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69B1 -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69B1
KR100414969B1 KR10-2003-0059176A KR20030059176A KR100414969B1 KR 100414969 B1 KR100414969 B1 KR 100414969B1 KR 20030059176 A KR20030059176 A KR 20030059176A KR 100414969 B1 KR100414969 B1 KR 10041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terminal
money
bar c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310A (ko
Inventor
양영철
박희운
Original Assignee
(주)서홍엔지니어링건축사사
양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홍엔지니어링건축사사, 양영철 filed Critical (주)서홍엔지니어링건축사사
Priority to KR10-2003-005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69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제1차, 제2차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특수처리된 머니바코드를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에 부착시켜 비밀번호를 자주 잊어버리는 폐단의 방지와 정기적인 비밀번호의 변경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를 분실한 경우, 비밀번호의 노출등으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가 범죄에 이용되지 못하도록 한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에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이 입력된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와, 금융권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머니바코드를 읽어들여서 창구직원의 단말기와 각 서버에 제1, 제2,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과 확인하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Operation system or process using savings passbook or card attached with money barcode}
본 발명은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특수처리된 머니바코드(Money Barcode)를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에 부착시켜서 한 종류의 비밀번호와 다수 종류의 비밀번호를 자주 잊어버리거나 혼동하는 폐단의 방지와 정기적인 비밀번호의 변경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를 분실한 경우, 비밀번호의 노출등으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가 범죄에 이용되지 못하도록 한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밀번호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통신망에서 허가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보안수단이다.
이러한 비밀번호는 자신의 재산을 저축하고 보호하는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 카드(예를들어, 직불카드, 신용카드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금융권의 창구직원으로부터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를 이용하여 돈을 찾고자 할 경우, 반드시 출금청구서에 비밀번호를 기재하거나 별도 기구로 비밀번호를 입력시켜서 돈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금융권의 지점창구에서 출금을 할 고객이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거나 다수 종류의 비밀번호를 혼동할 경우, 신규거래신청서에 기록된 비밀번호를 재신청해서 돈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출금청구서에 비밀번호를 기재하거나 별도 기구로 비밀번호를 입력시켜야 하는 바, 금융권의 각 본점들의 부주의로 인한 비밀번호의 도난과 노출 또는 공개되어서 악용 내지 범죄에 이용됨으로써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다수 종류의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나 노약자는 예금통장이나 금융거래 카드의 비밀번호를 혼동하거나 자주 잊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특수처리된 머니바코드(Money Barcode)를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에 부착시켜 비밀번호를 자주 잊어버리거나 혼동하는 폐단의 방지와 정기적인 비밀번호의 변경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를 분실한 경우, 비밀번호의 노출등으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가 범죄에 이용되지 못하도록 한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특징은,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예금통장 그리고 금융거래카드에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이 입력된 머니바코드(9)를 부착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와;
금융권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는 머니바코드(9)를 부착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의 머니바코드(9)를 읽어들여서 창구직원의 단말기(16)에 머니바코드의 데이터와 제1, 제2,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와;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머니바코드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 중에서 사용자가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케함과 아울러 제1, 제2, 제3서버(18, 22, 26)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제1, 제2, 제3차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창구직원의 단말기(16)와;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16)로부터 수신된 제1차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틀릴 경우와 맞더라도 제2차 비밀번호의 확인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에게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하여서,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사용자가 제2차 비밀번호를 전송과 동시에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를 통해 제2서버(18)에 사용자의 제2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1서버(18)와;
상기 제1서버(18)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제2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틀릴 경우와 맞더라도 제3차 비밀번호의 확인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에게 제3차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제시사항을 제3서버(26)와 창구직원의 단말기(16)로 디스틀레이하면 사용자가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제3차 비밀번호의 전송과 동시에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4)를 통해 제3서버(26)에 사용자의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2서버(22)와;
상기 제2서버(2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제3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틀릴 경우,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로부터 사용자의 사진 또는 지문을 전송받아서 사용자가 당사자임을 판단하는 제3서버(26)와;
상기 제3서버(26)와 연결되어 사용자사진 또는 사용자지문을 전송받고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사진 또는 지문이 맞는지를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제3서버(26)를 경유하여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는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와;
사용자의 전화기(30) 또는 PC(32)로부터 예금통장(10) 및 금융거래카드(12)에 부착된 머니바코드(9)의 비밀번호가 변경됨을 통보받고 변경처리하는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 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Money Barcode)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의 특징은,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머니바코드(Money Barcode)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보고 제1차, 제2차 비밀번호를 사용자로 하여금 연상하여 기억시키는 머니바코드(9)가 부착된 예금통장(10) 및 금융거래카드(12)를 발급받는 단계와;
발급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를 이용하여 돈을 찾고자할 경우,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를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의 정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머니바코드(9)의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읽어들임과 동시에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전송된 제1차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틀릴 경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에 입력된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제2차 비밀번호를 사용자로 하여금 연상하여 기억시키는 단계와;
제2차 비밀번호를 제1서버(18)에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전송하는 단계 내지 제2서버(22)로 트랜스(20)가 연결시키는 단계와;
제2서버(22)에 수신된 제2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확인시키는 단계와;
틀릴 경우, 상기 제3서버(26)는 제시사항을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전송하고, 제시사항에 따라 사용자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3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여 확인시키는 단계와;
상기 별도의 비밀번호가 맞는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여 확인시키는 단계와;
판단결과 제3차 비밀번호가 맞으면, 돈을 인출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판단결과 제3차 비밀번호가 틀릴 경우, 제4서버인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로 틀린 제3차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가 당사자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의 요부도,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금융거래카드의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머니바코드
10 : 예금통장
12 : 금융거래카드
14 :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
16 : 창구직원의 단말기
18, 22, 26 : 서버
20, 24 :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Money Barcode)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은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에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이 입력된 머니바코드(예를 들면, 15887697*5432, 1074611*1234로 주민등록번호 일부등)(9)를 부착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와, 금융권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는 머니바코드(9)를 부착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의 머니바코드(9)를 읽어들여서 창구직원의 단말기(16)와 후술한 제1, 제2, 제3서버(18, 22, 26)에 머니바코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와,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머니바코드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보고 사용자가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케함과 아울러 후술할 제1, 제2, 제3서버(18, 22, 26)로부터 사용자의 제1, 제2, 제3차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창구직원의 단말기(16)와,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의 단말기(16)로부터 수신된 제1차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제2차 비밀번호를 전송받음과 동시에 후술할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를 통해 제2서버(22)에 사용자의 제2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1서버(18)와, 상기 제1서버(18)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제2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받음과 동시에 후술할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4)를 통해 제3서버(26)에 사용자의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2서버(22)와, 상기 제2서버(2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제3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틀릴경우, 후술할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로부터 사용자의 사진 또는 지문을 전송받아 사용자가 당사자임을 판단하는 제3서버(26)와, 상기 제3서버(26)와 연결되어 사용자사진 또는 사용자지문을 전송받고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 또는 창구직원으 단말기(16)로부터 수신된 사진 또는 지문이 맞는지를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는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와, 사용자의 전화기(30) 또는 PC(32)로부터 예금통장(10) 및 금융거래카드(12)에 부착된 머니바코드(9)의 비밀번호가 변경됨을 통보받고 변경처리하는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 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니바코드(Money Barcode)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를 금융권의 각 지점에서 발급받고,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할 수 있거나 기억시키는 머니바코드(9)를 작성하여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머니바코드(9)는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모양 기호로 조합한 것으로, 컴퓨터가 판독하기 쉽고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기 위하여 쓰인다.
이것은 광학식 마크판독장치로 자동판독되어 입력된다.세계상품코드(UPS:Universe Product Code)를 따르는 상품의 종류를 나타내거나, 슈퍼마켓 등에서 매출정보의 관리(POS:point of sales system)에 이용되고 도서분류와 신분증명서 등에도 이용된다.
그리고, 코드화 방법은 세계상품코드(UPC:universal product code), CODABAR, MSI, 코드39, 한국공통상품코드(KAN), 일본공통상품코드(JAN) 등 몇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는 가로 3.73cm, 세로 2.7cm 크기를 표준으로 0.8∼2배까지 축소, 확대할 수 있다.
한편, 금융권에서 발급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를 이용하여 돈을 찾고자할 경우,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할 수 있는 머니바코드(9)가 부착된 예금통장(10) 및 금융거래카드(12)를 창구직원이 사용자로부터 인도 받는 후, 인도 받은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를 금융권의 각 지점창구에 설치된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 정면에 위치시킨다(S101).
이때, 상기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의 일측면에 부착된 머니바코드(9)를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읽어들임과 동시에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창구직원의 단말기(16)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머니바코드의 데이터(입력된 제1, 제2차 비밀번호등)를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의 머니바코드(MoneyBarcode)에서 1074611*1234으로 읽혀진 숫자 들중, 제1차 비밀번호 1734를 사용자가 연상하여 기억한 후,머니바코드리드단말기로 제1차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제1서버로부터 맞는지를 가부로 확인받고, 확인된 제1차 비밀번호와 틀릴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차 비밀번호를 상기 숫자들을 다시 보고 연상하여 기억한다(S103, S105).
또한, 제1차 비밀번호(상기 예, 1734)가 맞을 경우 금액등에 따라 제2차 비밀번호의 확인을 아니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타낸 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제1차 비밀번호는 적어도 네자리 이하이면 된다.
그리고, 필요할 경우 제2차 비밀번호를 대조한다(S106).
상기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에 의해서 사용자가 연상하여 기억한 제2차 비밀번호(예를 들면, 437)를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에서 제1서버(18)로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제1서버(18)는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를 통해 제2차 비밀번호를 제2서버(22)로 전송한다(S107, S109).
또한, 상기 제2서버(22)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제2차 비밀번호(상기 예, 437)가 맞는지 제2서버(22)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차 비밀번호와 비교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한다(S111).
상기에서 나타낸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사용자의 제2차 비밀번호는 적어도 세자리 이하이면 된다
여기서, 제2차 비밀번호가 맞을 경우 금액등에 따라 제3차 비밀번호의 확인을 아니할 수 있다
한편, 머니바코드의 제2차 비밀번호가 틀릴 경우, 제시사항에 따라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한다(S115).
여기서, 제시사항은 "출생시각, 좋아하는 숫자, 싫어하는 숫자, 희망하는 가족수, 특히 기억나는 날짜 등이고, 제3차 비밀번호는 상기 사항의 순서에 따라 예를 들면, 14, 09, 13, 05, 22등으로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사용자가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3서버(26)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제3차 비밀번호(예를 들면, 14)가 맞는지 제3서버(26)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한다(S117, S119).
상기에서 나타낸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사용자의 제3차 비밀번호는 적어도 두자리 이하이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서버(26)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제3차 비밀번호(예를 들면, 14)가 맞으면, 창구직원의 단말기(16)에 돈을 인출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린다(S121). 이에 따라, 창구직원은 돈을 인출하고, 인출된 돈을 사용자에게 인도한다(S123).
한편, 상기 제3서버(26)에서 판단된 비밀번호가 틀릴 경우, 창구직원의 단말기(16)로 별표(*)나 우물정자(#)를 제3서버(26)로 전송하면 제4서버인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와 연결과 함께 상기의 제1, 제2, 제3서버에 의한 제1, 제2, 제3차 비밀번호에 대한 확인과정은 종료됨과 아울러 금융권의 각 지점에 비치된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에 의한 비밀번호의 확인과정은 별도의 창구직원이 확인한다(S125, S127).
다른 한편, 사용자의 전화기(30) 또는 PC(32)를 이용하여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에 부착된 머니바코드의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변경할 경우, 머니바코드와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에 통보하여 변경처리하고 제3차 비밀번호의 변경도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4)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거나 기억시키는 머니바코드(Money Barcode)가 부착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로 돈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카드사에도 적용 될 수 있고 현금인출기에는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명세서에서는 금융권에서 돈을 찾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에서 이용되는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것을, 능동적인 수시변경의 방법으로 방지함으로써 기밀유지와 범죄예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머니바코드(Money Barcode)에 입력하여 사용함으로써 금융권 본점과 금융권 각 지점 및 창구직원이 비밀번호를 입력이나 기록내지 보관할 필요가 없도록 제3자인 서버자가 관리하되, 서버자도 기밀유지를 위하여 각 서버를 1 내지 5단계로 구별하여 비밀번호를 단계별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인 고객이 비밀의 유지성을 실감하고 금융권이 사용자에 대해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제1차,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거나 기억시키는 머니바코드의 제1, 제2차 비밀번호등을 필요시에 변경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비밀번호들의 노출방지와 각 비밀번호들에 대한 기억의 노력 및 기억에너지를 극소화 할 수 있다.
특히, 다수 종류의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각 비밀번호들을 머니바코드로 각각 다르게 분산시켜 비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예금통장 그리고 금융거래카드에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이 입력된 머니바코드(Money Barcode)(9)를 부착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와;
    금융권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는 머니바코드(9)를 부착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의 머니바코드(9)를 읽어들여서 창구직원의 단말기(16)와 제1, 제2, 제3서버(18, 22, 26)에 머니바코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와;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머니바코드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1, 제2차 비밀번호를 연상하여 기억케함과 아울러 제1, 제2, 제3서버(18, 22, 26)로부터 사용자의 제1, 제2, 제3차 비밀번호를 확인시키는 창구직원의 단말기(16)와;
    상기 창구직원의 단말기(16)로부터 수신된 제1차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제2차 비밀번호를 전송받음과 동시에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를 통해 제2서버(18)에 사용자의 제2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1서버(18)와;
    상기 제1서버(18)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제2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받음과 동시에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4)를 통해 제3서버(26)에 사용자의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2서버(22)와;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제3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고 틀릴경우,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로부터 사용자의 사진 또는 지문을 전송받아 사용자가 당사자임을 판단하는 제3서버(26)와;
    상기 제3서버(26)와 연결되어 사용자사진 또는 사용자지문을 전송받고 상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 또는 창구직원의 단말기(16)로부터 수신된 사진 또는 지문이 맞는지를 판단하여서 그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는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와;
    사용자의 전화기(30) 또는 PC(32)로부터 예금통장(10) 및 금융거래카드(12)에 부착된 머니바코드(9)의 비밀번호가 변경됨을 통보받고 변경처리하는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 24)로 구성된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
  2. 머니바코드(Money Barcode)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보고 제1차, 제2차 비밀번호를 사용자로 하여금 연상하여 기억시키는 머니바코드(9)가 부착된 예금통장(10) 및 금융거래카드(12)를 발급받는 단계와;
    발급된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를 이용하여 돈을 찾고자할 경우,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를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의 정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머니바코드(9)의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읽어들임과 동시에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전송된 제1차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틀릴 경우,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에 입력된 제1, 제2차 비밀번호가 포함된 숫자들을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제2차 비밀번호를 사용자로 하여금 연상하여 기억시키는 단계와;
    제2차 비밀번호를 제1서버(18)에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전송하는 단계 내지 제2서버(22)로 트랜스(20)가 연결시키는 단계와;
    제2서버(22)에 수신된 제2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확인시키는 단계와;
    틀릴 경우, 상기 제3서버(26)는 제시사항을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전송하고, 제시사항에 따라 사용자는 머니바코드리드기/단말기(14)로 제3차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3차 비밀번호가 맞는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고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여 확인시키는 단계와;
    상기 별도의 비밀번호가 맞는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창구직원의 단말기(16) 화면에 가부로 전송하여 확인시키는 단계와;
    판단결과 제3차 비밀번호가 맞으면, 돈을 인출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판단결과 제3차 비밀번호가 틀릴 경우, 제4서버인 사진인식기/지문인식기(28)로 틀린 제3차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가 당사자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전화기(26) 또는 PC(28)를 이용하여 예금통장(10) 또는 금융거래카드(12)에 부착된 머니바코드의 제1, 제2, 제3차 비밀번호의 변경을 비밀번호입력기/트랜스기(20)(24)를 통해 교체됨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비밀번호는 적어도 네자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비밀번호는 적어도 세자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차 비밀번호는 적어도 두자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3-0059176A 2003-08-26 2003-08-26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41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176A KR100414969B1 (ko) 2003-08-26 2003-08-26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176A KR100414969B1 (ko) 2003-08-26 2003-08-26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310A KR20030072310A (ko) 2003-09-13
KR100414969B1 true KR100414969B1 (ko) 2004-01-13

Family

ID=3222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176A KR100414969B1 (ko) 2003-08-26 2003-08-26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1636B1 (ja) * 2019-12-02 2020-04-15 株式会社Techno−idea 識別体、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暗証番号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310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384B2 (en) Strategy-driven methodology for reducing identity theft
US5615277A (en) Tokenless security system for authorizing access to a secured computer system
US5365046A (en)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a credit card
US74161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value transfer
US6494367B1 (en) Secure multi-application card system
US7428987B2 (en) Cashless vending system
US8489478B2 (en) Virtual terminal for payment processing
US20100325046A1 (en) Transaction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EP1546969A2 (en) Electronic payment validation using transaction authorization tokens
WO1996017316A1 (fr) Systeme permettant de retrouver de la monnaie electronique
WO2008082354A1 (en) Method for increasing cash machine safety
US200702997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rd not present transactions
JP5715384B2 (ja) カードレス現金引出しシステムおよびカードレス現金引出し処理方法
US20040034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ological authorization for financial transactions
KR100414969B1 (ko) 머니바코드를 부착한 예금통장 또는 금융거래카드의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RU247903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электронных финансовых операций
JP2004126837A (ja) 暗証符号の自動更新方式
CN1952987A (zh) 自动交易装置
JPH10188091A (ja) Icカードを用いた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KR100424656B1 (ko) 오프라인에서 전자 화폐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6331265A (ja) 取引システム
JP3445512B2 (ja) 現金取引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現金取引装置
KR20020030625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US20200097976A1 (en) Advanced finger biometric purchasing
EP1426905A1 (en) Device for the controlled supply of products as well as a programming device and means of payment for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