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223B1 -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223B1
KR100413223B1 KR10-2001-0085684A KR20010085684A KR100413223B1 KR 100413223 B1 KR100413223 B1 KR 100413223B1 KR 20010085684 A KR20010085684 A KR 20010085684A KR 100413223 B1 KR100413223 B1 KR 10041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frame
processing
received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644A (ko
Inventor
최성구
김현재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2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7Evaluation or update of window size, e.g.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cknowledged [ACK]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시스템은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이 프레임별 수신 주기인 소정의 윈도우에 맞게 도착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트래픽 주기 확인부;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의 도착 시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저장하는 트래픽 저장부; 및 상기 트래픽 주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거나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처리된 트래픽 프레임을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의 송수신시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래픽 프레임별 도착시간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 통보하는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상위 계층인 무선망 제어국(RNC) 내 트래픽 처리 모듈(THM)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소정의 윈도우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로 수신 및 처리한 후, 처리된 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지연으로 인한 프레임 유실 방지 및 그로 인한 해당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HANDLING AND TRANSMITTING TRAFFIC IN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수신함으로써, 수신 지연으로 인한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대역 CDMA 이동통신 시스템(WCMS)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비동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시스템인 광대역 CDMA 이동통신 시스템(Wideband CDMA Mobile System, 이하 WCMS라 함) 내의 기지국에 포함되어 있는 RTS(Radio Transceiver System, 20)는 무선망 제어국(RNC, 30)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Traffic Handling Module, 31)로부터 무선 트래픽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즉시 해당 무선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상위 계층(무선망 제어국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트래픽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아닌 버스트(burst)한 무선 트래픽 데이터인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무선 트래픽 데이터인 경우에도 트래픽 전달 경로의 전달 지연 시간이 가변적이라는 점 때문에 기지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에 수신되는 무선 트래픽 데이터는 일정한 주기를 갖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이동국(10, 10n)으로 전송되는 무선 트래픽 데이터의 시간 지연이나 해당 데이터의 유실 등과 같은 전송 에러가 발생하여 해당 제공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불러 일으킨다.
또한, 기지국내 채널 카드(channel card, CHC) 내부의 트래픽 처리 모듈은 한 개의 프로세서가 다수의 호 처리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호에 대한 처리 시간 분배 없이 트래픽이 오는 대로 처리를 할 경우, 한 호의 입장에서 처리가 일정한 주기를 가질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비동기 IMT-2000 시스템은 상위 계층인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트래픽 데이터의 주기와 양이 가변적일 뿐만 아니라, 기지국 내 하나의 채널 카드가 다수의 호를 한꺼번에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개별호에 대한 트래픽이 이동국으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무선망 제어국(RNC)으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수신 지연으로 인한 프레임 유실 방지 및 그로 인한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무선망 제어국(RNC)으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수신 지연으로 인한 프레임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이동국으로의 전송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WCMS(광대역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윈도우(WINDOW)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무선망 제어국(RNC) 200 :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210 : 트래픽 주기 확인부 220 : 트래픽 저장부
230 :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 300 : 이동국(U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은,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이 프레임별 수신 주기인 소정의 윈도우에 맞게 도착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트래픽 주기 확인부;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의 도착 시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저장하는 트래픽 저장부; 및 상기 트래픽 주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거나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처리된 트래픽 프레임을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의 송수신시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래픽 프레임별 도착시간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 통보하는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 내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하거나 다음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늦게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거나 폐기 처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방법은,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방법으로서,
a) 상기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의 도착 시각이 프레임별 수신 주기인 소정의 윈도우에 맞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확인된 트래픽 프레임별 도착 시간에 따라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트래픽 프레임의 송수신 시간 조절을 위해 상기 처리된 트래픽 프레임별 도착시간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는 i)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빨리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특정 버퍼에 저장한 후 다음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b)는 i)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늦게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단계 i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폐기 처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200)은 트래픽 주기 확인부(210), 트래픽 저장부(220) 및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트래픽 주기 확인부(210)는 무선망 제어국(RNC, 100)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THM, 110)로부터 기지국 내의 채널 카드에 수신되는 각 호에 대한 트래픽을 처리하는 윈도우를 할당하고, 할당된 윈도우를 통해 프레임별 도착 시간을 주기적으로 검색한다.
이때, 각 호에 대한 트래픽의 수신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프레임별로 할당하는 윈도우(WINDOW)는 소정의 프레임별 도착 시간을 의미한다.
즉,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프레임이 정해진 지정 시간내에 도착하는지의 유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트래픽 저장부(220)는 트래픽 주기 확인부(210)의 검색 결과에 따라, 해당 프레임의 도착 시간이 상기 윈도우보다 빠르게 도착한 경우, 수신된 프레임을 해당 버퍼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되는 버퍼의 개수는 한 개로서, 다수의 버퍼를 주기별로 매번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데이터 프레임 처리시 버퍼 검색으로 인한 방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에 대해 도착 시간에 따라 프레임 보정을 유기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버퍼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처리 지연이 가급적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윈도우의 크기는 트래픽 전송/처리 시스템의 데이터 프레임 전송 주기(TTI : Transmission Timing Interval)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230)는 각 프레임별 도착 시간에 따른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의 통보와 도착 시간에 따른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처리 및 처리된 데이터 프레임을 이동국(300, 300n)로 실시간 전송한다.
즉, 트래픽 주기 확인부(210)의 확인 결과,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 내에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바로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300, 300n)으로 수신하며,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윈도우보다 빨리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트래픽 저장부(220)의 버퍼에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다음 주기에처리한 후 그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망 제어국(100)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 통보하며,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윈도우보다 늦게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제거한 후 그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망 제어국(100)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 통보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트래픽 처리 및 전송 방법의 흐름도 및 그와 관련된 결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보면, 기지국 RTS의 채널 카드(CHC) 내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200)은 무선망 제어국(100)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자기 전송 주기(TTI)별로 검색(S411)하여,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도착하는지를 검색한다(S412). 이후,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부터 채널 카드에 도착한 데이터 프레임이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소정 크기의 윈도우에 맞도록 규칙적으로 도착하였는지를 검색한다(S413).
한편,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부터 채널 카드에 도착한 데이터 프레임이 없으면, 해당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검색(S414)하여 검색된 데이터 프레임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검색 결과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에 맞게 도착하였으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한 후 처리된 데이터 프레임을 이동국(300)으로 전송(S415)하는 반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에 맞게 도착하지 않았으면, 윈도우 이전에 도착하였는지를 검색한다(S416).
검색 결과,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 이전에 도착하였으면, 도착한 데이터 프레임이 현 주기에서 처리 가능한지를 판단(S417)하여 현 주기에 처리 가능하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한 후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S415)하는 반면, 현 주기에서 처리 불가능하면, 해당 버퍼에 임시로 저장(S418)한 후 다음 데이터 처리 주기에서 처리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한다(S419). 이후, 상기와 같은 처리 결과(처리 및 전송된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현재 윈도우에서 시간적으로 얼마나 일찍 도착하였는지에 대한 결과)를 상위 계층인 무선망 제어국(100)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 통보함으로써, 다음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 내에 도착할 수 있도록 요구한다.
한편, 상위 계층인 무선망 제어국(100)의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늦게 도착하였으면,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230)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현재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 처리할 수 있으면 처리하는 반면, 검색 결과, 현재 주기에서 처리할 수 없으면, 폐기 처분한다(S421).
이런 경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소정의 윈도우를 벗어나게 되므로,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230)는 상위 계층인 무선망 제어국(100)의 트래픽 처리 모듈(110)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현재 윈도우에서 시간적으로 얼마나 늦게 도착하였는지를 알려줌(S420)으로써, 다음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 내에 도착할 수 있도록요구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과정은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윈도우(WINDOW)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는 기지국 내의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시간 지연이나 데이터 프레임 유실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위 계층인 무선망 제어국(RNC, 100) 내의 트래픽 제어 모듈(THM, 110)과 상호 연동되어 운용된다.
즉, 상위 계층인 트래픽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불규칙적인 전송 주기를 가지고 전송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지연 및 그로 인한 데이터 프레임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윈도우를 사용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주기가 10ms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역시 10ms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인 트래픽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도착 시간을 확인 및 체크한다.
따라서,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전송 주기인 10ms 이후에 도착하는지 또는 10ms 이전에 도착하는지 또는 10ms에 맞도록 규칙적으로 도착하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도착 시간 확인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은 윈도우를 이용한다.
이후, 10ms 이내에 들어오는 데이터 프레임은 현 주기에 처리하든지 아니면 다음 주기에 처리하며, 전송 지연에 의해 10ms 이후에 들어오는 데이터는 현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데이터 처리(폐기처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처리 과정 및 그에 따른 결과를 상위 계층인 무선망 제어국(100) 내의 트래픽 제어 모듈(110)로 알려줌으로써,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230)는 전송 주기에 비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늦게 또는 빨리 도착한 시간을 트래픽 제어 모듈(110)로 알려줌으로써, 그에 대한 시간을 고려하여 무선망 제어국(100)으로부터의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기지국 내의 채널 카드(CHC)에 정확하게 수신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은 무선망 제어국(RNC)으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수신 지연으로 인한 프레임 유실 방지 및 그로 인한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상위 계층인 무선망 제어국(RNC) 내 트래픽 처리 모듈(THM)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소정의 윈도우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로 수신 및 처리한 후, 처리된 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지연으로 인한 프레임 유실 방지 및 그로 인한 해당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이 프레임별 수신 주기인 소정의 윈도우에 맞게 도착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트래픽 주기 확인부;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의 도착 시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저장하는 트래픽 저장부; 및
    상기 트래픽 주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거나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처리된 트래픽 프레임을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의 송수신시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래픽 프레임별 도착시간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 통보하는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 내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하거나 다음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및 전송부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늦게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거나 폐기 처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이동국으로의 데이터 프레임 전송 주기(Transmission Timing Interva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저장부는,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한 개의 버퍼 내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6.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트래픽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프레임의 도착 시각이 프레임별 수신 주기인 소정의 윈도우에 맞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확인된 트래픽 프레임별 도착 시간에 따라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트래픽 프레임의 송수신 시간 조절을 위해 상기 처리된 트래픽 프레임별 도착시간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망 제어국 내의 트래픽 처리 모듈로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가
    i)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빨리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특정 버퍼에 저장한 후 다음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i) 상기 수신된 트래픽 프레임이 소정의 윈도우보다 늦게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처리하여 해당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단계 ii)에서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현재 데이터 주기에서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프레임을 폐기 처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방법.
KR10-2001-0085684A 2001-12-27 2001-12-27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1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684A KR100413223B1 (ko) 2001-12-27 2001-12-27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684A KR100413223B1 (ko) 2001-12-27 2001-12-27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644A KR20030055644A (ko) 2003-07-04
KR100413223B1 true KR100413223B1 (ko) 2004-01-03

Family

ID=3221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684A KR100413223B1 (ko) 2001-12-27 2001-12-27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2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692A (ja) * 1999-02-12 2000-10-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回線におけるパケット送信制御方法ならびに装置
KR20010098168A (ko) * 2000-04-28 2001-11-08 박종섭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슬라이딩 윈도우흐름제어 기법을 이용한 고속 무선데이터 전송장치 및방법
KR20030033407A (ko) * 2001-10-22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재 정렬 방법
KR20030053133A (ko) * 2001-12-22 2003-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트랜스포트 채널 동기를 위한 버퍼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692A (ja) * 1999-02-12 2000-10-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回線におけるパケット送信制御方法ならびに装置
KR20010098168A (ko) * 2000-04-28 2001-11-08 박종섭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슬라이딩 윈도우흐름제어 기법을 이용한 고속 무선데이터 전송장치 및방법
KR20030033407A (ko) * 2001-10-22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재 정렬 방법
KR20030053133A (ko) * 2001-12-22 2003-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트랜스포트 채널 동기를 위한 버퍼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644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93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packets of data
US20030224786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89700B1 (ko) 슬라이딩-윈도데이터흐름제어에의한데이터전송시스템
JP3824584B2 (ja) 基地局制御器と基地局との間のパケットデータ伝送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800361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30086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packet data betwee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base transceiver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08354A1 (en) Mobile commun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hand-over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00275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plink bearer split configuration in multi-connectivity system
US20070049305A1 (en) Method for adjusting timing of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370527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중 회선 전환 방법
US78948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historical network information for mitigating excessive network updates when selecting a communications channel
KR100413223B1 (ko)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처리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25122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773841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WO2010093206A2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JP200030814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半径拡張装置及び方法
US6614779B1 (en) CDMA physical layer packet mechanisms for distributed bursty traffic
US656794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ynchronization of a 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
KR100544624B1 (ko) 초고속 무선 인터넷망의 기지국에서의 시간적 개념의윈도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5469472A (en) Message substitution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KR100539557B1 (ko) 기지국 셀 셋업 시의 다중 순방향 접근 채널 설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518963B1 (ko)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채널의동기화 방법
KR100277055B1 (ko) 무선링크프로토콜프레임의파싱방법
US20050070316A1 (en) Controlled timing during soft hand offs in a wireless system
JPH1155208A (ja) 無線バースト信号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