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144B1 - 입자트랩장치 - Google Patents

입자트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144B1
KR100415144B1 KR1019940704332A KR19940704332A KR100415144B1 KR 100415144 B1 KR100415144 B1 KR 100415144B1 KR 1019940704332 A KR1019940704332 A KR 1019940704332A KR 19940704332 A KR19940704332 A KR 19940704332A KR 100415144 B1 KR100415144 B1 KR 10041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utlet
particle
particle tr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797A (ko
Inventor
룬데트라이그베
스카이박모엔스타이나르
샤이이다르
Original Assignee
신벤트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6483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51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NO922165A external-priority patent/NO175231C/no
Priority claimed from NO19922164A external-priority patent/NO175082B1/no
Application filed by 신벤트에이.에스 filed Critical 신벤트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95070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탱크(1) 내에서 물로부터 침전물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출튜브(22)에 연결되는 원통형유출구(3)가 탱크(1)의 대칭형 수직축상에 위치한다.
장치 즉, 원판(19), 유입스롯트(15)는 환형통(8)의 상단에 대하여 위치한다. 환형통(8)은 유출구(3)의 주위에 위치하고 다입자물을 위한 유출구(12)가 있다.
평바닥인 양식탱크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입자트랩(7)은 탱크의 바닥(6)으로부터 경사면(24)이 있고 환형통(8)에 대하여 내측으로 갈라져 있다.
이 장치는 구역으로 분할된 탱크(1)의 분리 감시용으로도 사용된다.
유출튜브(12)에서 농축된 입자유동은 감시장치(28)에서 개별적으로 감시되고 먹이공급, 물 공급, 산소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입자트랩(粒子 TRAP) 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식탱크의 평면도로서 유동조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양식탱크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 도 2의 양식탱크의 상세한 부분절단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탑배출구를 갖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현재의 양식탱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발명의 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탱크가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별도의 감시 진흙장치를 갖는 양식탱크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역적 양식탱크에서 구역의 절단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식탱크 2 : 물유입구 3 : 중심유출구
4 : 1차유동체계 5 : 2차유동체계 6 : 바닥
7 : 입자트랩 8 : 환형통 9 : 타원형통공
10 : 바닥 11 : 스롯트 12 : 유출구
13 : 센서 14: 분리장치 15 : 유입스롯트
16 : 내벽 17 : 경사 18 : 외벽
19 : 원판 20 : 스크린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수중생물을 양식하는 용기나 탱크내에 있는 물로부터 침전물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 알려진 양식장 설비는 물의 유출구에서 침전물의 입자가 소규모로 분리되는 것이었다. 현재 유출수로 부터 입자를 거르고 여과하기 위한 여러 가지 다른 해결방법에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나 이것은 유출수의 양이 많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게 된다.
대다수의 현존하는 양식장 설비는 탱크의 자체 정화와 유출시스템이 이루어진다 해도 부정확한 용적을 가지고 있다. 유출시스템에 있어서 탱크의 정화와 입자의 운반은 수동적인 손질과 탱크의 급한 배수에 의존하게 된다.
이것은 입자의 분리를 위한 설비가 최대의 수압과 동시에 입자압에 의존하게되고 결과적으로 설비는 이러한 충격요법에 알맞은 크기가 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류의 양식탱크에서 물 본체는 탱크의 중심에서 좌우대칭의 수직축 둘레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유동조건은 물의 공급을 위한 유입 및 유출장치의 사용과 탱크의 배수에 의하여 정해진다.
물의 공급은 탱크벽쪽에 위치하고 유입구는 탱크내에서 원하는 유동형태에적응하는 유동방향을 갖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수중분사기로 구성되어 있다.
탱크로 부터의 유출구는 탱크의 대칭수직 축상에 용기의 바닥 중심에 위치한다. 유출장치는 다른 기하학적인 형태, 즉 평면배수 또는 상단에 있거나 또는 탑을 따라 분포된 배출구를 갖는 탑형배수 형태를 갖는다. 배수장치는 강제 및 자유소용 돌이의 결합(랜킨의 결합소용돌이)을 만들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배수소용돌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트랩에 있어서 탱크 내에서 바람직하고 동시에 내부의 유동형태에 있어서도 주요요소가 된다.
탱크 내에서의 유동조건은 1차 및 2차 체계로 분리될 수 있다.
1차 유동은 대칭의 수직축 주위에서 물본체를 회전시키고 유입 및 유출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2차 유동은 1차 유동에 대하여 90°의 각 방향을 갖고 1차 유동의 약 1/5∼1/10정도이다. 2차 유동은 물 본체와 탱크의 바닥 및 벽사이의 경계에서 마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2차 유동은 탱크의 벽 아래쪽으로 바닥에 인접한 탱크의 중심 쪽을 향한다.
오늘날 먹이찌꺼기는 유출수에 있는 입자의 주요부분을 차지한다.
이것은 유출수에 있어 오염의 원인이기도 하다.
물로부터 침전물 입자의 분리는 4개의 다른 단계로 나누어진다.
1) 침전물 입자는 탱크의 바닥에 가라앉고 바닥의 2차 유동과 탱크의 1차 유동에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길을 따라 운반되는데 그 나선형 길은 1차 유동의 대칭형 수직축에 대응한다.
2) 입자가 많은 바닥의 물은 탱크로부터 다입자 부분으로서 진흙구멍 형태로유동되고 입자가 없는 물은 중심유출구내에서 배출된다.
3) 다입자부분 유출은 입자트랩내에서 유동되는데 여기에서 침전물 입자는 물본체로 부터 분리된다.
침전물 입자는 입자트랩의 바닥에 가라앉고 유출소용돌이는 입자유출구 까지 바닥에서 입자의 필요한 운반에 관여하는데 입자유출구는 입자의 운동방향에 역으로 되어 있는 스롯트가 바닥에 있는 모양의 스롯트로 되어 있다.
4) 입자트랩으로 부터의 입자유출은 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분리장치까지 튜브 또는 호스를 통하여 다입자 유동으로서 운반된다.
여기서 분리장치는 소용돌이 방으로 구성된다. 분리장치내에서 입자는 모아지고 약 8%의 고형질을 갖는 진흙으로 압축된다. 그후 그것은 저장 혹은, 예컨대 설비의 생산용 성장매체로 사용되기 전에 진흙고정화와 같은 종류의 추가처리를 위하여 운반된다.
본 발명은 분리공정에서 제3단계의 취급과정에 관한 장치이다.
먼저 양식장 설비의 설계, 건설 그리고 운전에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탱크 및 양식장 설비의 유동조건과 수압조작을 이용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종전에 입자분리의 어떤 형태로 정화되는 하나의 무입자 유출구와 예컨대 다입자 물의 유출구로된 분리된 유출구를 갖는 유출장치가 알려져 있다. 노르웨이 특허공고 제160,753호는 이러한 원리로된 발명을 기술하고 있다. 더나아가 영국 특허 공고 제2,241,857호 및 제2,242,140호도 유사한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이러한 공지의 장치에서 중심유출구는 양식탱크의 중간에, 예컨대 구멍이 있는 튜브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형성된 탑형유출구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에는 스롯트통공이 위치하여 다입자물을 위한 추가유출구와 연결되어 잇다. 분리된 유출구에 의한 입자의 분리는 위에 언급한 분리공정에서 제1공정 및 제2공정에 의거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분리된 유출구에 의하더라도 다입자의 부분유동은 비교적 많은 유출량(전체 량의 30∼40%)이고 따라서 상당한 정화비용이 든다. 대부분의 현존하는 플랜트는 부정확하게 설계된 유출시스템을 갖고 있어 대규모의 재건축 없이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없다.
본 발명으로 해결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은 수중생물(수생동물)의 양식을 위한 구역으로 분할된 탱크 내에의 구역을 분리 감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역으로 분할되는 양식탱크는 종전에도 알려졌는데, 예컨대 노르웨이 특허 출원 제870089호 및 노르웨이 특허출원 제884812호에 기재되어 있다.
구역분할 양식탱크에서는 보통 물의 분체는 분리된 물유입구 및 유출구에 의하여 형성되는 서로 다른 구역 내에서 유동패턴을 갖는다. 구역사이에서는 구역사이의 흐름으로 부터 다른 구간내의 물고기를 은닉하는 공간, 바람직하기로는 스크린이 있다.
이 스크린은 매우 작은 물고기만이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걸름형 스크린으로서 구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양식탱크에서 물본체는 각 구역의 중심에서 대칭의 수직축 둘레를 회전한다. 유동조건은 구역의 물 공급 및 배수를 위한 유입 및 유출장치의 사용에 의하여 단일 탱크 내에서의 유동패턴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상기 노르웨이 특허출원 제870089호에서는 한 구역의 물전체량을 재순환 루프에서 유동되도록 함에 의하여 물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물은 다른 구역에 흔히 있는 침강조내에서 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매특정구역의 운전상황 감시는 구역내 저장물의 정확한 설명을 위하여 물전체량의 감시가 필요하다.
이러한 많은 량의 물의 유동 때문에 어떤 문제 예컨대 센서들의 위치 등이 문제가 된다.
그리고 노르웨이 특허출원 제884812호는 구역으로 분할되고 또 물전체량의 어느 한 부분만 재순환 루프형으로 유동되는 분할된 유출구를 갖는 탱크를 보여주고 있다.
가장 깨끗한 물은 재순환 루프에서 처리를 위하여 각 구역 내에서 표면으로부터 빼내 정수로서 구역으로 공급된다. 가장 오염된 물은 각구역의 바닥으로부터 추출되며 이때 그 구역내의 관련환경지표의 상황을 얻기 위하여 이 부분의 물의 유동을 감시하는 것이 더 손쉽다.
그러나, 부분적 유동은 역시 너무나 많은 유출 량을 가지므로 관련지표의 단순하고 계속적인 측정을 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므로 입자유출의 양이 줄어들고 동시에 입자의 농축이 이루어지는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 부분을 특징으로 하면서 기재된 요소를 갖는 장치에 의하여 이룩된다. 추가요소는 종속항에 표시된 바와 같다.
입자트랩은 탱크의 운전 및 수중생물(수생동물)을 제어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소개한다. 양식업자는 입자유출구에 있는 먹이 찌꺼기를 관찰함으로서 기호에 맞는 변화를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
먹지 않는 먹이는 탱크 내에서 전체적인 잔류시간을 갖고 입자트랩내에서 5분이내의 시간을 갖는다. 입자유출구(시간 및 / 또는 청각센서)에 있는 먹이찌꺼기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서 먹이이용 및 먹이찌꺼기는 이 시간동안 기록될 수 있고 이리하여 먹이공급장치의 논리적인 제어가 보다 경제적인 운전과 탱크내의 보다 양호한 조건으로 이끌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식용감퇴를 초래하는 질병의 발생 등은 이 시스템에서 정상적인 운전으로부터 비정상으로서 초기단계에서 기록될 수 있다.
공급먹이와 기록된 찌꺼기는 물고기의 취급이나 계량 없이 어느 때라도 생물체의 성장의 직접 지표를 방연하게 된다. 이것은 생물체와 그 발달을 보다 잘 감시할 수 있음을 뜻한다.
입자트랩은 가스의 정화에 의한 입자분리 뿐만 아니라 물과 다른 액체의 처리 및 정화에 의한 침전물 입자의 분리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도시하수도시스템에 이르기 전에 유출구의 원천적 스크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발명의 구성]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입자트랩의 적이한 기능을 위한 조건은 위에 언급된 공정의 제1공정에 따라 유동을 갖는 탱크 혹은 용기 내에서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도 2는 제1공정에서와 같은 입자분리를 하는 유동체계를 가지는 물유입구(2) 및 중심유출구(3)가 있는 양식탱크(1)를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1차유동체계(4)와 2차유동체계(5)는 양식탱크(1)의 바닥(6)에서 침전물 입자를 입자 트랩(7)까지 운반하는 것이며, 입자트랩(7)은 유동패턴의 대칭형 수직축에 있는 바닥(6)의 가운데 근처의 중심유출구(3)에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는 스크린(20)을 통하여 중심유출구를 갖는 시스템과 분리공정의 제2공정, 제3공정에 사용되는 입자트랩을 나타낸다. 이 트랩은 중심유출구(3)의 주위에 설치되며 환형통(8)과 같이 구성된다.
또 물의 유동으로부터 침전입자의 분리는 수직트랩내에서 일어나며 유입스롯트(15)를 통하여 환형통(8)까지 입자를 운반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이 환형통(8)으로 부터 중심유출구(3)까지 원형 혹은 타원형통공(9)의 배치열을 지나 유동할 때 침전물 입자는 물의 유동으로부터 분리되어 환형통(8)의 바닥(10)에 가라앉는다. 중심유출구(3)위의 소용돌이는 환형통(8)의 바닥(10)에 있는 입자를 바닥(10)에서 스롯트(11)쪽으로 그리고 입자를 유출구(12)로 움직이게 한다.
도 2는 입자가 유출구(12)에서 어떻게 센서(13)쪽으로 운반되는가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센서(13)는 여하한 먹이입자도 인식하고 입자가 분리장치(14)내에서 분리되고 농축되기 전에 이를 기록하는 것이다.
분리장치(14)는 분리공정에서 제4공정을 나타낸다.
도 3은 입자트랩의 설치 예를 좀더 상세하게 보여준다.
입자트랩(7)은 탱크로부터 중심유출구의 외벽에 상당하는 원통형 내벽(16)을 갖는 원형 구조이다.
바닥(10)은 입자유출구(12)를 위한 스롯트(11)가 통공되어 있는 원형이다.
스롯트(11)는 내벽(16)에 대하여 접선적으로 위치하고 유입스롯트(15)의 전면에 있는 바닥(10)은 경사(17)를 형성하면서 낮춰져 있다.
환형통(8)의 외벽(18)은 전도된 콘의 형태로 되어 있다.
환형통(8)은 원판(19)에 의하여 탱크내의 잔류하는 물과 구분되는데 이는 탱크의 원형 유입스롯트(15)와 바닥(6)의 경계를 짖는 것이다.
입자트랩(7) 내의 물의 유동은 원통형 내벽(16)의 상단에 있는 타원형 통공(9)을 통하여 중심유출구(3)까지 배수로를 갖는다.
탱크내에서 바닥의 다입자 유동은 유입스롯트(15)를 통하여 입자트랩(7)속으로 흐른다. 침전된 입자들은 환형통(8)내에서 입자가 콘형태의 외벽(18)을 따라 미끌어져 바닥(10)으로 내려갈 때 물과 분리되고, 바닥에서는 중심유출구(3)위의 소용돌이 때문에 입자유출구(12)까지 배수로를 갖는 스롯트(11)쪽으로 이동된다. 유입스롯트(15)를 통하여 입자트랩(7)까지의 물의 유동은 원통의 내벽(16)의 상단 가까이 있는 타원형통공(9)의 배치열을 통과하여 침전물 입자의 분리 후에 중심유출구(3)내에서 밖으로 흐른다.
다음은 각기 다른 크기의 탱크에서 전체유출량과 입자유출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입자트랩으로 부터의 유출량은 매우 감소되고 큰 탱크용량에서는 감소 %가 매우 현저하다.
입자트랩(7)은 탱크의 유동조건이 도 1, 도 2에서 기술된 종류의 것인 한 중심유출구는 서로 다른 타입의 것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탱크내 수위의 외부조절을 하는 탱크의 바닥면에 평배출구를 갖는 실시 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도 6은 탑유출구(21)를 갖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데 이는 탱크의 깊이 아래로 배출구가 배치되고 탱크내 수위의 외부조절을 갖는다.
기재된 장치는 선택적인 입자유출구와 유출구가 중심유출구로 부터 외향적으로 떨어지는 대신 중심유출구 아래에서 내향적인 방향인 스롯트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탱크와 입자트랩내에서의 회전은 기술한 해결방법의 유동회전과 반대방향이 될 것이고 그러므로 스롯트통공 전면에 있는 바닥에서의 구멍은 스롯트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트랩의 바닥을 가로지르는 스롯트에 부가하여 입자트랩의 내벽을 역시 가로지르게 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현재의 양식탱크(1)내에 설치를 위해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 예는 일부분이 바닥 캐스트를 갖고 바닥에는 유출조절캐스트를 갖지 않는 양식탱크에 적합하다. 도시된 탱크는 매몰되어 중심유출구는 탱크벽내의 가라앉은 튜브를 통해 유출통로(23)까지 수평유출구(22)를 갖는 탑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자트랩(7)은 중심유출구 주위에 위치하고 원형의 수평형태의 원판(19)으로 탱크를 제한하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위에 언급한 해결방법에 상응한다. 입자트랩(7)은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입자트랩(7)까지 위쪽의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서 유입스롯트(15)까지 경사절단면을 따라 위로 뻗어있는 절단부(24)로 구성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입자는 중심유출구에 이르는 통공(9)을 통하여 입자트랩을 떠나면서 물과 분리된다. 입자는 입자트랩의 바닥(10)에 가라앉고 내벽(18)을 따라 유동을 하면서 회전한다.
바닥(10)의 가까이 있는 내벽에는 중심유출구(3)의 내측에 있는 입자 유출튜브(12)에 이르는 스롯트(11)가 위치하고 있다.
도 9는 별도로 각 구역의 물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구역으로 분할된 양식탱크(1)를 보여준다. 각 구역은 위의 공정 1에 따른 유동패턴을 갖고 있어 물고기가 구역 내에 좀더 머물을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한 1차유동과 2차유동이 형성되도록 한다.
단수인 탱크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역 내에서 1차유동은 물을 중심을 향하는 와류형태로 만든다. 2차 유동과 바닥유동은 유출구를 통하여 구역으로부터 물을 제거함에 의하여 강화된다. 물의 유입, 물의 유출, 형성된 1차유동 및 형성된 2차 유동은 함께 강력한 바닥유동을 형성한다.
각 구역 바닥에 있는 입자트랩(7)은 도 3에 보인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물본체의 어느 부분이 입자트랩(7)을 통하여 배출된 후에 이 부분은 물로부터 배출된 입자의 동적 및 정적 감시를 위한 감시장치(27)에 연결되어 있는 진흙장치까지 흐른다.
바람직하기로는 측정은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행하여지며 입자형태(화학 분석)와 입자전체량의 모두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행해진다. 이 자료는 제어장치로 이송되는데 여기에서 먹이의 공급, 유동, 기타 각구역에서의 환경에 중요한 지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구역에서의 개별적인 감시가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물은 도 10에 있는 바와 같이 재순환 루프내에서 유동한다.
물은 튜브(27)를 통하여 탱크(1)로 부터 펌프 되어 산소주입장치(25)로 가고 탱크(1)로 되돌아간다. 이 순환계에서 개별요소는 진흙감시장치(28)로 부터의 자료을 기초하여 제어된다. 입자트랩과 관련하여 해치(26)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죽은 고기를 위하여 원하는 때에 열려지게 된다. 죽은 고기 및 어떠한 보다 큰 다른 잔존물도 튜브(22)내에 있는 유출수와 함께 운반되어 추가 해치(29)에 저장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수중생물을 양식하는 용기나 탱크 내에 있는 물로부터 침전물입자를 분리가 용이하며 안정되고, 탱크 및 양식장 설비는 적합한 유동조건과 수압조건으로 구성되어서 양식장설비 설계, 건설 그리고 운전에 관한 문제 등을 해결하고, 수중생물(수생동물)의 양식을 위한 구역으로 분할된 탱크 내에의 구역을 분리 감시 할 수 있어 입자유출의 양이 줄어들고 동시에 입자의 농축을 이루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양식탱크(1)에 있어서,
    원통의 유출구(3)가 유출튜브(22)에 연결되어 양식탱크(1)의 대칭형 수직축 상에 위치하고 있는 바닥(6)과 환형통(8)의 상단에 대하여 위치하는 유입스롯트(15)를 형성하는 원판(19)과, 상기 환형통(8)은 중심유출구(3)의 주위에 위치하고 통의 바닥(10), 통의 외벽(18) 및 상기 원판(19)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환형통(8)은 다입자물을 위한 유출튜브(12)를 갖고 그 중심유출구(3)는 입자 없는 물을 위한 통공(9)이 설치되고, 그 통공(9)은 환형통(8)의 상부 내에 위치하여 물로부터 침전물 입자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통벽(18)의 상단을 덮는 원판(19)이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입자 물을 위한 유출구(12)에 의하여 경사지고 낮게된 바닥면이 환형통(8) 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으로 덮여진 중심유출구(3)와 원판(19)이 유출스크린(20)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유출구(3)는 양식탱크(1)의 탑유출구(2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탱크(1)의 탑유출구(21)는 지표면에서 주로 액체가 배출되고 내부 수위 조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탱크(1)는 외부수위 조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 바닥을 갖고 여기에는 탱크를 통하여 위쪽으로 유출수를 안내하며 탱크의 바닥(6)으로 부터 경사면(24)을 갖고 환형통(8)에 대하여 안쪽으로 갈라진 양식 탱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중생물(수생동물)의 양식을 위하여 양식탱크(1)내에서 구역을 분리 감시하고 구역별 먹이공급, 물공급 등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트랩(7)에 결합되어 유출튜브(22)내에서 죽은 고기의 저장에 활용되는 해치(2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트랩장치.
KR1019940704332A 1992-06-01 1993-05-25 입자트랩장치 KR100415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22165 1992-06-01
NO922164 1992-06-01
NO922165A NO175231C (no) 1992-06-01 1992-06-01 Anordning for overvåkning av et oppdrettskar
NO19922164A NO175082B1 (no) 1992-06-01 1992-06-01 Anordning for fjerning av sedimenterbare partikler fra vannet i et oppdrettsk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797A KR950701797A (ko) 1995-05-17
KR100415144B1 true KR100415144B1 (ko) 2004-03-20

Family

ID=2664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332A KR100415144B1 (ko) 1992-06-01 1993-05-25 입자트랩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36595A (ko)
EP (1) EP0643553B2 (ko)
JP (1) JP2838130B2 (ko)
KR (1) KR100415144B1 (ko)
AU (1) AU4092893A (ko)
DK (1) DK0643553T4 (ko)
ES (1) ES2123051T5 (ko)
IS (1) IS4026A (ko)
MX (1) MX9303137A (ko)
WO (1) WO1993023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644B1 (fr) * 1998-07-30 2000-10-13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nourrissage d'animaux aquatiques
US6093320A (en) * 1998-11-30 2000-07-25 Future Sea Technologies Inc Tank cleaning system
US6443100B1 (en) * 2001-02-05 2002-09-03 Future Sea Technologies Inc. Debris separating system for fish pens
AU2003206116B2 (en) * 2002-02-15 2009-07-02 Israel Haddas Mega flow system
AUPS106302A0 (en) * 2002-03-13 2002-04-11 Mcrobert, Ian Waste water extraction system
WO2010144990A1 (en) * 2009-06-17 2010-12-23 Atlantech Engineering & Associates Incorporated Triple drain apparatus for an aquaculture recirculation system
NO330681B1 (no) * 2010-04-30 2011-06-06 Hobas As Oppdrettssystem for akvatiske organismer
EP2788110B1 (en) 2011-12-08 2018-10-17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pump in such a system
CN102657134B (zh) * 2012-05-31 2014-10-22 山东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海水工厂化循环水养殖系统
NO337241B1 (no) 2013-02-05 2016-02-22 Akvadesign As Oppdriftssystem for en merd
US9693538B2 (en) 2013-03-14 2017-07-04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Carbon dioxide control system for aquaculture
WO2014145661A1 (en) 2013-03-15 2014-09-18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Dissolved oxygen control system for aquaculture
JP5944883B2 (ja) * 2013-12-18 2016-07-0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粒子逆流防止部材及び基板処理装置
CN103891670A (zh) * 2014-04-11 2014-07-02 广东海洋大学 对虾精养池塘的智能化自动排污系统
CN104642236A (zh) * 2015-02-13 2015-05-27 通威股份有限公司 一种根据水体溶氧量进行饲料投喂的养殖系统
DK3419417T3 (da) * 2016-02-23 2023-10-16 Innovasea Systems Inc Fiskenetbur til akvakultur med fælde til døde fisk
CN105815249B (zh) * 2016-05-26 2020-09-08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判别曼氏无针乌贼雌雄的方法
US11234681B2 (en) * 2018-02-16 2022-02-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ish tank effluent sampling system
WO2019198063A1 (en) * 2018-04-13 2019-10-17 Andfjord Salmon AS Efficient land-based fish farm
EP3986126A4 (en) 2019-06-18 2023-07-19 InnovaSea Systems, Inc. DEAD FISH TRAP AQUACULTURE FISH COMPARTMENT
NO345849B1 (en) * 2020-05-04 2021-09-06 Nekkar As Outlet system for an aquaculture cage
US11957116B2 (en) * 2020-10-01 2024-04-16 Mindy M. Cook Animal wat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6158C (ko) * 1906-06-01
CH474213A (de) * 1968-03-19 1969-06-30 Renner Gedeon Ring-Kanal für die Fischaufzucht
SU644426A1 (ru) * 1976-12-08 1979-01-30 Аз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ыбного хозяйст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держани рыбы
SE442576B (sv) * 1985-02-27 1986-01-20 Arwos Ab Kar for odling av levande fisk vars botten har spiralformade spar atskilda av likaledes spiralformade ribbor och varvid sparen mynnar i en slamsamlande fordjupning
NO160753C (no) * 1986-07-01 1989-05-31 Knutsen R W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bruk ved rensing av vanneti oppdrettsbeholdere for fisk.
NO168681C (no) * 1989-12-29 1992-03-25 Sinvent As Anordning ved oppdrettskar for akvatiske organismer.
GB2241857A (en) * 1990-02-13 1991-09-18 Jeremy Robert Goddin Screen for fish tank out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36595A (en) 1997-06-10
ES2123051T5 (es) 2002-11-16
AU4092893A (en) 1993-12-30
EP0643553B1 (en) 1998-08-26
MX9303137A (es) 1994-04-29
JP2838130B2 (ja) 1998-12-16
EP0643553A1 (en) 1995-03-22
ES2123051T3 (es) 1999-01-01
EP0643553B2 (en) 2002-03-27
DK0643553T4 (da) 2002-04-22
JPH08500728A (ja) 1996-01-30
KR950701797A (ko) 1995-05-17
WO1993023994A1 (en) 1993-12-09
IS4026A (is) 1993-12-02
DK0643553T3 (da)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144B1 (ko) 입자트랩장치
KR101288032B1 (ko) 양식수조 내장형 수위조절겸용 고형물수집장치
US4643836A (en) Radial flow filter having air fluidizing backwash means
US4710295A (en) Septic tank filters
US5006230A (en) Dual-action aquarium filter
US5122267A (en) Foam fractionation filter
US5573663A (en) Fluid filter using floating media
US20120125940A1 (en) Triple drain apparatus for an aquaculture recirculation system
KR101318263B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용 침전장치
CN112619242A (zh) 一种海洋浮游植物快速过滤浓缩装置
CN210275583U (zh) 工厂化循环水对虾养殖中污物及死虾虾壳的分离收集装置
US4422929A (en) Wastewater treatment plant
CN205648752U (zh) 鱼便分离器
CN105010220A (zh) 循环水陆基水产养殖水处理方法
CN211141707U (zh) 一种高效固液分离水处理装置
CN208448760U (zh) 一种过滤排污装置及水产养殖池
CN205687679U (zh) 一种含油废水处理设备
CN209548891U (zh) 一种具有多重过滤功能的污水循环处理装置
CN108704370A (zh) 一种具有多重过滤功能的污水循环处理装置及其工作方法
KR930003651Y1 (ko) 농업용수 여과기
JPH046880Y2 (ko)
CN208065858U (zh) 一种砂石过滤装置
NO175082B (no) Anordning for fjerning av sedimenterbare partikler fra vannet i et oppdrettskar
JPS6153097B2 (ko)
EP3361862A1 (en) Microorganism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