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173B1 - Electric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Electric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173B1
KR100409173B1 KR1019960023453A KR19960023453A KR100409173B1 KR 100409173 B1 KR100409173 B1 KR 100409173B1 KR 1019960023453 A KR1019960023453 A KR 1019960023453A KR 19960023453 A KR19960023453 A KR 19960023453A KR 100409173 B1 KR100409173 B1 KR 10040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fugal impeller
ratio
inlet
electric
electric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00161A (en
Inventor
히사노리 도요시마
후미오 죠라꾸
구니오 미야시따
시게노리 사또
유끼지 이와세
다까히로 나까이
시게사부로 고마쯔
다이지 다지마
도시야 시노자끼
다다유끼 호시
가즈오 다하라
다께시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940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4192A/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7000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1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제조 비용 저감 및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전동 송풍기 효율 및 청소기의 흡입 일률을 향상시키는 전동송풍기 및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Provided are an electric blower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ar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and improving the electric blower efficiency and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하였다.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was set to 40,000 to 50,000 rpm in a region where the suction air volum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was 1.0 m < 3 > / min or more.

또, 전동 송풍기의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 중앙측의 선단 끼리를 잇는 가상 원환의 면적 S1과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의 비 S1/S0를 1.0 내지 1.4로 하고,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하고,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하고,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를 2.0이하로 하고,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하였다.The ratio S 1 / S 0 of the area S 1 of the imaginary circular ring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center of the blad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of the electric blower to the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set to 1.0 to 1.4, The ratio b 2 / D 2 of the width dimension b 2 to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D 2 is 0.07 or more and the ratio of the inner diameter sid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1 · b 1 ) and the outer periphery sid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 D 1 · b 1 / D 2 · b 2 ) is set to 0.74 or less, the ratio b 1 / b 2 of the inlet width dimension b 1 and the outlet width dimension b 2 of the blade is 2.0 or less, The ratio R / b 1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ed portion to the blade inlet width dimension b 1 was set in the range of 0.6 to 0.9.

Description

전기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흡입력의 구동원이 되는 전동 송풍기의 소형 경량화 및 고출력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blower which becomes a driving source of a suction forc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오늘날의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 청소기는 카펫트 등의 먼지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시장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보다 강한 흡입력이 요구되고 있다. 흡입력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흡입 일률이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이런 흡입 일률의 향상에 수반하여 소비 전력이 1000W급 전동기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가 발매되고 있다.BACKGROUND ART Electric vacuum cleaners used in ordinary households today require stronger suction power in response to demands from the market that dust such as carpets does not easily fall off. A suction force is used as a unit for indicating a suction force. Recently, an electric vacuum cleaner using a 1000W electric motor with power consumption has been releas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suction uniformity.

전기 청소기에는 주로 정류자 전동기가 이용되고 있으며, 그 공력 특성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의 공력 특성은, 횡축의 흡입풍량이 적어짐에 따라서 정류자 전동기에 걸리는 부하가 작아지며, 전류치 즉 소비 전력은 저하하고, 회전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통상 최대(개방) 풍량 영역에서는 전동기의 소비 전력은 최대가 되며, 풍량 밀폐 상태에서는 전동기의 회전수는 최대가 된다.A commutator motor is mainly used for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nd its aerodynamic characteristic is shown in FIG. 2, i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the load on the commutator electric motor becomes smaller as the suction air amount on the abscissa axis becomes smaller, the current value, that is, the power consumption decreases,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increases. Therefore, in the normal maximum (open) air volume regio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motor becomes maximum, and in the airtight airtight stat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becomes maximum.

또, 먼저 서술한 흡입 일률은 풍량x진공도로 표시되고, 전동기에 부착되는 송풍기의 특성 및 청소기 본체의 통기 저항 등으로부터 결정되는 동작 풍량의 최대치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uction uniformity is expressed by the air volume x vacuum degree, and shows the maximum value of the operating air amount determin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wer attached to the electric motor and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cleaner main body.

일반 가정에서 이용되는 소비 전력은 1000W급 전기 청소기의 경우, 흡입 풍량이 1.0 내지 1.5m3/min에서 최대가 된다.In the case of a 1000W class electric vacuum cleaner, the power consumed in a home is maximized at a suction air volume of 1.0 to 1.5 m 3 / min.

이 흡입 일률은 청소기의 흡입 능력을 도시하는 값의 하나이며, 청소기의 보다 강한 흡입력을 얻는 의미에서도 이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근래에는 마루면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피청소면이 다종 다양화되어 오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빨리 청소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보다 강한 흡입력이 필요해지고 있다.This suction uniformity is one of the values indicating the suction ability of the vacuum cleaner, and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uction force in the sense of obtaining a stronger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Especially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cleaning surfaces have been diversified as represented by a floor surface, and it is required that the cleaning surface can be cleaned quickly under any circumstances, so a stronger suction force is required.

또, 흡입 일률은,In addition,

흡입 일률=전동 송풍기의 공력적 출력(팬 출력)-청소기 본체 통기 손실이라고도 표시할 수 있다. 이로부터, 흡입 일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팬 출력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본체 통기 손실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본체 통기 손실은 예를 들면 호스의 직경을 굵게 하거나 청소기 본체를 크게 하는 등과 같이 청소기의 형태를 바꿈으로써 저감시킬 수는 있으나, 청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저하된다는 이유에서 청소기의 형태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Inhalation rate = Aerodynamic output of electric blower (fan output) - It can also be called as ventilation loss of main body.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an output or to reduce the ventilation loss of the main body in order to improve the suction uniformity. The ventilation loss of the main body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vacuum cleaner,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hose or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However, changing the shape of the vacuum cleaner due to deterioration in operability in using the vacuum cleaner impossible.

한 편, 팬 출력은,On the other hand,

팬 출력=전동기 입력(소비 전력)x전동기 효율x송풍기 효율로 표시할 수 있다. 팬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비 전력, 전동기 효율, 송풍기 효율의 각각을 향상시키면 되지만,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이미 1000W급이 주류로 되어 있으며, 에너지 절약 등의 시류로부터 생각하면, 가정용 기기로서 소비 전력을 이 이상 증가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Fan output = motor input (power consumption) x motor efficiency x blower efficiency. In order to improve the fan output, the power consumption, the motor efficiency, and the bl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respectively. However, the power consumption is already 1000 W. In view of the energy saving, Or more.

따라서, 팬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동기 및 송풍기 즉 전동 송풍기의 효율(공기 역학적 팬 출력(W)/전동기 입력(W))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aerodynamic fan output (W) / motor input (W))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blower, that is, the electric blower in order to improve the fan output.

종래에는 전동기 및 송풍기의 효율 향상을 중시하고 각각의 최적화를 도모하여 원심 팬의 외경을 105 내지 115mm정도, 회전수를 30000 내지 35000회전 마다 설정하고 있으며, 전동기 및 송풍기의 효율을 45 내지 48% 까지 달성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the motor and the blower is emphasized, the outer diameter of the centrifugal fan is set to about 105 to 115 mm,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is set to every 30000 to 35000 revolutions, and the efficiency of the motor and the blower is adjusted to 45 to 48% .

그러나,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송풍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부위에서의 압력 누설에 의한 손실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통기 저항을 저감시키거나 하고 있었으므로, 시일 부재를 설치하거나, 부품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거나 혹은 통기 면적을 크게 확보하는 등, 비용 저감 및 소형화에 반하는 방법으로 대응해 왔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the airtightness performance is improved or the ventilation resistance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loss due to the pressure leakage at each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blower efficiency. Therefore, , It has been dealt with a method contrary to the cost reduction and the miniaturization such as improving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parts or securing a large ventilation area.

또, 전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권선 직경을 굵게 하여 동손을 저감하거나, 철심재에 철손이 적은 고급 규소 강판을 사용하게 하고 있었으므로, 비용이 상승하거나, 전동기가 대형화하고, 그에 수반하여 청소기의 조작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moto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winding to reduce the loss of copper or to use the high-grade silicon steel sheet having a small iron loss in the iron core material.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cost or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electric mo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bility of the apparatus is deteriorated.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 저감 및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전동 송풍기 효율 및 청소기의 흡입 일률을 향상시키는 전동 송풍기 및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blower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ar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blower and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clea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정류자 전동기 및 원심 팬을 갖고,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 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 blower having a commutator motor and a centrifugal fan for generating a suction air flow, a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collecting by a suction air flow generated by the electric blower, An electric blower and a cleaner main body having the dust collecting part therein, wherei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is set to 40,000 to 50,000 rpm in a region where the suction air volum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1.0 m 3 / min or more.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최대 풍량 영역에서으 소비 전력이 약 1000W로 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 rpm으로 설정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set to about 1000 W in the maximum air volume reg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in the region where the suction air volum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1.0 m 3 / To 50000 rpm.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최대 풍량 영역에서의 소비 전력이 약 1000W로 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 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축의 길이를 100mm 이하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n the maximum air volume region is set to about 1000 W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blower in the region where the suction air volum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1.0 m 3 / 40000 to 50000 rpm, and the length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ommutator electric motor is set to 100 mm or less.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최대 풍량 영역에서의 소비 전력이 약 1000W로 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 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정류자의 외경을 18 내지 23mm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n the maximum air volume region is set to about 1000 W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blower in the region where the suction air volum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1.0 m 3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mutator of the commutator motor is set to 18 to 23 mm.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전기자 권선 직경은 0.6mm 이상 및 계자 권선 직경은 1.1mm 이상인 권선을 채용한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nding having a diameter of an armature winding of 0.6 mm or more and a diameter of a field winding of 1.1 m or more is adopted as the commutator motor.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카본 브러시의 저항률을 20μΩ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ivity of the carbon brush of the commutator electric motor is 20 占 m m or less.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고정된 원심 임펠러의 주위를 덮는 팬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 케이싱의 중앙부에 형성한 흡입구에 상기 원심 임펠러의 측판의 중앙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입구부를 대향시킨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 중앙측의 선단 끼리를 이은 가상 원환의 면적 S1과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의 비 S1/S0를 1.0 내지 1.4로 하고,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설정하고,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설정하고,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를 2.0 이하로 설정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an casing that covers the periphery of a centrifugal impeller fixed to a rotary shaft of an electric motor and is installed upright from a central portion of a side plat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at a suction port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an casing Wherein the ratio S 1 / S 0 of the area S 1 of the imaginary circular ring and the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to the front ends of the center of the blad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set to 1.0 to 1.4, set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utlet width b 2 and the non-b 2 / D 2 of the outer diameter D 2 of the blade by more than 0.07, and the inn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D 1 · b 1) and the out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ratio (D 1 · b 1 / D 2 · b 2) a set to not more than 0.74, and set the blade inlet width b 1 and the outlet width b 2 ratio b 1 / b 2 of 2.0 or less in b 2) It is.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부는 라운딩을 갖고 세워지도록 형성되고, 원심 임펠러를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r, characterized in is formed to be erected has an inlet portion rounding of said centrifugal impeller, by a centrifugal impeller with inlet part meridional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ed corners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of the present time And the ratio R / b 1 is set in the range of 0.6 to 0.9.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팬 케이싱의 흡입구에 있어서의 기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기류 가이드를 설치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airflow guide for smoothly guiding the airflow at the inlet of the fan casing.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호스가 접속되는 흡입구에 연통하는 집진실과, 이 집진실의 후방에 형성된 전동 송풍기실과, 이 전동 송풍기실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전동 송풍기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고정한 원심 임펠러의 주위를 덮는 팬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 케이싱의 중앙부에 형성한 흡입구에 상기 원심 임펠러의 측판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한 입구부를 대향시킨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중앙측 선단 끼리를 잇는 가상 원환의 면적 S1과,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의 비 S1/S0를 1.0 내지 1.4로 하고,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하고,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하고,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를 2.0이하로 하고,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ust collecting chamber communicating with a suction port to which a hose is connected, an electric blower chamber formed in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n electric blower provided in the electric blower chamber,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fan casing that covers the periphery of a centrifugal impeller fixed to a rotating shaft of an electric motor and has an inlet portion provided at a center portion of a side plat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facing a suction port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an casing, the linking of the impeller blade central portion leading between the area S 1 of the virtual-membered ring and a non-S 1 / S 0 of the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to 1.0 to 1.4, and the outer outlet width b 2 of the blade the ratio b 2 / D 2 of the outer diameter D 2 less than 0.07, and the inn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D 1 · b 1) and the ratio (D 1 · b 1 of the out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 D 2 · b 2 ) Of less than 0.74,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and the outlet width b 2 of the non-b 1 / b 2 to 2.0 or less, and the inlet portion to the meridional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ing of the time R and the blade inlet width to a non-R / b 1 b 1 of the dimensions set in the range of 0.6 to 0.9.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 rpm으로 설정함으로써, 전동 송풍기의 효율을 50% 이상 달성할 수 있고, 전동 송풍기의 흡입 일률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to 40,000 to 50,000 rpm,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blower can be increased to 50% or more, and the suction rate of the electric blower can be improved.

또, 팬 부하 특성 및 전동기의 자기 특성을 적정화하여, 전동 송풍기를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취급성 및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n load characteristics and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motor can be optimiz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lectric blower, thereby improving handling and operability.

또, 샤프트 길이를 100mm 이하로 하고, 정류자 외경을 18 내지 23mm로 설정하게 하고 있으므로,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가 상승한 경우에 있어서도 샤프트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ft length is set to 100 mm or less and the outside diameter of the commutator is set to 18 to 23 mm, rigidity of the shaft can be secured even w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rises.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와 블레이드 입구 면적 S1및 측판의 입구부의 라운딩의 곡률 반경과 블레이드 입구 폭 b1에 대해 배려하고, 또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배려함으로써 송풍 효율을 향상하고,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area S 0 and the blade inlet area S 1 and the rounded corners of the inlet section side curvature radius and consideration for the blade inlet width b 1, and further the outer peripheral side outlet width of the blades of the centrifugal impeller, b 2 and the ratio b 2 / D 2 of the outer diameter D 2, the inner channel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D 1 · b 1) and the out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ratio (D 1 · b 1 / D 2 of, b 2), of the inlet width b 1 and the outlet width b 2 ratio b 1 / b 2, the inlet portion to the meridional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ing of the time R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of the blade non-R / By considering b 1 , the blow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noise can be reduced.

또, 이와 같은 원심 임펠러를 사용한 전동 송풍기는 축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높은 송풍 효율로 저소음의 전동 송풍기 및 전기 청소기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axial length of the electric blower using the centrifugal impeller can be shorten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electric blower and the electric vacuum cleaner small in noise with high blowing efficienc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0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10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있어서, 1001은 제어 회로나 전동 송풍기 등이 내장된 청소기 본체, 1002는 청소기 본체(1001)의 흡입구부에 접속된 호스, 1003은 일단측에 호스(1002)를 접속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쥐기 위한 호스 손잡이부, 1004는 호스 손잡이부(1003)의 타단측에 접속된 연장관, 1005는 연장관(1004)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 1006은 호스 손잡이부(1003)에 설치된 스위치 조작부, 1007은 호스 손잡이부(1003)에 설치된 제1 적외선 발광부, 1008은 호스 손잡이부(1003)에 설치된 제2 적외선 발광부, 1009는 청소기 본체(1001)의 상면에 설치된 적외선 수광부이며, 1010은 실내의 천정을 도시하고 있다.In this figure, reference numeral 1001 denot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circuit or an electric blower, etc., 1002 a hos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cleaner main body 1001, 1003 a hose 1002 connected to one end, Reference numeral 1004 an extension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handle 1003, reference numeral 1005 an inlet member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1004, reference numeral 1006 a switch op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se handle 1003, reference numeral 1007 a hose handle A first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1003 provided in the hood handle 1003, a second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1008 installed in the hose handle 1003, an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1009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01, .

제11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청소기 본체(1001)는 그 전방부에 하부를 덮는 하부 케이스(1101)와 그 전방면 상부를 덮는 덮개 부재(1102), 덮개 부재(1102) 상에 설치된 흡입구(1103), 집진 주머니를 수납하는 집진실(1104), 집진실(1104) 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재(1102)와는 별도의 부재로 덮개 부재(1102) 상에 설치된 기밀 유지 카버(1105)를 갖고, 그 후방에 하부 케이스(1101)와 상부 케이스(1106)로 형성되는 전동 송풍기실(1108)을 갖고 있다. 또, 집진실(1104)에는 집진 주머니(1107), 전동 송풍기실(1108)을 갖고 있다. 또, 집진실(1104)에는 집진 주머니(1107), 전동 송풍기실(1108)에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전동 송풍기(1109)가 수납되어 있다. 이 전동 송풍기(1109)의 흡기측에는 필터(1110)를 설치하여 집진실(1104)과 연통하고 있다. 집진실(1104)의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케이스(1101)의 벽면 상부에는 패킹(1111)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패킹(1111)과 기밀 유지 카버(1105)가 압접되고, 집진실(1104)의 기밀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1106)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스 카버(1112)로 덮인 기판 수납부(1113)가 형성되고, 제어 기판(1114)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 기판(1114)에는 1장 또는 2장의 제어 기판(1114) 상에는 호스 손잡이부(1003)의 제1 적외선 발광부(1007) 및 제2 적외선 발광부(1008)로부터 방사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 소자(11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외선 수광 소자(1115)에 적외선 신호가 도달하도록 상부 케이스 카버(1112) 상에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별도의 재료로 성형한 적외선 수광부(1009)가 설치되어 있다. 적외선 수광부(1009)는 상부 케이스 카버(1112) 자체를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The cleaner main body 1001 includes a lower case 1101 that covers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1 and a lid member 1102 that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001. A suction port 1103 that is provided on the lid member 1102, A sealing member 1102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1102 with a member different from the cover member 1102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in the dust chamber 1104, And an electric blower chamber 1108 formed by an upper case 1106.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104, a dust bag 1107 and an electric blower chamber 1108 are provided. The dust collecting bag 1107 and the electric blower chamber 1108 are hous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104 with an electric blower 1109 for collecting dust. A filter 1110 is provided on the intake side of the electric blower 1109 to communicate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104. A packing 1111 is disposed above the wall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1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104. The packing 1111 and the airtightness storing carver 1105 are in pressure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confidentiality of. A substrate storage portion 1113 covered with an upper case cover 1112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1106 and a control board 1114 is housed. The control board 1114 is provided with one or two control boards 1114 for receiving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first infrared ray emitting portion 1007 and the second infrared ray emitting portion 1008 of the hose grip 1003, A light receiving element 1115 is provided. And an infrared light receiving portion 1009 formed by a separate material that transmits infrared light is provided on the upper case cover 1112 so that an infrared signal can reach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1115. The infrared ray receiving portion 1009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ase cover 1112 itself by using a material that transmits infrared rays.

다음에, 제10도 및 제11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청소기 사용자가 호스 손잡이부(1003)에 설치된 스위치 조작부(1006)의 하나를 누르면, 눌러진 스위치에 다른 신호 코드가 적외선 신호로 제1 적외선 발광부(1007) 및 제2 적외선 발광부(1008)로부터 방사된다. 제1 적외선 발광부(1007)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대략 연직 상방을 햐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적외선 발광부(1007)로부터 방사된 적외선 신호는 방의 천정이나 벽에 닿아서 반사하고, 청소기 본체(1001)의 적외선 수광부(1009)에 도달한다. 또, 제2 적외선 발광부(1008)는 호스 손잡이부의 그립 엔드에 대략 수평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적외선 발광부(1008)로부터 방사된 적외선 신호는, 직접, 청소기 본체(1001)의 적외선 수광부(1009)에 도달한다. 적외선 수광부(1009)에 도달한 적외선 신호는 적외선 수광 소자(1115)에 의해 수광되고, 제어 기판(1114)을 거쳐서 청소기를 제어하게 하고 있다.When the user of the vacuum cleaner presses one of the switch operating portions 1006 provided on the hose handle 1003, another signal code is transmitted to the pressed switch from the first infrared light emitting portion 1007 and the second infrared light emitting portion 1008 as an infrared signal . The first infrared ray emitting portion 1007 is arranged so as to be substantially vertically upward in a normal use state, and the infrared ray signal radiated from the first infrared ray emitting portion 1007 touches the ceiling or the wall of the room and is reflected. And reaches the infrared ray receiving portion 1009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portion 1001. The infrared ray signal emitted from the second infrared ray emitting portion 1008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leaner body 1001 through the grip end of the hose handle portion, And reaches the infrared ray receiving portion 1009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portion 1009. The infrared signal arriving at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portion 1009 is received by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1115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board 1114 to control the vacuum cleaner.

청소기 본체(1001)에 내장되는 전동 송풍기(1109)는 청소기 본체 내의 공간의 대부분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작은 전동 송풍기가 요망된다. 게다가, 보다 강한 흡입력을 필요로 하는 시장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르도록, 흡입 이률을 향상시킨 전동 송풍기가 요망된다.Since the electric blower 1109 incorpor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1001 uses most of the space in the cleaner main body, a smaller electric blower is desired. In addition, an electric blower with improved suction rate is desired to meet demands from a market that requires a stronger suction force.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제1도에 본 실시예의 전동 송풍기(1109)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blower 1109 of this embodiment.

전동 송풍기(308)는 송풍기부(1)와 전동기부(2)로 대별된다. 전동기부(2)는 하우징(3) 내부에 회전축(4)에 고정된 로우터(5)와, 스테이터 코일(6)이 권취된 스테이터(7)를 구비한다. 하우징(3)은 그 개방단에 좁은 플랜지부(3a)를 설치한 깊은 컵 형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베어링 지지부(3b)에는 상기 회전축(4)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어링(8a)이 설치된다. 하우징(3)의 외주 벽부에는 브러시 지지기(15)가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 지지기(15)에는 카본 브러시(16)가 수납되어 있으며, 정류자(17)의 외주면에 스프링 등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본 브러시(16)로부터 정류자(17)로 급전하게 하고 있다.The electric blower 308 is roughly divided into a blower unit 1 and an electric motor unit 2. [ The electric motor unit 2 includes a rotor 5 fixed to a rotary shaft 4 inside a housing 3 and a stator 7 wound with a stator coil 6. The housing 3 is formed in a deep cup shape having a narrow flange portion 3a at its open end and a bearing supporting portion 3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nd f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bearing 8a. A brush holder 15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housing 3 by screwing. A brush brush 16 is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15 and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mutator 17 by a spring or the like. Then, the carbon brush 16 is fed to the commutator 17.

또, 이 하우징(3)의 단부면부 측 외주부에는 배기구(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우징(3)의 개방 단부측에는 엔드 브래킷(9)이 결합되고, 이 엔드 브래킷(9)을 거쳐서 상기 전동기부(2)와 상기 송풍기부(1)가 접속된다.An exhaust port 3c is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ousing 3 on the side of the end face. An end bracket 9 is coupled to the open end side of the housing 3 and the electric motor unit 2 and the blower unit 1 are connected via the end bracket 9.

상기 엔드 브래킷(9)은 그 중앙에 베어링 지지부(9a)가 형성된 단부면부와 그 개방단에 넓은 플랜지부(9b)를 설치한 통형 외주부에 의해 얕은 컵형으로 구성되고, 외주부에는 송풍기부(1)로부터의 공기를 전동기부(2) 내로 도입하기 위한 흡입부(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지지부(9a)에는 상기 회전축(4)의 타단을 베어링 지지하는 베어링(8b)이 설치된다. 또, 이 엔드 브래킷(9)의 외주에는 상기 흡기구(9c)에 이어지는 디퓨저(10)가 배치되고, 그 상류측에는 너트(11)에 의해 상기 회전축(4)의 단부에 고정된 원심 임펠러(1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10) 및 원심 임펠러(12)는, 상기 엔드 브래킷(9)의 플랜지부(9b)의 외주에 압입하여 고정된 팬 케이싱(13)으로 덮여진다. 또, 팬 케이싱(13)의 중앙에는 상기 원심 임펠러(12)의 입구에 기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기류 가이드(13a)에 의해 형성한 흡입구(13b)가 설치되어 있다. 기류 가이드(13a)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호형으로 되게 형성되고, 원호의 내측에는 상기 원심 임펠러(12)의 측판의 중앙에 형성된 입구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시일부재(14)를 장착하여 흡입구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The end bracket 9 is formed in a shallow cup shape by an end surface portion formed with a bearing support portion 9a at the center thereof and a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portion provided with a wide flange portion 9b at an open end thereof. A suction portion 9 for introducing the air from the compressor 1 into the electric motor portion 2 is formed. The bearing supporting portion 9a is provided with a bearing 8b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4. A diffuser 10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bracket 9 and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9c. A centrifugal impeller 12 fixed to an end of the rotary shaft 4 by a nut 11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 The diffuser 10 and the centrifugal impeller 12 are covered with the fan casing 13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9b of the end bracket 9 and is fixed. In the center of the fan casing 13, there is provided an inlet 13b formed by an airflow guide 13a for smoothly guiding an airflow to the inlet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 The airflow guide 13a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in its cross section and a seal member 14 slidingly contacts with an inle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ide plat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is mounted inside the circular arc, .

디퓨저(10)는 원심 임펠러(11)의 외주측 연장 상에 형성된 17장의 디퓨저 블레이드(10a)와, 그 배면측에 형성된 리턴 가이드(10b)를 구비하고, 리턴 가이드(10b)는 엔드 브래킷(9)과 함께 공기류를 상기 흡기구(9c) 까지 유도하는 복귀안내 통로를 형성한다.The diffuser 10 has seventeen diffuser blades 10a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extension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1 and a return guide 10b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diffuser blade 10a and the return guide 10b includes an end bracket 9 To form a return guide passage for guiding the airflow to the intake port 9c.

다음에, 전동 송풍기(1109) 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전동기부(2)를 구동하여 원심 임펠러(12)를 회전시키면 흡입구(13b)로부터 팬 케이싱(13) 내로 공기가 유입한다. 이 때, 기류 가이드(13a)는 원심 임펠러(12)에 유입하는 공기류를 정류한다. 원심 임펠러(12)로부터 토출된 공기류는 디퓨저 블레이드(10a)의 사이를 통과하고, 디퓨저(10)의 외주와 팬 케이싱(13)의 내주와의 환형 간극부에 있어서 180도 방향 전환하고, 또 리턴 가이드(10b)를 통과한 후에, 흡기구(9c)를 통하여 하우징(3) 내로 도입된다. 하우징(3) 내로 도입된 공기는 로우터(5)를 냉각하는 동시에 스테이터(7)와 하우징(3)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로를 통하고, 스테이터 코일(6)을 냉각하여 배기구(3c)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Next, the flow of air in the electric blower 1109 will be described. When the centrifugal impeller 12 is rotated by driving the motor base 2, air flows into the fan casing 13 from the suction port 13b. At this time, the airflow guide 13a rectifies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centrifugal impeller 12. [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centrifugal impeller 12 passes between the diffuser blades 10a and is turned 180 degrees in the annular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ffuser 1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fan casing 13, Passes through the return guide 10b, and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3 through the intake port 9c.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3 cools the stator coil 6 through the air passage formed between the stator 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 while cooling the rotor 5 to cool the rotor 5 from the exhaust port 3c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다음에 제2도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흡입 일률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using FIG. 2.

청소기의 흡입 일률은 풍량×진공도로 표시된다. 이 흡입 일률은 송풍기(30)의 특성 및 청소기 본체의 통기 저항 등으로부터 결정되는 동작 풍량에서 최대치를 표시하고, 소비 전력 1000W급의 일반적인 가정용 청소기의 경우, 풍량이 1.0 내지 1.5m3/분에서 최대가 된다.The suction rate of the vacuum cleaner is indicated by air volume × vacuum. The suction power is maximum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air volume operation display maximum value, and power consumption 1000W grade common household cleaner in which is determined from the air flow resistance, etc., the flow rate is 1.0 to 1.5m 3 / min of air blower 30 .

흡입 일률은, 청소기의 흡입 능력을 도시하는 기준이 되는 값이며, 청소기의 기능상 이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최근의 주택은 피청소면이 다종 다양화되어 오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재빨리 청소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보다 강력한 흡입력이 요구된다.The suction uniformity is a standard value showing the suction capability of the vacuum cleaner, and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in terms of its function. Especially, recent houses have been diversified into various types of cleaning surfaces, and it is required to be able to clean them quickly under any circumstances. Therefore, a stronger suction force is required.

또, 흡입 일률은,In addition,

흡입 일률=전동 송풍기의 공력적 출력(팬 출력)-청소기 본체 통기 손실로 표시된다. 즉, 흡입 일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팬 출력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본체 통기 손실을 저감시켜야 함을 알 수 있다.Uniformity of suction = Aerodynamic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fan output) - Indicated as the ventilation loss of the cleaner main body. That is, it is understood that the fan output should be improved or the ventilation loss of the main body must be reduced to improve the suction uniformity.

본체 통기 손실은, 예를 들면 호스의 직경을 굵게 하거나, 혹은 청소기 본체를 대형화하는 등으로 저감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만큼 청소기 본체가 대형화되고, 조작성이 저하되어 버린다.The ventilation loss of the main body can be reduced,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hose 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However, the size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becomes larger and the operability is lowered.

한 편, 팬 출력,On the other hand,

팬 출력=전동기 입력(소비 전력)×전동기 효율×송풍기 효율Fan output = motor input (power consumption) × motor efficiency × blower efficiency

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항목을 향상시키면 좋지만,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이미 1000W급이 주류로 되어 있으며, 에너지 절약의 흐름에서 생각하면, 가정용 기기로서 이 이상 증가시킬 수 없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팬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동기 및 송풍기 즉 전동 송풍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전동 송풍기 효율이라 함은 공기 역학적인 팬 출력(W)를 전동기 입력(W)으로 나눈 것이다.It is necessary to improve each item as shown in Fig. 1B.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mainstream of the power consumption is already 1000W, and it can not be increased more as a household appliance considering the flow of energy saving.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fan outpu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blower, that is, the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blower efficiency is the aerodynamic fan power (W) divided by the motor input (W).

이하, 전동 송풍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a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blower will be described.

제3도에 회전 속도에 대한 송풍기부(1), 전동기부(2) 및 그 적인 전동 송풍기(1109)의 효율을 산출한 결과를 도시한다.FIG. 3 shows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efficiency of the blower unit 1, the electric motor unit 2 and the electric blower 1109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speed.

이는, 사용하는 부품 재료, 형상에 따라 달라지지만 종래의 구성 조건에서 효율을 구한 경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This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efficiency is obtained under the conventional constitutional conditions though it depends on the part material and shape to be used.

제3도에 있어서, 전동기부(2)는 회전수의 향상과 함께 기계 손실이라고 불리우는 베어링 손실이나 마찰 손실이 증가하여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대해 원심 임펠러(12)를 갖는 송풍기부(1)의 효율은, 회전수의 증가와 함께 효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도시한다.In Fig. 3, the electric motor unit 2 tends to hav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an increase in bearing loss or friction loss, which is called a mechanical loss, resulting in a decrease in efficiency. On the contrary, the efficiency of the blower unit 1 having the centrifugal impeller 12 shows a tendency that the efficiency is improv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또, 원심 임펠러(12)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원심 임펠러(12)의 외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해 원심 임펠러(12)의 원판 마찰 손실이 저하되어, 송풍기부(1)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uter diameter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small. This reduces the frictional loss of the disk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Can be improved.

그래서, 이들의 곱으로 표시되는 전동 송풍기(1109)의 효율을 보면, 약 45000rpm 부근을 피크로, 약 40000 내지 50000rpm의 영역에서 효율 50%를 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대 전동 송풍기 효율 즉 최대 흡입 일률을 얻는 전동 송풍기를 위해서는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blower 1109 represented by these products exceeds about 45000 rpm as the peak, and exceeds 50% as the efficiency in the range of about 40000 to 50000 rpm.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should be set to 40,000 to 50,000 rpm for an electric blower which obtains the maximum electric blower efficiency, that is, the maximum suction uniformity.

또, 정류자 전동기의 경우, 특성을 좌우하는 카본 브러시(16)의 정류 작용이 고속 회전시에 있어서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a commutator motor, the rectifying action of the carbon brush 16, which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 tends to become unstable at high speed rotation.

그래서, 고속 회전에 있어서의 카본 브러시(16)의 정류 특성, 베어링(8a, 8b)의 볼 베어링의 토오크 특성 및 제4a도,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합성 수지 등의 몰드 재료에 의해 성형된 정류자(17)의 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rectifying characteristics of the carbon brush 16 at high speed rotation, the torque characteristics of the ball bearings of the bearings 8a and 8b, and the like are shown in Figs. 4a and 4b by molding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strength of the commutator 17 that has been used.

한 편, 카본 브러시(16)의 마찰 손실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정류자(17)의 외경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카본 브러시(16)와의 미끄럼 이동 특성을 고려하고, 회전 중의 정류자편(17a)의 요철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치를 검토한 결과, 외경 18mm 이하가 되면 정류자편(17a)의 열용량이 저하한다. 또, 제4a도,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의 전동 송풍기의 소형화 요구에 수반하여, 결합부 A나 회전축(4)으로부터 거리 B인 치수가 크게 잡히지 않고, 23mm이상이되면, 정류자편(17a) 자체의 질량이 증가하여 원심력이 증가하고, 게다가 정류자편의 요철이 증가하여 카본 브러시(16)의 마모가 증가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loss of the carbon brush 16,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mutator 17 is small. Therefore, considering the sliding property with the carbon brush 16 and examining the optimum value for minimizing the unevenness of the commutator element 17a during rotation, the heat capacity of the commutator element 17a decreases when the outer diameter is 18 mm or less. As shown in Fig. 4a and Fig. 4b, when the size of the distance B from the engaging portion A or the rotating shaft 4 is not increased to a large extent of 23 mm or more due to the recent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ic blower, The mass of the carbon brush 17 itself increases and the centrifugal force increases, and the irregularities of the commutator pieces increase, thereby increasing the abrasion of the carbon brush 16.

이 때문에, 회전 속도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한 경우에도, 전동 송풍기(1109)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류자편(17a) 외경을 약 23m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rotational speed is set to 40,000 to 50,000 rpm, the outside diameter of the commutator segment 17a needs to be about 23 mm or less in order to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blower 1109 without deteriorating the characteristics.

정류자편(17a)의 요철 및 카본 브러시(16)의 열 열화 방지, 혹은 전동기부(2)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카본 브러시(16)의 발열을 가능한 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카본 브러시(16)의 발열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카본 브러시(16)의 전기 저항률을 20μΩm 이하로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It is necessary to suppress the heat generation of the carbon brush 16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irregularities of the commutator element 17a and the carbon brush 16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motor unit 2. [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carbon brush 16 should be 20 mu M or less in order to suppress the heat generation of the carbon brush 16. [

또, 상기 카본 브러시(16)의 수명을 연장하고 전동기부(2)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정류자(17)의 회전 중의 요동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는 정류자편(17a)의 강도 향상, 및 전기자(20)의 축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In order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carbon brush 16 and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 motor 2,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mmutator element 17a and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mmutator 17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shaft.

제6도는, 정류자 외경 변동과 축길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tator outer diameter variation and the axial length.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길이가 짧은 쪽이 강성이 증가하고, 고속 회전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정류자 전동기에 이용되는 수지 흑연질계의 카본 브러시(16)의 미끄럼 이동 특성면에서 필요한 정류자편(17a)의 외경의 변동범위를 20μm 이하로 하여 40000 내지 50000rpm의 회전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축 길이는 100mm이하로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horter the shaft length, the greater the rigidity and is suitable for high-speed rotation. Generally,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mutator segment 17a necessary for the slidability of the carbon brush 16 of the resin-graphitic system used for this kind of commutator electric motor is set to be not more than 20 占 퐉 and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40,000 to 50,000rpm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haft length needs to be 100 mm or less.

또, 원판 마찰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원심 임펠러(12)의 소형화와, 필요 출력 특성을 고려한 경우의 적절한 외경으로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70 내지100mm에 있어서 최대 효율을 도시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aximum efficiency is shown in the range of 70 to 100 mm as the diameter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for reducing the disk friction loss and the appropriate outer diameter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output characteristics have.

이상을 정리하면, 전동 송풍기(1109)로서 최대 효율을 얻기 위한 적절치는 원심 임펠러(12)의 회전수가 40000 내지 50000rpm이고 원심 임펠러(12)의 외경이 70 내지 100mm라고 할 수 있다.To summarize the above, an appropriate value for obtaining the maximum efficiency as the electric blower 1109 may be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is 40,000 to 50,000 rpm and the diameter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is 70 to 100 mm.

다음에, 제7도 내지 제9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Fig.

제7도는 상기 원심 임펠러(12)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이 원심 임펠러(12)는 6장의 블레이드(17)를 측판(18)과 주판(19)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구성된다. 각 블레이드(17)의 양측에는 측판(18) 및 주판(19)과 결합하기 위한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18)과 주판(19)에 설치된 각형 구멍에 상기 갈고리를 결합하여 코오킹함으로써 각각이 결합된다. 그리고, 측판(18)의 중앙부에 개구하는 입구(18a)는 상기 기류 가이드(13a)에 의해 형성된 흡입구(13b)에 설치된 상기 시일 부재(14)에 미끄럼 접촉하게 라운딩을 가지고 세워 설치된 입구부(18b)에 의해 형성된다.FIG. 7 shows the shap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in detail. This centrifugal impeller 12 is constituted by arranging six blades 17 radially between the side plate 18 and the main plate 19. On both sides of each blade 17 are formed hooks for engaging with the side plate 18 and the main plate 19 and by hooking the hooks to the rectangular holes provided in the side plate 18 and the main plate 19, . The inlet 18a opened at the center of the side plate 18 is connected to an inlet 18b provided with a rounded up contact with the seal member 14 provided at the inlet 13b formed by the airflow guide 13a. .

이와 같은 원심 임펠러(12)에 있어서, 효율 향상 및 소음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흡입한 공기를 원활하게 손실 없이 흘리는 것이 중요하다.In such a centrifugal impeller 12,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duce the noise, it is important to smoothly flow the sucked air without loss.

본 발명자들의 고찰에 따르면, 이 원심 임펠러(12)의 흡입측 측판(18)의 입구(18a)의 직경 치수를 D0로 한 때의 입구 면적 S0(=π/4·D0 2)와, 각 블레이드(17)의 중앙측 선단(17a)을 잇는 가상 원환의 직경(블레이드 입구 직경) 치수를 D1으로한 블레이드 입구 면적 S1(=π·D1·b1)과의 입구 면적비 S1/S0에 관해서는 입구 면적비 S1/S0가 큰 경우에는 입구 면적 S0에 대해 블레이드 입구 면적 S1이 과대해지면, 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흐름은, 임펠러(12)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해 블레이드(17)의 중심측의 내측단(17a)으로 흐를 때 유로 중에서의 감속이 급격히 커지기 때문에 흐름이 박리하고, 난류가 발생하여 소음이 높아지며, 임펠러 내에서의 손실이 증대하여 효율이 저하된다. 한 편, 입구 면적비 S1/S0가 작은 경우에는 입구 면적 S0에 대해 블레이드 입구 면적 S1이 너무 작아지면, 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흐름은 임펠러(1)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해서 블레이드(17)의 중심측의 내측단(17a)으로 흐를 때 증속류가 되며, 공기를 억지로 압입하게 되므로, 마찰 손실이나 충돌에 의한 손실이 증대하여 효율이 저하된다.According to the study by the present inventors, the centrifugal impeller 12 of the suction-side inlet area S 0 (= π / 4 · D 0 2) of when the a diameter of the inlet (18a) to the D 0 of the side plate 18 and the , each blade (17) center side front end (17a), the virtual-membered ring diameter (blade inlet diameter) dimensions for a blade inlet area to the D 1 S 1 of the linking of the (= π · D 1 · b 1) entrance area ratio of the S 1 / S 0 , when the inlet area ratio S 1 / S 0 is large, when the blade inlet area S 1 becomes larger than the inlet area S 0 , the flow of the air sucked from the inlet is increased from the center of the impeller 12 to the outer periphery The speed of the flow in the flow path is peeled off, the turbulence is generated, the noise is increased, the loss in the impeller is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is lowered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let area ratio S 1 / S 0 is small, if the blade inlet area S 1 becomes too small with respect to the inlet area S 0 , the flow of the air sucked from the inlet is increased from the center of the impeller 1 towar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17, the air is forced to press-fit, so that the friction loss and the loss due to the collision increase and the efficiency decreases.

그리고, 다수의 실험 검토에 의해, 이 공기가 흐르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인 원심 임펠러(12)의 입구 면적 S0와 블레이드 입구 면적 S1및 측판(18)의 입구부(18b)의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b1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험은, 원심 임펠러(12)의 외부 직경 치수 D2=φ95mm, 블레이드 입구 직경 치수 D1=φ36.7mm, 블레이드(17)의 갯수는 6장이며, 출구 폭 b2=8.1mm를 기본으로 하여 행하였다.A large number of experiments have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air flow is the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and the blade entrance area S 1 and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ing of the inlet 18b of the side plate 18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have had an effect on the efficiency, the resul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is experiment is based o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D 2 =? 95 mm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the blade inlet diameter dimension D 1 =? 36.7 mm, the number of blades 17 is 6, and the outlet width b 2 = 8.1 mm .

제8도는 입구부의 면적비 S1/S0에 관한 실험의 측정 결과이다. 가로축에 면적 비, 세로 축에 송풍기 효율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송풍기 효율 η는 송풍기 출력(공력적 출력)/전동기 입력/전동기 효율 로부터 구한 것이다. ○표는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9.0mm인 경우이며, ●표는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8.1mm인 경우이다. 어떤 경우에도, 효율 곡선의 경향은 같다.FIG. 8 show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the area ratio S 1 / S 0 of the inlet portion. The area ratio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blower efficiency on the vertical axis. Here, the blower efficiency? Is obtained from the blower output (aerodynamic output) / motor input / motor efficiency. The table shows the case where the inlet width dimension b 1 of the blade is 9.0 mm, and the table shows the blade inlet width dimension b 1 = 8.1 mm. In any case, the trend of the efficiency curve is the same.

면적비 S1/S0가 1.4 이상이 되면 효율이 서서히 저하하는 경향으로 되어 있으며, 역으로 면적비 S1/S0가 1.0 이하로 되면 효율이 저하해 가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 내부에서의 손실이 증대된 것의 증명이 가능해졌다. 종래의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의 면적비는 약 1.5 내지 1.6의 범위이므로, 이 입구 면적비 S1/S0를 1.0 내지 1.4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약 0.3% 이상의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송풍기 출력이 약 3W 이상 증가하여 흡입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When the area ratio S 1 / S 0 is 1.4 or more, the efficiency tends to gradually decrease. Conversely, if the area ratio S 1 / S 0 is 1.0 or les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fficiency decreases. That is,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e that the loss in the impeller has been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ea ratio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blower is in the range of about 1.5 to 1.6,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inlet area ratio S 1 / S 0 in the range of 1.0 to 1.4. In this example, an efficiency improvement of about 0.3% or more can be expected, so that the blower output is increased by about 3 W or more, so that the su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제9도는, 횡축에 측판(18)의 중앙부에 입구(18a)를 형성하는 입구부(18b)의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b1의 비 R/b1을 표시하고, 종축에 효율을 도시하고 있다.9 shows the ratio R / b 1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ing of the inlet portion 18b forming the inlet 18a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plate 18 to the blade inlet width b 1 on the abscissa, Respectively.

입구 면적비 S1/S0를 1.24로 하여 임펠러(12)의 외경 치수 D2가 φ95mm인 것과, φ97mm인 것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어느 경우에도,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b1의 비가 0.75 부근에서 최대 효율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곡률 반경 R이 7mm일 때 최대치를 표시하고 있다.The inlet area ratio S 1 / S 0 was 1.24, and the outer diameter D 2 of the impeller 12 was φ 95 mm and φ 97 mm. In any case, the maximum efficiency is shown when the ratio of the curvature radius R to the blade inlet width b 1 is around 0.75. In this example, the maximum value is indicate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R is 7 mm.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b1의 비가 0.6 보다 작은 영역은, 곡률 반경 R이 작아져서 기류가 급격히 꺾이게 되므로, 측판(18)의 입구부(18b)의 라운딩에 따라서 흐른 기류가 박리하여 주판(19)측으로 치우쳐서 실질 블레이드 입구 폭 b1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며,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In the region where the ratio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to the blade inlet width b 1 is smaller than 0.6, the radius of curvature R becomes small and the airflow is rapidly shrunk, so the airflow flowing along the rounding of the inlet portion 18b of the side plate 18 peels off, 19) side, the effective blade inlet width b 1 can not be effectively used, which causes a decrease in efficiency.

한편,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가 0.9를 넘으면, 재료의 교축량이 많아지므로 가공의 한계가 되며, 측판(18)의 입구부(18b)의 선단면에 갈라짐이 발생하거나 가공 정밀도가 저하하거나 하므로, 상기 입구부(18b)를 추가 가공해야 하고, 이 가공에 의해 기류가 측판(18)의 입구부(18b)에 따라서 흐르기 어렵게 되며, 난류가 발생하여 박리가 커져 버리므로, 효율이 저하하고, 소음이 증대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측판(18)의 입구부(18b)를 자오면에서 본 때의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R/b1)은 0.6 내지 0.9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ratio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to the blade inlet width dimension b 1 is more than 0.9, the amount of throttling of the material becomes large, so that the processing becomes the limit. When the front end face of the inlet portion 18b of the side plate 18 is cracked, It is difficult to flow the airflow along the inlet portion 18b of the side plate 18 by this processing and the turbulence is generated and the peeling becomes large. As a result, the efficiency And the noise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R / b 1 )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ing to the blade inlet width dimension b 1 when the entrance portion 18b of the side plate 18 is viewed from the meridional plane is set to 0.6 to 0.9.

또, 원심 임펠러(12)는 일량이 큰 외주부의 블레이드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경 치수 D2와 출구 폭 치수 b2의 비(=b2/D2)를 0.07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출구 폭 치수 b2가 작아지면, 당연히 원심 임펠러(12)의 부하가 가벼워지며, 회전수가 과대해지거나 충분한 유량이 얻어지지 않게 되므로, 최소한의 출구 폭 치수 b2가 필요해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ifugal impeller 12 has a larger bladed area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having a larger work amount and the ratio (= b 2 / D 2 ) of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D 2 and the outlet width dimension b 2 is preferably 0.07 or more . When the outlet width dimension b 2 is small, the load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naturally becomes light, the rotational speed becomes excessive, or a sufficient flow rate can not be obtained. Therefore, a minimum outlet width dimension b 2 is required.

원심 임펠러(12)의 블레이드(17)의 내주측의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은 이 사이를 흐르는 기류의 유속에 영향을 받는다. 큰 감속류로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내주측의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의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1 · b 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lade 17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and the out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are influenced by the flow velocity of the airflow flowing therebetween. In order to prevent a large deceleration current inn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side (D 1 · b 1) and the ratio (= D 1 · b 1 / D 2 · b 2)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of the outer 0.74 or less.

또, 송풍기부(1)를 소형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원심 임펠러(12)의 높이를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한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17)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상반하는 조건을 고려하여, 일량이 큰 외주부의 블레이드 면적을 확보하면서 높이(블레이드(17)의 폭 치수)를 올려서 편평한 형태의 원심 임펠러(12)로 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17)의 입구 폭 치수 b1와 출구 폭 치수 b2의 비(=b1/b2)를 2.0 이하로 하였다.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in order to make the blower unit 1 compact.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blade 17 in order to secure a required flow r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contradictory con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eight (the width dimension of the blade 17) to be a flat type centrifugal impeller 12 while securing the blade area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having a large amount, (= B 1 / b 2 ) of the inlet width dimension b 1 and the outlet width dimension b 2 of the first and second outlet openings is 2.0 or less.

이상과 같이 구성된 원심 임펠러(12)를 사용한 송풍기부(1)는 입구부에서의 흐름의 감속 상태가 양호해지므로, 효율의 향상과 소음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원심 임펠러(12)의 측판(18)의 중앙부에 형성한 입구(18a)의 입구 면적 S0와 블레이드 입구 면적 S1의 입구 면적비 S1/S0를 1.0 내지 1.4의 범위로 하고, 블레이드(17)의 출구 폭 치수 b2와 임펠러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하고, 내주측의 유로 단면적과 외주측의 유로 단면적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하고, 블레이드(17)의 입구 폭 치수 b1과 블레이드 출구 폭 치수 b2의 비(b1/b2)를 2.0 이하로 설정하고, 또 입구부(18b)의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과의 비 R/b1을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송풍기부(1)의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In the blower unit 1 using the centrifugal impeller 12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celeration state of the flow at the inlet portion becomes good,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noise can be reduced. That is, the inlet area S 0 of the inlet 18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ide plate 18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and the inlet area ratio S 1 / S 0 of the blade inlet area S 1 are set in the range of 1.0 to 1.4, the outlet width b 2 and the impeller outside diameter ratio b 2 / D 2 of D 2 of 17 to more than 0.07, and the inner circumference ratio of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and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ide (D 1 · b 1 / D 2 B 2 ) is set to 0.74 or less and the ratio b 1 / b 2 of the inlet width dimension b 1 and the blade outlet width dimension b 2 of the blade 17 is set to 2.0 or less and the diameter of the inlet portion 18b the ratio R / b 1 of the curvature radius of the rounded corners R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was able to recognize that by setting the range of 0.6 to 0.9, can be maintained in good conditions the efficiency of the blower unit (1).

이상과 같이 검토 결과에 따르면, 원심 임펠러(12)의 입구 면적 S0와 블레이드 입구 면적 S1및 측판(18)의 입구부(18b)의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폭 치수 b1의 관계에 있어서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원심 임펠러(12)의 신규한 설계나 일부 사양 변경 등에 대해서도 곡률의 저하나 소음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the blade inlet area S 1, and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ing of the inlet 18b of the side plate 18 and the blade width dimension b 1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useful results and to cope with the novel design of the centrifugal impeller 12, the change of some specifications, and the like without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curvature or an increase in noise.

또, 이와 같이 편평한 원심 임펠러(12)를 사용한 송풍기부(1)는 축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전동 송풍기(909) 및 전기 청소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blower unit 1 using the flat centrifugal impeller 12 in the axial direction can be shortened, the electric blower 909 and the electric vacuum cleaner can be made compact.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종단면도.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공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 is a view showing an aerodynamic characteristic of an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에 대한 효율을 도시하는 도면.FIG. 3 is a view showing the 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4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정류자의 단면도.4a is a sectional view of a commutator of an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정류자의 단면도.4b is a sectional view of a commutator of an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정류자편과 정류자 외경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mmutator element of an electric blower and an outside diameter of a commu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정류자 외경의 변동과 축길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variation in the outside diameter of a commutator and an axial length of an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원심 임펠러의 종단면도.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entrifugal impeller of an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비 S1/S0와 효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FIG. 8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let area ratio S 1 / S 0 and the efficiency of the centrifugal impeller of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원심 임펠러의 입구부의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b1의 비 R/b1과 효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Ninth turn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R / b 1 and the efficiency of the curvature radius R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of the rounding of the entrance portion centrifugal impeller of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FIG. 10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종단면도.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송풍기 2 : 전동기1: blower 2: electric motor

3 : 하우징 4 : 회전축3: housing 4:

5 : 로우터 6 : 스테이터 코일5: rotor 6: stator coil

7 : 스테이터 9 : 엔드 브래킷7: stator 9: end bracket

10 : 디퓨저 11 : 너트10: diffuser 11: nut

12 : 원심 임펠러 13 : 팬 케이싱12: centrifugal impeller 13: fan casing

14 : 시일 부재 15 : 브러시 지지기14: seal member 15: brush holder

16 : 카본 브러시 17 : 정류자16: carbon brush 17: commutator

1001 : 청소기 본체 1002 : 호스1001: Cleaner main body 1002: Hose

1003 : 호스 손잡이부 1004 : 연장관1003: Hose handle part 1004: extension pipe

1005 : 흡입구 부재 1006 : 스위치 조작부1005: suction port member 1006: switch operating portion

1007 : 제1 적외선 발광부 1008 : 제2 적외선 발광부1007: first infrared ray emitting portion 1008: second infrared ray emitting portion

1009 : 적외선 수광부 1010 : 천정1009: Infrared ray receiving section 1010: Ceiling

1101 : 하부 케이스 1102 : 덮개 부재1101: lower case 1102: lid member

1103 : 흡입구 1104 : 집진실1103: Inlet 1104: House Truth

1105 : 기밀 유지 카버 1106 : 상부 케이스1105: a tight-keeping carver 1106: an upper case

1107 : 집진 주머니 1108 : 송풍기실1107: dust bag 1108: blower chamber

1109 : 전동 송풍기 1110 : 필터1109: Electric blower 1110: Filter

1111 : 패킹 1112 : 상부 케이스 카버1111: packing 1112: upper case cover

1113 : 기판 수납부 1114 : 제어 기판1113: substrate holder 1114: control substrate

1115 : 적외선 수광 소자1115: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Claims (15)

정류자 전동기 및 원심 팬을 갖고,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An electr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electric blower having a commutator motor and a centrifugal fan for generating a suction air flow; a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collecting by a suction air flow generated by the electric blower; and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the electric blower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built therein In this case, 상기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 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하고, 상기 원심 임펠러의 외경을 70 내지 100mm로 하고,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축 길이를 100mm 이하로 하고,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정류자의 외경을 23mm 이하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정류자가 미끄럼 이동하는 카본 브러시를 수지 흑연질계의 카본 브러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t least the intake air volume is 1.0m 3 / min reg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set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said electric blower to the 40000 to 50000rpm, an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entrifugal impeller 70 to 100mm, the length of the axis of rotation commutator motor 100mm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mutator of the commutator motor is set to 23 mm or less and the carbon brush to which the commutator slides is made of a resin graphitic carbon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카본 브러시의 저항률을 20μΩm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sistivity of the carbon brush of the commutator electric motor is 20 占 m m or less. 정류자 전동기 및 원심 팬을 갖고,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An electr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electric blower having a commutator motor and a centrifugal fan for generating a suction air flow; a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collecting by a suction air flow generated by the electric blower; and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the electric blower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built therein In this case, 상기 전기 청소기의 최대 풍량 영역에서의 소비 전력이 약 1000W로 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 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축의 길이를 100m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n the maximum air volume region is set to about 1000 W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is set to 40,000 to 50,000 rpm in a region where the suction air volum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1.0 m 3 / And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is 100 mm or less. 정류자 전동기 및 원심 팬을 갖고,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An electr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electric blower having a commutator motor and a centrifugal fan for generating a suction air flow; a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collecting by a suction air flow generated by the electric blower; and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the electric blower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built therein In this case, 상기 전기 청소기의 최대 풍량 영역에서의 소비 전력이 약 1000W로 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의 흡입 풍량이 1.0m3/min 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40000 내지 50000rpm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정류자의 외경을 18 내지 23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n the maximum air volume region is set to about 1000 W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lectric blower is set to 40,000 to 50,000 rpm in a region where the suction air volum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1.0 m 3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mutator is 18 to 23 mm.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 전동기의 카본 브러시의 저항률을 20μΩ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5.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resistivity of the carbon brush of the commutator electric motor is 20 占 m m or less. 전동기의 회전축에 고정된 원심 임펠러의 주위를 덮는 팬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 케이싱의 중앙부에 형성한 흡입구에 상기 원심 임펠러의 측판의 중앙부로 부터 세워 설치한 입구부를 대향시킨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An electric blower comprising a fan casing which covers the periphery of a centrifugal impeller fixed to a rotary shaft of an electric motor, and an inlet portion provided upright from a central portion of a side plat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opposed to an inlet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an casing,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 중앙측의 선단 끼리를 이은 가상 원환의 면적 S1과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의 비 S1/S0를 1.0 내지 1.4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Wherein a ratio S 1 / S 0 of an area S 1 of a virtual circular ring and an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set to 1.0 to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ratio b 2 / D 2 of an outer-side outlet width b 2 and an outer-diameter dimension D 2 of the blad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set to 0.07 or mo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tal inner periphery of the blades of the impeller-sid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1 · b 1) and the ratio (D 1 · b 1 / D 2 · b 2) of the out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Is set to 0.74 or les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를 2.0 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ratio b 1 / b 2 of an inlet width dimension b 1 and an outlet width dimension b 2 of the blad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set to 2.0 or les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라운딩을 갖고 세워지도록 형성되고, 원심 임펠러를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The turbine blade of claim 7, wherein the inlet is formed to be raised with rounding, and the ratio R / b 1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 to the blade inlet width dimension b 1 when the centrifugal impeller is viewed as a meridian face is set to 0.6 - 0.9. ≪ / RTI > 전동기의 회전축에 고정된 원심 임펠러의 주위를 덮는 팬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 케이싱의 중앙부에 형성한 흡입구에 상기 원심 임펠러의 측판의 중앙부에 라운딩을 두어 세워 설치한 입구부를 대향시킨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An electric blower comprising a fan casing covering a periphery of a centrifugal impeller fixed to a rotating shaft of an electric motor and having an inlet formed by standing at a central portion of a side plat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at a suction port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an casing, ,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 중앙측의 선단 끼리를 이은 가상 원환의 면적 S1과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의 비 S1/S0를 1.0 내지 1.4로 하고,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하고,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하고,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를 2.0 이하로 설정하고,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The ratio S 1 / S 0 of the area S 1 of the imaginary circular ring and the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to the center of the blad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1.0 to 1.4 and the outlet side width dimension b 2 and the ratio (D 1 · b of the ratio b 2 / D 2 of the outer diameter D 2 less than 0.07, and the inn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D 1 · b 1) and the out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1 / D 2 · b 2 ) is set to 0.74 or less, the ratio b 1 / b 2 of the inlet width dimension b 1 and the outlet width dimension b 2 of the blade is set to 2.0 or less, Wherein the ratio R / b 1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ing to the blade inlet width dimension b 1 is set in the range of 0.6 to 0.9. 일단측이 개구된 원통형 하우징 내에 회전자와 고정자를 수납하고, 상기 개구 단부면 상에 엔드 브래킷을 배치한 전동기와, 상기 엔드 브래킷의 베어링 지지부를 관통한 회전축에 부착한 원심 임펠러와, 이 임펠러와 전동기 사이에 설치된디퓨저 베인 및 리턴 가이드 베인과, 또 이들을 덮는 팬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원심 임펠러로부터의 토출 기류를 상기 엔드 브래킷의 흡기구로부터 하우징 내를 통하여 상기 전동기를 냉각하게 한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A centrifugal impeller attached to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a bearing support portion of the end bracket; and a centrifugal impeller attached to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bearing support portion of the end bracket, wherein the rotor and the stator are housed in a cylindrical housing having an opening at one end and the end bracket is disposed on the opening end surface, And a fan casing covering the diffuser vane and the return guide vane provided between the electric motors, wherein the discharge air from the centrifugal impeller is cooled from the intake port of the end bracket through the housing to the electric motor, 상기 팬 케이싱의 흡입구에 있어서의 기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기류 가이드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중앙측의 선단 끼리를 잇는 가상 원환의 면적 S1과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의 비 S1/S0를 1.0 내지 1.4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Wherein an air flow guide for smoothly guiding the airflow at the inlet of the fan casing is provided and an area S 1 of a virtual annulus connecting the tips of the centers of the blades of the centrifugal impeller and an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Wherein the ratio S 1 / S 0 is set to 1.0 to 1.4. 제12항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하고,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하고,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를 2.0 이하로 하고,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ratio b 2 / D 2 of the outer-side outlet width b 2 and the outer-diameter dimension D 2 of the blade is set to 0.07 or more, and the inner peripheral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1 · b 1 ) The ratio (D 1 · b 1 / D 2 · b 2 ) of the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 is set to 0.74 or less and the ratio b 1 / b 2 of the entrance width dimension b 1 and the exit width dimension b 2 to 2.0 or less, and the electric blower to the inlet portion to the meridional ratio R / b 1 of the curvature radius of the rounded corners R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of the present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within the range of 0.6 to 0.9. 호스가 접속되는 흡입구에 연통하는 집진실과, 이 집진실의 후방에 형성된 전동 송풍기실과, 이 전동 송풍기실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전동 송풍기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고정한 원심 임펠러의 주위를 덮는 팬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 케이싱의 중앙부에 형성한 흡입구에 상기 원심 임펠러의 측판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한 입구부를 대향시킨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And an electric blower provided in the electric blower room. The electric blower is provided around the centrifugal impeller fix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electric motor. And an inlet portion provided upright at a central portion of a side plate of the centrifugal impeller is opposed to an inlet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fan casing, 상기 원심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중앙측 선단 끼리를 잇는 가상 원환의 면적 S1과, 상기 원심 임펠러의 입구 면적 S0의 비 S1/S0를 1.0 내지 1.4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Wherein an area S 1 of a virtual circular ring connecting distal ends of the center of the blades of the centrifugal impeller and a ratio S 1 / S 0 of the inlet area S 0 of the centrifugal impeller are set to 1.0 to 1.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는, 블레이드의 외주측 출구 폭 치수 b2와 외경 치수 D2의 비 b2/D2를 0.07 이상으로 하고, 블레이드의 내주측 유로 단면적(D1·b1)과 외주측 유로 단면적(D2·b2)의 비(D1·b1/D2·b2)를 0.74 이하로 하고, 블레이드의 입구 폭 치수 b1과 출구 폭 치수 b2의 비 b1/b2를 2.0 이하로 하고, 입구부를 자오면으로 해서 본 때의 상기 라운딩의 곡률 반경 R과 블레이드 입구 폭 치수 b1의 비 R/b1를 0.6 내지 0.9의 범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entrifugal impeller, the outer peripheral side outlet width b 2 and the non-b 2 / D 2 of the outer diameter D 2 of the blade by more than 0.07, and the inn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D 1 · b 1 ) and the out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D 2 · b 2) of the non-(D 1 · b 1 / D 2 · b 2) a less than 0.74, and the blade inlet width b 1 and the outlet width b 2 ratio b Wherein a ratio R / b 1 of a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rounded portion to a blade inlet width dimension b 1 is set in a range of 0.6 to 0.9 when 1 / b 2 is 2.0 or less and the entrance portion is a meridional surface. cleaner.
KR1019960023453A 1995-06-26 1996-06-25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4091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40595A JPH0914192A (en) 1995-06-26 1995-06-26 Motor-driven blower and vacuum cleaner
JP95-159405 1995-06-26
JP95-178855 1995-07-14
JP17885595 1995-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61A KR970000161A (en) 1997-01-21
KR100409173B1 true KR100409173B1 (en) 2004-03-26

Family

ID=2648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453A KR100409173B1 (en) 1995-06-26 1996-06-25 Electric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09173B1 (en)
CN (2) CN1108138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18B1 (en) * 2001-08-29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entrifugal blower for vacuum cleaner
KR20010099247A (en) * 2001-09-14 2001-11-09 김의숙 Accident preventing System of inner tunnel using radically leakage coaxial cable
KR100445649B1 (en) * 2002-01-03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motor for a cleaner
KR100483740B1 (en) * 2002-05-31 2005-04-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Repeater
JP4271204B2 (en) * 2006-05-26 2009-06-03 株式会社東芝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740588B1 (en) * 2006-08-29 2007-07-18 양영석 Underground radio network integrated repeater system
CN101865145B (en) * 2009-04-20 2012-09-19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Electric blower, electric dust collector carry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513662B (en) * 2013-05-03 2015-10-21 Dyson Technology Ltd Compressor flow path
JP6748842B2 (en) * 2015-05-08 2020-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 blower air guide,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CN107280577B (en) * 2016-03-31 2020-11-03 康塔有限公司 Vacuum cleaner with a vacuum cleaner head
KR101842129B1 (en) * 2016-05-17 201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CN107061320B (en) * 2017-03-13 2019-04-0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Electric fan and dust catcher with i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0806A (en) * 1976-06-09 1977-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fan
KR920002084A (en) * 1990-07-20 1992-02-28 미다 가쓰시게 Blower assembly and impeller used in vacuum cleaners and vacuum cleaners
JPH0560095A (en) * 1991-08-28 1993-03-09 Hitachi Ltd Motor-driven blower
KR930008373A (en) * 1991-10-14 1993-05-21 알프레도 까사노바 꼬멜레스 Pocket lighter with safety device
JPH0614856A (en) * 1992-06-30 1994-01-25 Hitachi Ltd Vacuum cleaner
JPH0731567A (en) * 1993-07-26 1995-02-03 Yashima Denki Co Ltd Vacuum cleaner
WO1995013736A1 (en) * 1993-11-18 1995-05-26 Numatic International Limited Vacuum cleaners
KR960028873A (en) * 1995-01-09 1996-08-17 구자홍 Electric motor for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0806A (en) * 1976-06-09 1977-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fan
KR920002084A (en) * 1990-07-20 1992-02-28 미다 가쓰시게 Blower assembly and impeller used in vacuum cleaners and vacuum cleaners
JPH0560095A (en) * 1991-08-28 1993-03-09 Hitachi Ltd Motor-driven blower
KR930008373A (en) * 1991-10-14 1993-05-21 알프레도 까사노바 꼬멜레스 Pocket lighter with safety device
JPH0614856A (en) * 1992-06-30 1994-01-25 Hitachi Ltd Vacuum cleaner
JPH0731567A (en) * 1993-07-26 1995-02-03 Yashima Denki Co Ltd Vacuum cleaner
WO1995013736A1 (en) * 1993-11-18 1995-05-26 Numatic International Limited Vacuum cleaners
KR960028873A (en) * 1995-01-09 1996-08-17 구자홍 Electric motor for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634C (en) 2005-05-11
CN1157710A (en) 1997-08-27
CN1389174A (en) 2003-01-08
CN1108138C (en) 2003-05-14
KR970000161A (en)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9173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7416384B2 (en)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using same
GB2438039A (en) Electric blower
EP3943754B1 (en) Fan and electric appliance
EP0651161B1 (en) Device for cooling en electric motor for a turbo-fan
EP0602007B1 (en) Vacuum cleaner having an impeller and diffuser
JP2003009461A (en) Bypass discharge motor assembly, muffler for motor assembly, and cooling fan housing for motor assembly
EP1627590B1 (en) Centrifugal fan for a vacuum cleaner
JPH1119006A (en) Vacuum cleaner
KR100421382B1 (en) Turbo fan
JP2000145690A (en)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0176004B1 (en) Electric cleaning apparatus
WO2022134963A1 (en) Fan assembly and vacuum cleaner
JP5113454B2 (en) Blower
JPH0914192A (en) Motor-driven blower and vacuum cleaner
WO2006067736A1 (en) An electric motor
JPH0984729A (en) Vacuum cleaner
JP2001003898A (en)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using it
CN113708561A (en) Brushless motor and impeller thereof
KR20060117595A (en)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and air flow passgae for the same
JP3775542B2 (en) Electric blower
US2726033A (en) Fan and motor unit assembly
CN217176936U (en) Fan and cleaning equipment
CN114635872B (en) Fan and cleaning equipment
CN217354830U (en) Fan and clean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