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411B1 -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411B1
KR100412411B1 KR10-2001-0056569A KR20010056569A KR100412411B1 KR 100412411 B1 KR100412411 B1 KR 100412411B1 KR 20010056569 A KR20010056569 A KR 20010056569A KR 100412411 B1 KR100412411 B1 KR 100412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y
indoor
indoor unit
outdoo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395A (ko
Inventor
김동채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4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용량을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 보다 낮은 용량으로 설치하고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이 실외기의 용량을 넘을 경우 다수개의 실내기 중 우선순위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보다 작은 용량의 실외기를 사용하면서 다수개의 실내기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적은 용량의 실외기를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이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INNER CASE OF MULTI-AIRCONDITIONER}
본 발명은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용량을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 보다 낮은 용량으로 설치하고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이 실외기의 용량을 넘을 경우 다수개의 실내기 중 우선순위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보다 작은 용량의 실외기를 사용하면서 다수개의 실내기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사이클을 이용한 분리형 에어컨은 실외기의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실내기의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러한 분리형 에어컨의 일종인 멀티형 에어컨은, 실외에 통상 한 대의 실외기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실내기를 냉방시켜야 할 다수의 공간 각각 설치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기(10)에서 압축기(14)를 통해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12)에서 응축열을 외부로방출하여 저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액화시킨 후 응축기(12)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냉매는 제 1내지 제 3분배관(28,38,48)을 통해 제 1내지 제 3실내기(20,30,40)로 각각 전달된다.
그러면, 제 1내지 제 3실내기(20,30,40)에서는 응축된 저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제 1내지 제 3분배관(28,38,48)을 통해 입력받아 팽창장치(26,38,48)를 통해 저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압력강하시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기화시키면서 제 1내지 제 3증발기(22,32,42)에서 증발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변환하여 압축기(14)로 순환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증발열을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리고, 제 1내지 제 3실내기(20,30,40)에는 제 1내지 제 3증발기(22,32,42)로 입력되는 냉매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 1내지 제 3솔레노이드밸브(24,34,44)가 장착되어 제 1내지 제 3실내기(20,30,40)의 작동상태나 설정값에 따라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멀티에어컨에서 안정적으로 냉방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 1내지 제 3실내기(20,30,40)의 냉방능력의 합이 실외기(10)의 대응최대능력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실외기(10)의 응축능력을 제 1내지 제 3실내기(20,30,40)의 냉방능력의 합보다 큰 용량을 갖는 실외기(10)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압축기(14)의 최대 압축능력도 최대 냉방능력보다 커야만 안정된 냉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실외기(10)나 압축기(14)의 용량을 제 1내지 제3실내기(20,30,40)의 최대 냉방능력의 합보다 큰 용량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가정에서 멀티에어컨의 다수개의 실내기를 거실이나 각 방마다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거실과 각 방의 모든 실내기를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공간에 따라 부분적으로 실내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실내기의 가동률이 최대 냉방능력보다 낮은 것이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외기의 용량이 다수개의 실내기의 최대 냉방능력보다 큰 용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의 용량을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 보다 낮은 용량으로 설치하고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이 실외기의 용량을 넘을 경우 다수개의 실내기 중 우선순위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보다 작은 용량의 실외기를 사용하면서 다수개의 실내기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외기 12 : 응축기
14 : 압축기 20,30,40 : 제 1내지 제 3실내기
22,32,42 : 제 1내지 제 3증발기
24,34,44 : 제 1내지 제 3솔레노이드밸브
28,38,48 : 제 1내지 제 3분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멀티에어컨의 실외기 최대용량과 다수개의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멀티에어컨에서 가동되는 실내기 가동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 최대용량을 비교하여 실외기 최대용량이 클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클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한 후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 해당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에어컨의 실외기 최대용량과 다수개의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멀티에어컨에서 가동되는 실내기의 가동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 최대용량을 비교하여 실외기 최대용량이 클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클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한 후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 해당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멀티에어컨에서 가동되는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설정된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초과할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실내기의 경우 공급되는 냉매량을 감소시켜 전체의 가동용량을 감소시키거나 실내기에 설정된 실내온도를 높임으로써 가동용량을 감소시켜 적은 실외기의 용량으로 다수개의 실내기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멀티에어컨의 실외기 최대용량을 가동되는 실내기의 평균 가동용량에 대응하는 용량급의 실외기를 설치한 후 가동되는 실내기의 용량을 제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멀티에어컨에 설치되는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설정한다. 이때 실외기의 최대용량보다 낮은 값에서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실내기의 가동용량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절전이나 절약 운전을 위한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멀티에어컨의 각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21).
우선순위를 설정할 경우 각각의 실내기에 개별적인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도 있으며, 실내기별로 그룹을 형성하여 그룹간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실외기의 최대용량과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한 수 가동되는 실내기의 용량을 측정하여 총 가동용량을 계산한다(S22).
이렇게 계산된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설정된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비교한다(S23).
이와 같이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비교한 결과 가동되는 실내기의 가동용량보다 설정된 실외기의 최대용량이 클 경우에는 각각 실내기에서 설정한 값에 따라 정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S25).
그러나,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실외기의 최대용량보다 클 경우에는 가동되는 실내기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게 된다(S24).
그래서, 가동되는 실내기가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에는 정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S25). 그러나, 가동되는 실내기가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실내기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거나 개도량을 감소시켜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줄임으로써 실내기의 가동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S26).
만약, 우선순위를 비교한 결과 동일할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 모두에 대해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후 계속해서 멀티에어컨을 운전하면서 가동되는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실외기의 최대용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정상운전으로 복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멀티에어컨에 설치되는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설정한다. 이때 실외기의 최대용량보다 낮은 값에서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실내기의 가동용량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절전이나 절약 운전을 위한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멀티에어컨의 각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31).
우선순위를 설정할 경우 각각의 실내기에 개별적인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도 있으며, 실내기별로 그룹을 형성하여 그룹간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실외기의 최대용량과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한 수 가동되는 실내기의 용량을 측정하여 총 가동용량을 계산한다(S32).
이렇게 계산된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설정된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비교한다(S33).
이와 같이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의 최대용량을 비교한 결과 가동되는 실내기의 가동용량보다 설정된 실외기의 최대용량이 클 경우에는 각각 실내기에서 설정한 값에 따라 정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S35).
그러나,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실외기의 최대용량보다 클 경우에는 가동되는 실내기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게 된다(S34).
그래서, 가동되는 실내기가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에는 정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S35). 그러나, 가동되는 실내기가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실내기에 설정된 실내온도 등의 설정값을 상승시켜 실내기의 가동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실내기의 가동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S36).
만약, 우선순위를 비교한 결과 동일할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 모두에 대해 실내기에 설정된 실내온도 등의 설정값을 상승시킨다.
이후 계속해서 멀티에어컨을 운전하면서 가동되는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실외기의 최대용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정상운전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기의 용량을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 보다 낮은 용량으로 설치하고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이 실외기의 용량을 넘을 경우 다수개의 실내기 중 우선순위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수개의 실내기 전체용량보다 작은 용량의 실외기를 사용하면서 다수개의 실내기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적은 용량의 실외기를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이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멀티에어컨의 실외기 용량과 다수개의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멀티에어컨에서 가동되는 실내기 가동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의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 용량을 비교하여 실외기 용량이 클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클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한 후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 해당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비교한 결과 동일할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 모두에 대해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3. 멀티에어컨의 실외기 용량과 다수개의 실내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단계와,
    멀티에어컨에서 가동되는 실내기의 가동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의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의 가동용량과 실외기 용량을 비교하여 실외기 용량이 클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실내기의 가동용량이 클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실내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비교한 후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 해당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비교한 결과 동일할 경우 가동되는 실내기 모두에 대해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다수개의 실내기 각각에 대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다수개의 실내기를 그룹으로 형성하여 각 그룹에 대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KR10-2001-0056569A 2001-09-13 2001-09-13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KR100412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69A KR100412411B1 (ko) 2001-09-13 2001-09-13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69A KR100412411B1 (ko) 2001-09-13 2001-09-13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395A KR20030023395A (ko) 2003-03-19
KR100412411B1 true KR100412411B1 (ko) 2003-12-31

Family

ID=2772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569A KR100412411B1 (ko) 2001-09-13 2001-09-13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59A1 (ko) * 2016-06-03 2017-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실내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8299B (zh) * 2015-04-10 2019-04-05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多联式空调机组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12303845B (zh) * 2020-09-30 2022-10-2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多联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N117928061A (zh) * 2022-10-13 2024-04-26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用于多联机空调控制的方法及装置、多联机空调、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30A (ko) * 1988-02-09 1989-09-23 아오이 죠이찌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970070805A (ko) * 1996-04-04 1997-11-07 김광호 멀티 에어컨의 냉매 순환장치
JPH09310930A (ja) * 1996-05-20 1997-12-02 Fujitsu General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JP2001033119A (ja) * 1999-07-19 2001-02-09 Fujitsu General Ltd 多室形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30A (ko) * 1988-02-09 1989-09-23 아오이 죠이찌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970070805A (ko) * 1996-04-04 1997-11-07 김광호 멀티 에어컨의 냉매 순환장치
JPH09310930A (ja) * 1996-05-20 1997-12-02 Fujitsu General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JP2001033119A (ja) * 1999-07-19 2001-02-09 Fujitsu General Ltd 多室形空気調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59A1 (ko) * 2016-06-03 2017-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실내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37669B2 (en) 2016-06-03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controlling plurality of indo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395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732B2 (en) Air conditioner
US10955160B2 (e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lurality of utilization units connected in parallel to a heat source unit
EP1536186B1 (en) Air conditioner
US680781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two compres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80092572A1 (en) Simultaneous cooling-heating multiple type air conditioner
KR100640855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US7380411B2 (en) Heat source unit with switching means between heating and cooling
KR20060066840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실내기 제어 방법
KR20060066838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방법
KR100484813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전자팽창밸브
US20210063042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12411B1 (ko)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제어방법
JP6105933B2 (ja) 直膨コイルを使用した空気調和機
KR100671301B1 (ko) 공기조화기
KR100723946B1 (ko) 멀티형 에어컨의 제습 운전 제어방법
KR100502309B1 (ko) 멀티형 에어컨의 제어방법
JP6370425B2 (ja) 直膨コイルを使用した空気調和機
KR100556809B1 (ko) 빌딩용 멀티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502306B1 (ko) 에어컨의 운전 제어방법
KR100302860B1 (ko) 인버터에어컨의압축기제어방법
KR100854828B1 (ko)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535676B1 (ko)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613151B1 (ko) 에어컨의 액압축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4078A (ko) 멀티 에어컨의 바이패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2126053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