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751B1 -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751B1
KR100422751B1 KR10-2001-0050394A KR20010050394A KR100422751B1 KR 100422751 B1 KR100422751 B1 KR 100422751B1 KR 20010050394 A KR20010050394 A KR 20010050394A KR 100422751 B1 KR100422751 B1 KR 10042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late
hole
measuring device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697A (ko
Inventor
김철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7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북미 및 유럽등을 포함하는 전지역 수출 차량에 대한 요구범규중 하나로서, 운전자의 인사이드 미러와 아웃사이드 미러에 대한 후방 가시거리 범위를 미리 측정하고자, 운전자의 눈을 대신하여 회전 가능한 특수전구를 포함하는 측장 장치를 운전석에 설치하여, 전구의 빛을 미러를 통하여 반사시키고 반사된 빛을 차량 후방에 설치된 스크린에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인사이드 및 아웃사이드 미러의 정확한 후방 가시거리 범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Device for testing rear view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사이드/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후방시계에 대한 가시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북미 및 유럽등을 포함하는 전지역 수출 차량에 대한 요구범규중 하나로서,운전자의 인사이드 미러와 아웃사이드 미러에 대한 후방 가시거리 범위를 명기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출 차량의 요구 범규은 인사이드 미러의 경우,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서 후방 60m이내의 지면이 보여야 하고, 20m의 가시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며, 또한 운전자쪽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우는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서 후방 10m에서의 측면가시거리가 2.5m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조수석쪽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우는 운전자 눈의 위치에서 후방 4m에서의 측면 가시거리가 0.75m이상이어야 하고, 20m후방 측면 가시거리가 3.5m이상이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인사이드/아웃사이드 미러에 대한 후방 가시거리 범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직접 운전석에 앉아 미러를 통하여 볼 수 있는 후방 가시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방법이 난이하고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눈을 대신하여 회전 가능한 특수전구를 설치하여, 전구의 빛을 미러를 통하여 반사시키고 반사된 빛을 차량 후방에 설치하는 스크린에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인사이드 및 아웃사이드 미러의 정확한 후방 가시거리 범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의 발광부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의 발광부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의 위치조절부의 높이조절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의 위치조절부의 전후조절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의 위치조절부의 조절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의 위치조절부의 지지파이프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2 : 중공파이프
14 : 장착홀 20 : 지지체
22 : 전구장착판 24 : 전구
26 : 스위치 30 : 높이조절판
32 : 높이조절봉 34 : 길이조절봉
40 : 전후조절판 42 : 조절홀
50 : 조절체 52 : 눈금자
54 : 슬라이드홀 60 : 지지파이프
70 : 로드 100 : 발광부
200 : 위치조절부 300 : 스크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발광부(100)와 위치조절부(200)와 스크린(300)으로 구성하되, 상기 발광부(100)는 하단에 중공파이프(12)가 용접으로 고정되고 전면에는 한 쌍의 장착홀(14)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이 몸체부(10)의 장착홀에 각각 체결되고 회전 가능한 전구장착판(22)을 갖는 지지체(20)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200)는 상기 몸체부(10)의 중공파이프(12)에 삽입되는 높이조절봉(32)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양쪽에는 길이조절홀(34)이 형성된 높이조절판(30)과,
상기 높이조절판(30)의 길이조절홀(34)과 일치되는 한 쌍의 암나사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양측면에도 한 쌍의 조절홀(42)이 관통 형성된 전후조절판(40)과,
상기 전후조절판(40)의 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양측면 상하에는 각각 눈금자(52)와 슬라이드홀(54)이 형성된 조절체(50)와, 이 조절체(50)의 저면 중앙에 장착되고 일측면에는 암나사홀이 형성된 지지파이프(60)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300)은 인사이드/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반사된 전구의 빛이 투영되도록 차량의 후방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발광부(100)의 중공파이프(12)의 일측에도 암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32)이 삽입된 후, 암나사홀로 볼트를 삽입하여 높이조절봉(32)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위치조절부(200)의 지지파이프(60) 내면에는 더미인형의 하체에 돌출된 로드(70)가 삽입되고, 이 삽입된 로드(70)는 지지파이프(60) 일측의 암나사홀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전후조절판(40)의 조절홀(42)과, 상기 조절체(50)의 슬라이드홀(54)은 서로 일치되어, 볼트의 삽입으로 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100)의 전구장착판(22)에 끼워진 전구(24)의 소켓부는 중간에 스위치(26)를 갖는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발광부와 위치조절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도 2 도시한 몸체부(10)와 도 3에 도시한 지지체(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한 쌍의 장착홀(14)이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오목한 구조의 판체와, 이 판체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단으로 구성되고, 이 연장단에는 암나사홀을 갖는 중공파이프(12)가 상하로 관통되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20)는 수직 절곡된 형태의 판체로서, 수직판 부분에는 볼팅용홀이 형성되고 있고, 수평판의 중앙에는 전구장착판(22)이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전구장착판(22)에는 두 개의 끼움홀이 형성되어, 전구(24)의 소켓부분이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20)의 수직판에 형성된 볼팅용 홀과 상기 몸체부(10)의 장착홀(14)을 일치시켜 볼팅을 함으로써, 몸체부(10)의 전면 양쪽에 한 쌍의 지지체(20)가 체결되어진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높이조절판(30)과, 도 5에 도시한 전후조절판(40)과, 도 6에 도시한 조절체(50)와, 도 7에 도시한 지지파이프(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판(30)은 양쪽에 길다란 길이조절홀(34)이 형성된 판체와, 이 판체의 상면 중앙에는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봉(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판(30)의 높이조절봉(32)이 상기 발광부(100)의 몸체부(10)의 중공파이프(12) 내부로 삽입되고, 중공파이프(12)에 형성된 암나사홀을 통하여 볼팅을 함으로써, 높이조절봉(32)이 조여져 고정되어진다.
상기 전후조절판(40)은 한 쌍의 암나사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양측면 하단에는 한 쌍의 조절홀(42)이 형성된 ''형상으로 절곡된 판체로서, 한 쌍의 암나사홈을 상기 높이조절판(30)의 길이조절홀(34)과 일치시켜 볼팅을 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판(30)과 전후조절판(40)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체(50)는 양측면 상부쪽에 눈금자(52)가 새겨져 있고, 하부쪽에는길다란 슬라이드홀(54)이 형성되고, 중앙면에 암나사홀이 관통 형성된 구조의 ''단면 형상의 길다란 판체로서, 상기 전후조절판(40)의 저면에 삽입 밀착시켜 전후조절판(40)의 조절홀(42)과 슬라이드홀(54)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후, 일치된 이곳으로 볼팅을 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파이프(60)는 일측면에 암나사홀이 형성되고, 상면에도 암나사홀이 형성되며, 저면으로 연통되어 있는 중공의 파이프 구조로서, 상기 조절체(50)의 저면 중앙의 암나사홀과 일치시켜 볼팅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후방시계 측정 장치는 하체만 있는 더미인형의 로드(70)와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더미인형의 로드(70)를 상기 지지파이프(60)의 내부로 삽입시켜, 지지파이프(60)의 암나사홀을 통하여 볼팅으로 함으로써, 지지파이프가 조여지고, 결국 후방시계 측정장치의 장착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더미인형을 운전석에 앉히게 되면, 본 발명의 후방시계 측정장치는 마치 사람의 상체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시계 측정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후방 소정의 위치에는 첨부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300)이 설치되는데, 이 스크린(300)은 인사이드/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반사된 전구(24)의 빛이 투영되도록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구(24)의 소켓부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에서 발광부(100)의 전구(24)는 특수전구로서, 운전자가 운전시 눈을 돌리는 각도만큼 전구장착판(22)을 회전시키면, 특수전구가 운전자의 눈과 같은 회전을 하여,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으로서, 12V 및 50W의 특수전구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특수전구(24)가 장착된 전구장착판(22)과, 이 전구장착판(2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진 지지체(20)는 전구가 작동시 많은 열을 발사하므로 열전도율이 낮고 단단하고 가벼운 특수 플라스틱류를 재료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운전자의 눈높이 조절과 같이 높이 좌표(Z축)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판(30)과, 운전자 눈의 좌우좌표(Y축) 조절을 하는 전후조절판(40)과, 운전자 눈의 앞뒤 좌표(X축) 조절을 하는 조절체(50)와, 이 조절체(50)와 체결된 지지파이프(60)로 구성된 상기 위치조절부(200)는 무게를 고려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을 평평한 표면이나 정반위에 차량을 정차시키고, 운전석위에 더미 인형 즉, 마네킨을 설치한 후, 마네킨 상단 로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에 삽입하여 볼팅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가 운전석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진다. 물론, 차량의 후방쪽에는 스크린이 배치시키게 된다.
모든 기준좌표는 마네킨의 히프점을 기준하여 측정하고, 시험에 필요한 좌표는 차량의 기준좌표, 즉 X,Y,Z 좌표와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눈의 좌표이다.
이때, 눈의 좌표는 3차원 마네킨의 히프점을 기준하여 측정되고, 히프점 좌표는 차량의 X,Y,Z 각각의 기준좌표를 기준하여 측정한다.
3차원 마네킨에 설치된 본 장치를 이용하여 먼저 운전자 눈의 X좌표를 설정하는데, 먼저 X축의 기준점인 차량의 앞타이어 중심이나 측정이 쉬운 상대기준좌표인 차체의 다른 기준점(주로 앞도어 스트라이커 중심)을 이용한다.
즉, 3차원 마네킨의 히프점 X축을 자동차 제작자가 제공하는 좌표대로 설정하고, 이 히프점을 기준하여 규정하는 운전자 눈의 X 좌표를 설정하는데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기준점에서 차체의 기준점이나 X축의 기준점인 차량의 앞 타이어 중심을 기준하여 자동차 제작자가 제공하는 좌표 위치에 먼저 표시를 하고 3차원 마네킨 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장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전후조절판(40)의 하단 고정용 볼트,너트를 풀고 조절체(50)를 좌우로 이동 조절하고(이때 상기 조절체(50)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자(52)를 이용하면 더 편리함),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미리 표시된 위치와 일치하게 한 후, 고정용 볼트,너트를 조여서 고정시킨다.
운전자 눈의 Y좌표를 설정하기 위해 상술한 기준점을 이용하여(Y축의 경우 차체의 기준점은 차량의 중심선이 된다), 역시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면서 미리 표시된 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해 본 제안장치 높이조절판(30)의 고정용 볼트를 풀어 좌우로 조절하여 두 눈(2개의 특수전구 중심점)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오게 한 후, 고정용 볼트를 다시 전후조절판(40)의 상단면에 있는 암나사부에 고정한다.
운전자 눈의 Z좌표를 설정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준점을 이용하여(Z축의 경우 옆문하단 차체의 수평면을 주로 기준점으로 한다), 역시 3차원 측정기를이용하면서 미리 표시된 위치와 일치하게 하게 하기 위해 발광부(100)의 지지체(20)의 고정용 볼트를 풀고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위치를 맞춘후 다시 고정용 볼트를 조인다.
이때, 발광부(100)의 지지체(20)로 높이 조절이 부족할시 마네킨과 결합되는 지지파이프(60)를 이용하여 추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운전자 눈의 위치 설정을 법규 규정대로 완료시킨 후, 법규 규정대로 운전자 눈의 점을 기준한 차량뒤쪽 일정한 위치에 운전자 시계범위 측정용 스크린을 설치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예:운전석 아웃사이드 미러의 시계범위 측정시 운전석 미러를 제외한 다른 부위)외에 다른 부분은(뒤문유리창 부분, 앞뒤 유리부분등 빛이 새어나갈 수 있는 부분)은 빛이 새지 않는 재료로 가리고, 전원 스위치를 켜면 본 발명의 장치의 특수전구에 불이 켜지면서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이 차량 뒤에 설치된 스크린에 상이 형성되고, 이 형성된 상을 이용하여 가시거리를 측정후 법규 만족유무를 평가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에 의하면, 운전자의 눈을 대신하여 회전 가능한 특수전구를 포함하는 후방시계 측정장치를 운전석에 설치하여, 특수 전구의 빛을 미러를 통하여 반사시키고 반사된 빛을 차량 후방에 설치된 스크린에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인사이드 및 아웃사이드 미러의 정확한 후방 가시거리 범위를 측정할 수 있어, 수출 차량에 대한 법규를 미리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발광부(100)와 위치조절부(200)와 스크린(300)으로 구성하되, 상기 발광부(100)는 하단에 중공파이프(12)가 용접으로 고정되고 전면에는 한 쌍의 장착홀(14)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이 몸체부(10)의 장착홀에 각각 체결되고 회전 가능한 전구장착판(22)을 갖는 지지체(20)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200)는 상기 몸체부(10)의 중공파이프(12)에 삽입되는 높이조절봉(32)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양쪽에는 길이조절홀(34)이 형성된 높이조절판(30)과,
    상기 높이조절판(30)의 길이조절홀(34)과 일치되는 한 쌍의 암나사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양측면에도 한 쌍의 조절홀(42)이 관통 형성된 전후조절판(40)과,
    상기 전후조절판(40)의 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양측면 상하에는 각각 눈금자(52)와 슬라이드홀(54)이 형성된 조절체(50)와, 이 조절체(50)의 저면 중앙에 장착되고 일측면에는 암나사홀이 형성된 지지파이프(60)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300)은 인사이드/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반사된 전구의 빛이 투영되도록 차량의 후방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00)의 중공파이프(12)의 일측에도 암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32)이 삽입된 후, 암나사홀로 볼트를 삽입하여 높이조절봉(32)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200)의 지지파이프(60) 내면에는 더미인형의 하체에 돌출된 로드(70)가 삽입되고, 이 삽입된 로드(70)는 지지파이프(60) 일측의 암나사홀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조절판(40)의 조절홀(42)과, 상기 조절체(50)의 슬라이드홀(54)은 서로 일치되어, 볼트의 삽입으로 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00)의 전구장착판(22)에 끼워진 전구(24)의 소켓부는 중간에 스위치(26)를 갖는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KR10-2001-0050394A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KR10042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94A KR100422751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94A KR100422751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97A KR20030016697A (ko) 2003-03-03
KR100422751B1 true KR100422751B1 (ko) 2004-03-12

Family

ID=2772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394A KR100422751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7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402A (ko) * 1996-09-23 1998-07-06 김영귀 차량의 후방시계확보를 위한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KR19990029052U (ko) * 1997-12-27 1999-07-15 양재신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의 후방 감시장치
JPH11321495A (ja) * 1998-05-08 1999-11-24 Yazaki Corp 後側方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402A (ko) * 1996-09-23 1998-07-06 김영귀 차량의 후방시계확보를 위한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KR19990029052U (ko) * 1997-12-27 1999-07-15 양재신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의 후방 감시장치
JPH11321495A (ja) * 1998-05-08 1999-11-24 Yazaki Corp 後側方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97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728B1 (en) Safety light
US5424875A (en) Motor vehicle safety mirror
US5253115A (en) Rearview mirror with an operating condition display
CN111239701B (zh) 车载距离探测装置的角度校准方法
JPH02254037A (ja) 自動車ヘッドランプの水平ゼロ調整装置
CN108535729B (zh) 一种acc标定架的工作方法
CN112896051A (zh) 一种能消除汽车视觉盲区的全景电子后视镜
CA2029061A1 (en) U-turn signal attachment
KR100422751B1 (ko) 자동차용 후방시계 측정 장치
US7008069B2 (en) Mirror mounting structure with offset increasing angular adjustment
CN212379562U (zh) 一种高级辅助驾驶adas校准装置
US6247821B1 (en) Combined forward and rearward viewing mirror system
CN111307417A (zh) 内后视镜视野校核装置
CN111504196A (zh) 一种车载前向雷达的标定工装及标定方法
CN213456061U (zh) 一种机动车前照灯检测仪
US20110099825A1 (en) Multiaxial unitary alignment apparatus
CN211318223U (zh) 一种v点模拟测试装置
KR0173600B1 (ko) 차량의 에이필러 비젼 측정기
CN217465685U (zh) 汽车驾驶员侧外视镜安装位置角度的测量装置、测量系统
CN212621492U (zh) 汽车主销倾角辅助测量装置
CN210526397U (zh) 盲区驾驶辅助装置及车辆
ES2139408T3 (es) Dispositivo corrector de la orientacion de un faro delantero, especialmente para automoviles, accionado por un motor piezoelectrico.
KR970004735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조절용 계측장치
CN217560909U (zh) 一种车辆侧碰试验装置
JPH11125671A (ja) レーザ照射角度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