. Blasting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use
EP0849562A2 (en) * 1996-12-19 1998-06-24 Sasol Mining Initiators (Proprietary) Limited Connectors for wired networks for detonato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188B1 (ko) 2011-02-21 2012-10-2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발파용 결선커넥터
KR101368953B1 (ko) * 2011-05-03 2014-02-28 심익현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KR101368957B1 (ko) 2013-06-20 2014-02-28 심익현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027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9119A1 (en) Module connector
KR200410147Y1 (ko)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
US3372361A (en) Cable connector
US3912855A (en) Encapsulating splice assembly
US4445741A (en) Double-plug seismic connector
US4883921A (en) Cable jointing clamp
MXPA05014000A (es) Conector de cordon que tiene un sello resistente al agua.
US360287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apping shielded high voltage cable
US11855367B2 (en) Multi-use connector for tracer wire
KR100424732B1 (ko)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US2981787A (en) Insulated connector
US6045373A (en) Connection terminal, in particular for connecting branch conduits to electric mains, as well as contact element for it
KR20100007644U (ko)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CN219575948U (zh) 一种电缆熔接头
US5080614A (en) Quick connect electrical plug
JPH0197377A (ja) 端子板及びアダプター
US20080096415A1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of connecting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CN208753665U (zh) 可分离线缆连接组件和快速插接配电线缆连接结构
US20130260580A1 (en) Single-pol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utt contacts
KR20210066741A (ko) 절연체 슬리브를 전기 전도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배열체
CN209880855U (zh) 一种有分线功能的圆形电连接器
US3605067A (en) Multiple cable electrical connector
KR20110007687U (ko) 케이블 분기장치
US6910915B2 (en) Termin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