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425B1 - 다기능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425B1
KR100420425B1 KR10-2001-0019760A KR20010019760A KR100420425B1 KR 100420425 B1 KR100420425 B1 KR 100420425B1 KR 20010019760 A KR20010019760 A KR 20010019760A KR 100420425 B1 KR100420425 B1 KR 10042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ltifunction
user
controll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568A (ko
Inventor
크지스즈크제부스키조셉스탠리
스미스제임스티2세
오우르이반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9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6Customising to the data to be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14Conversion of ASCII scripting language to machine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치는 다기능 제어기와, 상기 다기능 제어기의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제어기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응답하여, 스캔라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단과, 상기 스캔라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intermediate stage)과,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도록 다중단(multistage)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은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는 단(stage)과, 입력 데이터를 ASCII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과, 입력 데이터를 표준 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일 수 있다. 상기 출력단은 상기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e 메일 포트 중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장치에 출력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장치{MULTIFUNCTION OFFICE DEVICE HAVING A CONFIGURABLE DOCUMENT PROCESSING PIPELINE}
본 발명은 팩시밀리, 스캐너, 복사기 및 프린트 기능 등을 통합한 다기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기능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개선된 구성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다기능 장치는 모놀리식(monolithic)으로서, 전용 장치 제어기(proprietary device controllers)에 기초하고 있으며, 소형의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들 장치의 일부는 e 메일 및 디렉토리와 같은 e 비즈니스 능력을 추가하기 시작하고 있지만, 이들 기능은 모놀리식 구성, 전용 제어기 및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한정된다.
모듈러 네트워크 화상 처리 시스템(Modular networked image processing systems)은 공지되어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1996년 6월 25일 발행된 K. Pavey 및 D. Feitelberg의 미국 특허 제 5,530,907 호 "Modular Networke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를 참고하라.
또한, 1984년 6월 12일 발행된 미국 특허 제 4,454,575 호, "Shared Memory System with Access by Specialized Peripherals Managed by Controller Initialized by Supervisory CPU"을 참고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에 의하면, 문서 분배(distribution) 센터가 전용 주변 장치 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 및 이점은 다기능 장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개선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모듈러 다기능 장치에 대한 파이프라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치 -상기 다기능 장치는 로컬 및 글로벌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컴포넌트들에 결합되어 있는 다기능 제어기를 포함함- 의 단순화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제어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다기능 장치들의 분산된 시스템에 함께 네트워킹된 복수의 다기능 제어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복수의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 -상기 복수의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기타 서비스 등 기능별로 분리될 수 있음-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의 일부인 예시적인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표준 형식(standard forms)을 포함하는 웹사이트, 원격 저장 데이터베이스, 통합(corporate) 보안 데이터베이스, 통합 디렉토리, 회계 데이터베이스 및 원격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발생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의 집합으로서 구현되는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예시적인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의 동작을 도시한 논리 흐름도,
도 8은 GUI를 통한, 다기능 장치의 전반적인 사용자 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도 9a 내지 9f는 GUI를 이용하는 다기능 장치 사용자에게 표시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A : 스캐너 드라이버 12B : 압축 드라이버
12C : ASCII 변환 드라이버 12D : 출력 변환 드라이버
12E : 출력 버퍼/라우터 드라이버 13 : GUI
25 : 다기능 제어기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해 극복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스캐너, 프린터 및 터치 스크린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구비한 다기능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기능 장치는 스캐닝, 인쇄, 복사, 팩스 송수신 및 e 메일 송수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르면, 프린터와 다기능 제어기 사이에 네트워크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캐너는 모듈러 장치이며, 양호하게는 SCSI 인터페이스와 같은 표준화된(비전용) 개인용 컴퓨터(PC)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집적된 장치의 외양을 유지하면서, 다기능 제어기가 다양한 프린터들 및 다양한 스캐너들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렉토리, 라이브러리, e 메일, e 팩스 및 e 형식의 미들웨어(e-form middleware) 및 프린트 서버라고도 지칭되는 프린트 관리 미들웨어를 모듈러 방식으로 통합하여, 다기능 장치의 성능을 크게 확장한다.
다기능 장치의 모듈 방식(modularity)은, 상기 장치가 가격이 적절하며(affordable) 투자 보호 측면이 강하며 스케일가능하며 이용 가능한 범위가 넓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중요한 특징은, 다기능 장치를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와 같은 모듈러 미들웨어 서비스에 접속함으로서, 상기 다기능 장치의 능력이 크게 확장되며, 동시에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원하는 부가적인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범용 제어기 및 풀 사이즈(full size) 터치 스크린에 있다. 즉, 다기능 제어기는 PC 또는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범용 시스템으로서 양호하게 구현되며, 관련 GUI는 풀 사이즈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현된다. 상기 범용 다기능 제어기는 모듈 방식 및 미들웨어 통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풀 사이즈 터치 스크린은 특정 컴퓨터 기술을 갖는 오퍼레이터를 요구하지 않고도 종래의 다기능 장치로 가능했던 것보다 더 넓은 범위의 능력이 다기능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제어기 및 스캐너를 기존의 프린터에 추가하여 다기능 장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다기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기능 장치는 또한 통상적인 다기능 장치보다 더 스케일러블(scalable)하다. 예를 들면, 제 1 프린터 및/또는 스캐너의 능력이 증대되면, 이들 컴포넌트들은 더 높은 용량 및 더 높은 성능의 장치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장치는 또한, 복수의 스캐너를 하나의 프린터에, 또는 하나의 스캐너를 복수의 프린터에, 또는 복수의 스캐너를 복수의 프린터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보다 스케일러블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체 다기능 장치를 교체하지 않고, 보다 개선된 프린터 또는 스캐너로 구형의 제품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매자의 투자비를 절감시킨다. 상기 다기능 장치는 또한, 적어도 스캐너가 프린터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는 이유로 종래의 다기능 장치들보다 더 큰 범위를 가지며, 만약 로컬 프린터가 서비스 불능 상태인 경우, 백업 프린터가 선택될 수 있어 상기 다기능 장치가 계속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큰 효용성을 나타낸다. 상기 다기능 장치는 또한, 모놀리식 장치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 장점에 따라서 최선의 스캐너 및 프린터가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장치들보다 경쟁력이 있다.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와의 통합은 다기능 장치에서 사람 및 자원의 식별을 간소화하며, 문서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와의 통합은 문서의 저장 및 검색에 대한 액세스를 편리하게 한다. 또한, 다기능 장치와 전자 메일(e-메일)의 통합은 즉시 그리고 종이 복사본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큰 범위로 정보를 전달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캐너 컴포넌트(들)는 하나의 전용 제어기에 직접 결합되어, 스캐닝된 문서를 전용 파이프라인 처리기를 통하여 원하는 프린터 포맷(예를 들면, PostscriptTM포맷)으로 신속히 변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다기능 제어기는 데이터 통신망(인터넷 또는 LAN)을 통해 형식(forms), 피고용인 프로파일, 팩스 서버, e 메일 서버와 같은 글로벌 서비스 군을 액세스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서비스들을 국부적으로 통합할 수도 있다. 복수의 다기능 제어기들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그들간에 글로벌 자원 및 로컬 자원을 포함하는 자원을 공유할 수도 있다.
형식(forms)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액세스된 양식은 파이프라인 처리기에 의해 원래의 포맷(예를 들면, .pdf 포맷)으로부터 프린터 포맷(예를 들면, PostscriptTM)으로 변환된다.
다기능 제어기는 또한 프린터 및 스캐너의 모듈러 교체를 허용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한 문서를 복수의 프린터, 팩스 번호 및 e 메일 주소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기능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인쇄를 요청하는 능력, 나중 액세스를 위해 문서를 보존(hold)하는 능력, 문서를 원하는 프린터 또는 기타 출력 장치로 재지정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팩스 기능, e 메일 기능, 복사 기능 및 데이터 저장/검색 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사기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원격 데이터스토어(datastores)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능동적으로 그리고 양방향으로 통합하는 능력을 제공하며, 국부적으로 또는 원격적으로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정보 교환을 지원하며, 따라서, 상기 다기능 장치는 원격 데이터스토어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상기 원격 데이터스토어에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데이터스토어 접속은 글로벌 데이터 통신망(일례로 인터넷)과 같은 공통 네트워킹 인터페이스 및/또는 로컬 에이리어 네트워크(LAN)를 통하여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키오스크(kiosk)" 타입의 워크플로우(workflow) 및 인터페이스를 원격 데이터스토어에 제공하여, 통합 등록 데이터베이스(corporate recordsdatabases) 및 통합 형식 데이터베이스(corporate forms databases)와 같은 다양한 원격 데이터스토어를 이용하는 복잡한 작업에 대한 워크업(walkup) 액세스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팩스, 복사 및 e 메일과 같은 기능의 내부 집합을 갖는 다기능 장치를 개발함으로서,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가 다기능 장치에서 모든 기능을 이용하도록 하는 능력과 함께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는 로컬 데이터스토어 또는 원격 데이터스토어로부터 문서 또는 형식을 검색할 수 있으며, 다기능 장치 상에서 상기 문서를 팩스 전송, e 메일 전송, 복사 및/또는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링크는 동적이다. 즉, 사용자에게 제공된 모든 정보가 이용가능한 가장 최근의 것임을 보장하는 한편,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효율성을 위해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원격 데이터베이스가 즉시 또는 주기적으로 질의받을 수 있다.
상기 접속 레벨을 다기능 장치에 통합시키면, 문서의 가장 최근 버전, 형식 등이 항상 이용가능하며 액세스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장 최근의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요구되는 즉시 다기능 장치를 통해 조직(organizatoin)의 가장 최근의 문서가 액세스되어 처리될 수 있으므로, 페이퍼 문서 저장이 감소된다. 이들 문서들이 인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팩스 전송 및 e 메일 전송과 같은 다기능 장치의 다른 문서 처리 기능들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기능 장치는 사용자 프로파일 및 보안 정보와 같은 사용자 특정 정보를 얻기 위해 원격 데이터스토어를 액세스할 수 있으며, 그러면 키스트로크(keystroke) 절약 기능, 액세스 권한 제한 및 회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들을 갖는 사용자 특정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장치는 양호하게는 조직(organizatoin)의 인프라 구조의 여러 면에 터치 스크린 GUI와의 접속을 제공하여 비용을 절감시키고 생산력을 증가시키는 조직가능한(configurable) 키오스크형(kiosk-like) 다기능 장치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치는 다기능 제어기 및 상기 다기능 제어기의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제어기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에 응답하여 스캔라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단과, 상기 스캔라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intermediate stage)과,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도록 다중단(multistage)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은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는 단(stage)과, 입력 데이터를 ASCII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과, 입력 데이터를 표준 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일 수 있다. 상기 출력단은 상기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e 메일 포트 중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장치에 출력한다.
전술한 1984년 6월 12일 발행된 미국 특허 제 4,454,575 호, "Shared Memory System with Access by Specialized Peripherals Managed by Controller Initialized by Supervisory CPU"는 온전히 그대로 본원에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치(10)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스캐너(20)는 SCSI 인터페이스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표준 링크인 링크(30)를 통하여 다기능 제어기(25)에 결합된다. 상기 다기능 제어기(25)는 GUI(13)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40) 및 사전 프로그램되거나 합성된 음성 응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선택적인 스피커(47)에 결합된다. 다기능 제어기(25)는 링크(45)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4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링크(45)는 전용 로컬 네트워크 타입 인터페이스가 바람직하다. 프린터(43)는 글로벌 네트워크(50)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다른 다기능 제어기(25)(도 3 참조)와 같은 다른 문서 소스들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다기능 제어기(25)는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50)에 결합되며, 따라서 글로벌 네트워크(50) 상의 다른 선택적인 글로벌 원격 프린터(53)를 이용할 수 있다. 다기능 제어기(25)는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50)를 통하여 다양한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와 통신하여 상기 서비스(55)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는 e 메일, 팩시밀리(팩스), 프린터, 디렉토리, 보안 및 라이브러리 서비스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제어기(25)는 글로벌 네트워크(50) 상의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기(25)에서 이들 서비스 모두 또는 일부를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로서 구현하는 능력을 갖는다.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 및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135)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선택적인 마이크로폰(도시되지 않음)이 적절한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하여 음성 인식, 음성 커맨드 및 음성 프롬프트(prompt)를 제공하도록 포함될 수도 있다.
망막 스캐너, 지문 인식기, 배지(badge) 스캐너 또는 카드 판독기와 같은 선택적인 사용자 인식 장치(26)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기능 장치(10)의 주요 기능은 문서 데이터의 생성, 입력, 처리, 변환, 인쇄, 재생, 복사 및 송출에 있으며, 문서 데이터는 어떠한 랭귀지 또는 문자 세트로 표현된 텍스트 양식의 정보와, 수학 기호와 같은 그래픽 정보와, 스캐닝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생성된 사진들과 같은 화상 정보 및 텍스트 방식 정보, 그래픽 정보 및 화상 정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스캐너(20) 및 프린터(43)는 제어기(25)로의 통신을 위한 산업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임의의 상용화된 장치일 수도 있다. 이것은 제어기(25)가 적소에서 스캐닝 및 프린팅 장치와 결합될 수도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른 이점은 스캐너(20) 또는 프린터(43)의 사용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부가적인 특징들이 이용가능하게 되면, 다기능 장치(1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을 교체하지 않고 스캐너(20) 또는 프린터(43)가 교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캐너(20)와 다기능 제어기(25) 사이의 링크(30)로는 SCSI 인터페이스와 같은 산업 표준 인터페이스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링크(30) 및 그 인터페이스는 SCSI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다기능 제어기(25)와 스캐너(20) 사이의 통신에 적합한 어떠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프린터(43)와 다기능 제어기(25) 사이의 링크(45)는 전용 네트워크 타입의 인터페이스로서 기술되었지만, 인터페이스(45)는 전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다기능 제어기(25)와 프린터(43) 사이의 통신에 적합한 어떠한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50)는 다기능 제어기(25)를 선택적인 원격 프린터(53) 및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에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적합한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50)는 그 일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50)는 회사 또는 정부 기관 또는 대리점과 같은 특정 조직의 인프라 구조를 통하여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로 "글로벌"일 수도 있지만, 그 조직의 외부로부터 직접 액세스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기(25)는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25)는 CPU(80), 데이터의 일시 저장을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85), 데이터의 영구 저장을 위한 ROM(read only memory)(90)을 포함하며, 상기 ROM은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 프로그램(100) 뿐만 아니라 제어기 오퍼레이팅 시스템(95)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위치하며, 실행하기 전에 RAM(85)으로 로드된다. 제어기(25)는 또한 터치 스크린(40)에 결합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105)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40)은 다기능 시스템(10)의 사용자에게 GUI(Graphical User interface)(13)를 제공한다.
제어기(25)는 스캐너 인터페이스(120)(예를 들면, SCS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캐너(20)(도 1)와 통신하고, 프린터 인터페이스(125)를 통해 프린터(43)(도 1)와 통신하며, 글로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50)와 통신한다. 제어기(25)는 또한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25)는 표준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 아키텍처에 따라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데이터 처리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WindowsTM, Windows NTTM, OS/2TM, 또는 LinuxTM와 같은 산업 표준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어기(25A...25M)가 함께 네트워킹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기들이 하나의 조직 내에 단일 시스템으로서 글로벌 네트워크(50) 상에서 함께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킹된 제어기들(25A-25M)은 예를 들어, 글로벌 원격 프린터(53), 로컬 스캐너(20A-20M), 로컬 프린터(43A-43M),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 및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135A-135M)와 같은 자원들을 추가로 공유할 수도 있으며, 이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인 글로벌 자원(55)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네트워크(50)를 통해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기타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다양한 다기능 제어기들(25A-25M) 및 기타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들은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다고 가정되며, 따라서 메시지들 및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상기 어드레스로 경로가 지정(route)될 수 있다.
도 4는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 서버(160) 및 기타 서비스(77) 등 기능별로 분리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A, B, C(각각 57, 60, 65)는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식별(identification) 및 형식, 즉, 전자 포맷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된 문서들의 사본 등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70, 73, 75)는 예를 들면, 인쇄 서버(70), 팩스 서버(73), e 메일 서버(75)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50) 상에서 이용가능한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를 가지면, 모든 다기능 제어기(25)가 위치에 관계없이 글로벌 서비스(55)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다른 이점은 집중화된 서비스(centralized services)가 사용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부가적인 특징들이 이용가능하게 되면 상기 집중화된 서비스가 모듈러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조직 정보(organization information)의 하나의 초점(single focal point) 역할을 하는데, 이것은 수정 및 업데이트를 간소화한다.
선택적인 글로벌 자원(55)은 글로벌 네트워크(50)에 의해 접속된 일련의 분리된 서비스들의 환경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분리된 네트워크 기반 실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는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135)로서 다기능 제어기(25)에 통합될 수도 있고, 글로벌 네트워크(50) 상의 다른 제어기들에 의해 액세스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135)가 팩스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망(140)에 대한 접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의 한 유형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캐너(20)를 이용하여 문서를 스캐닝하고,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 또는 선택적인 로컬 서비스(135) 중 하나의 서비스로부터 문서를 검색함으로써, 다기능 장치(10)를 동작시킨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그 문서에 대한 행선(destination) 또는 행선들을 선택한다. 행선들은 로컬프린터(43), 네트워크 프린터(53), 팩스 머신(135) 또는 e 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인터넷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행선(들)이 선택된 후, 사용자는 다기능 장치(10)를 동작시켜 문서를 선택된 행선(들)으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문서의 임의의 수의 행선들로 전송하는 능력을 갖고 있음을 주지하라. 즉, 원하는 경우, 단일 문서는 일부 프린터, 팩스 머신, 및/또는 e 메일 어드레스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다기능 제어기(25)가 함께 네트워킹되어 있는 경우, 다기능 장치(10)는 행선으로서, 예를 들어, 다른 제어기(25M)에 접속된 프린터(43M)를 선택한 후, 상기 시스템에게 그 문서를 보유하도록 명령하는 능력, 즉, 문서가 인쇄되도록 사용자가 요청할 때까지 인쇄를 억제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행선을 선택하여 시스템으로 하여금 문서를 보유하도록 명령한 후, 다기능 장치(10)의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다른 다기능 장치에 대해 자신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그 다음에 다른 다기능 장치들(10)을 폴링하여 식별된 사용자를 위해 보유된 문서를 위치시키고, 그 다음에 사용자가 선택한 프린터(43)로 상기 보유된 문서를 재지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도 6에 따르면,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12)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13)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의 세트로서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GUI(13)는 양호하게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40)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도 6에서, 사용자는 먼저 GUI(13)를 이용하여, 다기능 장치(10)에 대해 원하는 문서 처리 동작 모드를 지정한다. 이 입력에 의해 다기능 장치(10)는 한쪽 단에서의 스캔라인(scanline) 정보로부터의 문서 데이터를 다른쪽 단에서의 적절한 디지털 표현으로 변환하는 드라이버 세트를 선택하여 이들을 상호접속한다.
요약하면, 일실시예에서, 파이프라인(12)은 스캐너 데이터를 압축하는 드라이버(12B)에 접속되는 스캐너(20)용 드라이버(12A)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된 데이터는 그 후 압축된 데이터를 ASCII 표현가능한 코드 세트로 변환하는 드라이버(12C)에 제공되며, 로컬 프린터(43) 또는 글로벌 프린터(53) 중 하나와 같은 출력 장치를 나타내는 레벨 3 PostscriptTM을 생성하는 드라이버(12D)가 후속된다. 그 다음에 상기 데이터는 최종 드라이버(12E)로 공급되며, 상기 최종 드라이버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며, 그 동안에 프린터 어드레스 또는 인터넷 어드레스와 같은 어떠한 어드레스라도 지정된 어드레스에 상기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한다.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12)의 중요한 특징은 스캔라인 데이터를 표준 포맷,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PostscriptTM포맷으로 변환하는 능력이다. 만약 사용자가 파이프라인(12)의 한 단부에 다른 스캐너(20)를 접속하고자 한다면, 파이프라인(12)은 그 스캐너를 위한 적절한 드라이버로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출력 단부에서, 만약 다른 프린터(43 또는 53)가 선택되면, PostscriptTM드라이버는 상기 원하는 프린터에 적응된다. 만약 말단 장치(end device)가 미지의 것이면, 고유한 코드가 미지의 출력 장치를 위한 데이터스트림에 기록될 필요가 없다(스테이플링 옵션(stapling options), 듀플렉싱(duplexing), 출력 빈(bin) 등을 위한 코드). 그러나, 일반적인 프린터 코드들은 출력 데이터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반드시 프린터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어떤 경우에는 데이터가 e 메일로 전송되는 .pdf 포맷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파이프라인(12)의 최종 부분은 파일 드라이버 또는 소켓 접속일 수 있다.
따라서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12)은 교환할 수 있는 단들(stages) 또는 단계들(steps)의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선택적이며, 다른 단계들 또는 코드 부분들과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각각 공유하는 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올바른 순서로 링크될 때, 상기 파이프라인(12)의 단계들은 입력, 예를 들면, 스캐너(20)를 출력, 예를 들면, 프린터(43)에 접속하여, 다기능 장치(10)의 사용자가 요청하는 소망의 출력을 얻는 중에 데이터에 다수의 사건(events)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12)은 스캐너(20)로부터 스캔라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린터(43)와 같은 출력 장치에 한 라인씩 스캔라인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런 방법으로, 인쇄 과정을 개시하기 전에 전체 페이지가 먼저 모일 필요는 없다.
도 7 및 하기의 설명은 파이프라인(12)의 일례를 제공하며, 바람직한 시스템 실시에 따라 구성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단계들은 파이프라인(12)이 구성되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구성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어떤 파이프라인 단(stages)은 다른 파이프라인 단에 접속될 수 있으며,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다른 드라이버들이 새로운 동작 및 기능을 도출하기 위해 파이프라인(12)에 삽입될 수 있다.
단계 A: 드라이버가 스캐닝을 위해 스캐너(20)를 설정하고, 스캐너 제조업체에 의해 정의된 드라이버를 로드하여 스캐너(20)를 제어한다. 스캐너 드라이버는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단계 B 또는 C에 연결된다.
단계 B는 화질 모드에서 동작할 때 사용된다. 상기 드라이버는 그레이스케일(grayscale) 데이터를 취하여 상기 데이터를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안, 인쇄를 위해 스케일한다. 이 단계는 단지 사용자가 동작의 화질 모드를 선택하면 발생될 필요가 있다. 단계 B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는 압축을 위해 단계 C에 제공된다.
단계 C는 요청되는 압축 유형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진 데이터에 대한 CCITT 그룹 4를 이용한다. CCITT 그룹 4 압축은 단지 2진 데이터만 지원하므로, 단계 C는 컬러가 사용되면 변한다. 그러나, 일부 유형의 압축 단계는 파이프라인(12)에 포함되어 출력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단계 D는 압축된 데이터를 ASCII코드 표현가능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는 ASCII Hex 인코딩된 데이터 또는 ASCII 85 인코딩된 데이터로 변환된다. 둘 다 양호하게 정의된 표준이다.
단계 E는 인입되는 ASCII 데이터를 Adobe PostScriptTM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단계는 사용자가 파이프라인의 끝에서 프린터(43, 53)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하기만 하면 발생될 필요가 있다. 상기 단계 또는 단(stage)에서, 모든 장치 의존 정보는 기지의 출력 장치(예를 들면, 프린터)에 대한 출력을 정의하는 파이프라인(12)을 통과하는 데이터에 추가된다. 만약, 현재의 프린터를 시스템이 알고 있지 못하면, 사용자가 요청한 결과를 얻기 위해 PostScriptTM정보를 사용하고자 할 수도 있다.
단계 F는 단계 E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취하여 그것을 원하는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쓰레드(thread)의 버퍼에 추가한다. 상기 데이터는 출력 장치에 선적(shipment)하기 위한 쓰레드 내에 포함된 출력 데이터의 링크된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단계 G에서, 통신 쓰레드의 버퍼 리스트 내의 데이터는 패키지화되어 프린터(43) 또는 e 메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원하는 출력 장치로 운반된다. 이 단계는 이용가능한 출력 장치 상에서 버퍼 내에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것을 기다린다.
전술한 사항은 인입하는 스캔 라인 데이터를 송출하는 래스터(raster)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취해지는 단계들의 일례일 뿐이다. 상기 파이프라인(12)은 바람직하게는 작업마다의 기준에 따라 구성되며, 여기서, 사용자는 파이프라인(12)에서 어떤 단계들이 필요한지를 규정하며, 시스템, 실제로는 다기능 제어기(25)가 이들 단(stages)을 접속하여 원하는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5는 선택적인 글로벌 서비스(55)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이터베이스(15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조직이 회사인 예에서, 표준 형식(170)을 포함하는 웹사이트, 원격 저장 데이터베이스(175), 통합 보안 데이터베이스(180), 통합 디렉토리(185), 회계 데이터베이스(190) 및 원격 관리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50)와 제어기(25) 사이의 액세스는 글로벌 데이터 통신망(50)을 통한 양방향성이며, 따라서 다기능 제어기(25)는 원격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정보를 검사할 수도 있고 정보를 원격 데이터베이스(150)에 삽입할 수도 있다.
표준 형식(170)을 포함하는 웹사이트는 사용자로 하여금 기업체가 이용할 수도 있는 표준 형식들, 예를 들어, 청구서, 건전 상태, 비용 보고서 등을 액세스하도록 한다. 원격 데이터베이스 저장 장치(175)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임의의 데이터베이스 정보, 예를 들면, 보관된 문서들, 다양한 유형의 분석을 위한 통계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합 보안 데이터베이스(180)는 시스템에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제공하여 특정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및 액세스 권한(access privileges)을 확인한다. 상기 정보는 특정 사용자의 피고용인 번호, 사용자가 액세스 인증을 받은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85)는 사용자 프로파일,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접속 정보, 전화번호, 팩스 번호 및 e 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제어기(25)에 의한 자동 검색을 위해 통합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85)에 특정 팩스 커버 시트 또는 커버 시트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통합 보안 데이터베이스(180)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의 식별시, 통합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85)는 인사말 정보를 제어기(25)에 보낼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에서 인사말이 터치 스크린(40)(도 1) 상에 표시되거나 스피커(47)(도 1)를 통해 음성 인사말이 플레이될 수도 있다.
회계 데이터베이스(190)는 비용 추정을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다기능 제어기(25)는 다양한 항목들 사이에 자원의 할당을 위해 비용을 매시간 팩스가 송신되는지, 페이지가 인쇄되는지 등을 보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보고는 회계 데이터베이스(190)에 누적될 수 있다.
다기능 제어기(25)는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50)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데이터베이스(150)의 다양한 특성들의 다운로드를 받아들이는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면, 통합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85)는 주기적인 단위(periodic basis)로 인덱스를 생성하여 상기 인덱스를 다기능 제어기(25)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다기능 제어기(25)가 특정 사용자를 위한 통합 디렉토리 정보의 위치를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 인덱스 생성은 특정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50) 또는 다기능 제어기(25) 그 자체에 의해 주기적인 단위로 개시될 수도 있다. 다기능 제어기(25)는 또한 네트워크(50) 및 상기 네트워크(50)에 연결된 장치들에 대한 효율성을 위해 유연성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모든 정보가 가장 최근에 이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를 즉시 또는 주기적으로 질의하여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들 다운로드들은 다운로드된 데이터의 특성 및 데이터가 수정 도는 업데이트되는 통상적인 빈도에 따라서, 시간 단위 또는 일간 단위 또는 주간 단위 등으로 발생한다.
원격 관리자의 데이터베이스(200)는 다기능 제어기(25)에 의한 액세스를 포함하여, 인덱스 생성, 질의 사이클, 및 다른 유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다기능 제어기(25)가 글로벌 선택 서비스(55)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150)의 서브세트에만 액세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 제한된 액세스는 원격 관리자의 데이터베이스(200)에 의해 제어된다.
팩스, 복사 및 e 메일과 같은 기능들의 내부 집합을 갖는 다기능 장치(10)를이용하면, 본 발명은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40)로부터 모든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사용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원격 데이터스토어(150)로부터 문서를 검색하여 선택된 장치에 팩스 전송하거나 e 메일 전송하거나 또는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링크는 동적이다.
이 수준의 접속을 다기능 장치(1)에 통합함으로서, 가장 최근의 정보에 대한 액세스가 쉽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최신 조직 정보의 사본 관리를 더 이상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요구되는 경우 다기능 장치(10)를 통해 최신의 조직 문서들이 액세스 및 처리될 수 있으므로 페이퍼 문서 저장 요건이 감소된다. 이들 문서들은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문서들의 팩스 전송, e 메일 전송 및 이들 문서들의 기타 처리에 다기능 장치(10)의 다른 기능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보안 데이터베이스(180)를 통한 통신 능력은 또한 원격 데이터스토어(150)로 액세스하여, 키스트로크(keystroke) 절약 기능, 액세스 권한 제한 및 회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다기능 장치(10)는 조직의 인프라 구조의 여러 면들에 통신 능력(connectivity)을 제공하는 구성 가능한 키오스크형 다기능 장치로서 생각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시키는 한편 생산성은 향상된다.
회사 환경에서 다기능 시스템(10)을 이용하는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회사의 인적 자원 문서들은 웹사이트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관리 보조원(administrative assistants)이 이들 형식의 사본을 문서함(filing cabinet)에 보관하여 신속히 검색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다기능 시스템(10)을 이용하면, 웹사이트를 액세스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 인쇄 또는 팩스로 송부된 또는 e 메일로 송부된 이들 문서들의 가장 최근의 최신 버전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인쇄되거나 복사될 양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무원은 통상적인 문서 복사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워크업(walkup) 키오스크형 GUI(13)를 이용한다. 다기능 장치(10)는 현재의 문서 리스트를 갖도록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웹사이트를 검사할 수도 있다. 문서가 선택되면, 최신의 문서들만 이용되도록, 그 문서는 요구될 때마다 능동적으로 다운로드된다. 이렇게 하면, 어떤 형식의 페이퍼 사본들이 문서함에 보관되어 있을 때, 특정 형식이 삭제되거나 비워지거나 변경되거나 또는 다른 형식으로 대체될 때 이들 사본들이 교체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회사측이 인쇄 작업에 대한 보안을 원한다고 가정한다. 다기능 장치(10)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원격 사용자로부터 문서가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로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배지 스위핑(badge swiping) 또는 지문 또는 망막 스캐닝과 같은 보안 방법을 통해 시스템에 자신을 식별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5의 통합 보안 데이터베이스(180)와 같은, 사용자 식별 정보가 액세스 권한을 보장하기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검사된다. 인증된(validated) 사용자는 대기하고 있는 모든 문서들을 액세스할 수 있으며, 다기능 장치(10)로부터 인쇄, 팩스 전송 및/또는 e 메일 전송을 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다기능 장치(10)에 식별되면, 사용자의 이름 및 기타 피고용인 또는 개인 정보가 자동으로 e 메일 및 팩스 등과 같은 임의의 송출 문서들에 첨부될 수 있어,사용자는 수동으로 상기 정보를 타이핑하거나 또는 팩스 표지(cover sheet)와 같은 항목들을 수동으로 생성하는데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어느 한 회사가 팩스 기기의 교체를 희망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및 웹사이트에 저장된 대규모 통합 디렉토리를 갖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본 발명은 상기 통합 디렉토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다기능 장치(1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40)를 채용하여 부분적으로 입력된 이름에 의해 다른 사용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인터페이스(10)는 수신자의 e 메일 및 팩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수신자에게 그 문서를 팩스 전송할 것인지 e 메일 전송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GUI(13)를 통해 다기능 장치(10)의 전체적인 사용자 제어의 일례인 논리 흐름도이다. 단계 A에서, 사용자는 다기능 장치(10)에 접근하고, 단계 B에서 사용자는 특정 작업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한다. 단계 B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작업 유형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선택 및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GUI(13)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는 작업 유형들 또는 옵션들은 스캔 옵션(B1), 복사/인쇄 옵션(B2), 팩스 옵션(B3), e 메일 옵션(B4) 및 라이브러리 기능 옵션(B5)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음은 작업 옵션들(B1-B5) 사이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화살표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문서 스캔을 위해 작업 옵션 B1을 선택할 수 있고, 스캔된 문서를 각각 인쇄, 팩스 전송, e 메일 전송하기 위해 옵션 B2-B4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형식을 액세스하기 위해 작업 옵션 B5를, 선택된 형식을 인쇄하기위해 작업 옵션 B2를 선택할 수 있다.
작업 옵션 B1 및 B2를 선택할 때, 사용자는 작업 파라미터들의 수를 또한 설정할 수 있다(또는 사용자는 단순히 디폴트 파라미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설정가능한 작업 파라미터들은 텍스트 또는 화상/텍스트(C1)와 같은 품질, 표시(exposure)(C2), 면(sides) 수, 복사 횟수(C4), 레터 양식(letter)/공문서 양식(legal)(C5)과 같은 페이퍼 트레이, 스테이플러(staple) 옵션(C6)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작업 파라미터(C1-C3)가 문서 스캔 작업 옵션에 보다 효과가 있지만, 모든 작업 파라미터들(C1-C6)이 인쇄/복사 작업 옵션(B2)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복사, 팩스, e 메일 및 라이브러리 옵션들을 설정하는 경우에, 다양한 스캔 옵션들이 언제든지 양호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작업 파라미터들(C1-C6)을 하나도 선택하지 않거나, 하나 또는 일부 또는 모두를 선택한 후에, 제어는 단계 D로 진행하며, 상기 단계 D에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GUI(13) 상의 시작키를 눌러 선택된 작업을 시작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GUI(13) 상의 리셋키를 눌러 상기 선택된 작업을 취소하고 임의의 변경된 작업 파라미터들을 디폴트값으로 재설정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사전 결정된 타임아웃 주기(예를 들면, 1분) 후에 자동으로 재설정된다.
만약, 사용자가 팩스 작업 옵션 B3을 선택하면 제어는 단계 E로 진행하며, 상기 단계 E에서 사용자는 화면상의(on-screen) 키보드/키패드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수신자의 팩스 번호를 입력하거나(단계 E1), 또는 적어도 부분적인 이름 또는상대측 팩스 수신자의 위치 및 그 상대측을 선택하기 위한 기타 정보를 입력함으로서(단계 E2, E3), 로컬 팩스 번호부 또는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35), 또는 적절한 글로벌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한다. 그 다음에 제어는 단계 D로 진행하여 팩스 작업을 시작하거나 상기 팩스 작업을 취소(리셋)한다.
만약 사용자가 e 메일 작업 옵션 B4를 선택하면 제어는 단계 F로 진행하며, 상기 단계 F에서 사용자는 수신자의 e 메일 어드레스를 수동으로 입력하거나(단계 F1), 또는 사용자는 적어도 부분적인 이름 또는 상대측 e 메일 수신자의 위치 및 그 상대측을 선택하기 위한 기타 정보를 입력함으로서(단계 F2, F3), 로컬 e 메일 어드레스 책자 또는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35), 또는 적절한 글로벌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한다. 동일한 디렉토리 또는 기타 데이터베이스가 다양한 잠재적인 수신자들에 대한 팩스 번호 및 e 메일 어드레스 모두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들은 별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필요는 없음에 주의하라. 예를 들어, 음성 전화번호, 팩스 번호, 셀룰러폰 번호, e 메일 어드레스, 메일 스테이션 등을 포함하는 특정의 잠재적인 수신자에 대한 모든 접속 정보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엔트리에 저장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제어는 단계 D로 진행하여 e 메일 작업을 시작하거나 e 메일 작업을 취소한다.
문서는 복수의 팩시밀리 및/또는 e 메일 수신측과 같은 다수의 출력 위치로 전송될 수 있음을 기억하라.
만약, 사용자가 라이브러리 작업 옵션(B5)을 선택하면, 제어는 단계 G로 진행하며, 상기 단계 G에서 사용자는 로컬 형식(forms) 데이터베이스(135)에 의해 유지되거나 또는 형식(170)을 포함하는 웹사이트와 같은 적절한 글로벌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유지된 형식들의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형식을 선택한다. 그 다음에 제어는 단계 D로 진행하여 선택된 형식을 인쇄할 수 있다.
도 9a-9f는 GUI(13)를 이용하여 다기능 장치(1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 9b, 9d, 9f에서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스캔 옵션부에 의해 품질, 표시(exposure) 및 면 수가 선택될 수 있다. 도 9a에서는 첫 번째 탭이 선택되었다(복사/인쇄(Copy/Print)). 전술한 복사/인쇄 옵션들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트레이, 스테플러, 프린터(BW)). 원하는 복사 횟수를 입력한 후 시작 버턴(또는 리셋 버턴)을 누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팩스 또는 e 메일 모드를 지정하기 위해 탭 키를 누르기 전에 모든 복사/프린트 옵션(또는 모든 스캐너 옵션) 지정을 완전히 완료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하라.
도 9b에서, 두 번째 탭이 선택되었다(Fax). 이 때 사용자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신측의 팩스 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표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블루페이지(BluePages)" 버턴이 선택되면, 도 9E의 키보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이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OK 버턴을 누르면 된다. 그 다음에 예를 들어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85)에서 검색이 행해지며, 도 9c에는 일치하는 이름들 및 팩스 번호들(가능한 경우에는 e 메일 어드레스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팩스 번호를 발견할 때까지 상기 리스트를 스크롤할 수 있으며, 상기 리스트는 관련 팩스 버턴을 누름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도 9d에서는 세 번째 탭이 선택되었다(e 메일). 이 때, 사용자는 수신측의 e 메일 어드레스(알고 있는 경우)를 입력할 수 있으며, e 메일 어드레스 버턴을 누른 후 도 9e에 도시된 문자숫자 키보드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터치 스크린은 동시에 두 개의 "키", 본 예에서는 시프트와 "2"를 누르는 것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e 메일 어드레스의 등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 키가 제공된다. 만약 e 메일 어드레스가 알려져 있지 않으면, "블루페이지(BluePages)" 버턴이 대신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름의 일부 또는 모두를 입력한 후 OK 버턴을 누를 수 있다. 그러면,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185) 내에서 검색이 이루어지며, 도 9c에서 일치하는 이름들 및 e 메일 어드레스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e 메일 어드레스를 발견할 때까지 그 리스트를 스크롤할 수 있다. e 메일은 두 개의 사용자 선택가능 포맷들(PDF 또는 텍스트) 중 하나의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작 버턴을 누르면 전송된다.
도 9F에서는 네 번째 탭이 선택되었다(라이브러리). 응답시, 다기능 제어기(25)는 형식(170)을 포함하는 원격 웹사이트를 액세스하고(또는 이용가능한 경우에는 로컬 형식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현재의 형식 인덱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형식이 위치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된 형식 인덱스를 스크롤할 수 있으며, 형식 이름을 터치함으로서 원하는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원한다면, 상기 형식의 인쇄 또는 복사를 위해 복사/인쇄 탭 버턴을 터치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형식은 팩스 전송되거나 e 메일 전송될 수 있다.
이상, 특정한 문서 기능들, 입력/출력 장치, 시스템 아키텍처 등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이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특별히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식 및 세부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장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개선된 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듈러 다기능 장치에 대한 파이프라인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다기능 장치에 있어서,
    다기능 제어기와,
    상기 다기능 제어기의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제어기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에 응답하여, 스캔라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단(input stage)과, 상기 스캔라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intermediate stage)과,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단(output device)을 갖도록 다중단(multistage) 문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다기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은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stage)과, 입력 데이터를 ASCII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과, 입력 데이터를 표준 문서 형식(form)으로 변환하는 단으로 구성되는 다기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은 상기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다기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은 상기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팩시밀리 장치로 출력하는 다기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은 상기 처리된 스캔라인 데이터를 e 메일 포트로 출력하는 다기능 장치.
KR10-2001-0019760A 2000-04-24 2001-04-13 다기능 장치 KR100420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655600A 2000-04-24 2000-04-24
US09/556,556 2000-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568A KR20010098568A (ko) 2001-11-08
KR100420425B1 true KR100420425B1 (ko) 2004-03-04

Family

ID=4951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760A KR100420425B1 (ko) 2000-04-24 2001-04-13 다기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44B1 (ko) 2005-12-26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의 포맷을 자동으로 변환하여 작업을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화상형성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433A (en) * 1993-06-07 1995-08-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simile cover page storage and use
US5530907A (en) * 1993-08-23 1996-06-25 Tcsi Corporation Modular networke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754308A (en) * 1995-06-27 1998-05-19 Panasonic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rchiving digital versions of documents and for generating quality printed documents therefr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433A (en) * 1993-06-07 1995-08-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simile cover page storage and use
US5530907A (en) * 1993-08-23 1996-06-25 Tcsi Corporation Modular networke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754308A (en) * 1995-06-27 1998-05-19 Panasonic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rchiving digital versions of documents and for generating quality printed documents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568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424B1 (ko) 다기능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US7359078B2 (en) Remote database support in a multifunction office device
US6980312B1 (en) Multifunction office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US8395800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728346B2 (en) User recognition support for multifunction office device
US8305611B2 (en) Multifunction syste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90006422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document transmission device, document management server, and document management client
US11599308B2 (en) Server acqu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urrent device among plurality of devices and sends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ll users to the current device
US20060139691A1 (en)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JPH07261966A (ja)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対話方法
JP4124238B2 (ja) 画像処理装置、機能提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168344A1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8023939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07027965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for setting and storage medium
US200801040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JP4683885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方法、画像出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05718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managing image data,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puter program
KR100420425B1 (ko) 다기능 장치
US7836013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corporating key that specifies recipient and system therefor
US20060112147A1 (en)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document management program
JP200428803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5801963A (zh) 服务器、控制服务器的方法和存储介质
JP2007249411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ドキュメ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H07146926A (ja) 電子ファイル装置
JP2009065372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