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660B1 -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 - Google Patents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660B1
KR100413660B1 KR10-2001-0035799A KR20010035799A KR100413660B1 KR 100413660 B1 KR100413660 B1 KR 100413660B1 KR 20010035799 A KR20010035799 A KR 20010035799A KR 100413660 B1 KR100413660 B1 KR 10041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alloy
nickel
corrosion resistance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138A (ko
Inventor
김창주
한승전
김상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3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6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6Alloys based on copper with nickel or cobalt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5Alloys based on copper with manganese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니켈-망간-주석-지르코늄, 크롬 합금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 부품, 해상구조물용 부품 및 해상기기용 전기전자 부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강도 고연성의 동합금으로서 해수나 염도가 높은 공기와 접촉하여도 우수한 내식성을 가져야하므로 이에 대한 부식 저항성을 갖는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는 합금으로서 구리-니켈-망간-주석-알루미늄 합금계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지르코늄과 크롬을 첨가하여 고강도 고연성 합금이면서 해수에 대한 부식 저항성이 높은 합금으로의 미세조직 제어된 합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합금은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높은 고강도 고연성 구리합금으로, 1.0 ∼ 10.0 wt%(중량 백분율)니켈(Ni)과, 여기에 0.1∼10.0 wt%(중량백분율) 망간(Mn)과, 여기에 0.1 ∼ 10.0 wt%(중량 백분율)주석(Sn)과, 여기에 지르코늄(Zr), 크롬(Cr)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혼합 선택하여 0.01∼1.0 wt%(중량 백분율) 첨가하며,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Cu-Ni-Mn-Sn-Zr, Cr alloys for corrosion resistance to sea water}
본 발명은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고강도 고연성 구리(Cu) - 니켈(Ni) - 망간(Mn) - 주석(Sn) - 지르코늄(Zr), 크롬(Cr) 합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구리-니켈-망간-주석 합금은 재료강도는 우수하나 선박부품, 해상구조물용 부품 및 해상기기용 전기전자 부품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해수나 염도가 높은 공기와 접하므로 이에 대한 우수한 내식성이 요구되므로 해수에 대한 부식 저항성을 갖는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는 재료로서 고강도 고연성 합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구리-니켈-망간-주석 합금이 재료강도는 우수하나 선박 부품, 해상구조물용 부품 및 해상기기용 전기전자 부품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해수나 염도가 높은 공기와 접촉하는 경우에 우수한 내식성이 요구되므로 해수에 대한 부식 저항성을 갖는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는 원소인 지르코늄과 크롬을 첨가하여 고강도 고연성 합금이면서 해수에 대한 부식 저항성이 높은 합금으로의 미세조직 제어된 합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 고연성 구리(Cu)-니켈(Ni)-망간(Mn)-주석(Sn)-지르코늄(Zr), 크롬(Cr) 합금으로 조성하되,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가공열처리 중에 해수에 내식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원소들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결정립을 미세화 하여 재료를 치밀하게 하며, 주 원소인구리 중에 제한적으로 극소량 고용하면서 가공열처리 중에 해수에 내식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형성시킬 수 있는 지르코늄과 크롬을 첨가하여 고용 및 석출강화효과와 알루미늄의 첨가에 의한 석출강화효과 등으로써 강도와 내식성을 개선함으로써 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동에 대하여 고용원소인 니켈과 망간을 첨가하여 고용강화효과를 얻고, 주석을 첨가하여 구리-니켈-망간-주석으로 이루어지는 스피노달 분해강화효과를 얻고, 미량으로 첨가하는 지르코늄과 크롬으로 주상조직을 미세화 시킴과 아울러, 제조공정 중에서 소성가공 후, 소둔 열처리시에 결정성장을 억제하여 기지조직을 미세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해수에 강한 내식성을 가질 수 있는 화합물을 얻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1.0∼10.0 wt%(중량 백분율)니켈(Ni)과, 여기에 고가인 니켈을 첨가할 량의 일부를 니켈과 같은 고용강화 효과는 다소 덜하나 가격이 저렴하고 합금이 용이한 망간(Mn)을 보조적으로 0.1∼10.0 wt%(중량백분율) 첨가하고, 여기에 0.1∼10.0 wt%(중량 백분율)주석(Sn)과, 여기에 지르코늄(Zr),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혼합 선택하여 0.01∼1.0 wt%(중량 백분율) 첨가하며,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함으로써, 인장강도를 700∼800 Mpa, 연신율을 15∼20%를 나타내는 고강도 고연성 동합금으로서 해수에 대한 우수한 내식성을 갖도록 제조함으로써 달성된다.상기에서 니켈의 일부를 망간으로 대체하여 첨가하는 또 다른 이유 중에 하나는 망간은 구리나 구리합금에 대하여 융점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갖는 전율고용원소이므로 니켈 만을 첨가한 합금에서 보다 용탕의 유동성이 좋아지고, 열간 소성가공 등의2 차 가공시에 열간가공온도를 낮추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Cu-6Ni-2Mn-2Sn 합금을 항복강도의 80% 응력을 준 상태로 해수 중에 20일간 담가서 부식시험한 후 표면을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부식상태 사진이고,
도 2는 Cu-6Ni-2Mn-2Sn-0.1Zr 합금을 항복강도의 80% 응력을 준 상태로 해수 중에 20일간 담가서 부식시험한 후 표면을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부식상태 사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고강도 고연성 구리합금 조성은, 1.0 ∼ 10.0 wt%(중량 백분율)니켈(Ni)과, 여기에 0.1∼10.0 wt%(중량백분율) 망간(Mn)과, 여기에 0.1 ∼ 10.0 wt%(중량 백분율)주석(Sn)과, 여기에 지르코늄(Zr),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혼합 선택하여 0.01∼1.0 wt%(중량 백분율) 첨가하며,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였다.
상기에서 니켈과 망간은 고용강화효과를 위해 첨가하였다.
상기에서 주석은 구리-니켈-망간-주석으로 이루어지는 스피노달 분해강화효과를 위해서 첨가하였다.
상기에서 지르코늄(Zr)과 크롬(Cr)은 결정조직을 미세하게 제어함과 가공열처리시에 해수에 강한 내식성을 가질 수 있는 화합물을 얻기 위해서 첨가하였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동에 대하여 전율고용원소인 니켈과 망간을 첨가하여 고용강화효과를 얻기 위하여 첨가하였다.망간은 고가인 니켈을 첨가할 량의 일부를 니켈과 같은 고용강화 효과는 다소 덜하나 가격이 저렴하고 합금이 용이한 망간(Mn)을 보조적으로 0.1∼10.0 wt%(중량백분율) 첨가하였다.또한 상기에서 니켈의 일부를 망간으로 대체하여 첨가하는 또 다른 이유 중에 하나는 망간은 구리나 구리합금에 대하여 융점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갖는 전율고용원소이므로 니켈 만을 첨가한 합금에서 보다 용탕의 유동성이 좋아지고, 열간 소성가공 등의2 차 가공시에 열간가공온도를 낮추는 장점도 있다.
또한 주석은 구리-니켈-망간-주석으로 이루어지는 스피노달 분해강화효과를 위해서 첨가하였다.
또한 미량으로 첨가하는 지르코늄과 크롬 등은 주상조직을 미세화 시킴과 아울러, 기지에 고용하였다가 가공열처리시에 결정성장을 억제하여 기지조직을 미세화 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해수에 강한 내식성을 가질 수 있는 화합물을 얻기 위해서 첨가하였다.
그 결과로서, 적당한 가공과 열처리를 거치면 인장강도를 700∼800 Mpa, 연신율을 15 ∼ 20%를 얻고 있으며 미세한 결정을 갖는 조직과 아울러 해수에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재료가 되었다.
상기 본 발명 조성에서 각각의 수치 한정한 이유는;
실험한 결과에 의하면, 기존의 스피노달 분해강화계 합금인 구리(Cu)-니켈(Ni)-망간(Mn)-주석(Sn) 합금에 대하여 주괴상태에서 부터 주상정을 미세화하고 해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실험으로 선정한 원소가 지르코늄이며,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크롬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합성하면 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에서 니켈(Ni)을 1.0 ∼ 10.0 wt%(중량 백분율)로 한정한 이유는 한정 조성범위 이상에서는 열간 및 냉간가공 어렵고 이를 위해서는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철강용에 버금가는 용량의 설비를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고, 조성범위 이하에서는 목표로 하는 재료의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범위로 수치 한정을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에서 망간(Mn)을 0.1∼10.0 wt%(중량백분율)로 한정한이유는 한정 조성범위 이상에서는 용해정련시 용탕의 유동성이 나빠져서 작업성이 어렵고, 주괴공정 이후의 공정에서는 열간 및 냉간가공 어렵고 이를 위해서는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철강용에 버금가는 용량의 설비를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고, 조성범위 이하에서는 목표로 하는 재료의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범위로 수치 한정을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에서 주석(Sn)을 0.1 ∼ 10.0 wt%(중량 백분율)로 한정한 이유는 한정 조성범위 이상에서는 재료의 가격이 상승하고, 소성 가공상에 문제가 발생하며, 재료의 물성도 나빠지는 경향이 나타나는 등의 단점이 있고, 조성범위 이하에서는 첨가효과가 전혀 없는 단점이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범위로 수치 한정을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에서 지르코늄,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혼합 선택하여 0.01 ∼ 1.0 wt%(중량 백분율)로 한정한 이유는 한정 조성범위 이상에서는 재료의 연성이 저하하여 소성가공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조성범위 이하에서는 재료의 연성이 저하하여 소성가공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범위로 수치 한정을 하였다.
구리-니켈-주석 합금에서의 재료강도는 스피노달 분해강화효과에만 의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피노달 분해강화효과 외에 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석출강화 효과를 도입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고강도 고연성 동합금으로합금조성범위를 1.0∼10.0 wt%(중량 백분율)니켈(Ni)과, 여기에 0.1∼10.0 wt%(중량백분율) 망간(Mn)과, 여기에 0.1∼10.0 wt%(중량 백분율)주석(Sn)과, 여기에 지르코늄, 크롬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혼합 선택하여 0.01 ∼ 1.0 wt%(중량 백분율) 첨가하며, 나머지는 구리(Cu)로 평량하는 단계와,
평량한 후, 용해로 바닥에 구리(Cu)를 적당량 깔고 그 위에 니켈(Ni)을 한 층 깔고 다시 구리(Cu)를 적당량 덮고 다시 니켈(Ni)을 깔고 구리(Cu)로 덮는 방법을 반복한 적층으로 장입하되 마지막에는 구리(Cu)로써 비교적 두껍게 덮은 후, 용해를 시작하여 구리와 니켈이 모두 용해하면 슬래그를 제거하고, 이 후 용탕의 온도가 약 1,250℃ 정도가 되었을 때, 가열을 중단하거나 매우 낮은 열원을 공급하는 정도로 하고 망간(Mn)을 장입하여 용해한 후, 이어서 주석(Sn)을 비롯하여, 지르코늄(Zr),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중 중에서 첨가원소로 선정된 원소들의 모합금인 동-지르코늄, 동-크롬 등을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잘 교반하여 용해시키는 용해합금단계와,
합금원소들이 충분히 용해하고 용탕온도도 1100∼1250℃ 정도로서 용탕의 유동성이 좋아지면, 주석이 4% 이하로 열간가공이 가능한 합금방안의 경우에는 주괴의 살두께가 70 mm 이상의 두꺼운 판재나 직경이 Φ 100 mm 이상의 큰 대경봉으로 연속주조나 금형주조로 인고트를 제조하고, 냉간가공이 유리한 주석이 4% 이상인 합금방안의 경우에는 주괴의 살두께가 30 mm 이하의 얇은 판재나 직경이 Φ 20 mm 이하의 작은 소경봉으로 연속주조하여 주괴를 만드는 단계와,
이렇게 제조된 주괴 중에서 판재나 소경봉 상태의 주괴는 균질화처리 후, 냉간압연 또는 냉간인발에 의해 85% 이상의 소성가공으로 주조조직을 완전히 제거한 후, 이를 850±50℃의 온도에서 0.5∼1.0 시간 유지한 후에 수냉하여 용체화처리를 행하며, 열간압연이나 압출에 의해 제조된 판재나 선재의 경우도 850±50℃의 온도에서 0.5∼ 1.0 시간 유지한 후에 수냉하여 용체화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이렇게 용체화 처리된 중간 상태의 봉재나 판재는 목표로하는 물성의 목표에 따른 냉간가공량 만큼 압연이나 인발을 한 후에 시효처리로서 300∼550℃에서 1∼ 10 hr 유지한 후 공냉하면 구리(Cu)-니켈(Ni)-주석(Sn)계 합금에서 나타나는 (CuxNiy)zSn 형 스피노달 분해생성물에 의한 강화효과에 의한 강화효과를 얻는 시효처리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가공열처리 과정에서 CuNiSnZr, CuNiSnCr 및 CuNiSnZrCr계의 복잡한 구조의 화합물이 생성되며, 이들이 결정립을 미세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게 만들어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본다.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합금들의 예이며, 표 2와 표 3은 가공열처리에 따른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변화이며, 도 1, 2는 항복강도의 80%에 해당하는 응력을 주고 해수에 20일간 담근 후 부식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여기서 부식시험 편에 응력을 주어 실험하는 이유는 짧은 시간에 부식이 보다 급격히 일어나도록 촉진하는 것이 목적이다.표 2 및 표 3에서 보면, 본 발명의 경우에, 구리(Cu)-니켈(Ni)-망간(Mn)-주석(Sn)-지르코늄(Zr), 크롬(Cr)계 합금은 인장강도를 700∼800 Mpa, 연신율을 15∼20%를 얻고 있는 고강도 고연성 동합금으로서 해수에 내식성이 우수한 새로운 합금을 개발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다.도 1은 구리(Cu)-니켈(Ni)-망간(Mn)-주석(Sn) 합금재이며, 도 2는 구리(Cu)-니켈(Ni)-망간(Mn)-주석(Sn)-지르코늄(Zr) 합금재로서, 지르코늄을 0.1% 첨가한 도 2가 해수 중에서 20일간 담근 후의 표면상태가 치밀하고 핏트가 없으며, 금속 본래의 살결이 살아있는 점으로 내식성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이에 비하여 도 1에서는 전반적으로 부식 정도가 심하였으며, 이러한 비교결과는 정전위 시험에서도 지르코늄을 첨가한 경우에 부식저항성이 확연히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합금의 종류 및 합금성분(wt%)
No. Alloy Cu Ni Mn Sn Cr Zr
115 N6-Mn1-S4 나머지 6.3 0.9 4.0 - -
116 N6-Mn1-S4-Cr.05 나머지 6.2 0.9 4.1 0.01 -
117 N6-Mn1-S4-Cr.1 나머지 6.1 0.9 4.0 0.06 -
118 N6-Mn1-S4-Cr.3 나머지 5.8 0.9 3.5 0.26 -
119 N6-Mn1-S4-Cr.5 나머지 5.9 0.9 4.0 0.36 -
120 N6-Mn1-S4-Zr.03 나머지 6.1 0.9 3.9 - 0.005
121 N6-Mn1-S4-Zr.05 나머지 6.2 0.9 4.2 - 0.02
122 N6-Mn1-S4-Zr.1 나머지 6.1 0.9 3.9 - 0.08
123 N6-Mn1-2S4-Zr.3 나머지 6.0 0.9 3.9 - 0.15
124 N6-Mn2-S4-Cr.03-Zr.03 나머지 6.0 1.8 3.6 0.015 0.002
125 N6-Mn2-S4-Cr.1-Zr.1 나머지 6.0 1.9 3.5 0.09 0.04
126 N6-Mn2-S4-Cr.3-Zr.3 나머지 5.9 1.8 3.6 0.30 0.15
127 N6-Mn2-S4-Cr.3-Zr.03 나머지 6.0 1.7 4.0 0.30 0.01
128 N6-Mn2-S4-Cr.03-Zr.1 나머지 6.2 1.8 3.8 0.025 0.03
표 2 가공열처리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 (단위 : MPa)
시 료 명 냉간가공상태 73% 3시간 시효처리 상태
300℃ 350℃ 400℃ 450℃
N6-Mn1-S4 680 720 825 827 747
N6-Mn1-S4-Cr.05 683 725 810 825 717
N6-Mn1-S4-Cr.1 661 720 779 790 710
N6-Mn1-S4-Cr.3 624 651 670 703 667
N6-Mn1-S4-Cr.5 663 704 745 772 715
N6-Mn1-S4-Zr.03 631 686 727 770 680
N6-Mn1-S4-Zr.05 654 720 787 822 712
N6-Mn1-S4-Zr.1 656 722 755 804 720
N6-Mn1-S4-Zr.3 665 713 770 773 710
N6-Mn2-S4-Cr.03-Zr.03 621 675 675 723 670
N6-Mn2-S4-Cr.1-Zr.1 626 672 710 742 692
N6-Mn2-S4-Cr.3-Zr.3 678 720 732 752 698
N6-Mn2-S4-Cr.3-Zr.03 646 725 762 767 722
N6-Mn2-S4-Cr.03-Zr.1 627 674 740 731 682
표 3 가공열처리에 따른 연신율의 변화 (단위 : %)
시 료 명 냉간가공 상태73% 3시간 시효처리 상태
300℃ 350℃ 400℃ 450℃
N6-Mn1-S4 11 17 15 13 13
N6-Mn1-S4-Cr.05 11 20 17 15 16
N6-Mn1-S4-Cr.1 11 19 16 15 14
N6-Mn1-S4-Cr.3 11 18 17 16 15
N6-Mn1-S4-Cr.5 11 17 17 15 15
N6-Mn1-S4-Zr.03 11 19 17 16 16
N6-Mn1-S4-Zr.05 10 18 17 15 15
N6-Mn1-S4-Zr.1 10 18 17 15 15
N6-Mn1-S4-Zr.3 11 17 17 15 15
N6-Mn2-S4-Cr.03-Zr.03 10 17 17 16 15
N6-Mn2-S4-Cr.1-Zr.1 10 19 16 16 15
N6-Mn2-S4-Cr.3-Zr.3 10 17 16 15 15
N6-Mn2-S4-Cr.3-Zr.03 11 19 18 16 15
N6-Mn2-S4-Cr.03-Zr.1 10 18 16 15 15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강도 고연성 구리(Cu) - 니켈(Ni) - 망간(Mn) - 주석(Sn) - 지르코늄(Zr), 크롬(Cr)계 합금으로, 특히 조직의 미세화와 해수에 내식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지르코늄(Zr), 크롬(Cr) 등을 첨가한 합금으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니켈과 망간을 첨가하여 고용강화효과, 주석을 첨가하여 스피노달 분해강화, 알루미늄의 첨가에 의한 석출강화, 그리고 지르코늄, 크롬 등을 첨가하여 결정조직을 미세하게 제어함과 아울러 해수에 내식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생성함으로써 재료의 특성을 부여한 점이다.
즉, 동에 대하여 전율고용원소인 니켈과 망간을 첨가하여 고용강화효과를 얻고, 주석은 스피노달 분해강화 효과를 얻고, 미량으로 첨가하는 지르코늄, 크롬 등은 고용 및 석출효과로써 주상조직을 미세화 시킴과 아울러, 제조공정 중에서 가공열처리시에 결정성장을 억제하여 기지조직을 미세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해수에 내식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생성하는 장점을 달성하였다.
그 결과로서, 적당한 가공과 열처리를 거치면 인장강도를 700∼800 Mpa, 연신율을 15 ∼ 20%를 얻고 있는 고강도 고연성 동합금이 제공되는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해수에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연성 구리합금에 있어서,
    1.0 ∼ 10.0 wt%(중량 백분율)니켈(Ni)과, 여기에 0.1∼10.0 wt%(중량백분율) 망간(Mn)과, 여기에 0.1 ∼ 10.0 wt%(중량 백분율)주석(Sn)과, 여기에 지르코늄(Zr)과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혼합 선택하여 0.01 ∼ 1.0 wt%(중량 백분율) 첨가하며,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 Cr 합금.
  2. 삭제
KR10-2001-0035799A 2001-06-22 2001-06-22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 KR100413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799A KR100413660B1 (ko) 2001-06-22 2001-06-22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799A KR100413660B1 (ko) 2001-06-22 2001-06-22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38A KR20030000138A (ko) 2003-01-06
KR100413660B1 true KR100413660B1 (ko) 2003-12-31

Family

ID=2771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799A KR100413660B1 (ko) 2001-06-22 2001-06-22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1451A (zh) * 2015-01-30 2015-06-17 湖南科技大学 一种抗高温氧化耐热铜镍基合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31B1 (ko) * 2004-06-10 2007-04-19 고만제 낚시용 가방 및 그 제조방법
KR100765415B1 (ko) * 2006-03-09 2007-10-11 주식회사 에버다임 음성알림장치를 갖춘 고가 소방인명구조장비
US10984931B2 (en) * 2015-03-18 2021-04-20 Materion Corporation Magnetic copper alloys
WO2018088721A1 (ko) * 2016-11-08 2018-05-17 주식회사 대창 내식성이 향상된 양식 어망용 동합금 및 그 동합금의 제조 방법
CN116287856B (zh) * 2023-02-23 2024-03-22 昆明理工大学 一种高强高弹四元铜镍锡铬合金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642A (en) * 1979-07-20 1981-02-17 Furukawa Kinzoku Kogyo Kk High-strength corrosion-resistant copper alloy
JPS5834154A (ja) * 1981-08-25 1983-02-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高強度耐食銅合金
KR930005073A (ko) * 1991-08-22 1993-03-23 김정배 플라즈마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642A (en) * 1979-07-20 1981-02-17 Furukawa Kinzoku Kogyo Kk High-strength corrosion-resistant copper alloy
JPS5834154A (ja) * 1981-08-25 1983-02-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高強度耐食銅合金
KR930005073A (ko) * 1991-08-22 1993-03-23 김정배 플라즈마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1451A (zh) * 2015-01-30 2015-06-17 湖南科技大学 一种抗高温氧化耐热铜镍基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38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772B1 (ko) 구리-니켈-주석 합금,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606525B1 (ko) 내식성이 개선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US4388270A (en) Rhenium-bearing copper-nickel-tin alloys
KR102420968B1 (ko) 구리-니켈-주석 합금,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2011202283A (ja) アルミニウム合金、アルミニウム合金箔および容器とアルミニウム合金箔の製造方法
KR100375306B1 (ko) 고강도 선재 및 판재용 구리(Cu)-니켈(Ni)-망간(Mn)-주석(Sn)-알루미늄(Al),실리콘(Si)-세리움(Ce),란탄(La), 니오디미움(Nd),프로메티움(Pr) 합금
KR20160011136A (ko)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
JP2007056365A (ja) 銅−亜鉛−錫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53140A (ko) 철 개질된 주석 황동
CN109161743A (zh) 一种耐腐蚀稀土微合金化铝合金及其制备方法
KR100413660B1 (ko) 해수에 내식성이 높은 Cu-Ni-Mn-Sn-Zr,Cr 합금
CN108315595A (zh) 一种可铸造且可变形用的环保锌合金
KR100371128B1 (ko) 고강도 선재 및 판재용 구리(Cu)-니켈(Ni)-주석(Sn)-알루미늄(Al), 실리콘(Si),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합금
WO2021070890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材
US20210180159A1 (en) Aluminum alloy for die cas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t aluminum alloy using the same
CN110408805B (zh) 一种铝合金棒材及其制备方法
SE446992B (sv)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en spinodal kopparlegering
KR102489980B1 (ko) 알루미늄 합금
KR100508697B1 (ko) 6xxx시리즈의알루미늄합금과이를이용하여제조된성형품
CN110629081B (zh) 新型耐热高强度高塑性耐腐蚀Al-Cu-Mg-Zn-Ti系铝合金及其制备方法
KR100519556B1 (ko) 금색을 유지하는 황동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278117B1 (ko) 고강도선재 및 판재용 구리-니켈-망간-주석-[알루미늄,실리콘,티타늄]합금과 그 제조방법
KR100444291B1 (ko) 고강도 스프링용 구리(Cu)-주석(Sn)-인(P)-세리움(Ce)-란탄(La)계 인청동합금
KR810002048B1 (ko) 다이케스트용 내식성 Al 합금
WO2021070889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