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348B1 - 샤프심통 - Google Patents

샤프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348B1
KR100419348B1 KR10-2003-0057703A KR20030057703A KR100419348B1 KR 100419348 B1 KR100419348 B1 KR 100419348B1 KR 20030057703 A KR20030057703 A KR 20030057703A KR 100419348 B1 KR100419348 B1 KR 10041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p
main body
cover
guide groov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734A (ko
Inventor
심용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트라인
Priority to KR10-2003-005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3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1/00Writing implement receptacles functioning as, or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s
    • B43K31/005Distributors for leads, cartridges and the like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이 개구되고, 일 내측면으로 수직 형성된 샤프심 가이드와, 상단의 외주변을 따라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단차져 있는 본체와; 일측 하단으로 돌출하여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에 접촉하는 클립과, 상단에 샤프심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 외주변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심통으로서, 상기 클립이 상기 가이드 홈과 접촉하여 상기 덮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덮개의 샤프심 배출구와 상기 본체의 샤프심 가이드가 수직 연통되면 샤프심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심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샤프심통을 사용하면, 한꺼번에 다수의 샤프심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샤프심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샤프심의 훼손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샤프심통{barrel for Mechanical Pencil Lead}
본 발명은 샤프심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펜슬에 샤프심을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 샤프심이 1 ~ 2개씩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샤프심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샤프심통의 구성을 보면 샤프심이 다수 저장되어 있는 샤프심통의 본체 상부에 슬라이드식 또는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덮개를 설치하고 심통 내에 저장된 샤프심을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를 일측으로 밀거나 열어서 필요한 양만큼의 샤프심을 빼내던 방식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샤프심통을 사용하는 경우 샤프심의 배출을 위해서 덮개를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7-8474호에서는 샤프심이 저장되는 심통에 끼워져 덮개를 지지하는 탄지부와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덮개의 이동에 의하여 덮개 상단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가 개폐됨에 따라 샤프심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샤프심통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샤프심통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높아지게 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탄지부 및 가이드돌기의 동작에 따라 덮개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가 개방되면 다수의 샤프심이 한꺼번에 외부로 쏟아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일부 샤프심은 부러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하고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샤프심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샤프심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필요한 양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샤프심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샤프심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샤프심통을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샤프심통의 본체와 덮개의 결합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덮개가 본체의 외주변을 회전함에 따라 샤프심이 폐쇄 또는 배출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심통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샤프심통 110 : 본체
111 : 본체 상단 112 : 본체 하단
113 : 베이스 114 : 돌출부
115 : 샤프심 가이드 116 : 가이드 홈
117 : 삽입홀 118 : 걸림턱
119 : 상단 개구부 120 : 덮개
122 : 클립 124 : 배출구
126 : 오목홈 128 : 중공 하단부
129 : 걸림단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이 개구되고, 일 내측면으로 수직 형성된 샤프심 가이드와, 상단의 외주변을 따라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단차져 있는 본체와; 일측 하단으로 돌출하여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에 접촉하는 클립과, 상단에 샤프심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 외주변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심통으로서, 상기 클립이 상기 가이드 홈과 접촉하여 상기 덮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덮개의 샤프심 배출구와 상기 본체의 샤프심 가이드가 수직 연통되면 샤프심이 배출될 수 있는 샤프심통을 제공한다.
상기 덮개의 상기 샤프심 배출구는 상기 클립이 구비되는 위치와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상단 중앙부는 하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오목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및 본체의 외주변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덮개는 원통, 사각기둥 또는 반원통의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에는 상기 덮개의 클립 말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홀은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 상기 샤프심 가이드가 지나가는 가이드 홈의 외주변과 상기 샤프심 가이드와 대칭되는 가이드 홈의 외주변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샤프심통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샤프심통을 구성하는 본체와 상부 덮개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이를 동시에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샤프심통(100)은 다수의 샤프심이 저장되는 본체(110)와 그 상단에 탈착하는 덮개(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또한 본체 상단(111)과 본체 하단(112)으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상기 본체상단(111)과 상기 본체 하단(112) 사이의 본체(110) 외주변으로는 상기 덮개(110)의 일측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클립(122)이 접촉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16)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단(112)의 하단부에는 미적 고려를 위하여 상기 본체 하단(112)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베이스(113)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 홈(116)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홀(117)이 개재되어 상기 클립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덮개(120)가 본체(110)를 중심으로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6)의 상단은 개구되어(119) 있어, 상기 덮개(120)의 중공된 하단부(128a)와 함께 샤프심이 본체(110)을 관통하여 필요한 경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상단(111)의 상부에는 돌출부(114)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114)의 외경을 상기 본체 하단(112)의 외경에 비하여 작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14)가 상기 덮개(120)의 중공된 하단부(128a) 및 내측면(128)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덮개(120)의 중공된 하단부(128a)로부터 후술하는 중앙 오목홈(126)의 저면(126a)까지의 높이, 즉 덮개의 내부에 아무런 것도 개재되지 않는 내측면(128)의 길이와 상기 돌출부(114)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돌출부(114)의 외경이 상기 본체 상단(111) 및 본체 하단(112)의 외경과 비교할 때 작게 설치하면, 상기 돌출부의 하단, 즉 상기 본체 상단(111)의 상단에는 자연스럽게 걸림턱(118)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걸림턱(118)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120)의 하단부의 외주변으로는 걸림단(129)을구비함으로써, 상기 덮개(120)가 중공된 하단부(128a)를 통하여 상기 돌출부(114)의 외주변으로 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덮개가 적절한 위치 이상으로 깊숙이 삽입됨으로써, 샤프심통에 보관되는 샤프심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일 내측면에는 홈 형상의 샤프심 가이드(115)가 수직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110)의 내면에 보관된 다수의 샤프심 중 일부의 샤프심이 안착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목적으로 명시한 바와 같이, 샤프심이 필요한 경우에도 다수의 샤프심이 한꺼번에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일부 샤프심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의 폭은 대략 샤프심 1 ~ 3개가 놓여질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는 상기 본체의 일 내측면을 따라 수직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4)가 형성된 부근으로는 가이드 홀(115a)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120) 상단 일 가장자리에는 배출구(124)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120)가 본체의 외주변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출구(124)와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를 연통시키게 되면 샤프심이 상기 배출구(124)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덮개(120)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구(124)를 제외하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20)의 상단 중앙부는 아랫방향으로 패인 오목홈(126)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오목홈(126)은 상기 덮개(120)의 내면을 완전히 덮는 형상이 아니고, 오목홈(126)의 상단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120)의 내면 중 중앙부만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오목홈(126)의 저면(126a)은상기 중공된 하단부(128a)로부터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부(114)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됨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오목홈(126)의 상단으로는 부속물(130)을 삽입하도록 하면, 단순히 샤프심통으로서뿐 아니라 기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오목홈(126)의 상단에 지우개 등을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오목홈(126)이 원형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다각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상기 덮개(120)의 하단부(128a)는 중공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덮개(120)는 본체의 개구된 상단(119)을 지나쳐, 돌출부(114) 또는 본체 상단(111)의 외주변으로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돌출부(114)의 외경은 상기 덮개(120)의 중공된 하단(128)의 내경에 비하여 작고, 상기 덮개의 하단에는 걸림단(129)이 형성될 수 있음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덮개(120)의 일 하단으로는 하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클립(122)이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한 것과 같이 상기 덮개(120)가 상기 본체 상단(111) 또는 돌출부(114)의 외주변으로 탈착되면, 상기 클립(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말단(122a, 도 3a 및 도 3b 참조)은 상기 본체 상단(111)과 상기 본체 하단(112) 사이의 외주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16)에 접촉하게 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 홈(116)과 접촉하고 있는 클립(122)이 상기 가이드 홈(116)을 따라 상기 본체(110)의 외주변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덮개(120) 역시 회전되고, 상기 덮개(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배출구(120)의 위치 역시 상기 본체(110)의 일 내측면에 형성된 샤프심 가이드(115)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변하게 되어,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에 안착된 1~2개 가량의 샤프심이 배출구(12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샤프심통 덮개(120)가 본체(110)의 외주변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샤프심이 덮개에 의하여 폐쇄되거나 배출구(124)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덮개(120)가 상기 본체(110)의 돌출부(114)의 외주변으로 탈착되면, 상기 덮개(120)의 일측 하부로 돌출 형성된 클립(122)의 내측 말단(122a)은 본체 상단(111)과 본체 하단(112) 사이의 외주변에 수평 형성된 가이드 홈(116)에 접촉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덮개(120)의 상단 일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24)와 본체(110)의 일 내측면에 형성되는 샤프심 가이드(115)가 연통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록 샤프심이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배출구(124)를 제외하고 상단이 폐쇄되어 있는 덮개(120)로 인하여 샤프심은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반면에, 상기 덮개(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124)와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에 안착되어 있는 샤프심은 상기 배출구(1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상기 배출구(124)와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가 연통되더라도,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에 놓여질 수 있는 샤프심의 수는 샤프심 가이드(115)의 폭을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다수의 샤프심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심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와 상기 배출구(124)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가이드 홈(116)을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나, 그와 같은 구성을 취하게 되면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에 대하여 상기 배출구(124)의 상대적 위치를 특정 위치, 예컨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 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덮개(120)를 회전시키는데 부담이 따르게 되고, 특히 덮개(120)의 자의적인 회전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와 배출구(124)가 연통됨으로써, 샤프심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와 같이 외부로 배출된 샤프심의 훼손으로 인한 낭비가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10)의 외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116)에 삽입홀(117)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클립122)의 돌출된 내측 말단(12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립의 내측 말단(122a)이 상기 삽입홀(117)내로 삽입되면, 외부에서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클립의 내측 말단(122a)은 상기 삽입홀(117)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덮개(120)는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더 이상 임의적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클립의 내측 말단(122a)이 삽입홀(117)에 고정된 상태에서 덮개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124)와 본체의 일 내측면에 형성된 샤프심 가이드(115)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홀(117)은 다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상기 삽입홀(117)이 2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홀 중 하나의 삽입홀은 샤프심 가이드(115)가 본체(110)의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종단하는 가이드 홈의 외주변에 형성되고, 다른 삽입홀은 상기 샤프심 가이드(115)와 대칭되는 가이드 홈의 외주변에 형성되도록 하고, 둘 중의 어느 하나의 삽입홀에 클립의 말단이 삽입되는 경우에 샤프심 가이드(115)와 배출구(124)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대칭되는 2개의 삽입홀이 가이드 홈(116)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덮개(120)의 클립(122)은 상기 배출구(124)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배출구(12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미적인 관점 등을 고려한다면 상기 클립(122)은 상기 배출구(124)가 형성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 하단에 돌출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심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각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샤프심통은 단지 그 외관이 원통형태가 아니라 사각기둥의 형태인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샤프심통 역시 본체 상단(111)으로 탈착되는 덮개(120)의 회전으로 상기 덮개(122)의 상단 일 측에 형성된 배출구(124)와 본체(110)의 일 내측면에 형성된 샤프심 가이드(도 4에서는 미도시)가수직 방향으로의 연통 여부에 따라 샤프심이 배출될 수 있고, 그와 같은 배출구(124)와 샤프심 가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조정은 본체(110)의 상단부에 측설된 가이드 홈(116)에 형성되는 삽입홀(117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 이내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샤프심통의 외부 형상을 원통형 또는 사각기둥형으로 기술하였으나, 반원통형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샤프심통은 종래 샤프심통과 비교할 때, 탄성수단 등을 구비하지 않는 등 간이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 생산단가의 절감 및 생산효율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체 상단 외주변을 따라 수평 설치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는 덮개와 본체의 상대적인 위치 조정에 따라 필요한 양만의 샤프심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특히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샤프심 가이드의 폭을 적절히 조절하면, 덮개의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라 하더라도 소수의 샤프심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가 동시에 배출되는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샤프심의 훼손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샤프심을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상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일 내측면으로 수직 형성된 샤프심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단 외주변을 따라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 외주변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일측 하단으로 돌출하여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에 접촉하는 클립과, 상단에 샤프심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 외주변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심통으로서,
    상기 클립이 상기 가이드 홈과 접촉하여 상기 덮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샤프심 배출구와 상기 본체의 샤프심 가이드가 수직 연통되면 샤프심이 배출될 수 있는 샤프심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샤프심 배출구는 상기 클립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샤프심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단 중앙부는 소정의 깊이만큼 하단 쪽으로 오목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심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덮개는 원통, 사각기둥 또는 반원통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심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에는 상기 덮개의 클립 말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심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샤프심 가이드가 지나가는 가이드 홈의 외주변 및 상기 샤프심 가이드와 대칭되는 가이드 홈의 외주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심통.
KR10-2003-0057703A 2003-08-20 2003-08-20 샤프심통 KR10041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03A KR100419348B1 (ko) 2003-08-20 2003-08-20 샤프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03A KR100419348B1 (ko) 2003-08-20 2003-08-20 샤프심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009U Division KR200319183Y1 (ko) 2003-04-02 2003-04-02 샤프심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734A KR20030071734A (ko) 2003-09-06
KR100419348B1 true KR100419348B1 (ko) 2004-02-19

Family

ID=3222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703A KR100419348B1 (ko) 2003-08-20 2003-08-20 샤프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37B1 (ko) * 2009-09-21 2011-06-03 임흥호 측방향 가열 숯불구이기
KR102002944B1 (ko) 2017-11-02 2019-07-23 황주원 샤프심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734A (ko) 200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KR200484721Y1 (ko) 립스틱 용기
US6336245B1 (en) Door stopper
US6634502B1 (en) Retrieving structure of storage device used for keeping the turning parts of hand tool
KR101560537B1 (ko) 립스틱 용기
EP2272575A1 (en) Jumping toy top
KR100419348B1 (ko) 샤프심통
US6290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on and retainment of pomade within a dispenser
KR200319183Y1 (ko) 샤프심통
KR102167302B1 (ko) 이쑤시개통
JP2603922Y2 (ja) キャップ
KR101960429B1 (ko) 리필 립스틱 용기
US20020096204A1 (en) Sunshade Device
CN106195296B (zh) 阀芯
JP2006345959A (ja) 化粧料容器
KR200389159Y1 (ko) 립스틱 용기의 여닫이 구조
KR20040034228A (ko) 립스틱 케이스
JPS6330341Y2 (ko)
KR20031707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고정 장치
KR200485580Y1 (ko)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
KR200208324Y1 (ko) 침통
KR20190050215A (ko) 립스틱 용기
KR200208155Y1 (ko) 학생용 책상의 높이조절 장치
JPH09115058A (ja) 金銭登録機
JPH1142114A (ja) 棒状化粧品繰出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