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307B1 -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 Google Patents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307B1
KR100419307B1 KR10-2002-0005578A KR20020005578A KR100419307B1 KR 100419307 B1 KR100419307 B1 KR 100419307B1 KR 20020005578 A KR20020005578 A KR 20020005578A KR 100419307 B1 KR100419307 B1 KR 10041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pening
guide
discharge val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115A (ko
Inventor
함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중공업
Priority to KR10-2002-000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3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조화차용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조화차용 탱크 상부에 형성된 핸들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탱크의 내부 바닥 중앙면에 소통가능하게 형성된 보닛의 중앙부에 연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과 상부가 체결되며,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블레이드는 상기 탱크의 하측 중앙 외주연에 소통가능하게 돌출형성된 밸브시트에 내설된 부싱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개폐디스크를 포함하여 형성된 배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과 보닛 사이에 개재되어 이 스핀들의 회전시 면접촉에 의해 가이드하는 요크너트와; 상기 요크너트를 관통한 상기 스핀들에 체결된 상기 개폐디스크의 하부 중앙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중앙에 형성된 중앙가이드홀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상하유동시 가이드하며 상기 밸브시트의 내주연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디스크와 접촉 및 이탈되는 시트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체화물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최소한의 마찰력에 의해서 배출밸브를 구성하는 개폐디스크의 개방 및 폐쇄를 원활히 할 수 있게 하여 부품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개폐디스크의 가이드봉을 시트링의 중앙가이드홀에서 상하유동 할 수 있게 하여 편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액체화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조화차용 배출밸브{DISCHARGE VALVE OF OIL TANK FREIGHT CAR}
본 발명은 유조차용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화물 하화시에 작동되는 개폐디스크를 개폐시키는 스핀들을 요크너트에 의해 회전지지되게 하면서, 상기 개폐디스크의 개폐시 최소 마찰력으로 시트링에 의해 가이드 되며 상하유동 될 수 있도록 한 유조화차용 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밸브를 설치한 유조화차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밸브를 설치한 유조화차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밸브의 개폐디스크와 부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철도에 의한 화물의 수송은 대량으로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운송 도중 화물의 손상이 적고 계절이나 기후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화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액체화물을 탱크(1) 내에 그대로 싣고 운반하는 철도용 유조차는 액체화물의 특성상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주유구(미도시)와 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가 형성되며 이 배출관(2)에는 배출밸브(DISCHAGE VALVE)(3)가 형성되어 상기 탱크(1) 내의 액체화물의 배출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출밸브(3)는 도 2 및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의 외주연 상단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의 로드(4)를 상기 탱크(1) 내부로 하향돌출시킨 핸들(5)을 내설한 케이싱(6)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탱크(1) 외주연 하단 중앙에는 하측으로 배출구(7)가 형성된 중공의 밸브시트(8)가 상기 탱크(1)와 소통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탱크(1)의 내주연에 접촉된 보닛(9)과 다수의 볼트(1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밸브시트(8)의 하측으로는 분기된 유출관(11)이 볼트(10') 및 너트(12)에 의해 체결되고 이 밸브시트(8)의 내주연에는 부싱(13)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13)의 상측단에는 개폐디스크(18)가 접촉되며 이 개폐디스크(18)의 하면에는 가이드블레이드(14)가 형성되어 상기 부싱(13)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면접촉 된다.
또한, 개폐디스크(18)의 상측으로는 로드(4)와 유니버설 커플링(15)에 의해 연결된 스핀들(16)의 하측단이 보닛(9)의 중앙부를 연직으로 관통하여 면접촉되며 분할핀(17)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출밸브(3)는 액체화물 배출작업시에 작업자가 탱크(1) 위로 올라가 케이싱(6)의 뚜껑(미도시)을 열고 시계 반대방향으로 핸들(5)을 회전시키면, 로드(4)가 회전하게 되고 이 로드(4)와 유니버설 커플링(15)에 의해 연결된 스핀들(16)이 연동하게 되어 보닛(9)과 밸브시트(8) 사이에 내설된 개폐디스크(18)를 상기 밸브시트(8)의 배출구(7)에 내설된 부싱(13)으로부터 상측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디스크(18)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블레이드(14)는 부싱(13)의 내주연을 면접촉하며 개폐디스크(18)가 상승하게 되며 액체화물은 개폐디스크(18)와 부싱(13)의 사이를 통과하며 배출구(7)에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블레이드(14)와 부싱(13) 접촉식 개폐디스크(18)는 밸브시트(8) 배출구(7)를 개폐동작시 스핀들(16)에 의해 반드시 자전하면서 승하강 동작되므로서, 상기 개폐디스크(18) 하단의 가이드블레이드(14)와 부싱(13)의 접촉면 사이에 상당한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여 이를 장시간 사용시에는 밀폐효과가 감소되면서 누유가 발생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프레임 상에 탱크를 고정 부착 설치하여 그 내부에 각종 액체화물을 적재 운반토록 제작된 유조화차에 있어서, 탱크 하방 중앙부의 배출관을 통해 탱크 몸체 내부에 적재된 액체화물을 빼내기 위하여 설치된 배출구 개폐용 배출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밸브가 잠긴 상태하에서 이를 통한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조차용 배출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유조화차용 탱크 상부에 형성된 핸들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탱크의 내부 바닥 중앙면에 소통가능하게 형성된 보닛의 중앙부에 연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과 상부가 체결되며,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블레이드는 상기 탱크의 하측 중앙 외주연에 소통가능하게 돌출형성된 밸브시트에 내설된 부싱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개폐디스크를 포함하여 형성된 배출밸브에있어서, 상기 스핀들과 보닛 사이에 개재되어 이 스핀들의 회전시 면접촉에 의해 가이드하는 요크너트와; 상기 요크너트를 관통한 상기 스핀들에 체결된 상기 개폐디스크의 하부 중앙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중앙에 형성된 중앙가이드홀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상하유동시 가이드하며 상기 밸브시트의 내주연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디스크와 접촉 및 이탈되는 시트링을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밸브를 설치한 유조화차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밸브를 설치한 유조화차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밸브의 개폐디스크와 부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화차용 배출밸브를 설치한 유조화차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화차용 배출밸브의 개폐디스크와 시트링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탱크 2: 배출관
3: 배출밸브 4: 로드
5: 핸들 6: 케이싱
7: 배출구 8: 밸브시트
9: 보닛 10, 10': 볼트
11: 유출관 12: 너트
13: 부싱 14: 가이드블레이드
15: 유니버설커플링 16: 스핀들
17: 분할핀 18: 개폐디스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화차용 배출밸브를 설치한 유조화차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화차용 배출밸브의 개폐밸브와 시트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의하면, 탱크(101)의 외주연 상단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의 로드(104)를 상기 탱크(101) 내부로 하향돌출시킨 핸들(105)을 내설한 케이싱(106)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탱크(101) 외주연 하단 중앙에는 배출구(107)가 형성된 중공의 밸브시트(108)가 상기 탱크(101)와 소통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탱크(101)의 내주연에 접촉된 보닛(109)과 다수의 볼트(11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밸브시트(108)의 하측으로는 분기된 유출관(111)이 볼트(110') 및 너트(112)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보닛(109)과 밸브시트(108) 사이에는 배출구(107)의 개폐기능을 가지는 개폐디스크(118)가 설치 구성되는데, 이 개폐디스크(118)의상측 중앙에는 상기 로드(104)와 유니버설 커플링(115)에 의해 연결된 스핀들(116)이 보닛(109)의 상측 중앙부에 내설된 요크너트(119)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분할핀(117)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개폐디스크(118)의 하측 중앙에는 가이드봉(12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108) 내부에 접촉된 시트링(120)의 중앙가이드홀(122)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보닛(109)과 시트링(120)은 캐스트 스테인리스 강(CAST STAINLESS STEEL)을 재료로 사용하게됨으로 인하여, 종래의 연강보다 부식에 의한 녹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중량을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탱크(101) 내의 액체화물을 하화하기 위하여 작업자에 의해 탱크(101) 상측에 형성된 핸들(105)을 회전시키면, 로드(104)가 회전하게 되고 이 로드(104)와 유니버설 커플링(115)에 의해 연결된 스핀들(116)이 연동하게 되어 보닛(109)과 밸브시트(108) 사이에 내설된 개폐디스크(118)를 상기 밸브시트(108)의 배출구(107)에 내설된 시트링(120)으로부터 상측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디스크(118)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봉(121)의 외주연은 시트링(120)의 중앙가이드홀(122)의 내주연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측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상기 스핀들(116)이 회전을 하며 변형을 일으키더라도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며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액체화물은 개폐디스크(118)와 시트링(120)의 간극을 통과하여 배출구(107)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105)을 역회전시키면, 개폐디스크(118)가 가이드봉(121)의 가이드를 받으며 하측으로 유동되어 시트링(120)에 접촉되며, 개폐디스크(118)와 시트링(120)의 실링되는 접합면은 각각 동일한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 완벽하게 밀봉이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화물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최소한의 마찰력에 의해서 배출밸브를 구성하는 개폐디스크의 개방 및 폐쇄를 원활히 할 수 있게 하여 부품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개폐디스크의 가이드봉을 시트링의 중앙가이드홀에서 상하유동 할 수 있게 하여 편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액체화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유조화차용 탱크(101) 상부에 형성된 핸들(10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탱크(101)의 내부 바닥 중앙면에 소통가능하게 형성된 보닛(109)의 중앙부에 연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116)과 상부가 체결되며,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블레이드(14)는 상기 탱크(101)의 하측 중앙 외주연에 소통가능하게 돌출형성된 밸브시트(108)에 내설된 부싱(13)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개폐디스크(118)를 포함하여 형성된 배출밸브(103)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16)과 보닛(109) 사이에 개재되어 이 스핀들(116)의 회전시 면접촉에 의해 가이드하는 요크너트(119)와;
    상기 요크너트(119)를 관통한 상기 스핀들(116)에 체결된 상기 개폐디스크(118)의 하부 중앙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봉(121)과;
    상기 가이드봉(121)에 중앙에 형성된 중앙가이드홀(122)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121)의 상하유동시 가이드하며 상기 밸브시트(108)의 내주연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디스크(118)와 접촉 및 이탈되는 시트링(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109)과 밸브시트(108)는 캐스트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KR10-2002-0005578A 2002-01-31 2002-01-31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KR10041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578A KR100419307B1 (ko) 2002-01-31 2002-01-31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578A KR100419307B1 (ko) 2002-01-31 2002-01-31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077U Division KR200276755Y1 (ko) 2002-01-31 2002-01-31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115A KR20030065115A (ko) 2003-08-06
KR100419307B1 true KR100419307B1 (ko) 2004-02-18

Family

ID=3222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578A KR100419307B1 (ko) 2002-01-31 2002-01-31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3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115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368A (en) Waterproof pit cover
KR101175694B1 (ko) 제수밸브
US5261333A (en) Automated ballast door mechanism
US4187881A (en) Cone valve assembly
US4184663A (en) Combination tank car valve skid and valve seat
KR100419307B1 (ko)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KR200276755Y1 (ko) 유조화차용 배출밸브
US4311298A (en) Low profile tank car ball valve
US4141535A (en) Bottom operable tank car valve assembly having shear plane
US4237928A (en) Low profile tapered sump for railway tank cars
US4219047A (en) Telescoping eduction pipe assembly with elastomeric boot
CN202176736U (zh) 一种排渣阀
US2759697A (en) Hydraulic control for butterfly valves
CA1083888A (en) Railroad vehicle
US4234158A (en) Combination tank car valve skid and valve seat wherein the skid is welded to the valve seat
US4422473A (en) Tank ball valve having depending sleeve and handle attached to the sleeve
US4124193A (en) Bottom operable tank car valve assembly having shear plane
US4310145A (en) Combination top operable and bottom operable tank lading valve assembly
US3999567A (en) Tank truck safety valve
US3528375A (en) Railway tank car bodies
US5404827A (en) Gravity outlet
US4460155A (en) Tank discharge valve with pressure assisted seat
US2891487A (en) Hopper door locking mechanism
US1529583A (en) Digester blow valve
US4234159A (en) Combination tank car valve skid and valve seat in which end portions on the skid are attached to the tank with fasteners which do not require stress relieving of th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