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139B1 -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139B1
KR100409139B1 KR10-2001-0026926A KR20010026926A KR100409139B1 KR 100409139 B1 KR100409139 B1 KR 100409139B1 KR 20010026926 A KR20010026926 A KR 20010026926A KR 100409139 B1 KR100409139 B1 KR 10040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internet phone
gateway
phon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463A (ko
Inventor
이중철
Original Assignee
이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철 filed Critical 이중철
Priority to KR10-2001-002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1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블루투스칩을 탑재하여 무선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신만의 고유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블루투스칩을 탑재하여 유선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신만의 고유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및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통신환경상태, 본인의 공인 IP 주소,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블루투스 인터넷폰들의 전화번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에게 통화가능여부를 계속적으로 통보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각각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일련번호(ID), 블루투스 게이트웨이가 위치한 국가코드 및 지역코드를 포함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정보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자신의 제어권 내에 있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통신환경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정보를 해당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서버;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현재 존재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블루투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인가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칩을 탑재한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 통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블루투스망에 위치한 착신자 전화기(블루투스칩을 탑재한)와 무료로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Calling using Bluetooth Internet Phone}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칩을 탑재한 이동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이하에서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이라 칭한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폰 서비스 범위 내에 있는 착신자와 무료로 통화할 수 있고, 착신자가 블루투스폰 서비스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과금이 가장 적은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 세계의 도처에는 이미 수 억 명의 무선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의 급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멀티미디어 정보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세계 구석구석을 연결하는 인터넷의 대중화가 급격히 발전되면서 인터넷을 장거리 전화용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인터넷폰이다. 인터넷폰은 인터넷폰 소프트웨어, 스피커, 마이크로폰, 사운드카드를 갖춘 PC를 인터넷에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시스템을 갖춘 PC 소유자와 일반 전화처럼 통화 할 수 있다. 인터넷폰은 1995년 2월 이스라엘의 보컬텍사에 의해 첫선을 보인 이후 빠른 속도로 세계에 보급되고 있다. 일반 전화방식과 인터넷 전화방식의 기본 원리는 크게 다르지 않으며, 전화기 대신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점과 전화망이 아닌 인터넷망을사용한다는 점과 전화국이 아닌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경유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전화방식은 PC-to-PC, PC-to-Phone, Phone-to-PC, Phone-to-Phone 방식으로 분류되며,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PC-to-PC 방식은 사용자들이 인터넷폰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대방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이하 'IP'로 약칭함) 주소를 누르면 전화국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의해 송신자와 수신자가 연결되어 통화 가능 상태가 된다. IP 주소는 전화번호와 유사한 것으로,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를 말한다. 여기에서, 송신자가 말을 하면 그 음성 데이터가 압축이 되어 인터넷 표준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전달되고, 다시 상대방의 PC에서 음성으로 변환된다. 인터넷 전화방식에서는 음성 데이터를 되도록 작게 압축하고 복원하는 '음성 코덱(voice codec)'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음성 코덱 기술이란 목소리를 이진 부호화하고, 이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면 상대방에서 음성 데이터를 원래의 음성 데이터로 복원한 후, 부호화된 음성을 복호화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현재 인터넷 음성 전송속도가 5.3Kbps와 6.3Kbps인 경우에는 G.723을 사용하고, 8Kbps인 경우에는 G.729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전화방식에서는 인터넷상에서 음성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중요하며, 인터넷 전화방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에는 서비스의 질을 보장하지 못하는 LAN상에서 음성과 비디오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H.323, 복원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질을 높이기 위해 패킷에 제공되는RTP/RTCP 프로토콜 및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만족시키기 위해 경로에 따라 대역폭과 같은 자원을 예약해주는 RSVP 프로토콜(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이 있다.
PC-to-PC 방식보다 한 단계 진보된 PC-to-Phone 방식은 인터넷망과 기존의 전화망이 상호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PC-to-Phone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텔레퍼니 게이트웨이(telephony gateway)이다. 텔레퍼니 게이트웨이는 일종의 서버용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전화망 즉, 공중 전화 교환망(PSTN)과 인터넷 사이를 연결해주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게이트웨이는 첫째,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상대방에 전화를 걸어주는 기능과 둘째, 음성을 전화로 전송하는 기능과 셋째, 통화중 신호를 검출하고 상대방이 전화를 끊는 것을 확인해 주는 전화상태 검사 기능과 넷째, 전화를 끊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C-to-Phone 방식에 또 하나의 텔레퍼니 게이트웨이를 연결함으로써, Phone-to-Phone 방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종래의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은 한정된 IP 주소로 인해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고 있는데, 통화요청을 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통화요청을 받을 때는 IP 주소가 정해져 있지 않아 통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각 사업자별로 독자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기 때문에 사업자간 연동성 및 호환성이 부족하며, 인터넷폰 통화 서비스의 제공범위가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의 인터넷폰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전화에 비해 약 20개 정도의번호를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7 또는 8자리의 게이트웨이 접속번호, 10자리 정도의 가입자 번호, 4자리 정도의 비밀번호, 그리고 실제로 통화하기 원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등의 순으로 번호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넷째, 종래의 인터넷폰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발신자 및 착신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어야 하고, 컴퓨터 및 네트워크 사용에 익숙하여야 하므로 컴퓨터 및 네트워크에 익숙하지 않은 자는 인터넷폰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블루투스칩을 탑재한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 통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블루투스망에 위치한 착신자 전화기(블루투스칩을 탑재한)와 무료로 통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착신자 전화기가 블루투스망을 이탈한 경우, 가장 과금이 적은 통화로를 형성하여 저렴하게 통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서비스 이용 등록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의 통화로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통화 시스템 110: 제1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115: 제2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120: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125: 제1 로컬 DB 130: 제1 블루투스 서버
135: 제1 서버 DB 140: 무선 통신망
150: PSTN 160: 인터넷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블루투스칩을 탑재하여 무선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신만의 고유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블루투스칩을 탑재하여 유선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신만의 고유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및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및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통신환경상태, 본인의 공인 IP 주소,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블루투스 인터넷폰들의 전화번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에게 통화가능여부를 계속적으로 통보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각각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일련번호(ID), 블루투스 게이트웨이가 위치한 국가코드 및 지역코드를 포함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을 통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정보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자신의 제어권 내에 있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통신환경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정보를 해당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서버; 및 블루투스 서버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현재 존재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블루투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인가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등록시키는 단계와;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활성상태이면,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속한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에 따라 가능한 통신 방법을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 통보하는 단계와; 가능한 통신 방법에 따라 통화를 원하는 착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및 착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통신환경을 파악하고, 통신환경에 따라 최적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발신자와 착신자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루투스는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국제 표준기술이다. 블루투스에서 보통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거리는 10m 정도이며 최대 100m까지 가능하지만 이 경우 파워의 소모가 크게 된다. 사용 주파수 대역은 2.4 GHz의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사용한다. 높은 무선 주파수의 사용에 의하여 방해물이 있을 경우에도 금속이 아니면 투과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전송방식은 주파수 이동 대역 확산 방식(Frequency Hop Spread Spectrum)을 사용하였으며 주파수 간섭과 페이딩에 영향을 덜 받도록 설계되었다. 데이터 전송속도는 동기(Synchronous)의 경우 1Mbps 정도이며, 비동기(Asynchronous)의 경우 721 kbps이다. 또한, 피코넷(piconet)이라는 작은 단말 안에서 최대 7개의 기기를 연결 할수 있으며, 스캐터넷(scatternet)이라는 확장을 통하여 225개의 기기를 네트워크화 할 수 있다. 음성의 경우 3 채널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도로서, 본 통화 시스템(100)은 발신측 통화 시스템과 착신측 통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통화 시스템(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구분한 것이며,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발신측 통화 시스템만을 설명한다.
제1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0)은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통화하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 블루투스칩을 탑재한 이동 단말기를 말하고, 제1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5)은 PSTN(150)을 통해 통화하는 일반적인 유선 전화기에 블루투스칩을 탑재한 전화기를 말한다. 제1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0) 및 제1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5)은 자신만의 고유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블루투스망 내에 진입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일반 전화기(즉, 이동 단말기와 유선 전화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하드웨어가 구현된 칩셋과 프로토콜 스택이 먼저 갖추어져야 한다. 블루투스 칩셋 및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에는 제1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0) 및 제1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5)이 각각 한 개씩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는 제1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0) 및 제1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5)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신의 영역 내에 진입한 제1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0) 및 제1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115)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125)를 갱신하도록 지시하고, 통신환경상태, 본인의 IP 주소, 영역 내의 블루투스폰 전화번호 등을 제1 블루투스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자신의 영역 내에 위치한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에게 통화가능여부를 계속적으로 통보한다. 안정적인 블루투스 인터넷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에 고정적인 공인 IP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160)에 항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블루투스 인터넷폰 통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즉, 블루투스 구동 프로그램)를 PC 내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하드웨어(즉, 블루투스 칩셋 등)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제1 로컬 DB(125)는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각각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일련번호(ID),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가 위치한 국가코드(예컨대, 대한민국:82) 및 지역코드(예컨대, 서울:02)를 포함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예컨대, 여유 채널수, 인터넷 라인의 확보 가능 밴드폭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가 위치한 주소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블루투스 서버(130)는 인터넷(160)을 통해 제1 블루투스게이트웨이(12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의 정보(예컨대, 공인 IP) 및 그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의 제어권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제1 서버 DB(135)를 갱신하도록 지시하고, 착신측 제2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65)로부터 착신 블루투스 인터넷폰(145, 155)의 통신환경 정보(예컨대, 여유 채널수, 인터넷 라인의 확보 가능 밴드폭, 통화가능, 통화중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정보를 인터넷(160)을 통해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의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다수개의 블루투스 서버를 증축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루투스 서버는 인터넷(160)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서버 DB(135)는 제1 블루투스 서버(13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및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현재 존재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제1 블루투스 서버(13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서비스 이용 등록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칩을 탑재한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이라고 가정한다.
블루투스 인터넷폰은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블루투스 망) 내로 진입하였는가를 판단(S210)하여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있지 않으면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비활성상태로 모드를 변경하고(S220),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있으면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활성상태로 모드를 변경한다(S230). 여기에서, 사용자가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활성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의 일측에 표시를 하거나 알람을 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면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LCD창에 안테나 표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알람음을 두 번 출력하고,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안테나 표시를 삭제하거나 알람음을 한 번 출력한다.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활성상태로 모드를 변경함과 동시에 블루투스 인터넷폰은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ID)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송신한다(S240). 다음에, 블루투스 인터넷폰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에 대한 송신 요구가 있는가를 판단(S250)하여 송신 요구가 없으면 대기하고, 송신 요구가 있으면 자신의 전화번호를 송신한다(S260).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각각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전송된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제어권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로컬 DB를 갱신한다(S270). 로컬 DB에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각각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일련번호(ID), 블루투스 게이트웨이가 위치한 국가코드(예컨대, 대한민국:82) 및 지역코드(예컨대, 서울:02)를 포함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예컨대, 여유 채널수, 인터넷 라인의 확보 가능 밴드폭 등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가 위치한 국가코드 및 지역코드는 고정적인 정보이고, 나머지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있는 경우에 갱신되는 정보이다.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를 검색하여 로컬 DB에 저장된 각각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 통화가능여부를 계속적으로 송신한다(S280). 통신환경 정보에는 통신 가능한 채널수 및 인터넷 라인의 확보 가능 밴드폭(예컨대, 64k)에 관한 정보가 내재되어 있고,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를 계속하여 갱신함으로써 항상 최근의 데이터를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 송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사용자는 송신된 통신환경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 통신(예컨대, 8채널) 또는 음성 통신(예컨대, 3채널)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인터넷폰,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를 통해 통신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인터넷을 통해 저장된 블루투스 인터넷폰 정보(예컨대,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국가코드 및 지역코드를 포함한 전화번호)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정보(예컨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를 블루투스 서버로 송신한다(S290). 블루투스 서버는 전송된 블루투스 인터넷폰 정보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DB를 갱신한다(S295). 블루투스 서버는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자신의 제어권 내에 있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있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정보를 수시로 갱신하여 항상 최근의 데이터를 기초로 통화할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버 DB에 저장된 블루투스 인터넷폰은 통화 채널이 여유가 있으면,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관장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수가 증가하면 블루투스 서버를 증축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루투스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여 본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의 범위를 확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존재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하는 자(이하에서는, '발신자'라 칭한다)는 자신의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여 활성상태인가를 판단한다(S310). 판단 결과, 발신자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활성상태이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를 리드(S320)하여 가능한 통신 방법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330). 통신환경 정보에는 통신 가능한 채널수 및 인터넷 라인의 확보 가능 밴드폭(예컨대, 64k)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발신자는 해당 정보를 기초로 통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30)의 판단 결과, 유선전화가 가능하면 블루투스 표준 규약에 따라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고(S340), 이동전화만이 가능(즉, 블루투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하거나 상기 단계(S310)에서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고(S350), 인터넷폰이 가능하면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송신한다(S360). 블루투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통신 채널이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차선의 통신 방법으로 통화한다. 즉, 통신 방법의 우선 순위는 제일 먼저 인터넷폰, 다음으로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유선전화), 마지막으로 일반 이동전화 순으로 결정된다.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신한 발신자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 통신환경 정보를 리드하여 가능한 통신 방법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380). 여기에서, 상대방 통신환경 정보는 블루투스 서버에 의해 발신측 게이트웨이와 착신측 게이트웨이가 연결되면 착신측 게이트웨이에서 발신측 게이트웨이로 전송된다. 상대방 통신환경 정보에는 착신측 통신 가능한 채널수 및 인터넷 라인의 확보 가능 밴드폭(예컨대, 64k)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발신자는 해당 정보를 기초로 통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80)의 판단 결과, 유선전화가 가능하면 블루투스 표준 규약에 따라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고(S340), 이동전화만이 가능(즉, 블루투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하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고(S350), 인터넷폰이 가능하면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과 무료로 통화한다(S39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의 통화로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존재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가를 판단(S410)하여 통화 요청이 없으면 대기하고, 통화 요청이 있으면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자신의 IP 및 상대방 전화번호를 블루투스 서버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서버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제어하고 있는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어로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IP와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신한다. 이 때,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발신자가 요청한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S420).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면 고유 일련번호(IP)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므로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모든 블루투스 인터넷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발신자가 요청한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자신의 영역 내에 있는가를 식별할 수 있다.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면 블루투스 서버는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IP를 전송하고,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가 연결되도록 중계한다(S430).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착신측 통신환경 정보를 리드(S450)하여 최적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화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 통보한다(S450). 또한, 상기 단계(S420)에서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도 과금이 가장 적은 최적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화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 통보한다. 예를 들어,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영역에 있지만 통신 채널의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발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과금이 적은 발신측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상대방 블루투스 인터넷폰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통화로가 형성되면,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발신자와 상대방이 연결되었는가를 판단(S460)하여 연결되면 발신자는 상대방과 통화한다(S470). 연결되지 않으면 상대방이 통화중인가를 판단하고(S480), 통화중이면 통화중신호를 송출하고(S490), 통화중이 아니면 연결되지 않은 이유(예컨대, 전원오프 등)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통보(S495)한 후, 모든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은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정보를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면 착신자가 발신자의 주소까지 알 수 있는 발신자 주소지 추적 시스템,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정보를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면 발신자 전화번호(특히, 이동전화의 전화번호)로 건물 내 특정위치를 알 수 있는 위치추적시스템, 두 개의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를 설치하고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를 통과한 후 제2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를 통과하면 출근으로 처리하고, 제2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를 통과한 후 제1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를 통과하면 퇴근으로 처리하는 근태관리 시스템, 출입 및 보안관리를 원하는 특정지역에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를 설치하고 차후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로그를 분석하여 그 지역에 존재했던 블루투스 인터넷폰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보안 시스템,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소지한 사용자에게 지하철 요금, 극장 요금 등을 자동 부과하는 전자화폐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블루투스칩을 탑재한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 통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블루투스망에 위치한 착신자 전화기(블루투스칩을 탑재한)와 무료로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신자 전화기가 블루투스망에 있지만 통신 채널의 여유가 없거나 착신자 전화기가 블루투스망을 이탈한 경우, 가장 과금이 적은 통화로를 형성하여 저렴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블루투스칩을 탑재하여 무선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신만의 고유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블루투스칩을 탑재하여 유선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신만의 고유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및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무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및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고유 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통신환경상태, 본인의 공인 IP 주소,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블루투스 인터넷폰들의 전화번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에게 통화가능여부를 계속적으로 통보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각각의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일련번호(ID),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가 위치한 국가코드 및 지역코드를 포함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인터넷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정보 및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존재하는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자신의 제어권 내에 있는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통신환경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정보를 해당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서버; 및
    상기 블루투스 서버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및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제어권 내에 현재 존재하는 각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상기 블루투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인가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구동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안정적인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정적인 공인 IP를 가지고 있고, 상기 인터넷에 항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및 블루투스 서버는 제어권의 범위에 따라 다수 개로 증축하고, 각각의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의 연결은 상기 블루투스 서버에 의해 제어되고, 각각의 상기 블루투스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a)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블루투스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등록시키는 단계;
    (b)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활성상태이면,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속한 상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에 따라 가능한 통신 방법을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 통보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가능한 통신 방법에 따라 통화를 원하는 착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및
    (d) 착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통신환경을 파악하고, 상기 통신환경에 따라 최적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발신자와 착신자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상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면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활성상태로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비활성상태로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a2)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활성상태이면,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고유 일련번호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의 통신환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a4)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폰 정보 및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정보를 블루투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a5) 전송된 상기 정보들을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블루투스 인터넷을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발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으로부터 통화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이 착신측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착신측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면, 블루투스 서버는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와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를 연결하고, 발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는 착신측 블루투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착신측 통신환경을 리드하는 단계;
    (d3) 상기 착신측 통신환경에 따라 최적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상기 통화로로 상기 발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과 상기 착신측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로는 인터넷폰, 다음으로 유선 블루투스 인터넷폰, 마지막으로 일반 이동전화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방법.
KR10-2001-0026926A 2001-05-17 2001-05-17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40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926A KR100409139B1 (ko) 2001-05-17 2001-05-17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926A KR100409139B1 (ko) 2001-05-17 2001-05-17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463A KR20020088463A (ko) 2002-11-29
KR100409139B1 true KR100409139B1 (ko) 2003-12-18

Family

ID=2770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926A KR100409139B1 (ko) 2001-05-17 2001-05-17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53B1 (ko) * 2002-02-23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가 장착된 무선 인터넷 접속 장치를 이용한인터넷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37B1 (ko) * 2001-06-30 2007-03-21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통신시스템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착신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493B1 (ko) * 1997-10-15 2000-08-01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네트워크를이용한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KR20020014601A (ko) * 2000-08-18 2002-02-25 김준래 블루투스-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KR20020051100A (ko) * 2000-12-22 2002-06-28 구자홍 휴대폰 공중 전화 통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493B1 (ko) * 1997-10-15 2000-08-01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네트워크를이용한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KR20020014601A (ko) * 2000-08-18 2002-02-25 김준래 블루투스-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KR100357476B1 (ko) * 2000-08-18 2002-10-19 (주)클립컴 블루투스-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KR20020051100A (ko) * 2000-12-22 2002-06-28 구자홍 휴대폰 공중 전화 통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53B1 (ko) * 2002-02-23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가 장착된 무선 인터넷 접속 장치를 이용한인터넷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463A (k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648B2 (ja)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方法
JP3695563B2 (ja) データ網通信通話の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網通信通話処理用ネットワークノード
KR100462339B1 (ko) 광역 네트워크를 위한 접속 장치 및 그 접속 방법
KR100607140B1 (ko) 인터넷 전화기
JPH10336325A (ja) ネットワーク独立型通信システム
CN1706166A (zh) 用于通过移动站把外围设备连接到支持网络的系统和方法
JPH114292A (ja) 通信システム
US20040266421A1 (en) IP phone system
MX2008010573A (es) Tecnicas para facilitar llamadas de emergencia.
US8014383B2 (en) Communication system
CN103428384A (zh) 手持智能设备实现VoIP移动电话业务的系统及方法
KR100348606B1 (ko) 게이트웨이 장치
KR100409139B1 (ko) 블루투스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386367B1 (ko) 무선 블루투스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34401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CN100512560C (zh) 一种支持双频voip的移动通信终端及其voip选择方法
CN100589648C (zh) 一种固网用户接入移动核心网的呼叫控制方法
KR20070025207A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CN1878218B (zh) 拦截信号以变更移动装置响铃模式的方法及其应用的装置
EP1542442B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8219440A (ja) 無線ip電話機及び無線ip電話機システム
KR20000030120A (ko) 다채널 훅 스위치가 장착된 인터넷전화장치 및 인터넷전화통화방법
JP2001086161A (ja) 呼制御サーバおよび音声データ通信方法
JP5094163B2 (ja) 無線ip電話機及び無線ip電話機システム
KR10040073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