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869B1 -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노이즈 극복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노이즈 극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869B1
KR100423869B1 KR10-2001-0076336A KR20010076336A KR100423869B1 KR 100423869 B1 KR100423869 B1 KR 100423869B1 KR 20010076336 A KR20010076336 A KR 20010076336A KR 100423869 B1 KR100423869 B1 KR 10042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data
signal
power lin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577A (ko
Inventor
김철
박중하
김사훈
남궁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넷
Priority to KR10-2001-007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8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4Setting up communications; Call and signal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using zero cross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 통신 방법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응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Carrier)를 송신하기 전에 한 사이클을 기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기설정된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구간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감지된 구간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정의하고, 노이즈가 없는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두 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이하 서브 구간)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첫 번째 신호를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캐리어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단계; 를 포함하고, 데이터 1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신호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노이즈 극복 방법 {Overcoming noise method using adaptive twin carrier applying on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 통신 방법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응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X-10 기반의 전력선 통신을 보다 확장시키며 전력선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를 수행하는 적응성 쌍전송자 통신 방법 및 신호의 물리적 계층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응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기기 또는 장치들을 원격 조정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제어 방법이 그 편리성으로 인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상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Zero Cross Point)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데이터 비트마다 전원 주파수의 1 사이클 단위로 이루어지며, 1/2 사이클 당 캐리어 신호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비트를 표시한다. 즉, 종래의 X-10 기반의 통신 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전력선의 전력 레벨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서 120KHz 전력선 신호를 1ms 동안 발생시키면서 신호를 실어 보내고, 이러한 데이터를 조합해서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전력선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데이터통신 방법에서의 데이터 비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듯이 캐리어 신호가 있는 경우를 '온', 없는 경우를 '오프'라 하면, 데이터 비트 '1'은 캐리어 신호 '온'에서 캐리어 신호 '오프'인 상태로 표시하고, 데이터 비트 '0'은 캐리어 신호 '오프'에서 캐리어 신호 '온'인 상태로 표시한다.
전력선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은 이러한 정의를 근거로 전력선을 이용하여 제어 기기들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받은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공개 번호 : 10-2000-002198) 및 '전력선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우선 순위 데이터 통신 방법'(공개 번호 : 10-1999-053820)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력선 통신 방법은 X-10 기반의 통신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X-10 기반의 통신 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종래의 X-10 기반의 프로토콜의 시작점을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를 파형으로 도시한 파형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되어 있듯이, X-10 기반의 프로토콜 시작점은 'Start Code'가 2 사이클, 'House Code'가 4 사이클, 'Number Code' 또는 'Function Code'가 5 사이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호를 연이어 두 번씩 보낸다. 이때,'Start Code'는 오직 1110만 존재하며, 1/2 사이클에 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이외의 다른 코드들은 1 사이클이 1 비트의 데이터를 의미하므로 데이터가 L1이면, 1과 0으로 데이터가 확장되어 전송되고, L0이면, 0과 1로 확장되어 송출한다. 이를 나타낸 것이 도 2b이다.
한편, 상기 L1과 L0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캐리어 주파수가 존재하면 '1', 존재하지 아니하면 '2'로 정의되고, '논리적 1(L1)'은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캐리어 주파수가 존재하고 그 다음은 존재하지 아니하는 1과 0이 조합된 것이며, '논리적 0(L0)'는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캐리어 주파수가 존재하고 있지 아니하며 다음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캐리어 주파수가 존재하는, 즉, 0과 1의 조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2b에 의하면, 'Start Code'는 '1110', 'House Code'는 'L0,L0,L0,L1', 'Number/Function Code'는 'L0,L0,L0,L1,L1'이 된다.
한편, 최근 들어 거의 모든 가전 기기의 전원부로는 SMPS(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 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SMPS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와 함께 에어컨, 진공 청소기, 믹서 등의 가정용 전기 기기들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하여 전력선 통신 방법의 신뢰성은 점점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종래의 캐리어 검출 방법과 단방향이라는 통신 시스템으로는 통신 내용에 대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X-10 기반의 전력선 통신을 보다 확장시키며 전력선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를 수행하는 적응성 쌍전송자 통신 방법 및 신호의 물리적 계층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응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전력선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의 데이터 비트를 도시한 파형도이고,
도 2a는 종래의 X-10 기반의 프로토콜의 시작점을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를 파형으로 도시한 파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노이즈 극복 방법을 도식화시킨 파형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 두 번째 신호 구간을 찾는 방법을 도식화시킨 파형도이고,
도 4b는 프리앰블의 형태에 따른 수신측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c는 제로 크로스 구역의 데이터와 Sub 구간의 데이터에 따른 최종 수신값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을 이용한 2번째 데이터 구간획득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 통신에서 노이즈 극복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Carrier)를 송신하기 전에 한 사이클을 기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기설정된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구간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감지된 구간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정의하고, 노이즈가 없는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두 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이하 서브 구간)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첫 번째 신호를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캐리어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단계; 를 포함하고, 데이터 1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신호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전력선 통신에서 노이즈 극복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2 사이클에 걸쳐 1010을 전송하는 프리앰블(Preamble) 전송 단계; 수신측에서 1번Half Area와 2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1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3번 Half Area와 4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3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상기 1번, 2번 Half Area와 상기 3번, 4번 Half Area가 동일하면, 프리앰블이 전송된 것으로 취급하여 전력선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전력선 통신에서 노이즈 극복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Carrier)를 송신하기 전에 한 사이클을 기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기설정된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구간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감지된 구간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정의하고, 노이즈가 없는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두 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이하 서브 구간)으로 정의하는 단계; 첫 번째 신호를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캐리어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단계; 2 사이클에 걸쳐 1010을 전송하는 프리앰블(Preamble) 전송 단계; 수신측에서 1번 Half Area와 2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1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3번 Half Area와 4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3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상기 1번, 2번 Half Area와 상기 3번, 4번 Half Area가 동일하면, 프리앰블이 전송된 것으로 취급하여 전력선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데이터 1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신호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보다 더 양호하게는, 데이터 0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 및 상기 서브 구간에 어떠한 신호도 싣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X-10 기반의 전력선 통신을 보다 확장시키며 전력선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를 수행하는 적응성 쌍전송자 통신 방법 및 신호의 물리적 계층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응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노이즈 극복 방법은 X-10 통신 방법을 확장한 개념이다. 또한, X-10은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서 신호를 120 KHz 전력 신호를 1ms 동안 발생시켜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적응성 쌍전송자(Adaptive Twin Carrier)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극복하게 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노이즈 극복 방법을 도식화시킨 파형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선 상에서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를 송신하기 전에 5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부분을 미리 검색한다. 이때 검색시 미리 규약된 구역(본 실시예에서는 4개 구간으로 정한다.)을 나누어서 검색하며, 노이즈가 감지되면, 그 구역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단정짓고, 노이즈가 없는 다른 구역(Sub A, Sub B, Sub C 중에서 한 구간)을 선택하여 2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으로 정한다.
첫 번째 신호는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1ms 동안 캐리어를 전송하고(X-10과 동일), 두 번째 신호는 위에서 선택한 구역에 싣는다.
이때 데이터 '1'을 송출할 때, 1/2 사이클(Half Cycle) 구간을 4개로 나눌 때,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서는 무조건 첫 번째 신호를 120KHz 1ms 동안 송출하며, 두 번째 신호는 노이즈가 없는 구간에 120 KHz 1ms 동안 싣는다. 이러한 두 개의 신호가 합쳐져서 한 개 신호의 의미('1'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또한, 데이터 '0'을 송출할 때에는 아무 신호도 보내지 아니한다.
또한,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캐리어가 존재하고, 미리 검색한 두 번째 구간(이하 Sub 구간)에 신호가 없으면, 제로 크로스 구간에 캐리어가 검출되어도 그 캐리어는 신호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즉, '0'이다.
신호로서의 의미를 가지려면,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도 신호가 있으며, Sub구간에도 신호가 있어야 데이터 '1'로 간주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 두 번째 신호 구간을 찾는 방법을 도식화시킨 파형도이고, 도 4b는 프리앰블의 형태에 따른 수신측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c는 제로 크로스 구역의 데이터와 Sub 구간의 데이터에 따른 최종 수신값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프리앰블의 역할은 전력선 신호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 프리앰블을 미리 보내 신호의 시작점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리앰블을 적절히 이용하면, 미리 정한 규약없이도 Sub 구간의 신호를 검출해 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듯이, 프리앰블은 2 사이클에 걸쳐 '1010'을 전송하며, Sub 구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5 사이클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없다고 판단되는 구간으로 설정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되어 있듯이, 1번 Half Area 구간에서 데이터가 나오는 구역을 표시한 다음, 2번 Half Area 구간에서 데이터가 나오는 구간을 표시하자.
1번 Half Area 구간에서의 데이터가 나오는 구역과 2번 Half Area 구간에서 나오는 데이터 구역을 비교하여, 1번 Half Area와 2번 Half Area가 같은 데이터가 나오는 구역은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킨다. 왜냐하면, 2번 Half Area는 데이터가 없는 구역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가 검출된다는 것은 노이즈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즉, 1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나오는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간주한다.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3번, 4번 Half Area 구역에서 다시 한번 데이터가 나오는 구역을 확인하여 1번, 2번 Half Area 구역과 동일하면, 프리앰블이 들어 온 것으로 인정한다.
한편, 획득 구간이 1이 되면, 그 구간으로 데이터가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취급한다. 만일, 획득 구간이 둘이 될 경우, 다음 3번째 Half Cycle과 4번째 Half Cycle의 데이터 확인 작업을 통하여, 데이터가 들어오고 있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로 크로스 구역과 Sub 구역에 데이터가 있을 때만 전력선 데이터로 인정하고, 나머지 값들은 노이즈로 간주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을 이용한 2번째 데이터 구간 획득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텝 S1201에서, 첫 번째 제로 크로스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하였으면, 스텝 S1202에서, Sub 구간을 검색한 후, 캐리어 검출 구간을 저장하여 First_sub로 명명하고, 스텝 S1203에서, First_sub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03에서의 판단 결과, 검출되지 아니하면, 스텝 S1204에서, 데이터로 인식하지 아니하고, 원 상태로 대기한 후, 상기 스텝 S1201로 복귀한다.
상기 스텝 S1203에서의 판단 결과, 검출되면, 스텝 S1205에서, 두 번째 제로 크로스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05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하였으면, 스텝 S1206에서, Sub 구간을 검색한 후, 캐리어 검출 구간을 저장하여 Second_sub로 명명하고, 스텝 S1207에서, Second_sub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07에서의 판단 결과, 검출되지 아니하면, 스텝 S1208에서, 첫 번재 데이터 수신을 무시하고, 현재 사이클의 데이터를 첫 번째 데이터로 인정한 후, 상기 스텝 S1201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207에서의 판단 결과, 검출되면, 스텝 S1209에서, 제로 크로스 데이터를 노이즈로 인식한 후, 스텝 S1210에서, First_sub를 데이터 영역으로 결정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205에서의 판단 결과, 두 번째 제로 크로스 데이터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스텝 S1211에서, Sub 구간을 검색한 후, 캐리어 검출 구간을 저장하여 Second_sub로 명명하고, 스텝 S1212에서, Second_sub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12에서의 판단 결과, Second_sub가 검출되면, 스텝 S1213에서, Second_sub를 노이즈 영역으로 규정한 후, 상기스텝 S1210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212에서의 판단 결과, Second_sub가 검출되지 아니하면, 바로 상기 스텝 S1210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스텝 S1210 이후, 스텝 S1214에서, 세 번째 제로 크로스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14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하지 아니하면, 상기 스텝 S1201로복귀하고, 수신하면, 스텝 S1215에서, Sub 구간을 검색한 후, 캐리어 검출 구간을 저장하여, Third_sub로 명명하고, 스텝 S1216에서, Third_sub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16에서의 판단 결과, 검출되지 아니하면, 상기 스텝 S1201로 복귀하고, 검출되면, 스텝 S1217에서, Third_sub와 First_sub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17에서의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아니하면, 상기 스텝 S1201로 복귀하고, 동일하면, 스텝 S1218에서, Sub 구간으로 확정한 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준비를 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응성 쌍전송자 방식의 전력선 통신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로 노이즈 대책을 강구하였고, 저가의 하드웨어 구조로높은 통신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며, 실제로 필드에서 테스트한 실험 결과,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월등한 통신 성공률을 보였다.

Claims (15)

  1. 전력선 통신에서 노이즈 극복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Carrier)를 송신하기 전에 한 사이클을 기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기설정된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구간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감지된 구간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정의하고, 노이즈가 없는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두 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이하 서브 구간)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첫 번째 신호를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캐리어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단계; 를 포함하고,
    데이터 1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신호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첫 번째 신호는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120 KHz, 1 ms 동안 캐리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120 KHz, 1 ms 동안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0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 및 상기 서브 구간에 어떠한 신호도 싣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전력선 통신에서 노이즈 극복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Carrier)를 송신하기 전에 한 사이클을 기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기설정된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구간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감지된 구간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정의하고, 노이즈가 없는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두 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이하 서브 구간)으로 정의하는 단계;
    첫 번째 신호를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캐리어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단계;
    2 사이클에 걸쳐 1010을 전송하는 프리앰블(Preamble) 전송 단계;
    수신측에서 1번 Half Area와 2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1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3번 Half Area와 4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3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상기 1번, 2번 Half Area와 상기 3번, 4번 Half Area가 동일하면, 프리앰블이 전송된 것으로 취급하여 전력선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데이터 1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신호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첫 번째 신호는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120 KHz, 1 ms 동안 캐리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120 KHz, 1 ms 동안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데이터 0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 및 상기 서브 구간에 어떠한 신호도 싣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제로 크로스 구간과 상기 서브 구간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전력선 데이터로 인정하고, 나머지 값들은 노이즈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12. 전력선 통신에서 노이즈 극복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Carrier)를 송신하기 전에 한 사이클을 기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기설정된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구간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감지된 구간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정의하고, 노이즈가 없는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두 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이하 서브 구간)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첫 번째 신호를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캐리어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단계; 를 포함하고,
    데이터 1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신호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실으며,
    데이터 0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 및 상기 서브 구간에 어떠한 신호도 싣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3. 삭제
  14. 전력선 통신에서 노이즈 극복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전력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력선 캐리어(Carrier)를 송신하기 전에 한 사이클을 기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기설정된 사이클동안 노이즈가 있는 구간을 검색하여 노이즈가 감지된 구간은 통신할 수 없는 구역으로 정의하고, 노이즈가 없는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두 번째 신호를 싣는 구간(이하 서브 구간)으로 정의하는 단계;
    첫 번째 신호를 제로 크로스 포인트부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캐리어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싣는 단계;
    2 사이클에 걸쳐 1010을 전송하는 프리앰블(Preamble) 전송 단계;
    수신측에서 1번 Half Area와 2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1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3번 Half Area와 4번 Half Area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에서 제외시키고, 3번 Half Area에서만 데이터가 검출되면, 동 구역을 데이터 구역으로 취급하는 단계;
    상기 1번, 2번 Half Area와 상기 3번, 4번 Half Area가 동일하면, 프리앰블이 전송된 것으로 취급하여 전력선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데이터 1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인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 신호를 싣고, 두 번째 신호는 상기 서브 구간에 실으며,
    데이터 0을 송출시, 상기 첫 번째 구간 및 상기 서브 구간에 어떠한 신호도 싣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로 크로스 구간과 상기 서브 구간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전력선 데이터로 인정하고, 나머지 값들은 노이즈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01-0076336A 2001-12-04 2001-12-04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노이즈 극복 방법 KR10042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36A KR100423869B1 (ko) 2001-12-04 2001-12-04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노이즈 극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36A KR100423869B1 (ko) 2001-12-04 2001-12-04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노이즈 극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819A Division KR100423867B1 (ko) 2003-12-24 2003-12-24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577A KR20030045577A (ko) 2003-06-11
KR100423869B1 true KR100423869B1 (ko) 2004-03-22

Family

ID=2957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336A KR100423869B1 (ko) 2001-12-04 2001-12-04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노이즈 극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8080B (zh) * 2013-05-28 2015-05-20 徐忠义 电力线载波信道强干扰噪声的抑制方法及其电路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007A (en) * 1974-07-17 1978-08-08 New England Power Servic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telligence over a carrier wave
US4982175A (en) * 1989-08-25 1991-01-01 Franklin Electric Co., Inc. Telemetry circuit with noise immunization
US5828293A (en) * 1997-06-10 1998-10-27 Northern Telecom Limited Data transmission over a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KR20030037768A (ko) * 2001-11-05 2003-05-16 주식회사 피엘콤 비동기 전력선 통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007A (en) * 1974-07-17 1978-08-08 New England Power Servic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telligence over a carrier wave
US4982175A (en) * 1989-08-25 1991-01-01 Franklin Electric Co., Inc. Telemetry circuit with noise immunization
US5828293A (en) * 1997-06-10 1998-10-27 Northern Telecom Limited Data transmission over a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KR20030037768A (ko) * 2001-11-05 2003-05-16 주식회사 피엘콤 비동기 전력선 통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577A (ko)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9598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JP4775375B2 (ja) 電磁トランスポンダのチャージ変調方法
US4556865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US20030181992A1 (en) Home applianc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2246470A1 (en) Wireless lan with enhanced capture provision
EP0651925A1 (en) Frequency hopping time-diversity communications systems and transceivers for local area networks
JP2005513940A (ja) 周波数ホッピングを用いた信号送信方法とシステム
JPH07107074A (ja) 設備内のメッセージの訂正方法
CA2207965A1 (en) Radio loop-back test method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a system using the test method
WO2001054371A3 (de) Verfahren, system zur übermittlung von daten von einem sender zu einem empfänger und sender bzw. empfänger hierzu
US5319487A (en) Infrar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KR100423869B1 (ko)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적응성 쌍전송자를 이용한노이즈 극복 방법
KR100423867B1 (ko) 전력선 통신에 적용되는 노이즈 극복을 위한 적응성쌍전송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0147471B1 (ko) 데이터 전송속도 감지기능을 가진 이서네트
WO2003027784A3 (de)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datentelegramms zwischen einer echtzeit-domain und einer nicht-echtzeit-domain und koppeleinheit
US753920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US5029271A (en) Superregenerative detector
JP3584335B2 (ja) データキャリア及びリーダ
US20020063634A1 (en)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remote control system
AU7094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ata link with multipurpose radar operations
JP4608784B2 (ja) 無線機及び無線機が行う無線通信方法
JPH0918461A (ja) データ受信装置
KR100395801B1 (ko) 전력선모뎀에 의한 원격제어 시스템
JP3487004B2 (ja) 移動体識別装置
JPH11306298A (ja) 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