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062B1 -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062B1
KR100413062B1 KR10-2001-0066095A KR20010066095A KR100413062B1 KR 100413062 B1 KR100413062 B1 KR 100413062B1 KR 20010066095 A KR20010066095 A KR 20010066095A KR 100413062 B1 KR100413062 B1 KR 10041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using
contact
contact ro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907A (ko
Inventor
김경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주식회사 한양엔티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주식회사 한양엔티,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01-006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0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04B1/648Damp-proof courses obtained by injection or infiltration of water-proofing agents into an existing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e.g. sanding of shap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된 도포제의 표면에 압력을 가해 액상 또는 겔상의 도포제가 건물내부로 깊고, 강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면이 함몰되어 가압실(29)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실(29)과 타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25)를 갖는 하우징(24); 상기 하우징(24)의 일면상에서 상기 가압실(29)의 둘레에 구비되는 실링(23); 상기 가압실(29)내로 설치되어, 상기 실링(23)과 건물(20)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 상기 배출구(25)와 연결된 공압파이프(14) 및 상기 공압파이프(14)와 연결된 압축기(12); 및 상기 배출구(25)와 상기 공압파이프(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센서(30)의 출력에 따라 공기압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A Pressurizing Appratus for Waterproof Processing of the Porous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등에 도포된 액상 또는 겔상의 도포제의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포된 도포제의 표면에 압력을 가해 도포제가 건물내부로 깊고, 강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지어진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은약 50년정도의 수명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완공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콘크리트의 열화로 인하여 표면박리, 백화, 철근부식 등의 훼손이 발생하여 부분 보수가 필요해진다. 특히 대기중의 오염물질, 산성비 등은 최근에 건설된 건축물에 대해서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는 수화경화체이므로, 경화후 잔여 수분증발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의 공극형성은 필연적인 현상이다. 아울러, 공극율에 따라 양적인 차이는 있지만 공극을 통한 유해물질의 침투 역시 필역적인 것이다.
따라서, 유해물질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건축 표면에 일정한 재료(예를 들면, 페인트, 침투성 방수제, 침투성 발수제 등)를 도포하여 치밀한 막 또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막 또는 층은 콘크리트와 외부환경을 차단하여 유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유해물질 차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도포된 막의 두께 또는 공극의 충전정도 등이다. 그러나, 막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도포제가 공극에 얼마나 깊이 침투하여 흡수되었는가가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일반적으로 도포제를 콘크리트의 표면에 바르면, 공극의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공극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그러나, 도포제가 점도가 높은 액상이거나 콘크리트가 고강도 구조물로써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도포제의 침투력이 저하되어 침투깊이가 불충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방수, 차단, 발수 등의 성능이 설계치에 못미치는 경우가 많고, 재작업을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곤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콘크리트 건물에 도포된 도포제에 인위적으로 외력을 가해 콘크리트 내부로의 침투력을 높임으로써 건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도포제의 표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가해지는 압력의 고저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가압장치가 건물로부터 이격될 때에는 공기압이 차단되어 누출되지 않고, 건물의 벽에 붙일 때만 공기압이 가해지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가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물의 다양한 부분(예를 들어, 벽, 기둥, 모서리, 구석 등)에 대해서도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이 함몰되어 가압실(29)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실(29)과 타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25)를 갖는 하우징(24); 상기 하우징(24)의 일면상에서 상기 가압실(29)의 둘레에 구비되는 실링(23); 상기 가압실(29)내로 설치되어, 상기 실링(23)과 건물(20)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 상기 배출구(25)와 연결된 공압파이프(14) 및 상기 공압파이프(14)와 연결된 압축기(12); 및 상기 배출구(25)와 상기 공압파이프(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센서(30)의 출력에 따라 공기압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4)의 타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23)은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기체튜브 또는 고무튜브, 합성수지 튜브 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접촉센서(30)는, 일단이 상기 건물(10)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실(29) 외부로 돌출되고,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접촉로드(31); 및 상기 접촉로드(31)에 끼워져 일단이 상기 접촉로드(3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24)에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33); 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접촉로드(31)의 타단에 설치되고, 입력측에 상기 공압파이프(14)가 연결되고, 출력측에 상기 배출구(25)가 연결되어, 상기접촉로드(31)의 이동 거리에 따라 압축공기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7); 및 상기 개폐밸브(37)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접촉센서(60)는, 일단이 상기 건물(10)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실(59) 외부로 돌출되고,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접촉로드(61); 및 상기 접촉로드(61)에 끼워져 일단이 상기 접촉로드(6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54)에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63); 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접촉로드(61)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로드(61)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80); 입력측에 상기 공압파이프(14)가 연결되고, 출력측에 상기 배출구(25)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부(73);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77); 제어상태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75); 상기 스위치(80), 키입력부(77)의 각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75), 상기 압력조절부(73)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71); 및 상기 제어부(71) 및 표시부(7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9)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일면이 함몰되어 가압실(49)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실(49)과 타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45)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44); 상기 하우징(44)의 일면상에서 상기 가압실(49)의 둘레에 구비되는 실링(43); 일단이 상기 배출구(45)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44)의 타면에 돌출 형성된 중공 손잡이(41); 상기 손잡이(41)와 연결된 공압파이프(14) 및 상기공압파이프(14)와 연결된 압축기(12); 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43)은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기체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압장치(20)의 제 1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장치(20)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장치(40)의 제 2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압장치(50)의 제 3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어패널(70)의 내부 블럭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건물, 12 : 압축기,
14 : 공압파이프, 20, 40, 50 : 가압장치,
21, 41, 51 : 손잡이, 23, 43, 53 : 실링
25, 45, 55 : 배출구, 29, 49, 59 : 가압실,
30, 60 : 접촉센서, 31, 61, 접촉로드,
33, 63 : 스프링, 35 : 압력조절밸브,
37 : 개폐밸브, 39 : 연결관,
70 : 제어패널 78 : 스피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은 콘크리트 또는 다공성 건설재료로 지어진 빌딩,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건축물의 일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건물(10)의 표면에는 아직 경화가 일어나지 않은 도포제(예를 들어, 페인트, 침투성 액체 방수제, 침투성 분말방수제, 침투성 발수제 등)가 도포된 상태이다.
가압장치(20)는 손잡이(21)를 잡은 사람에 의해 건물(10)에 밀착될 수 있고, 압축기(12)로 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압파이프(14)를 통해 공급받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압장치(20)의 제 1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장치(20)는 가압실(20), 실링(23), 접촉센서(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장치(20)의 하우징(24)중 건물(10)에 밀착되는 면에는 내부로 직육면체 형상이 함몰되어 가압실(29)을 형성한다. 이러한 가압실(29)은 면적에 반비례하여 도포제의 표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압력이 형성되는 공간이다.
실링(23)은 고무,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되며, 가압실(20)의 둘레에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실링(23)은 내부에 공기가 들어있는 튜브 또는 내부가 꽉찬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자체 탄성으로 인해 건물(10) 표면에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23)은 가압실(29)내에 형성된 압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배출구(25)는 하우징(24)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압실(29)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구(25)의 직경이나 갯수 또는 하우징(24) 내의 위치는 하우징(24)의 크기, 압력의 고저, 도포제의 물성(예를 들어, 휘발성, 점도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접촉센서(30)는 가압실(29)내의 하우징(24)으로부터 가압실(29)의 깊이보다 조금 길게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센서(30)는 건물(10)에 눌려질 때, 배출구(25)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센서(30)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장치(20)의 A-A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촉센서(30)는 크게 접촉로드(31)와 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 있고, 접촉센서(30)의 후방에는 공압밸브(추후 설명)들이 설치되어 있다.
접촉로드(31)는 가압장치(20)에 건물(10)에 밀착되었을 때, 그 끝단이 건물(10)에 닿아 소정길이(예를 들어, 약 5 ~ 10mm)만큼 후퇴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접촉로드(31)의 중간영역에는 압축 스프링(33)이 결합되어 있다.스프링(33)의 일단은 하우징(24)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접촉로드(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접촉로드(31)가 탄성력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로드(31)의 타단에는 개폐밸브(37)가 연결되어 있다. 개폐밸브(37)의 입력측에는 공압 파이프(14)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측에는 배출구(25)로 향하는 연결관(39)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37)는 접촉로드(31)의 전진/후퇴 동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이에 따라 공기압이 전달되거나 차단된다.
압력조절밸브(35)는 개폐밸브(37)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밸브(35)는 나사식으로써 손으로 나사(미도시)를 돌려 연결통로(미도시)의 면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원리로 공급되는 공기압의 압력을 높이거나 낮춘다.
앞서 설명한 개폐밸브(37) 및 압력조절밸브(35)는 통상적인 공압부품을 활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손잡이(21)는 하우징(24)의 타면에 한 쌍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21)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압장소를 옮기거나 가압을 할 때, 작업자의 능률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장치(40)의 제 2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4)은 폭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크게 연장된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가압실(49)의 내부에는 배출구(45)만이 형성되어 있고 별도의 접촉센서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실링(43)은 가압실(49)의 둘레 형상을 따라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41)의 외경은 작업자가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정도의 외경이고, 내부는 배출구(45)와 연통되도록 중공 구조를 갖고 있다. 손잡이(41)의 끝부분에는 공압파이프(14)가 연결됨으로써, 압축공기가 손잡이(41)의 내경을 통해 배출구(45)로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압장치(50)의 제 3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4)을 관통하여 접촉센서(60)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54)의 외면에는 전자식 제어패널(70)과 손잡이(51)가 구비되어 있다.
접촉센서(60)는 건물(10)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로드(61)와 접촉로드(61)를 탄성지지하는 압축 스프링(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로드(61)의 타단은 제어패널(70)로 삽입되어 전진/후퇴 여부에 따라 제어패널(70) 내부의 스위치(80)를 토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패널(70)의 양측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한쌍의 손잡이(51)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패널(70)에는 공압파이프(14)가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어패널(70)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70)의 내부에는 제어부(71), 스위치(80), 키입력부(77), 스피커(78), 전원부(79), 표시부(75), 압력조절부(73)가 구비되어 있다.
스위치(80)는 접촉로드(61)의 전진/후퇴위치를 기계적으로 감지하여 온 또는 오프신호를 제어부(71)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80)는 광센서 스위치 또는 기계 스위치 등으로 구현된다.
키입력부(77)는 아라비아 숫자 0 ~ 9 ,"#", 및 "*" 키이가 구비되어 있고, 여러가지 설정키(예를 들어, 압력설정, 기억, 기능키, 전원키, 도움말, 모드 등)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키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고, 가압실(59) 내부의 압력을 디지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기압(예를 들어, 5기압, 7기압, 10기압 등)을 기억시켰다가 임의로 판독하여 적용할 수 있다.
스피커(78)는 제어부(71)로부터 키입력에 따른 확인음, 에러신호음, 경고음 등을 음향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부(79)는 배터리로써, 제어부(71) 또는 표시부(75) 등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전원(예를 들어, +9볼트, +12볼트 등)을 공급한다.
표시부(75)는 LCD 패널과 같은 것으로써 제어부(7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압력, 현재압력, 작업상태, 전원 온/오프 여부, 현재 모드,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한다.
압력조절부(73)는 제어부(71)의 신호(예를 들면, 16진수 헥사값을 이산화된 디지털 값으로 수신)에 따라 공급되는 공압파이프(14)내의 공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0기압 ~ 12기압(최대공압) 사이에서 1기압 또는 0.5 기압 단위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부(73)는 공압의 통과면적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배출구(55)로 배출되는 공기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구조이다.
제어부(71)는 4비트 또는 8비트 마이컴(MICOM)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셈블리어의 코딩을 통해 명령어를 저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의 작용에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가압장치(20)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10)의 벽에 도포제를 도포한 다음, 가압장치(20)를 건물(1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접촉로드(31)가 건물(10)에 의해 후퇴하면서 개폐밸브(37)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압축기(12)로부터 가압된 공기가 공압파이프(14)를 통해 연결관(39)을 지나 배출구(25)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압은 가압실(29)내에서 일정 압력을 형성하며, 이러한 압력은 도포제가 건물(10) 내부의 공극속으로 보다 깊숙이 침투하도록 작용한다. 이 때, 가압실(29) 내부는 실링(23)에 의해 외부와 격리된다.
만약 가해지는 공기압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압력조절밸브(35)를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압이 통과하는 부분의 면적을 늘이거나 좁힌다.
가압이 일정시간 동안 진행된 다음에, 작업자는 건물(10)의 다른 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가압장치(20)를 건물(10)에서 떨어 뜨린다. 그러면, 접촉로드(31)가 스프링(33)에 의해 전진하면서, 개폐밸브(37)가 차단된다. 따라서, 배출구(25)로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가압실(29) 내부는 대기압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건물(10)의 모든 부분에 대해 반복함으로써, 도포제가 건물(1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가압장치(40)의 제 2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압파이프(14)를 통해 계속적으로 공기압이 배출되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손잡이(41)를 손으로 잡고, 가압장치(40)를 건물(10)에밀착시킨다. 수초후, 가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가압장치(40)를 살짝 들어서, 옆으로 옮긴다. 이러한 작업을 신속하게 반복함으로써, 별도의 개폐장치가 없더라도, 공압의 손실없이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가압장치(40)는 예를 들어, 건물(10)의 좁은 틈새, 구석, 모서리 부분 등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가압장치(50)의 제 3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작업자는 작업에 앞서, 제어패널(70)의 키입력부(77)를 통해 압력을 설정(예를 들어, 3기압)한다. 그 다음, 가압장치(50)를 건물(10)에 밀착시키면, 접촉로드(61)가 후퇴하면서, 스위치(80)를 건들게 된다. 이 때, 스위치는 온신호를 제어부(71)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71)는 이에 따라 압력조절부(73)에 압력신호를 전송한다. 압력조절부(73)는 압력신호에 따라 공기압이 통과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배출구(55)로 향하는 공기압을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은 표시부(75)를 통해 표시되면, 필요한 경우, 스피커(78)를 통해 확인음이 출력된다. 만약 가압장치(50)를 건물(10)에서 떨어뜨릴 경우 접촉로드(61)가 스프링(63)에 의해 전진한다. 그러면, 스위치(80)는 오프신호를 제어부(71)로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71)는 압력조절부(73)에 공기압 차단 명령을 전송한다. 압력조절부(73)에서 공기압이 차단됨에 따라 배출구(55)로 공압 배출이 멈춰지고, 가압실(59)의 압력은 대기압상태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건물(10)의 모든 표면을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장치의 이동중에는 공기압이 배출되지 않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장치중 하우징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태를 위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 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공압개폐장치에 관하여 기계적 수단 및 전자적 수단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수동적 방법, 광학적 방법, 타이머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공압을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건물에 도포된 도포제에 인위적으로 외력을 가해 콘크리트 내부로의 침투력을 높임으로써 건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포제의 표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가해지는 압력의 고저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과 무관하게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압장치가 건물로부터 이격될 때에는 공기압이 차단되어 누출되지 않고, 건물의 벽에 붙일 때만 공기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상의 가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물의 다양한 부분(예를 들어, 벽, 기둥, 모서리, 구석 등)에 대해서도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일면이 함몰되어 가압실(29)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실(29)과 타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25)를 갖는 하우징(24);
    상기 하우징(24)의 일면상에서 상기 가압실(29)의 둘레에 구비되는 실링(23);
    상기 가압실(29)내로 설치되어, 상기 실링(23)과 건물(20)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
    상기 배출구(25)와 연결된 공압파이프(14) 및 상기 공압파이프(14)와 연결된 압축기(12); 및
    상기 배출구(25)와 상기 공압파이프(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센서(30)의 출력에 따라 공기압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4)의 타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23)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튜브이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30)는,
    일단이 상기 건물(10)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실(29) 외부로 돌출되고,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접촉로드(31); 및
    상기 접촉로드(31)에 끼워져 일단이 상기 접촉로드(3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24)에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33); 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접촉로드(31)의 타단에 설치되고, 입력측에 상기 공압파이프(14)가 연결되고, 출력측에 상기 배출구(25)가 연결되어, 상기 접촉로드(31)의 이동 거리에 따라 압축공기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7); 및
    상기 개폐밸브(37)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60)는,
    일단이 상기 건물(10)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실(59) 외부로 돌출되고,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접촉로드(61); 및
    상기 접촉로드(61)에 끼워져 일단이 상기 접촉로드(6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54)에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63); 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접촉로드(61)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로드(61)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80);
    입력측에 상기 공압파이프(14)가 연결되고, 출력측에 상기 배출구(25)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부(73);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77);
    제어상태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75);
    상기 스위치(80), 키입력부(77)의 각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75), 상기 압력조절부(73)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71); 및
    상기 제어부(71) 및 표시부(7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6. 일면이 함몰되어 가압실(49)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실(49)과 타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45)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44);
    상기 하우징(44)의 일면상에서 상기 가압실(49)의 둘레에 구비되는 실링(43);
    일단이 상기 배출구(45)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44)의 타면에 돌출 형성된 중공 손잡이(41);
    상기 손잡이(41)와 연결된 공압파이프(14) 및 상기 공압파이프(14)와 연결된 압축기(12); 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43)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튜브이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KR10-2001-0066095A 2001-10-25 2001-10-25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KR10041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095A KR100413062B1 (ko) 2001-10-25 2001-10-25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095A KR100413062B1 (ko) 2001-10-25 2001-10-25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07A KR20030033907A (ko) 2003-05-01
KR100413062B1 true KR100413062B1 (ko) 2003-12-31

Family

ID=2956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095A KR100413062B1 (ko) 2001-10-25 2001-10-25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0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1960A (ja) * 1984-12-14 1986-06-28 Shinto Paint Co Ltd 塗膜の硬化装置
US5882487A (en) * 1994-06-17 1999-03-16 British Nuclear Fuels, Plc. Removing contamination
KR20010014567A (ko) * 1999-03-12 2001-02-26 톰슨 파트라시아 에이. 2면 시트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38016Y1 (ko) * 2001-04-18 2001-10-11 이덕신 분사장치
KR200251793Y1 (ko) * 2001-07-23 2001-11-17 김중은 공기공급 및 부항기 작동용 공기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1960A (ja) * 1984-12-14 1986-06-28 Shinto Paint Co Ltd 塗膜の硬化装置
US5882487A (en) * 1994-06-17 1999-03-16 British Nuclear Fuels, Plc. Removing contamination
KR20010014567A (ko) * 1999-03-12 2001-02-26 톰슨 파트라시아 에이. 2면 시트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38016Y1 (ko) * 2001-04-18 2001-10-11 이덕신 분사장치
KR200251793Y1 (ko) * 2001-07-23 2001-11-17 김중은 공기공급 및 부항기 작동용 공기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07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9132B1 (en) User friendly crack-filling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cracks with foamable polyurethane prepolymer
ES2055527T3 (es) Aparato de presurizacion de cemento para hueso alrededor de una endoprotesis.
ES2068958T3 (es) Equipo de impermeabilizacion y procedimiento para su llenado.
CA2172533A1 (en) Injection hose for concrete construction joints
KR100413062B1 (ko) 다공성 건설재료의 수밀처리를 위한 가압장치
US4930281A (en) Wall repair device and method of use
JP3333625B2 (ja) 床面施工法
DE60309478D1 (de) Ein instrument zum vorbereiten von knochenzementmaterial
US7635006B2 (en) Method for sealing and/or reconditioning of pipes
US4223999A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coating of stippled plaster
KR101746268B1 (ko) 타일 줄눈 시공장치
JP2004052415A (ja) 充填装置
US20050274747A1 (en) Mechanical grouting and re-pointing device
JPS61117367A (ja) 接着剤の注入方法
JPH04327654A (ja) クラック注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250912A (ja) 定圧注入工法および定圧注入装置
SU608903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лотнени бетона
JPH041099Y2 (ko)
JPS5750569A (en) Coating device for highly viscous fluid
AU2002352366A1 (en) New silage making method and apparatus
JPH0220192Y2 (ko)
DE9209613U1 (ko)
JP2844080B2 (ja) 構造物の防水並びに止水用シール材
GB2299365A (en) Tool for injecting sealant into cracks
SU881257A1 (ru) Шприц дл выдавливани в з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сменной гильзы при герметизации стыков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