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213B1 - 우롱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육가공제품의식품첨가물 및 식가공제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롱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육가공제품의식품첨가물 및 식가공제품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17213B1 KR100417213B1 KR10-2002-0017646A KR20020017646A KR100417213B1 KR 100417213 B1 KR100417213 B1 KR 100417213B1 KR 20020017646 A KR20020017646 A KR 20020017646A KR 100417213 B1 KR100417213 B1 KR 100417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olong tea
- polyphenols
- meat products
- tea extract
- products
- Prior art date
Links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9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5000020333 oolong t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5000013622 meat produc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20991 processed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064 anti-oxid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02000004316 Oxido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90000854 Oxido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3425 Tyrosi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60008724 Tyros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UUUHXMGGBIUAPW-UHFFFAOYSA-N 1-[1-[2-[[5-amino-2-[[1-[5-(diaminomethylideneamino)-2-[[1-[3-(1h-indol-3-yl)-2-[(5-oxopyrrolidine-2-carbonyl)amino]prop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pent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5-oxopentanoyl]amino]-3-methylpentanoyl]pyrrolidine-2-carbon Chemical compound C1CCC(C(=O)N2C(CCC2)C(O)=O)N1C(=O)C(C(C)CC)NC(=O)C(CCC(N)=O)NC(=O)C1CCCN1C(=O)C(CCCN=C(N)N)NC(=O)C1CCCN1C(=O)C(CC=1C2=CC=CC=C2NC=1)NC(=O)C1CCC(=O)N1 UUUHXMGGBIUAP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270 Peptidyl-Dipeptidase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882 Peptidyl-Dipeptidase A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4000018436 Coriandr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787 Coriandr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4000270834 Myristica fragran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421 Myristica fragr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2000019197 Superoxide Dismu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10012715 Superoxide dismu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702 nutme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943303 Enterococcus faecalis ATCC 29212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025053 Escherichia coli DSM 30083 = JCM 1649 = ATCC 11775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93869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607760 Shigella sonne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40115939 shigella sonnei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60526 Escherichia coli ATCC 25922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2125 Firmicut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1940 Staphyl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24 Wisteria floribun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13 dilu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52 food preserv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49 food preserva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169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99 melanin 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LZGAJCZANUQH-UHFFFAOYSA-N methyl 1-acetylthieno[3,2-c]pyrazole-5-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O)N1N=CC2=C1C=C(C(=O)OC)S2 XELZGAJCZANU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467 phosphate group Chemical group [H]OP(=O)(O[H])O[*]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40001941 soy prote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5427 Angiotens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4733 Angiotens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RFVTYWOQMYALW-UHFFFAOYSA-N Xanthine Natural products O=C1NC(=O)NC2=C1NC=N2 LRFVTYWOQMYA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0 condensed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48 vita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가공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가공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가공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놀은 현재 세계적으로 의약, 식품, 화장품 등에 각광을 받고 있는 신소재로서 많은 실험에 의해 생리활성 기능이 인정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건강음료로서 잘 알려진 우롱차로부터 폴리페놀을 추출 분리하여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롱차의 폴리페놀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우롱차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의 생리활성을 지니는 부분을 분획하여 육가공제품에 응용함으로서 육가공제품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유해요인들을 제거하고 건강지향적인 식품으로서의 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육가공제품은 건강지향적인 제품으로서 기업의 이미지를 전환하고 소비자들에게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인식시키므로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매우 효과적이고 매출의 신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소비자 측면과 생산자의 이익을 동시에 전달 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이다. 우롱차는 반발효차로서 축합형 탄닌이 주성분으로서 본 발명은 우롱차의 폴리페놀화합물을 다양한 레진으로 정제하고 생리활성 기능을 검증한 후 소세지 및 햄과 같은 육가공제품에 응용함으로서 새로운 개념의 육가공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우롱차로부터 추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육가공제품에 관련이 많은 항산화실험으로서는 SOD 활성실험, 키산틴 옥시다제 저해실험, DPPH 항산화실험을 행하고 제품의 기호성 및 안전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우롱차로부터 추출 분리한 폴리페놀을 첨가하여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 및 육가공제품을 제조하여 유용성을 조사함으로서 달성하였다. 또한 우롱차로부터 추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의약, 식품, 화장품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DPPH 항산화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키산틴 옥시다제 저해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5는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이 SOD 유사활성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6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11775의 증식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7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엔테로코커스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ATCC 29212의 증식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8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오우스(Staphylcoccus aureous)ATCC 13565의 증식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9는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25922의 증식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10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KCTC 2009의 증식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11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Salmonella typhimurium)ATCC 7988의 증식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12는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ATCC 29212의 항균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13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25922의 항균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14는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KCTC 2009의 항균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15는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오우스(Staphylcoccus aureous)ATCC 13565의 항균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16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11775의 항균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17은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Salmonella typhimurium)ATCC 7988의 항균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가공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가공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육가공제품은 소세지 및 햄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육가공제품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은 소세지 및 햄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육가공제품에 첨가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소세지 및 햄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육가공제품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로서 가능성이 있는 우롱차 추출액으로부터 Sephadex LH-20 레진을 함유한 대형칼럼을 사용하여 폴리페놀류를 분리하고 동결건조한 후 우롱차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새로운 활성기능을 조사하였다. 육가공제품에 관련이 많은 항산화실험으로서는 SOD(Super Oxide Dismutase) 활성실험, 키산틴 옥시다제(Xanthin oxidase) 저해실험,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항산화실험을 행하고 제품의 기호성 및 안전성에 대한 검토를 추진하였다. 육가공식품의 구배의 결정은 대다수 주부가 담당하므로 주부들의 기호에 적합한 컨셉용 개발을 위해 여성들의 미백에 관련된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실험 통해 주부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육가공제품이 건강에 대해 향상 문제시되고 있는 고혈압관련 실험으로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저해 실험을 함으로서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들에게 인식화시킨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본 발명은 우롱차로부터 폴리페놀을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폴리페놀의 정량, SOD 유사활성실험, 키산틴 옥시다제 저해실험, DPPH 항산화실험, 티로시나제 저해실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실험, 폴리페놀이 함유된 육가공제품의 응용 및 미생물 항균효과 실험을 하였다.
실험예 1: 우롱차 추출액에서 폴리페놀의 분리
여러 가지의 다양한 육가공제품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로서 가능성이 있는 우롱차의 폴리페놀류를 Sephadex LH-20 레진을 함유한 대형 칼럼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동결건조한 후 우롱 폴리페놀의 새로운 활성기능을 조사하였다. 대형 칼럼을 사용하여 우롱차 추출액을 분리한 결과 폴리페놀의 순도가 60% 함유한 분획물을 정제하고 동결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SOD 활성실험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육제품에 관련이 많은 항산화실험 중 SOD 활성은 200ppm에서 약 10%의 활성 증가가 있었고 1000ppm에서 25%의 활성 증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SOD 유사 활성은 1000ppm에서 25%의 유사활성을 보였다.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이 SOD 유사활성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실험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실험예 3: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키산틴 옥시다제 저해실험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키산틴 옥시다제 저해실험은 500ppm에서 20%의 저해활성이 있으며 1000ppm에서는 38%의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장질환과 통풍유발에 관여하는 키산틴 옥시다제 효소 저해를 본 결과는 시료농도 500ppm에서 20%이상의 저해율을 보였다.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키산틴 옥시다제 저해실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실험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고혈압과 관련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저해는 10ppm에서 42%의 저해를 시작으로 200ppm에서는 80%, 500ppm에서는 100%의 완벽한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다. 고혈압의 원인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저해효과는 시료농도 별로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며 50ppm에서는 50% 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실험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티로시나제 저해실험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여성들의 피부 미용과 관련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실험은 500ppm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가 관찰된 바 미용식품 개발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부멜라닌 생합성과정에 중요한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를 본 결과는 시료농도 0.05%에서 50% 이상의저해율을 보였다.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실험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DPPH 억제실험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DPPH 실험을 행한 결과 10ppm에서 70%의 억제효과를 시작으로 50ppm에서는 100%에 이르는 억제효과가 있었다. DPPH를 이용한 우롱차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10ppm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DPPH 억제실험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7: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항균실험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항균실험에서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모두 명확한 저해환이 관찰되었고 배양실험에서도 항균효과가 확인되었다.
우롱차 추출 분획물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검색을 확산(Diffusion)법으로 클리어 죤(clear zone) 생성유무로 관찰한 결과 도 12 내지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균주에 대해 뚜렷한 클리어 죤이 생성되어 그람음성균 및 그람양성균 모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에 나타난 우롱차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으로 보아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은 식품보존재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도를 달리한 우롱차의 시험균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희석(Dilution)법으로 측정한 결과 도 6 내지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11775,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오우스(Staphylcoccus aureous)ATCC 13565,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coccus epidermidis)ATCC 12228 에 대해서는 100ppm, 500ppm, 1000ppm 모두 증식억제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으며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25922 경우 500ppm 및 1000ppm에서 뚜렷이 나타났으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ATCC 29212 및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KCTC 2009 에서는 농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에서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생리활성 검증실험 결과 DPPH를 이용한 우롱차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10ppm의 농도에서 70%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으며, 피부멜라닌 생합성과정에 중요한 티로시나제 저해를 본 결과는 시료농도 0.05%에서 50%이상의 저해율을 보였고, 고혈압의 원인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저해효과는 시료농도 별로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며 50ppm에서는 50%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며, SOD 유사 활성은 1000ppm에서 25%의 유사활성을 보였고, 신장질환과 통풍유발에 관여하는 키산틴 옥시다제 저해를 본 결과는 시료농도 500ppm에서 20%이상의 저해율을 보였다. 또한 상기 실험예에서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에 대하여 항균력 측정 실험 결과 우롱차 추출 분획물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검색을 확산(Diffusion)법으로 클리어 죤(clear zone) 생성유무로 관찰한 결과 도 12 내지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균주에 대해 뚜렷한클리어 죤이 생성되어 그람음성균 및 그람양성균 모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에 나타난 우롱차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으로 보아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은 식품보존재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도를 달리한 우롱차의 시험균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희석(Dilution)법으로 측정한 결과 도 6 내지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11775,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오우스(Staphylcoccus aureous)ATCC 13565,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coccus epidermidis)ATCC 12228 에 대해서는 100ppm, 500ppm, 1000ppm 모두 증식억제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으며 에세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ATCC 25922 경우 500ppm 및 1000ppm에서 뚜렷이 나타났으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ATCC 29212 및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KCTC 2009 에서는 농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육제품의 기능향상에 매우 우수한 신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을 첨가하여 육제품의 기능향상이 매우 우수한 햄 및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을 첨가하여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표 1에서 I.S.P.은 Isolated Soy Protein이고 P/P는 프로큐어 파우다(아질산 6% 포함)이며 M.S.G.는 조미료이고 FDS/ENR는 인산염이며 ONZON/P는 양파분말이고 GARIC/PD는 생강분말이며 Black/P는 흑후추분말이고 NUTMEG/P는 너트메그분말이며 CORIANDER/P는 코리엔더분말이고 CINNAMON/P는 시나몬분말이며 DF-100는 천연보존료이다.
표 1.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소시지 조성성분 및 조성비율
컨츄리 소시지-폴리페놀 | ||||
원료명 | 중량(Kg) | 비율(중량%) | ||
1 2 3 | 돈육 돈지방 I.S.P 972 | 90.000 10.000 2.500 | 75.789 8.421 2.105 | 비고 |
소계 | 102.500 | 86.316 | 원료육:5m/m 반드시 빙수사용 지방:냉동 5m/m (살균조건) 건조:65℃/30분 훈연:1) 68℃/15분 2) 70℃/5분 살균:73℃/25분 |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SALT P/P FDS/ENR VIT-C SUGAR M.S.G ONZON/P GARIC/P Black/P NUTMEG/P CORIANDER/P CINNAMON/P 가라기난 DF-100 우롱차 폴리페놀 | 1.100 0.250 0.250 0.540 0.150 0.150 0.100 0.150 0.200 0.030 0.050 0.030 0.200 0.050 0.106~2.120 | 0.926 0.211 0.211 0.455 0.126 0.126 0.084 0.126 0.168 0.025 0.042 0.025 0.168 0.042 0.1~2.0 |
실시예 2
우롱차 추출액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을 첨가하여 햄을 제조하였다. 표 2에서 I.S.P.은 Isolated Soy Protein이고 P/P는 프로큐어 파우다(아질산 6% 포함)이며 M.S.G.는 조미료이고 FDS/ENR는 인산염이며 ONZON/P는 양파분말이고 GARIC/PD는 생강분말이며 Black/P는 흑후추분말이고 NUTMEG/P는 너트메그분말이며 CORIANDER/P는 코리엔더분말이고 CINNAMON/P는 시나몬분말이며 DF-100는 천연보존료이다.
표 2. 폴리페놀의 첨가에 따른 햄 조성성분 및 조성비율
비어 햄 - 폴리페놀 | ||||
원료명 | 중량(Kg) | 비율(중량%) | ||
1 2 3 4 | 돈육(후지)-염지 돈육(후지) 돈지방 I.S.P 972 | 70.000 100.000 30.000 4.000 | 75.789 8.421 12.161 2.105 | 비고 |
소계 | 204.000 | 82.692 | 포장지:황금색 염지육:13m/m Bind육제조시:얼음사용 규격:직경 65m/m Boiling:75℃/80분 |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SALT (2.0/1.4) P/P (0.4/0.2) FDS/ENR (0.2/0.3) VIT-C (0.2/0.1) SUGAR M.S.G 소고기맞분 WHITE/P MUTMEG CORIANDER 가라기난 DF-100 우롱차 폴리페놀 | 3.400 0.600 0.500 0.300 0.940 0.300 0.700 0.160 0.160 0.160 0.400 0.080 0.212~4.240 | 1.378 0.243 0.203 0.122 0.381 0.122 0.284 0.065 0.065 0.065 0.162 0.032 0.1~2.0 |
우롱차에서 분리 추출한 폴리페놀은 현재 세계적으로 의약, 식품, 화장품 등에 각광을 받고있는 신소재로서 많은 실험에 의해 생리활성 기능이 인정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건강음료로서 잘 알려진 우롱차로부터 폴리페놀을 분리하여 육제품의 식품첨가물로서 우롱차의 폴리페놀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우롱차의 폴리페놀의 생리활성함유 부분을 분획하여 육제품에 응용함으로서 육제품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유해요인들을 제거하고 건강지향적인 식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제품은 기업의 이미지를 전환하고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면을 인식시키므로 기업의 마케팅전략에도 가능하고 매출의 신장을 극대화가 가능할 수 있는 산업상 유효한 것이다. 지금까지 실험 결과에 의하면 항산화제의 효과가 매우 우수 한 바 육제품의 안정성에 새로운 기능 소재로서의 역할을 기대 할 수 있으며 특히 육제품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개선 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서 침체되고 있는 육제품의 소비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들 결과에 의해 기능성소재 함유 육제품의 개발이 가능하며 새로운 기능이 함유된 육제품으로 폴리페놀 정제도에 관한 기술 향상도 기대가 되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2)
-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가공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의 식품첨가물.
- 우롱차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폴리페놀을 육가공제품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고혈압 예방, 통풍예방, 미백 및 항균용 육가공제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7646A KR100417213B1 (ko) | 2002-03-30 | 2002-03-30 | 우롱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육가공제품의식품첨가물 및 식가공제품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7646A KR100417213B1 (ko) | 2002-03-30 | 2002-03-30 | 우롱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육가공제품의식품첨가물 및 식가공제품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8538A KR20030078538A (ko) | 2003-10-08 |
KR100417213B1 true KR100417213B1 (ko) | 2004-02-05 |
Family
ID=3237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7646A KR100417213B1 (ko) | 2002-03-30 | 2002-03-30 | 우롱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육가공제품의식품첨가물 및 식가공제품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1721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32075A (ja) * | 1984-04-28 | 1985-11-18 | Kyugoro Shimooka | 茶の成分を利用した食品加工方法 |
JPS6125440A (ja) * | 1984-07-12 | 1986-02-04 | Central Eng:Kk | 動物蛋白食品の加工・保存方法 |
JPH03266959A (ja) * | 1990-03-15 | 1991-11-27 | Tama Seikagaku Kk | 肉類の消臭方法 |
KR20010017534A (ko) * | 1999-08-12 | 2001-03-05 | 이상윤 | 즉석복원용 건조 돈육의 제조방법 |
KR20010099218A (ko) * | 2001-09-13 | 2001-11-09 | 최영철 | 맥반석을 이용한 기능성 재첩국 및 그 제조방법 |
-
2002
- 2002-03-30 KR KR10-2002-0017646A patent/KR1004172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32075A (ja) * | 1984-04-28 | 1985-11-18 | Kyugoro Shimooka | 茶の成分を利用した食品加工方法 |
JPS6125440A (ja) * | 1984-07-12 | 1986-02-04 | Central Eng:Kk | 動物蛋白食品の加工・保存方法 |
JPH03266959A (ja) * | 1990-03-15 | 1991-11-27 | Tama Seikagaku Kk | 肉類の消臭方法 |
KR20010017534A (ko) * | 1999-08-12 | 2001-03-05 | 이상윤 | 즉석복원용 건조 돈육의 제조방법 |
KR20010099218A (ko) * | 2001-09-13 | 2001-11-09 | 최영철 | 맥반석을 이용한 기능성 재첩국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8538A (ko) | 2003-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erlo et al. | Incorporation of pink pepper residue extract into chitosan film combined with a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Effects on the shelf life of salmon fillets | |
Rashidaie Abandansarie et al. | Effects of encapsulated rosemary extract on oxidative and microbiological stability of beef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
Shan et al. |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effects of five spice and herb extracts as natural preservatives of raw pork | |
Shi et al. | Grape seed and clove bud extracts as natural antioxidants in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fillets during chilled storage: Effect on lipid and protein oxidation | |
Rabie et al. | Evolution of amino acids and biogenic amines throughout storage in sausages made of horse, beef and turkey meats | |
Adedayo et al. | Changes in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epperfruit (Dennettia tripetala) with ripening | |
Luo et al. | Polysaccharides in Spirulina platensis improve antioxidant capacity of Chinese‐style sausage | |
Udayasoorian et al. | Comparative evaluation on shelf life extension of MAP packed Litopenaeus vannamei shrimp treated with natural extracts | |
Chen et al. |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of a hydroxypyridinone derivative containing an oxime ether moiety and its application in shrimp preservation | |
Hęś et al. | Effect of plant extracts on lipid oxidation and changes in nutritive value of protein in frozen‐stored meat products | |
Cullere et al. | First evaluation of unfermented and fermented rooibos (Aspalathus linearis) in preventing lipid oxidation in meat products | |
EL‐HANAFY et al. | Preservation of Oreochromis niloticus fish using frozen green tea extract: Impact on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
Cavonius et al. | Glazing herring (Clupea harengus) fillets with herring muscle press juice: Effect on lipid oxidation development during frozen storage | |
Campos et al. | Use of natural preservatives in seafood | |
Cordery et al.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Plant Extracts and their Applications in Foods-A | |
Ifesan et al. | Evaluation of the ability of Eleutherine americana crude extract as natural food additive in cooked pork | |
Huynh et al. | Effec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nd guava (Psidium guajava) extracts on the quality of snakehead (Channa striata) fillets during ice storage | |
Cho et al. | Effect of calamansi pulp ethanol extracts on the meat quality and biogenic amine formation of pork patty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
Zhao et al. | Inhibitory effects of pepper (Zanthoxylum bungeanum Maxim) leaf extract on lipid and protein oxidation during the processing of Chinese traditional dry‐cured meat (larou) | |
Song et al. | Effect of addition of Allium hookeri on the quality of fermented sausage with meat from sulfur fed pigs during ripening | |
Emam et al. | Techn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incorporating Jamun (Syzygium cumini (L.) Skeels) fruit extract into yoghurt. | |
Farahmandfar et al. | The effect of a jwain (Trachyspermum ammi) extracted by ultrasound‐assisted solvent on quality properties of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surimi stored at 4C | |
Nguyen et al. | Effect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extract on the protection of the fishballs from knife fish (Chitala chitala) and striped catfish by-product (Pangasianodon hypophthalmus) against spoilage during frozen storage | |
KR100417213B1 (ko) | 우롱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육가공제품의식품첨가물 및 식가공제품 조성물 | |
Kim et al. |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fruit powder and its effects on the product quality of marinated chicken brea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