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242B1 -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제조용 장독 - Google Patents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제조용 장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242B1
KR100422242B1 KR10-2001-0043887A KR20010043887A KR100422242B1 KR 100422242 B1 KR100422242 B1 KR 100422242B1 KR 20010043887 A KR20010043887 A KR 20010043887A KR 100422242 B1 KR100422242 B1 KR 10042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ju
shaped
soy sauce
miso
hollo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880A (ko
Inventor
도기갑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Priority to KR10-2001-004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2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내부 속까지 완전발효가 이루어지고 간장 및 된장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길이가 대략 10∼30㎝정도이며 단면의 바깥지름 또는 대각선길이가 대략 8∼15㎝정도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름 또는 대각선길이가 대략 2∼8㎝정도인 발효구멍을 형성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제공한다.
그리고 소정의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개폐밸브가 부착된 배출구가 설치되는 몸체와, 몸체의 내부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는 상태로 윗부분이 몸체의 입구에 설치되고 외주면 및 바닥면에는 다수의 숙성구멍이 형성되는 메주지지용기와, 메주지지용기 및 몸체의 입구를 덮으며 햇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곤충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미세한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 제조용 장독 {Hollow Rod Type Fermented Soybean and Process and Processing Soy-jar of Soy and Soybean Paste Thereby}
본 발명은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 제조용 장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메주를 만들고 이 메주를 이용하여 간장 및 된장을 제조하므로 완전발효가 이루어지며 각 가정이나 공장에서 편리하게 간장 및 된장을 만들 수 있는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 제조용 장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등의 장류를 제조하기 위한 메주는 대두를 삶은 다음, 대두형상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육면체로 형성하고, 이를 발효시켜 만든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발효시킨 다음, 메주덩어리를 걸러내면 남은 액체가 간장이며, 걸러낸 메주덩어리에 소금을 더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물을 넣고 혼합하면 된장이 제조된다.
상기에서 재래식 된장은 자연상태에서 메주를 발효시키고, 개량식 된장은 메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Oryzae)와 같은 국균을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발효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 메주에 있어서, 대두형상 그대로 발효시키는 경우에는 소금물에 담가 간장을 제조한 다음, 이를 거르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완전하게 거르지 못하는 경우 간장에 찌꺼기가 남게 된다.
따라서 낱알메주를 숙성 발효시키는 과정이 번거롭고 착유가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설비를 갖추지 않은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대형 공장에서 간장이나 된장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 삶은 대두를 분쇄하여 육면체로 만든 다음 발효시키는 경우에는 내부 속까지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으며, 발효과정에서 충분한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가 부패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는 제국환경과 조건이 취약하기 때문에 공기중에서 인체에 유익한 각종 균(바실러스 균 등)만을 선별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결과 고품질의 콩을 원료로 사용하여도 유효성분의 활용이 미흡하고, 이로부터 제조되는 간장과 된장도 필연적으로 혐기성을 유발시키게 되어 장기간 자연 발효되는 숙성 과정에서 통기성과 일조량이 좋은 넓은 공간인 장독대가 구비되지 않으면 나쁜 냄새(취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다.
그런데 아파트와 같은 대단위 주거문화가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는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취기) 등을 싫어하는 이웃이 바로 근처에 존재하므로 각 가정에서 손쉽게 재래식으로 간장이나 된장을 담가 먹을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중공의 봉형상으로 제조하여 통기가 충분하게 이루어지고 안과 밖에서 동시에 발효과 진행되므로 완전발효가 이루어지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빈 중공봉형상 메주를 망으로 이루어진 자루에 밀집된 상태로 세워서 담고 이를 소금물에 담가 발효시키므로 간장을 제조하고 간장 제조후 이를 건져 된장을 제조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입구부분에 중공봉형상 메주가 밀집된 상태로 세워서 적재되고 소금물의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용기를 설치하여 간장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는 길이가 대략 10∼30㎝정도이며 단면의 바깥지름 또는 대각선길이가 대략 8∼15㎝정도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름 또는 대각선길이가 대략 2∼8㎝정도인 발효구멍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고리형상을 이루는 발효구멍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대략 3∼6㎝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통기성이 충분하게 얻어져 내부에서의 부패가 발생하지 않고 완전발효가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은 선별된 콩을 세정한 다음 증자(삶기)하고, 증자된 콩을 분쇄하여 내부가 빈 중공봉형상으로 메주를 성형하고, 성형된 메주를 발효시키고, 발효된 중공봉형상 메주를 망으로 이루어진 자루에 밀집된 상태로 세워서 담아 소금물에 잠기도록 장독에 넣은 다음 숙성시켜 간장을 제조하고, 숙성된 메주를 건져내어 소정의 첨가물을 첨가한 다음 고르게 혼합 반죽하여 된장을 제조한다.
또 본 발명이 제안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은 소정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내부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는 상태로 윗부분이 상기한 몸체의 입구에 설치되고 외주면 및 바닥면에는 다수의 숙성구멍이 형성되는 메주지지용기와, 상기한 메주지지용기 및 몸체의 입구를 덮으며 햇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곤충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미세한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몸체의 아랫부분에는 내부에 담가진 간장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밸브가 부착된 배출구를 설치한다.
또 상기한 몸체의 밑면은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원뿔의 위쪽을 자른 형상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 제조용 장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L)가 대략 10∼30㎝정도이며 단면의 바깥지름(B)이 대략 8∼15㎝정도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름(A)이 대략 2∼8㎝정도인 발효구멍(4)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고리형상을 이루는 발효구멍(4)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C)는 대략 3∼6㎝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통기성이 충분하게 얻어져 내부에서의 부패가 발생하지 않고 완전발효가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각기둥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발효구멍(4)은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길이(L)를 너무 길게 하면 취급이 불편하고 쉽게 부러지므로 30㎝정도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L)를 10㎝ 미만으로 형성하면 너무 작아서 간장 제조시에 사용되는 수가 많아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대략 20∼25㎝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에서 바깥지름(B)을 너무 크게 하면 취급이 불편하므로 15㎝정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깥지름(B)을 8㎝ 미만으로 형성하면 너무 가늘어 쉽게 부러지게 되므로, 대략 11∼12㎝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두께(C)를 6㎝보다 크게 하면 내부 속까지 충분하게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속에서 부패될 우려가 있으며, 두께(C)를 3㎝보다 작게 하면 너무 가늘어서 쉽게 빠개지거나 갈라지므로, 대략 4㎝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깥지름(B)과 발효구멍(4)의 지름(A)은 상기한 두께(C)가 대략 3∼6㎝정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발효구멍(4)의 지름(A)을 2㎝ 미만으로 형성하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자라나는 곰팡이에 의해 구멍이 막힐 우려가 있고, 충분한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효의 증대효과가 크게 저하된다.
상기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제조하면, 외주면쪽에서 뿐만 아니라 내부 중앙쪽에서도 발효가 진행되므로 전체적인 발효의 진행시간이 절감되고, 내부 속까지 원활하게 발효가 진행되므로 부패가 이루어지는 곳이 존재하지 않으며, 내외부에 적절하게 통기가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으로 완전발효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원기둥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하나의 발효구멍(4)만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면체로 형성하고 한쪽면에서 반대쪽 면으로 관통하는 발효구멍(4)을 다수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발효구멍(4)의 지름(A)을 대략 2∼8㎝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웃하는 발효구멍(4) 사이의 간격 및 발효구멍(4)과 모서리 사이의 간격을 대략 3∼6㎝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통기성이 충분하게 얻어져 내부에서의 부패가 발생하지 않고 완전발효가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육면체로 형성하고 다수의 발효구멍(4)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 여러개를 밀착시킨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의 일실시예는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한 몸체(10)의 내부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는 상태로 윗부분이 상기한 몸체(10)의 입구(12)에 설치되고 외주면 및 바닥면에는 다수의 숙성구멍(24)이 형성되는 메주지지용기(20)와,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 및 몸체(10)의 입구(12)를 덮으며 햇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곤충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미세한 통기구멍(34)이 형성되는 덮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몸체(10)는 각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1∼2명이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정용인 경우, 상기한 몸체(10)를 높이가 대략 50∼80㎝정도이고, 볼록한 중앙부의 최대 지름이 대략 25∼40㎝정도인 항아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체의 중량을 포함하여 어른 1∼2명이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략 50∼80ℓ정도의 저장용량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3∼5인 가정용인 경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몸체(10)의 높이를 대략 60∼70㎝정도로, 최대 지름을 대략 30∼33㎝정도로 설정한다.
또 상기한 몸체(10)의 밑면에는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원뿔의 위쪽을 자른 형상으로 받침부(16)를 형성한다.
즉 상기한 받침부(16)는 바닥과 접하는 쪽은 단면적이 넓고 상기한 몸체(10)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뿔의 꼭지점쪽을 자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상기한 몸체(10)의 위쪽을 옆으로 밀었을 때 쉽게 넘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몸체(10)의 아랫부분에는 내부에 담가진 간장 등의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밸브(19)가 부착된 배출구(18)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출구(18)를 설치하면, 필요에 따라 덮개(30)를 열지 않고도 간장 등을 따라 먹을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며, 특히 잘 숙성된 간장의 진액은 바닥쪽으로 가라앉아 위치하기 때문에 늘 맛이 좋은 간장을 먹을 수 있다.
상기한 몸체(10)의 외주면에는 이동할 때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는 상기한 몸체(10)의 입구(12) 모서리에 걸쳐지도록 윗부분에 플랜지부(22)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메주지지용기(20)의 외주면 및 바닥면에 형성되는 숙성구멍(24)은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에 세워서 적재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메주(2)가 몸체(10)에 채워지는 소금물(1)에 담겨 있도록, 소금물(1)이 자유롭게 메주지지용기(20) 내부로 들어오고 나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의 원통부(25)는 상기한 플랜지부(22)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다수의 숙성구멍(24)이 형성되도록 그물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숙성구멍(2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몸체(10) 및 메주지지용기(20)는 소금물(1)에 부식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자기나 옹기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의 높이는 상기한 메주(2)가 적재되었을 때에 몸체(10)에 채워지는 소금물(1)에 메주(2)가 완전하게 잠기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한 상기한 메주(2)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의 높이는 상기한 몸체(10)에 소금물(1)을 채우는 경우 몸체(10)의 입구에서 소금물(1)의 수위까지의 거리와 메주(2)의 길이(L)를 합한 것보다 큰 치수로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의 원통부(25) 높이는 대략 30∼40㎝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메주지지용기(20)에 메주(2)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메주(2)의 형상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형상의 자루(28)에 상기한 메주(2)를 세워서 밀집상태로 담은 채로 메주지지용기(20)에 넣는다.
이 때 메주(2)로부터 부스러기나 찌꺼기가 발생하여 소금물(1)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주지지용기(20)의 바닥에는 미세하게 눈이 형성되는 그물형상의 거름부재(40)를 설치한다.
상기한 거름부재(40)는 천이나 망사, 모기장천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에 메주(2)를 넣은 다음, 메주(2)가 부력에 의하여 떠올라 소금물의 수면 위로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주(2)의 위쪽에 중량물(4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중량물(46)은 메주지지용기(20)에 담기는 메주(2) 전체의 부력보다 큰 중량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중량물(46)과 메주(2) 사이에는 중량이 일부의 메주(2)에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메주지지용기(20)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지지판(44)을 설치한다.
상기한 지지판(44)은 메주(2)의 윗부분도 충분하게 소금물(1)과 접촉하도록 그물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메주지지용기(20)를 몸체(10)의 입구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메주지지용기(20)를 몸체(10)의 안에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담겨지는 메주(2)의 전체 부력에 대응하여 메주지지용기(20)의 표면(메주의 표면)이 소금물의 표면 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량물(46)을 몸체(10)의 바닥에 설치하고 끈이나 와이어 등으로 메주지지용기(20)의 바닥과 중량물(46)을 연결하여 소금물(1)의 수위 이하로 메주지지용기(20)의 윗면이 위치하도록 잡아당기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소금물(1)의 수위 이하에서 메주지지용기(20)에 작용하는 중력과 메주(2)의 전체 부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덮개(30)는 빗물이나 눈 또는 이물질 등이 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판형상으로 이루어지지는 지붕(32)과, 상기한 지붕(32)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파리, 모기, 하루살이 등의 곤충이 상기한 몸체(1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한 몸체(10)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서로 유통되도록 미세한 통기구멍(34)이 형성되는 원통부(35)와, 상기한 원통부(35)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에 조립되는 결합부(3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붕(32)은 햇빛이 잘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외관의 미려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소정의 색상을 나타내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지붕(32)은 평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눈 등이 쌓이지 않고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중앙에서 모서리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나 중앙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지붕(32)에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윗면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결합부(36)는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결합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한 결합부(36)는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의 플랜지부(22)를 감싸도록 구성하며, 단면형상이 대략 "ㄱ"형상을 이루는 고리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메주지지용기(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결합부(36)를 상기한 몸체(10)의 입구(12)에 직접 조립한다.
상기한 원통부(35)는 미세한 통기구멍(34)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 또는 비금속 망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주면에 미세한 구멍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원통부(35)가 연결되는 상기한 결합부(36)에 있어서 수평부를 소정의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원통부(35)에 파리 등의 곤충이 달라붙은 채로 통기구멍(34)을 통하여 알을 안쪽으로 낳는 경우에도 상기한 결합부(36)의 수평부에 알이 떨어져 햇빛에 의해 말라버리므로 부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2) 및 장독을 이용하여 간장 및 된장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 1 및 도 6∼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준비된 콩으로부터 돌이나 이물질, 썩은 콩 등을 된 콩을 선별하여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세정한 다음 증자(삶기)한다.
이어서 증자된 콩을 분쇄하여 내부가 빈 중공봉형상 메주(2)를 성형하고, 성형된 메주(2)를 발효시킨다.
상기에서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Oryzae)와 같은 국균을 인공적으로 접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발효가 완료된 중공봉형상 메주(2)를 망으로 이루어진 자루(28)에 밀집된 상태로 세워서 담은 다음, 메주지지용기(20)의 바닥에 거름부재(40)를 설치하고, 메주(2)를 자루(28)에 담긴 채로 메주지지용기(20)에 담고, 자루(28) 위에는 메주(2)가 소금물(1)에 뜨지 않도록 지지판(44)과 중량물(46)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중공봉형상 메주(2)가 세워서 적재된 메주지지용기(20)를 장독의 몸체(10)에 플랜지부(22)가 몸체(10)의 입구(12)에 걸리도록 설치하고, 소금물(1)을 메주(2)의 윗면까지 차도록 몸체(10)에 채운 다음, 덮개(30)를 덮고 충분하게 숙성시킨다.
상기한 숙성과정에서 순화된 풍미가 집안에 은은히 풍겨 집안에 생활하는 사람들이 간장이 숙성되는 풍미에 익숙하게 되고, 이는 먹을 때에 거부감을 없애고 입맛을 돋구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숙성이 진행되어 간장이 제조되면, 상기한 메주지지용기(20)로부터 자루(28)에 담긴 채로 메주(2)를 꺼낸 다음, 자루(28)로부터 메주(2) 덩어리를 쏟아내어 소정의 첨가물(소금, 향미료 등)을 첨가한 다음 고르게 혼합 반죽하여 된장을 제조한다.
상기에서는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 제조용 장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에 의하면,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발효가 진행되므로 발효의 진행속도가 빨라 단시간에 발효가 이루어지고, 통기가 충분하게 이루어지므로 내부 속에서의 부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에 의하면, 소금물에 담겨 간장이 제조되는 숙성과정에서도 소금물과 접하는 면적이 크게 증대되므로, 충분한 숙성이 이루어져 빠른 시간에 간장이 제조되며, 크기 및 두께가 작아 숙성된 상태에서 쉽게 부스러지므로 반죽하여 된장을 제조하는 과정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에 의하면, 메주지지용기를 설치하고 망형상 자루에 메주를 담기 때문에, 메주가흐트러져 간장에 빠지지 않아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간장을 제조한 다음 건져내어 된장을 제조하는 과정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에 의하면, 배출구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간장을 따라 먹으면서 수시로 소금물을 재충전하면 항상 충분하게 숙성된 간장을 먹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에 의하면, 곤충이 들어가지 못함은 물론 알도 깔 수 없도록 덮개를 구성하므로, 항상 청결한 간장을 먹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 및 제조용 장독에 의하면, 중공봉형상 메주만 대단위로 제조하여 각 가정에 공급한다면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사는 경우에도 각 가정에서 손쉽게 간장, 된장 등의 장류를 담가 먹을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길이가 10∼30㎝이며 단면의 바깥지름 또는 대각선길이가 8∼15㎝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름이 2∼8㎝인 발효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발효구멍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3∼6㎝를 유지하는 중공봉형상 메주.
  3. 소정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내부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는 상태로 윗부분이 상기한 몸체의 입구 모서리에 걸쳐지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원통부와 바닥면으로 이루어지고 원통부의 외주면 및 바닥면에는 다수의 숙성구멍이 형성되는 메주지지용기와,
    상기한 메주지지용기 및 몸체의 입구를 덮으며 햇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통형상으로 형성하며 원통부의 외주면에는 곤충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미세한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높이가 50∼80㎝이고, 볼록한 중앙부의 최대 지름이 25∼40㎝인 항아리형상으로 형성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밑면에는 바닥과 접하는 쪽은 단면적이 넓고 상기한 몸체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뿔의 꼭지점쪽을 자른 형상으로 받침부를 형성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아랫부분에는 개폐밸브가 부착된 배출구를 설치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주지지용기에 메주를 적재하기 위한 그물형상의 자루를 더 포함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는 빗물이나 눈 또는 이물질이 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붕과, 상기한 지붕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곤충이 상기한 몸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한 몸체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서로 유통되도록 미세한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한 원통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한 메주지지용기의 플랜지부에 조립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용 장독.
  9. 선별된 콩을 세정한 다음 증자하고,
    증자된 콩을 분쇄하여 길이가 10∼30㎝이며 단면의 바깥지름 또는 대각선길이가 8∼15㎝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름이 2∼8㎝인 발효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발효구멍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3∼6㎝를 유지하는 중공봉형상으로 메주를 성형하고,
    성형된 중공봉형상 메주를 발효시키고,
    발효된 중공봉형상 메주를 망으로 이루어진 자루에 밀집된 상태로 세워서 담아 장독에 채워지는 소금물에 잠기도록 장독의 입구에 윗부분의 플랜지부가 걸쳐지는 메주지지용기에 넣은 다음 숙성시켜 간장을 제조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10. 선별된 콩을 세정한 다음 증자하고,
    증자된 콩을 분쇄하여 길이가 10∼30㎝이며 단면의 바깥지름 또는 대각선길이가 8∼15㎝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름이 2∼8㎝인 발효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발효구멍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3∼6㎝를 유지하는 중공봉형상으로 메주를 성형하고,
    성형된 중공봉형상 메주를 발효시키고,
    발효된 중공봉형상 메주를 망으로 이루어진 자루에 밀집된 상태로 세워서 담아 장독에 채워진 소금물에 잠기도록 장독의 입구에 윗부분의 플랜지부가 걸쳐지는 메주지지용기에 넣은 다음 숙성시키고,
    숙성된 메주를 건져내어 소정의 첨가물을 첨가한 다음 고르게 혼합 반죽하여 된장을 제조하는 중공봉형상 메주를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2001-0043887A 2001-07-20 2001-07-20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제조용 장독 KR10042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87A KR100422242B1 (ko) 2001-07-20 2001-07-20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제조용 장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87A KR100422242B1 (ko) 2001-07-20 2001-07-20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제조용 장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80A KR20030008880A (ko) 2003-01-29
KR100422242B1 true KR100422242B1 (ko) 2004-03-12

Family

ID=2771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887A KR100422242B1 (ko) 2001-07-20 2001-07-20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제조용 장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97A (ko) 2019-09-04 2021-03-12 박의철 된장 제조용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47B1 (ko) 2017-11-03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양극금속선이 구비된 탄소섬유 텍스타일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654A (ko) * 1980-03-24 1983-05-18 이근성 전자 자동소화기 장치
KR830001654Y1 (ko) * 1981-12-31 1983-09-05 이은양 구멍이 천공된 메주
KR850000402A (ko) * 1982-09-03 1985-02-27 오오쓰까 아끼히꼬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50026613U (ko) * 1994-03-31 1995-10-16 최제순 위생 장독 뚜껑
KR20000020494U (ko) * 1999-05-07 2000-12-05 조진석 장독뚜껑
KR20010081782A (ko) * 2000-02-18 2001-08-29 이진섭 전통 조선된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654A (ko) * 1980-03-24 1983-05-18 이근성 전자 자동소화기 장치
KR830001654Y1 (ko) * 1981-12-31 1983-09-05 이은양 구멍이 천공된 메주
KR850000402A (ko) * 1982-09-03 1985-02-27 오오쓰까 아끼히꼬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50026613U (ko) * 1994-03-31 1995-10-16 최제순 위생 장독 뚜껑
KR20000020494U (ko) * 1999-05-07 2000-12-05 조진석 장독뚜껑
KR20010081782A (ko) * 2000-02-18 2001-08-29 이진섭 전통 조선된장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97A (ko) 2019-09-04 2021-03-12 박의철 된장 제조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80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4164A (zh) 一种中华鳖幼体恒温培育系统
CN204860472U (zh) 竹鼠模拟野外的养殖圈舍
KR100422242B1 (ko) 중공봉형상 메주와 이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과제조용 장독
CN206213056U (zh) 一种诱捕纳苗并养殖黄斑篮子鱼的网箱装置
CN108684438A (zh) 稻蛙菇综合种养系统
CN107455322A (zh) 农村养鸡的方法
CN110622904A (zh) 一种设施化田螺繁育装置
CN106135138A (zh) 一种收集稻纵卷叶螟卵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558439A (zh) 一种捕蝇饵料及捕蝇杯
CN207305795U (zh) 生态养鱼系统
CN204860471U (zh) 竹鼠生态养殖圈
CN106035276A (zh) 一种户外区域用灭蚊器
CN105028361B (zh) 一种诱集并监测韭蛆成虫的方法
CN206760175U (zh) 一种高效保水花盆
CN206760436U (zh) 一种鸡舍
CN206658604U (zh) 一种曝气生态花盆装置
CN109588344A (zh) 一种阳台生态养鸡装置
CN205848416U (zh) 一种户外区域用灭蚊器
CN114403059B (zh) 家庭室内养殖观赏金鱼的方法
CN211746260U (zh) 一种黄斑篮子鱼受精卵室外孵化桶
CN205357756U (zh) 龟食台
CN113785802B (zh) 一种蓝莓果蝇的诱杀方法及其诱杀设备
CN1039473C (zh) 灭蝇生蛆器
CN204244934U (zh) 水蛭出苗培育装置
CN204426103U (zh) 一种免治虫恒温无公害蔬菜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