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377B1 - 유량 산출 제어 장치 및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량 산출 제어 장치 및 유량 산출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3377B1 KR100423377B1 KR10-2001-0065890A KR20010065890A KR100423377B1 KR 100423377 B1 KR100423377 B1 KR 100423377B1 KR 20010065890 A KR20010065890 A KR 20010065890A KR 100423377 B1 KR100423377 B1 KR 100423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rate
- variable throttle
- throttle portion
- calculation control
- control meth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363—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with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ind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01F9/001—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 or electron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2—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the parameter being determined by using a model of the engine intake or it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통기 경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및 유량 산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흡기관(20)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로서,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mt, 스로틀 밸브(23)의 개구 면적을 Ad, 스로틀 밸브(23)의 상류측의 상류 압력을 Pu, 스로틀 밸브(23)의 상류측의 상류 밀도를 ρu, 스로틀 밸브(23)의 하류측의 하류 압력을 Pd, 유통하는 공기의 비열비를 k로 하였을 때에, 수학식 mt=Ad·(Pu·ρu)1/2·((((k-1)/(2·k))·(1-Pd/Pu)+ Pd/Pu)·(1-Pd/Pu))1/2에 의해 공기 유량(mt)을 산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기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가변 스로틀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및 유량 산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기 경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하는 관련 기술수법으로서, 특개평6-74076호 공보에 기재와 같이, 스로틀 밸브를 구비한 흡기관을 통하여 내연기관의 기통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산출하는 흡입 공기량 산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스로틀 밸브를 오리피스로 간주하여, 스로틀 개방도에 따라서 거기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유체역학의 식을 사용하여 구하고 있다.
상기 유량 산출 방법은, 유량 산출시에 실압력을 사용하여 유량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량 산출에 추정 오차가 있더라도 다음번의 추정 산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산출을 행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유량 산출 방법은, 단열 변화의 관계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하는 유체에 있어서 등엔트로피 조건이 성립하는 것을 전제로하여 유량을 산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산출 방법에는, 등엔트로피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상황하에서는 정확한 유량을 산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연 기관의 흡기관을 흐르는 공기량을 산출하는 경우, 반드시 등엔트로피 조건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공기의 유량의 산출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통기 경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는, 통기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가변 스로틀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 압력과,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 밀도와, 가변 스로틀부의 하류측 압력과, 가변 스로틀부의 개구 면적과, 유체의 비열비로부터 질량 보존 법칙, 에너지 보존 법칙 및 운동량 보존 법칙을 사용하여 산출된 가변 스로틀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에 근거하여, 소정 대상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변 스로틀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mt, 가변 스로틀부의 개구 면적을 Ad, 통기 경로에서의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의 상류 압력을 Pu, 통기 경로에서의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의 상류 밀도를 ρu, 통기 경로에서의 가변 스로틀부의 하류측의 하류 압력을 Pd, 유체의 비열비를 k로 하였을 때에,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유체의 유량(mt)을 산출한다.
mt=Ad·(Pu·ρu)1/2·((((k-1)/(2·k))·(1-Pd/Pu)+Pd/Pu)·(1-Pd/Pu))1/2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 변화의 관계식에 의하지 않고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기 때문에, 등엔트로피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조건하에서도 정확하게 유체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1의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산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스로틀 개방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흡기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산출식의 설명도.
도 7은 도 1의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산출식을 그래프화한 도면.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
2 : 엔진 3 : 흡기 밸브
4 : 배기 밸브 6 : ECU(연산수단)
20 : 흡기관 23 : 스로틀 밸브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는, 엔진(2)의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공기량의 산출에 적용한 것이다. 엔진(2)은, 가변 동작 밸브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흡기 밸브(3)및 배기 밸브(4)의 개폐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5)는, ECU(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ECU(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한다. 또한, 상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5)는 캠 피스톤 센서 등의 검출 센서(7)를 거쳐 ECU(6)에 밸브 타이밍에 관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엔진(2)에는, 크랭크 피스톤 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 피스톤 센서(12)는,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ECU(6)와 접속되고, ECU(6)에 대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엔진(2)에는, 연소실(8)에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9)가 설치되어 있다. 인젝터(9)는, 연료를 연소실(8)로 공급하는 연료 분사 수단이고, 엔진(2)이 구비하는 실린더(10)마다 설치되어 있다. 연소실(8)은, 실린더(10)내에 설치된 피스톤(11)의 윗쪽에 형성되어 있다. 연소실(8)의 상부에는, 흡기 밸브(3) 및 배기 밸브(4)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 밸브(3)의 상류측에는, 인테이크 매니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기관(20)이 접속되어 있다. 흡기관(20)의 상류측에는, 에어 클리너(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기관(20)의 도중에는, 스로틀 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스로틀 밸브(23)는, 흡기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가변 스로틀부이고, ECU(6)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하여 스로틀 개방도를 변화시키고, 그에 동반하여 흡기 경로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킨다. 스로틀 밸브(23)의 스로틀 개방도는, 스로틀 피스톤 센서(24)에 의해 검출되고, ECU(6)에 입력된다.
에어 클리너(22)의 하류 위치에는, 에어 플로우미터(25)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플로우미터(25)는, 흡입 공기량을 검출하는 흡입 공기량 검출 수단이다. 에어 플로우미터(25)의 검출 신호는, ECU(6)에 입력된다.
ECU(6)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CPU, ROM, RAM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주체로하여 구성되어 있다. ROM에는, 유량 산출 루틴을 포함하는 각종 제어 루틴이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도면의 스텝(S10)(이하, 단지 「S10」으로 나타낸다. 다른 스텝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에서, 스로틀 개방도(TA), 엔진 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스로틀 개방도(TA)의 판독은, 스로틀 피스톤 센서(24)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엔진 회전수(NE)의 판독은, 크랭크 피스톤 센서(12)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밸브 타이밍(VT)의 판독은, 검출 센서(7)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S12로 이행하여,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mt)의 산출이 행하여진다. 상기 공기 유량(mt)의 산출은, 다음 수학식 1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여기서, 함수 Φ(Pd/Pu)는, (Pd/Pu)≤(1/(1+k))일 때 (k/(2·(k+ 1)))1/2이고, (Pd/Pu)>(1/(1+k))일 때 (((k-1)/(2·k))·(1-Pd/Pu)+ Pd/Pu)·(1-Pd/Pu))1/2이다.
또한, Ad는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의 위치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이다. Pu는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의 상류측의 상류 압력이다. ρu는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의 상류측의 상류 밀도이다. Pd는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의 하류측의 하류 압력이다. k는 흡입되는 공기의 비열비이다.
구체적인 공기 유량(mt)의 산출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하여진다.
엔진(2)이 정상 상태일 때에는 공기 유량 및 흡기관 압력이 일의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이 때의 정상 유량을 mtTA, 정상 압력을 PdTA로 하면, 상술의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다음 수학식 2이 성립한다.
여기서, 수학식 1이 정상 상태 이외의 과도 상태라도 성립하는 것으로 하고,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동일 스로틀 개방도로 Ad·(Pu·ρu)1/2가 상류 압력과 하류 압력과의 차압에 의존하지 않은 것으로 취급한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 Ad·(Pu·ρu)1/2를 소거하면, 다음 수학식 3이 얻어진다.
그리고, 정상 상태시의 mtTA및 Φ(PdTA/Pu)은 스로틀 개방도(TA), 엔진 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mtTA/Φ(PdTA/Pu)를 스로틀 개방도(TA), 엔진 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의 테이블로서 설정하고, Φ(Pd/Pu)를 Pd의 테이블로써 설정한다.
이로써, 스로틀 개방도(TA), 엔진 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에 따라서,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mt)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공기 유량(mt)의 산출에서, 정상 상태시의 mtTA및 PdTA를 각각 스로틀 개방도(TA), 엔진 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의 테이블로서 설정하고, Φ(Pd/Pu)를 Pd의 테이블로서 설정하고, Pd와 PdTA로 참조함으로써, 과도 상태의 공기 유량(mt)의 산출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엔진(2)이 정상 상태인 경우, 스로틀 개방도(TA)를 통과하는 공기량과 엔진(2)에의 흡입 공기량은 같기 때문에, PdTA를 스로틀 개방도(TA), 엔진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의 테이블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충전 효율에 의해서 mtTA를 산출하고, Φ(Pd/Pu)를 Pd의 테이블로서 설정하여 Pd, PdTA로 참조함으로써, 과도 상태의 공기 유량(mt)을 산출하여도 된다.
또한, 하류 압력(Pd)은, 흡기관(20)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실측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하류 압력(Pd)은, 에어 플로우미터(25) 등의 검출치로부터 추정에 의해 결정하여도 된다. 더욱이, Φ(Pd/Pu)의 테이블은, 인수를 Pd로하여도 , Pd/Pu로하여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산출 결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스로틀 통과 공기량의 산출 결과, 비교예가 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스로틀 통과 공기량의 산출 결과 및 고응답 유량계의 실측 결과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산출에 서의 스로틀 개방도의 시간 변화, 도 5는 흡기관 압력(흡기압)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산출 결과는, 고응답 유량계의 실측치에 잘 추종하고 있어, 정확하게 유량이 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가 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서의 산출 결과는, 통과 공기량이 상승한 부분에서 고응답 유량계의 실측치에 추종하지 않고, 유량이 정확하게는 산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비교예가 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는, 스로틀 통과 공기량(mt)을다음 수학식 4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함수 Φ1(Pd/Pu)는, (Pd/Pu)≤(2/(k+1))k/(k-1)일 때에, (2/(k+ 1))1/(k-1)·(2·k/(k+1))1/2이고, (Pd/Pu)>(2/(k+1))k/(k-1)일 때에, ((2·k/(k-1))· ((Pd/Pu)2/k-(Pd/Pu)(k+ 1)/k))1/2이다.
상기 비교예의 수학식 4는, 질량 보존 법칙(수학식 5), 에너지 보존 법칙(수학식 6) 및 등엔트로피 조건 성립을 전제로 하는 단열 변화의 관계식(수학식 7)에 의해, 유도되어진 식이다.
또한, ρd는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의 하류측의 하류 밀도이다. vu는 스로틀 밸브(23)의 상류측의 공기 유속이다. vd는 스로틀 밸브(23)의 하류측의 공기 유속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는, 스로틀 통과 공기량(mt)을 상술의 수학식 1에 근거하여 산출하고 있다. 수학식 1은, 상술의 질량 보존 법칙(수학식 5), 에너지 보존 법칙(수학식 6) 및 다음 운동량 보존 법칙(수학식 8)에 의해, 유도되는 식이다.
또한, p는 스로틀 밸브(23)의 상류 전체 평균 압력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 밸브(23)의 상류측의 개구 면적(Au), 상류측의 밀도(ρu), 상류측의 압력(Pu), 상류측의 유속(vu)으로 하고, 스로틀 밸브(23)의 개구 면적(Ad), 스로틀 밸브(23)의 하류측의 밀도(ρd), 하류측의 압력(Pd), 하류측의 유속(vd)으로 하였을 때에, 상류측의 개구 면적(Au)을 무한대로서 생각하면, 수학식 5의 질량 보존 법칙으로부터, vu=0이 된다.
또한, 수학식 8의 운동량 보존 법칙으로부터, vu=0도 고려하면, p=Pu가 된다. 따라서, 운동량 보존 법칙은, ρd·vd2= Pu-Pd가 된다.
때문에, 스로틀 통과 공기량(mt)으로서, 수학식 1((Pd/Pu)>(1/(1+ k))의 경우)이 유도되어진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수학식 1의 Φ(Pd/Pu)를 그래프화한 것이다(k= 1, 4의 경우).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의하면, 등엔트로피 조건 성립을 전제로 하지 않고, 질량 보존 법칙(수학식 5), 에너지 보존 법칙(수학식 6) 및 운동량 보존 법칙(수학식 8)에 의해 유도되는 수학식 1을 사용하여,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을 산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드시 등엔트로피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산출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공기 유량에 근거하여 행하여지는 제어 방법에 관해서는 공지 방법에 의한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서는 엔진(2)의 흡기관(20)의 스로틀 밸브(23)를 통과하는 공기량의 산출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는, 통기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가변 스로틀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로서, 가변 스로틀부가 듀티 제어 밸브인 경우에 적용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는, EGR 밸브나 퍼지 제어 밸브 등의 제어 밸브가 온, 오프를 반복하여 듀티 제어되어 유체의 유량이 조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유통하는 유량을 산출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 경우, 듀티 제어의 제어 주파수가 유량의 계산 주파수보다도 작을 때에는, 수학식 1의 개구 면적(Ad)으로서 실제의 개구 면적을 대입하여 유량의 산출이 행하여진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듀티 제어의 제어 주파수가 유량의 계산주파수보다도 클 때에는, 수학식 1의 개구 면적(Ad)은, 듀티 제어의 듀티비에 근거하여 설정된다. 즉, 개구 면적(Ad)으로서, 계산 시간 간격(△t)에서의 평균 개구 면적이 사용되어 유량의 산출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량 산출 제어 장치와 마찬가지로 유량의 산출이 가능하고, 가변 스로틀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 변화의 관계식에 근거하지 않고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기 때문에, 등엔트로피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유체의 유량의 산출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Claims (14)
- 통기 경로(22)의 도중에 설치되는 가변 스로틀부(23)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여, 소정 대상을 제어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 압력을 Pu, 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 밀도를 ρu, 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하류측 압력을 Pd, 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개구 면적을 Ad, 상기 유체의 비열비를 k로 하였을 때,상기 가변 스로틀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mt)을 수학식 mt=Ad·(Pu·ρu)1/2·((((k-1)/(2·k))·(1-Pd/Pu)+ Pd/Pu)·(1-Pd/Pu))1/2에 의해 산출하는 산출기(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기(6)는 수학식 mt= Ad·(Pu·ρu)1/2·Φ(Pd/Pu) 을 사용하여 상기 유체의 유량(mt)을 산출하고,여기서, 상기 함수 Φ(Pd/Pu)는, (Pd/Pu)≤(1/(1+ k))일 때, (k/(2·(k+ 1)))1/2이고, (Pd/Pu)>(1/(1+ k))일 때, ((((k-1)/(2·k))·(1-Pd/Pu)+ Pd/Pu)·(1-Pd/Pu))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로틀부(23)는 내연기관의 흡기경로(20)에 설치되고,상기 산출기(6)에서의 유량의 산출에는 상기 내연기관의 스로틀 개방도(AT), 엔진 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에 의해서 설정되는 테이블로부터 얻어지는 값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압력(Pd)은 상기 통기 경로(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압력(Pd)은 상기 통기 경로(20)에 설치된 플로우미터(25)로부터 추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로틀부(23)는 내연기관에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로틀부(23)는 상기 개구 면적(Ad)이 듀티비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듀티 제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장치.
- 통기 경로(20)의 도중에 설치되는 가변 스로틀부(23)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여 소정 대상을 제어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 압력을 Pu, 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상류측 밀도를 ρu, 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하류측 압력을 Pd, 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개구 면적을 Ad, 상기 유체의 비열비를 k로 하였을 때,수학식 mt=Ad·(Pu·ρu)1/2·((((k-1)/(2·k))·(1-Pd/Pu)+ Pd/Pu)·(1-Pd/Pu))1/2에 의해 산출된 상기 가변 스로틀부(23)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mt)에 근거하여, 소정 대상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수학식 mt= Ad·(Pu·ρu)1/2·Φ(Pd/Pu) 을 사용하여 산출된 상기 유체의 유량(mt)에 근거하여, 소정 대상의 제어를 행하고,여기서, 상기 함수 Φ(Pd/Pu)는, (Pd/Pu)≤(1/(1+ k))일 때 (k/(2·(k+ 1)))1/2이고, (Pd/Pu)>(1/(1+k))일 때 ((((k-1)/(2·k))·(1-Pd/Pu)+Pd/Pu)·(1-Pd/Pu))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로틀부(23)는 내연기관의 흡기 경로(20)에 설치되고,상기 제어방법에서의 유량의 산출에는 스로틀 개방도(AT), 엔진 회전수(NE), 밸브 타이밍(VT)에 의해서 설정되는 테이블로부터 얻어지는 값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압력(Pd)은 상기 통기 경로(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압력(Pd)은 상기 통기 경로(20)에 설치된 플로우미터(25)로부터 추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로틀부(23)는 내연기관에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로틀부(23)는 상기 개구 면적이 듀티비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듀티 제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산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326108 | 2000-10-25 | ||
JP2000326108A JP4017336B2 (ja) | 2000-10-25 | 2000-10-25 | 流量算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2378A KR20020032378A (ko) | 2002-05-03 |
KR100423377B1 true KR100423377B1 (ko) | 2004-03-18 |
Family
ID=1880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5890A KR100423377B1 (ko) | 2000-10-25 | 2001-10-25 | 유량 산출 제어 장치 및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571767B2 (ko) |
EP (1) | EP1201897B1 (ko) |
JP (1) | JP4017336B2 (ko) |
KR (1) | KR1004233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17336B2 (ja) * | 2000-10-25 | 2007-12-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流量算出装置 |
JP3888301B2 (ja) | 2002-12-17 | 2007-02-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内燃機関の排気ガス再循環ガス量算出装置 |
JP3900081B2 (ja) | 2002-12-17 | 2007-04-0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内燃機関の筒内流入排気ガス量算出装置、および、吸気通路内流入排気ガス量算出装置 |
CN100532809C (zh) | 2003-07-10 | 2009-08-26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内燃机的进气量推测装置 |
JP3985746B2 (ja) | 2003-08-26 | 2007-10-0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JP4231419B2 (ja) * | 2004-01-08 | 2009-02-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内燃機関の吸気量計測装置 |
JP4321307B2 (ja) * | 2004-02-26 | 2009-08-26 | 国産電機株式会社 |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開口面積推定方法、この推定方法を用いたエンジンの加速検出方法及び加速検出装置並び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方法及び燃料噴射制御装置 |
JP2009068388A (ja) * | 2007-09-12 | 2009-04-02 | Honda Motor Co Ltd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JP4519164B2 (ja) * | 2007-12-03 | 2010-08-0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内燃機関の圧力・温度算出装置 |
JP4877619B2 (ja) * | 2010-02-10 | 2012-02-1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内燃機関の圧力・温度算出装置 |
CN105736206B (zh) * | 2016-03-29 | 2018-10-16 | 湖南大学 | 一种发动机变工况下循环喷油量的在线检测方法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17099A (en) * | 1972-08-09 | 1974-06-18 | Gen Motors Corp | Mass flow air meter |
JPS54160927A (en) * | 1978-06-12 | 1979-12-20 | Honda Motor Co Ltd | Device for correcting intaken air amount for engine |
JPH081146B2 (ja) * | 1987-04-21 | 1996-01-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内燃機関の非線形フイ−ドバツク制御装置 |
JPH01177432A (ja) * | 1987-12-28 | 1989-07-13 | Fuji Heavy Ind Ltd |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
US4796651A (en) * | 1988-03-30 | 1989-01-10 | LeRoy D. Ginn | Variable gas volume flow measuring and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
NL8802878A (nl) * | 1988-11-22 | 1990-06-18 | Ems Holland Bv | Gasmeter. |
EP0959236B1 (en) * | 1992-07-03 | 2004-04-07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Fuel metering control system and cylinder air flow estimation method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H0674076A (ja) | 1992-07-03 | 1994-03-15 | Honda Motor Co Ltd |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算出方法 |
US5520146A (en) * | 1995-03-03 | 1996-05-28 | Ford Motor Company |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single and series throttle valves |
JP4017336B2 (ja) * | 2000-10-25 | 2007-12-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流量算出装置 |
-
2000
- 2000-10-25 JP JP2000326108A patent/JP401733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10-18 US US09/978,557 patent/US657176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0-24 EP EP01125249.1A patent/EP120189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0-25 KR KR10-2001-0065890A patent/KR1004233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201897A3 (en) | 2007-12-05 |
EP1201897B1 (en) | 2020-11-25 |
JP2002130039A (ja) | 2002-05-09 |
US6571767B2 (en) | 2003-06-03 |
JP4017336B2 (ja) | 2007-12-05 |
US20020046733A1 (en) | 2002-04-25 |
EP1201897A2 (en) | 2002-05-02 |
KR20020032378A (ko) | 2002-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91932C (zh) | 发热电阻器式空气流量测定装置及其计测误差校正方法 | |
US457199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ate of air flow in the intake tub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5889204A (en) | Device for determining the engine loa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6981492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amount | |
US20020107630A1 (en) | Air amount det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0423377B1 (ko) | 유량 산출 제어 장치 및 유량 산출 제어 방법 | |
JP3760757B2 (ja) | 吸入空気量算出装置及び吸気圧算出装置 | |
US4502325A (en) | Measurement of mass airflow into an engine | |
JPS597017B2 (ja) | 電子制御燃料噴射式内燃機関 | |
JP2004143994A (ja) | 内燃機関の吸気量推定装置 | |
JP2901613B2 (ja) | 自動車用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 |
US7178388B2 (en) | Intake air flow detec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0193505A (ja) | 流量測定装置 | |
JP3873608B2 (ja) | 内燃機関制御装置 | |
JP4368053B2 (ja) | 内燃機関における吸入空気量測定方法 | |
JP4483115B2 (ja) | 燃料噴射制御装置および流体流量測定装置 | |
WO2004092562A1 (ja) | 内燃機関の吸気装置 | |
US4715349A (en) | Air intake side secondary air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n improved operation under a small intake air amount | |
JP2001153702A (ja) | 発熱抵抗体式空気流量測定装置の計測誤差補正方法 | |
JPH06265385A (ja) | 空気流量測定装置 | |
JP2019100182A (ja) | 吸入空気量計測装置 | |
JP4023084B2 (ja) | 吸入空気量予測装置及び吸気圧予測装置 | |
US20060207571A1 (en) | Intake and control device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0163456B1 (ko) | 내연 기관의 흡입 공기 유량 검출 장치 | |
JP2005140063A (ja) | エンジン吸入空気量の算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燃比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