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706B1 -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706B1
KR100411706B1 KR10-2001-0036901A KR20010036901A KR100411706B1 KR 100411706 B1 KR100411706 B1 KR 100411706B1 KR 20010036901 A KR20010036901 A KR 20010036901A KR 100411706 B1 KR100411706 B1 KR 10041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reinforcement
bar
reinforc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980A (ko
Inventor
안희규
조영태
Original Assignee
(주)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하 filed Critical (주)두하
Priority to KR10-2001-003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7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15Anti-corrosion coatings or treating compositions, e.g. containing waterglass or based on another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상부에 배근되는 주근과 부근이 다수의 격자형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하부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 및 철근의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는 거푸집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정바가 각 모서리에 하향으로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양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바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바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철근이 얹혀짐으로써, 자연스럽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근안착부가 형성된 철근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전에 무수히 많은 수량의 철근을 용이하게배근함으로써, 시공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와 같이 정확한 간격과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의해 콘크리트 강도를 극대화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EASY MUSCLES ALONG THE SPINE REINFORCING ROD SPACER AND METHOD TH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거푸집상부에 고정바가 형성된 지지대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대에 수직바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바에는 소정의 등간격으로 철근안착부가 형성된 철근지지부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에 의해 무수히 많은 수량의 주근과 배근의 단부에 구비되어 평면상으로 상호 간격과피복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자체에 구비된 철근안착부에 철근을 구비시키는 것만으로도 배치가 완료되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상부에 적절한 피복두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의 하부에 구비시키도록 하는 스페이서(SP)는 공사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배근작업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상기 피목두께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피복두께는 내구성을 위하여 일정 두께 이상이어야 하는데, 그 이유로는 콘크리트의 알카리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는 경화된 후, 대기중의 탄산가스를 흡입하여 서서히 알칼리성을 잃고 중화되기 시작하는데, 피복두께가 두꺼울수록 중성화되는 년수는 길어진다.
또한, 상기 피복두께를 구비한 철근을 기준으로 하부의 콘크리트는 인장력을 상부의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구비하게 됨으로 피복두께를 선정하는데 있어서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고, 화재발생시 일정시간 철근의 온도가 500℃이하를 유지하도록 하여 내화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복두께를 유지하여야 하는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분야에서는 건축물의 수명과 관계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다.
또한, 상기 피복두께와 함께 중요하게 취급되는 것이 철근 표면간의 간격인데, 철근간격을 규정하는 기준으로는 주근지름의 1.5배, 각 측면 간격 2.5cm, 굵은 골재 지름의 1.25배로 규정하고 있다.
상기 철근간격은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규정하는 것이고, 철근주위에 일정량의 콘크리트가 구비되어야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역시 강도에 있어서 중요하게 취급된다.
도시한 바에 의한 종래시공방법은 우선 거푸집 상부에 무작위로 철근, 즉, 주근(MB)(편의상 "주근"이라 칭한다)을 평면상으로 펼쳐 놓는다.
상기 평면상으로 펼쳐진 주근(MB)의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각 철근의 간격을 줄자 또는 현장에서 제작된 조절자를 이용하여 철근 하나하나의 간격을 일일히 체크하여 간격조절을 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페이서(SP)를 하부에 고임으로써, 하부에 배근되는 주근(MB)의 배근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피복두께와 간격의 조절이 완료된 주근(MB)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부근(SB)을 펼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간격을 조절한 후, 결속선(BW)으로 상기 주, 부근(MB)(SB)을 묶어서 일체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스페이서는 주근 하부에 스페이서가 구비된 상태에서 많은 작업인원이 부근을 배근하기 위해 밟고 다니는 과정에서 스페이서의 파손과 철근의 쳐짐으로 피복두께의 변형과 간격이 흐트러짐으로써, 소망하는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부실공사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공작업시 표준화된 작업을 시행할 수 없으므로 과다한 시공작업시간과 작업인원이 투입되어 생산성은 떨어지고,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배근작업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되, 생산성은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수의 작업인원으로도 단시간내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시간내에 작업은 가능하되, 정확한 피복두께와 철근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건축물의 강도는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의 가)는 종래의 스페이서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되는 철근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 "A"선의 상세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 1단용 스페이서의 구성과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2a는 통상의 거푸집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통상의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로포장 공사용으로 제작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스페이서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공정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2단으로 배근되는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내지 도 6d는 2단 배근용 스페이서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1단으로 배근되는 스페이서로 2단 배근이 가능하도록 행거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스페이서를 옹벽에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페이서 110;지지대
111;고정바 112;캡
120;철근지지부 121;수직바
122;수평바 123;철근안착부
130;철근 130a,130b;상, 하부근
131;주근 132;부근
140;결속선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상부에 배근되는 주근과 부근이 다수의 격자형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하부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를 형성하도록 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는 거푸집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정바가 각 모서리에 하향으로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양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바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바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철근이 얹혀짐으로써, 자연스럽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근안착부가 형성된 철근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거푸집 상부에 배근되는 철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공방법은 일렬로 나란히 스페이서를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스페이서 상부에 형성된 철근안착부에 주근을 배근하고, 상기 주근의 상부에 직각으로 구비된 부근의 양단에 스페이서를 구비시킴으로써, 간격조절이 완료되면, 각 크로스되는 주근과 부근을 결속선으로 결속하는 방법이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 1단용 스페이서의 구성과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2a는 통상의 거푸집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통상의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로포장 공사용으로 제작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스페이서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사용하되,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것이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의 구성과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에 도시한 것이 기본적으로 통상의 거푸집 상부에 구비되어서 후술할 철근(130)의 주근(131)과 부근(132)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배근되도록 하는 것이고, 도 2b에 도시한 것은 통상의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시켜 배근하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c에 도시한 것은 도로포장공사시 흙바닥에 구비하기 용이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페이서(100)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지지대(1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10)의 하측방 각 모서리 부분에는 고정바(111)가 장착되어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10)의 길이방향 양내측에는 수직바(121)가 중앙부에 장착되는데, 상기 수직바(121)가 내측에 장착된 이유로는 후술할 철근 시공작업시 상기 스페이서(100)의 측방으로 다수가 구비될 때, 상호 수직바(121)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직바(121)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바(122)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바(122)의 상단에는 소정의 등간격으로 철근이 구비가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근안착부(123)가 요(凹)홈으로 형성된 철근지지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철근안착부(123)는 시공되는 현장상황에 따라 갯수를 조절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의 수량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철근안착부(123)의 간격(P)은 동일하고,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에서 양측으로 형성된 철근안착부(123)간의 간격(P')은 상기 간격(P)의 절반의 거리로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가 시공작업시 다수개가 구비될 때, 하측에 구비된 지지대(110)를 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철근(13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바(111)에는 통상의 합성수지재로 된 캡(112)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바(111)는 통상의 거푸집표면에 접촉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대략 4주(28일)가 지나 경화가 완료되고, 거푸집을 철거하면 상기 고정바(111)의 하단은 대기중에 노출됨으로써, 쉽게 부식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까지 부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기중에 상기 고정바(111)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캡(112)의 하단은 가능하면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철거가 완료되면, 캡(112)도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2b는 상기 거푸집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00)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고, 하부에 지지대(110)의 형상이 달라진 것으로, 통상의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캡(112)이 구비된 고정바(111)를 하향절곡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수직바(121)의 하부양단에 장착하도록 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각 골에 안정적으로 구비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 2c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 스페이서(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도로포장공사를 시행할 때, 흙바닥에 꽂기 용이하도록 철근지지부(120)의 수직바(121) 길이를 지지대(110)의 하부로 연장하고, 그 끝을 뾰족하게 형성한 것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로 철근(130)의 배근작업을 시행하는 시공방법에 대해서 공정별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시공방법은 동일하므로 도 3의 거푸집 상부에서 배근되는 작업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의 가)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일차적으로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를 일렬로 배열하고, 상기 철근지지부(120)의 상부에 요홈으로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에 주근(131)을 배근하는데, 도시한 바에 의하면 양단에만 스페이서(10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주근(131)의 쳐짐이 발생하는 부위에 현장작업으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근(131)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근(132)도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근(131)의 직각방향으로 구비하고, 양단에 본 발명 스페이서(100)를 구비시키고, 상기 주근(131)과 부근(132)의 크로스(Cross)되는 부위에 결속선(140)으로 견고하게 결속하면 철근(130)의 배근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써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00)를 먼저 구비시키는 것이 아니고, 주근(131)을 먼저 거푸집 상부에 구비시킨 후, 상기 주근(131)의 양단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를 구비시키는 방법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페이서(100)는 소정의 등간격 요홈으로 철근안착부(123)의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줄자로 간격조절을 할 필요가 없이 주, 부근(131)(132)을 구비시키는 것만으로도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완료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소수의 작업인원으로도 용이하게 배근작업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한 도로포장공사용 스페이서도 상술한 바와 시공방법은동일함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페이서(100)를 구비할 때, 흙바닥에 꽂아서 구비하는 것만 다르다.
〔제 2실시예〕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2단으로 배근되는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내지 도 6d는 2단 배근용 스페이서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페이서(100)는 큰 하중으로 슬라브(Slab)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2단으로 철근(130)이 배근되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스페이서(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철근지지부(120)가 2단으로 형성되어 낮은 부위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와 높은 부위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간에 단차(L)가 형성된다.
즉, 낮은 부위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에 하부근(미도시)의 주근(131)과 부근(132)이 배근되고, 높은 부위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에 상부근의 주근(131)과 부근(132)이 배근되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큰 하중이 작용하는 슬라브에 철근(130)을 2단으로 배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주근(131)은 건축에서 정의하는 바로는 짧은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본 발명에서는 구분이 용이하도록 일측방으로 구비된 철근을 주근, 타측방으로 구비된 철근을 부근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6a내지 도 6d에 도시한 것이 상기 2단으로 형성된 스페이서(100)로 배근되는 상, 하부근(130a)(130b) 배근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렬로 나란히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에 하부근의 주근(131)을 낮은 부위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에 안착시키고, 상기 철근안착부(123)와 주근(131)의 접촉부를 결속선(미도시)로 결속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근의 주근(131) 상부에 부근(132)을 직각 상태로 배열하는데, 직각 방향으로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를 구비시킨 후, 상기 부근(132)을 철근안착부(123)에 안착시킴으로써, 주근(131)과 부근(132) 상호 크로스로 접촉된 부위에 결속선(140)으로 묶어서 견고하게 결속시킴으로써 하부근(130b)의 배근이 완료된다.
또한, 도 6c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부근(130a)도 상기 높은 부위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에 상술한 하부근의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주근(131), 부근(132)의 순서대로 배근하면 상, 하부근(130a)(130b)의 배근이 완료되고, 상기 철근(1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슬라브의 작업은 완료된다.
〔제 3실시예〕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1단으로 배근되는 스페이서로 2단 배근이 가능하도록 행거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스페이서를 옹벽에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페이서용 행거(1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상부 양단에 후크(151)가 본 발명 스페이서(100)의 철근안착부(123)에 안착된 철근(130)에 걸기 용이하도록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151)의 하측으로는 상, 하부근(130a)(130b) 상호 간격을 유지한 체 상기 스페이서(100)에 형성된 철근안착부(123)와 동일간격과 동일규격으로 된 행거용 철근안착부(152)가 형성되어 일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용 스페이서(100)를 이용하여 2단으로 배근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나)와 다)에 도시한 것은 상기 행거(150)가 "C"자 또는 "S"자의 단일품으로 형성되어 스페이서(100)가 구비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하부근의 배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행거는 상기 후크(151)와 행거용 철근안착부(152)간의 단차(LL)에 의해 2단으로 배근되는 상, 하부근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행거(150)는 도 8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DP) 상부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00)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나란히 배열된 스페이서(100)의 상부에 철근(130)을 올려 놓고, 도시한 바와 같은 행거(150)를 걸어줌으로써, 용이하게 2단 배근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각 실시예는 슬라브용 철근(130)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용 철근을 배근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 거푸집(WF)의 상부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00)와 철근(130)의 배근과 결속이 완료된 철근조립체를 삽입한 후, 도시하지 않은 못 또는 굵은 결속선로 거푸집의 일측에 밀착고정함으로써, 옹벽의 피복두께를 유지함과 동시에 거푸집 설치후에도 배근이 가능하여 철근배근이 완료되어야만 가능했던 목공사, 즉 거푸집공사를 먼저 시행해도 용이하게 철근의 배근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건축공정의 편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배근작업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되, 생산성은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소수의 작업인원으로도 단시간내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단시간내에 작업은 가능하되, 정확한 피복두께와 철근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건축물의 강도는 극대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옹벽거푸집이 형성되어도 스페이서와 철근의 조립체를 상부에서 삽입함으로써,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건축공정의 편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상부에 배근되는 주근과 부근이 다수의 격자형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하부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를 형성하도록 하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거푸집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정바가 각 모서리에 하향으로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양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바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바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철근이 얹혀짐으로써, 자연스럽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근안착부가 형성된 철근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고정바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수직바의 하부양단에 개별적으로 장착하도록 하여 통상의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철근의 배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하단으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대기와 접촉되어 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씌워지는 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철근지지부가 2단으로 형성되어 큰 하중을 받는 슬라브의 단면상으로 상, 하부근의 병렬배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철근안착부에 배근된 철근에 걸수 있도록 상부에 뒤집힌 "U"자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하측으로는 상, 하부근의 간격에 해당하는 단차에 의해 1단용 스페이서로 2단 배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행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철근안착부에 미리 배근된 철근을 결속한 철근조립체에 의해 옹벽 거푸집에 삽입하도록 하여 옹벽공사에도 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8. 삭제
KR10-2001-0036901A 2001-06-27 2001-06-27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KR10041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901A KR100411706B1 (ko) 2001-06-27 2001-06-27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901A KR100411706B1 (ko) 2001-06-27 2001-06-27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980A KR20010084980A (ko) 2001-09-07
KR100411706B1 true KR100411706B1 (ko) 2003-12-18

Family

ID=1971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901A KR100411706B1 (ko) 2001-06-27 2001-06-27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38B1 (ko) * 2005-06-13 2007-02-22 우종열 철근 고임용 부재
US8015658B2 (en) 2005-10-17 2011-09-13 Myvac Technology (M) Sdn. Bhd. Hover vacuum cleaner
JP6912796B2 (ja) * 2017-01-20 2021-08-04 塩田開発株式会社 吹付工事用スペーサ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7616U (ko) * 1976-08-16 1978-03-09
JPH0218820U (ko) * 1988-07-25 1990-02-07
JPH10121660A (ja) * 1996-10-18 1998-05-12 Nippon Kokan Light Steel Kk 合成スラブ谷部配筋用バー型スペーサー
JP2000291206A (ja) * 1999-04-07 2000-10-17 Nippon Industry Co Ltd 線材製鉄筋受け
KR200242901Y1 (ko) * 2001-05-31 2001-10-29 주식회사금성산업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7616U (ko) * 1976-08-16 1978-03-09
JPH0218820U (ko) * 1988-07-25 1990-02-07
JPH10121660A (ja) * 1996-10-18 1998-05-12 Nippon Kokan Light Steel Kk 合成スラブ谷部配筋用バー型スペーサー
JP2000291206A (ja) * 1999-04-07 2000-10-17 Nippon Industry Co Ltd 線材製鉄筋受け
KR200242901Y1 (ko) * 2001-05-31 2001-10-29 주식회사금성산업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980A (ko) 200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594B1 (en) Intersectional reinforcing bar support
US6629393B2 (en) Masonry reinforcing tie
US8006451B2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walled structure
US9297163B2 (en) Dual mesh level reinforcement bar support chair assembly
US8365489B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walled structure
US10017942B2 (en) Rebar wall set-up bar
US8733047B1 (en) Durable wall construction
US20110247291A1 (en) Reinforcement Bar Support Device
US6212848B1 (en) Construction chair with plastic base
KR100411706B1 (ko)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JP7021763B2 (ja) スラブ施工方法
KR200254870Y1 (ko)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US6907698B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walled structure
EP1880063B1 (en) A wall anchor and a cavity wall comprising such an anchor
JP2002266457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施工方法及び器具
WO2012115607A1 (en) A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walled structure
JPH1010266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29947B1 (ko)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입체형 와이어 메쉬
KR20110053684A (ko) 철근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JP2001012080A (ja) フープ筋係止具
JP3905858B2 (ja) 交点検測部材および法面補強工法
JP2004339867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及びスラブの構築方法
JP3868336B2 (ja) 成形床板支持部材、及び、段差付き床形成方法
KR101340871B1 (ko) 콘크리트 새들을 이용한 psc 거더 제작방법 및 콘크리트 새들을 이용한 psc 거더
KR20110119389A (ko) 강선재 매립형 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교량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