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643B1 -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 Google Patents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643B1
KR100407643B1 KR10-2000-0054145A KR20000054145A KR100407643B1 KR 100407643 B1 KR100407643 B1 KR 100407643B1 KR 20000054145 A KR20000054145 A KR 20000054145A KR 100407643 B1 KR100407643 B1 KR 10040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rage
toothpaste
soap
toothpas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443A (ko
Inventor
이문영
Original Assignee
이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영 filed Critical 이문영
Priority to KR10-2000-005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64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각종 샴푸, 린스 등 액체류의 세제는 물론 여러 가지 비누, 때타올, 치약, 치솔 그리고 물컵 등을 하나의 일체형 보관함에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용기로 인한 낭비요소를 줄이고,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 이는 뚜껑(11)으로 개폐되면서 나란히 일체로 형성되고 푸시버튼(12)의 누름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구(13)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토출수단(14)를 가지는 바디샴푸수납통(10), 샴푸수납통(20), 린스수납통(30)과; 상기 수납통과 나란히 형성되면서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격벽(41)(51)으로 구획되어 세면도구 등을 보관토록 하는 다단의 선반(44)(44a)(44b)를 통하여 보관실(42)(52) 및 비누, 치약튜브 등을 수납토록 하는 수납실(43)(53)이 형성되는 비누수납통(40), 치약튜브수납통(50)과; 상기 비누수납통(40) 및 치약튜브수납통(50)의 외부 전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덮개(81)로 개폐되어 치솔(B)를 꽂을 수 있는 다수 개의 치솔꽂이대(80)와; 상기 치약튜브수납통(50)의 일측면상에 형성되고 다각형 컵(70)의 손잡이(71)을 삽탈할 수 있는 걸림고리(62);를 갖추어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Multi-use storage box for bath room}
본 발명은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욕실에서 사용하는 각종 샴푸, 린스 등 액체류의 세제는 물론 여러 가지 비누, 때타올, 치약, 치솔 그리고 물컵 등을 하나의 일체형 보관함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용기로 인한 낭비요소를 줄이고,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가정이나 영업장 등의 욕실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세면이나 목욕에 필요한 세면도구는 물론 각종 세제류를 욕실내의 적당위치에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면도구 및 세제류 등은 각기 해당되는 보관용기에 보관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어 치솔이나 치약은 별도의 치솔꽂이대 등에 체결하여 비치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비누는 비누받이에 보관하고 있고, 샴푸, 린스 등과 같은 세제류들은 해당되는 보관용기 그대로를 적당 위치에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우에는 세면도구와 세제류를 해당되는 보관용기에 각각 따로따로 보관하여야 함에 따라 이들 보관용기의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당되는 보관용기를 욕실의 벽면 등에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보관용기들이 욕실내에 분산되어 비치됨으로써 사용성이 좋지 못한 단점도 있다.
근자에는 액체류의 세제일 경우 용기로 인한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비닐팩 등과 같은 리필용기에 보관된 세제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나, 이 경우에도 사용을 위한 하나의 보관용기는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은 여전히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세면도구는 물론 세제류를 하나의 보관함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더불어 설치공간을 대폭 줄이고 욕실의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세면도구 및 세제류를 하나의보관함에 분리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보관함은 삼푸, 린스 등과 같이 비교적 액체상태에 가까운 세제류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액체세제 수납통과 비누수납통 및 치약수납통을 상호 구분하여 나란히 형성하고, 액체세제 수납통에 보관되는 세제는 전면의 펌프로서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비누수납통은 다단으로 형성하여 세수비누, 빨래비누, 때타올 등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치약수납통에 수납되는 치약 역시 레버의 작동으로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비누 및 치솔수납통의 전면과 일측면에는 치솔과 컵을 걸어둘 수 있는 해당걸이대 등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를 분리 및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비누수납통의 측단면구성도
도 4는 도3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치약수납통의 구성을 보인 일부단면구성도
도 6은 도5의 요부를 보인 일부사시도도 7은 도1 및 도2에서 컵의 체결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 : 바디샴푸수납통 11 : 뚜껑
12 : 푸시버튼 13 : 토출구 14 : 토출수단
20 : 샴푸수납통 30 : 린스수납통 40 : 비누수납통
41 : 격벽 42 : 보관실 43 : 수납실
43a : 걸림돌기 44,44a,44b : 선반 45 : 지지봉
46 : 조립홈 47 : 배수공 48 : 가이드홈
48a : 걸림턱 49 : 손잡이 50 : 치약수납통
51 : 격벽 52 : 보관실 53 : 치약수납실
54 : 홀더 55 : 회전축 56 : 기어
57 : 레버 58 : 가이드공 59 : 슬라이더
60 : 연결구 61 : 치약토출구 62 : 걸림고리
70 : 컵 71 : 손잡이 80 : 치솔꽂이대
81 : 덮개 A : 치약 B : 치솔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보관함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액체류의 세제를 보관토록 하는 액체세제 수납통(10)(20)(30)과, 비누를 보관하는 비누수납통(40)과, 치약튜브를 보관토록 하는 치약튜브수납통(50)이 동일한 외형을 가지면서 나란히 형성되고, 이들은 뚜껑(11)에 의해 개폐가능토록 형성된다.
액체세제 수납통(10)(20)(30)은 바디샴푸 및 베이비 샴푸 등을 수납토록 하는 바디샴푸수납통(10)과, 일반 샴푸를 수납하는 샴푸수납통(20)과, 린스를 수납토록 하는 린스수납통(30)으로 구분된다.
이들 액체세제 수납통(10)(20)(3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푸시버튼(12)과 토출구(13)를 가지는 공지된 통상의 토출수단(14)이 형성되어 푸시버튼(12)을 누르면 이의 펌핑력에 의해 내부의 세제가 토출구(13)를 통해 일정량씩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비누수납통(40)은 중심부의 격벽(41)에 의해 구분되면서 후면에는 보관실(42)과 전면에는 상.하 관통되어 다단의 선반이 수납되는 수납실(43)이 형성된다.
보관실(42)에는 사용하지 않은 비누, 때타올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게 된다.
수납실(43)에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다단의 선반(44)(44a)(44b)이 하나의 물품으로 조립되어 삽입체결되며, 이들은 전,후면의 하부에 지지봉(45)이 형성되어 상부에 형성된 조립홈(46)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선반(44)(44a)(44b)은 빨래비누, 세수비누, 때타올 등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며, 바닥면에는 물빠짐을 좋게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47)이 천공되고, 전.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48)이 형성되어 이와 대향되는 수납실(43)내의 상.하 걸림돌기(43a)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된다.
이때, 상.하부 선반(44)(44b)의 전.후면 가이드홈(48)내에는 상기걸림돌기(43a)에 걸려져 결속되는 걸림턱(48a)이 각각 형성되어 선반의 삽탈을 제어하게 된다.
또, 최하단 선반(44b)의 전단 하부에는 손잡이(49)가 형성되어 비누수납통(4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이 손잡이는 선반을 상.하 슬라이드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즉, 선반(44)(44a)(44b)은 수납실(43)내에 체결되어 상.하 슬라이이드 작동됨에 따라 하부로 인출되어 내용물을 꺼낼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치약튜브수납통(50)은 비누수납통(40)과 마찬가지로 중심부에 격벽(51)이 형성되어 보관실(52)과 치약수납실(53)로 구분된다.
치약튜브수납실(53)내에는 치약튜브(A)가 삽입체결되는 홀더(54)가 형성되고, 이 홀더(54)의 횡방향으로 회전축(55)이 체결되어 양측에 각각 기어(56)가 형성되며, 회전축(55)의 일측단에는 레버(57)가 형성된다.
홀더(54)는 레버(57)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슬라이드되고, 치약튜브(A)의 후단이 삽입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짐으로써 치약을 장착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치약을 짜게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 회전축(55)은 양측단이 각각 치약튜브수납통(50)의 양측벽에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가이드공(58)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며, 레버(57)는 수납실(53)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치약튜브수납실(53)의 내측면에는 양측으로 각각 래크기어형의 레일(59)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기어(56)가 각각 이맞물림된다.
또한, 치약튜브수납실(53)의 바닥면에는 마개를 개방한 치약튜브(A)의 주입구가 나사결합되는 연결구(60)가 형성되고, 연결구(60)에는 치약튜브수납통(50)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치약토출구(61)가 연결관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치약튜브수납통(50)의 일측면에는 컵(70)을 장착할 수 있는 걸림고리(62)가 일체로 형성된다.
컵(70)은 이발을 닦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장착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손잡이(71)는 걸림고리(62)에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끝단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치약튜브수납통(50) 및 비누수납통(40)의 전면에는 치솔(B)을 걸어둘 수 있는 치솔꽂이대(80)가 형성되며, 이는 덮개(81)에 의해 개폐되면서 치솔(B)의 헤드가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치솔꽂이대(80)는 치약튜브수납통(50) 및 비누수납통(40)의 전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나, 본체(100)의 양측벽 등 다른 관련부품들에 장애를 주지 않는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욕실의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하나의 물품에 여러 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게 된다.
먼저, 바디샴푸수납통(10), 샴푸수납통(20), 린스수납통(30)을 사용시에는 뚜껑(11)을 개방하여 해당되는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면의 푸시버튼(12)을눌러주면, 수납된 내용물이 공지된 토출수단(14)의 펌핑력에 의해 토출구(13)를 통하여 적당량씩 토출되므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수납통들에 사용되는 내용물은 비닐팩 등 리필용기에 담긴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음으로 용기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 비누수납통(40)을 사용시에는 전면의 손잡이(49)를 하방으로 눌러주면, 다단으로 조립된 선반(44)(44a)(44b)이 수납실(43)의 하방으로 인출되므로 각 선반(44)(44a)(44b)에 세수비누, 빨래비누, 때타올 등을 넣고 꺼낼 수가 있다.
상기 선반(44)(44a)(44b)은 전.후면에 가이드홈(48)이 형성되어 수납실(43)내에 형성된 걸림돌기(43a)에 의해 상.하로 안정되게 승강작동되고, 가이드홈(48)내에 형성된 상.하 걸림턱(48a)에 의해 이와 대향되는 수납실(43)내의 걸림돌기(43a)와 결합되므로 선반(44)(44a)(44b)의 삽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선반을 하부로 인출할 경우에는 선반의 상단 걸림턱(48a)이 수납실(43)의 하부 걸림돌기(43a)에 걸려져 고정되고, 선반을 수납실(43)내로 삽입하였을 경우에는 상.하부 선반의 걸림턱(48a)이 수납실(43)의 상.하부 걸림돌기(43a)에 각각 걸려져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치약튜브수납통(50)을 사용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실(53)내의 연결구(60)에 치약튜브(A)의 주입구를 나사식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후단부분을 홀더(54)에 삽입하여 치약튜브(A)를 장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치약튜브(A)를 사용시에는 치약튜브수납통(50)의 일측면에 노출된 레버(57)를 돌려주면, 레버(57)와 회전축(55)으로 연결된 기어(56)가 회전되면서 이와 이맞물림된 슬라이더(59)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므로 치약튜브(A)를 짜게 된다.
즉, 레버(57)의 회전작동에 따라 홀더(54)가 하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치약튜브(A)를 짜게 되고, 이에 따라 치약튜브(A)내의 치약은 주입구를 통해 연결구(60) 및 연결관을 거쳐 치약토출구(61)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치솔꽂이대(80)는 다수 개를 색깔별로 형성함으로써 쉽게 구분할 수 있고, 이 치솔꽂이대(80)에 치솔(B)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컵(70)은 손잡이(71)를 걸림고리(62)에 걸어둠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때, 컵(70)은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00)에 장착시 유동없이 안정되게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세제류는 물론 세면에 필요한 각종 세면도구들을 하나의 보관함에 구분하여 보관, 비치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되고, 욕실내의 설치공간을 줄여 공간활용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좋아지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종 세제류를 구입시 비닐팩 등의 리필용기에 보관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음에 따라 보관용기 등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음에 따라 경제적이고도 실용적인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뚜껑(11)으로 개폐되면서 나란히 일체로 형성되고 푸시버튼(12)의 누름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구(13)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토출수단을 가지는 바디샴푸수납통(10), 샴푸수납통(20), 린스수납통(30)과;
    상기 수납통과 나란히 형성되면서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격벽(41)(51)으로 구획되어 세면도구 등을 보관토록 하는 다단의 선반(44)(44a)(44b)를 통하여 보관실(42)(52) 및 비누, 치약튜브 등을 수납토록 하는 수납실(43)(53)이 형성되는 비누수납통(40), 치약튜브수납통(50)과;
    상기 비누수납통(40) 및 치약튜브수납통(50)의 외부 전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덮개(81)로 개폐되어 치솔(B)를 꽂을 수 있는 다수 개의 치솔꽂이대(80)와;
    상기 치약튜브수납통(50)의 일측면상에 형성되고 다각형 컵(70)의 손잡이(71)을 삽탈할 수 있는 걸림고리(62);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수납통(40)의 수납실(43)에 삽입되는 선반(44)(44a)(44b)은 지지봉(45) 및 조립홈(46)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형성하고, 전.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48)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하부 선반(44)(44b)의 전,후면에는 수납실(43)내의 상.하 걸림돌기(43a)와 결속되는 걸림턱(48a)을 형성하며, 이들 선반(44)(44a)(44b)의 내부에는 다수의 배수공(47)과 하단 선반(44b)의 전단에는 손잡이(49)를 형성하여 수납실(43)내에서 하향으로 삽탈가능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튜브수납통(50)의 수납실(53)에는 양측벽의 가이드공(58)을 통해 회전축(55)으로 지지되고 치약튜브(A)가 장착되는 홀더(54)를 형성하고, 홀더(54)의 양측 회전축(55)에는 수납실(53)의 내벽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래크기어형 레일(59)과 이맞물림되어 레버(57)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56)를 형성하며, 수납실(53)의 저면에는 치약튜브(A)의 주입구가 나사결합되어 연결구(60) 및 이 연결구(60)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면서 치약튜브수납통(50)의 전단으로 노출되어 치약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치약토출구(6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KR10-2000-0054145A 2000-09-15 2000-09-15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KR10040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45A KR100407643B1 (ko) 2000-09-15 2000-09-15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45A KR100407643B1 (ko) 2000-09-15 2000-09-15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443A KR20020021443A (ko) 2002-03-21
KR100407643B1 true KR100407643B1 (ko) 2003-12-01

Family

ID=1968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145A KR100407643B1 (ko) 2000-09-15 2000-09-15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6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443A (ko)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847B2 (en) Household liquid dispensing system
JP6054619B2 (ja) 流し台用シンク
KR100407643B1 (ko) 욕실용 다용도 보관함
KR101349419B1 (ko) 세정부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101567826B1 (ko) 욕실용 선반
KR200349598Y1 (ko) 욕실 코너 설치용 선반
KR930003399Y1 (ko) 세면용 진열장
KR100668697B1 (ko) 세제 용기
KR102462320B1 (ko)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KR200480361Y1 (ko) 빨래 도구함
KR200292319Y1 (ko) 물비누와 샴푸가 내장된 바디샤워기
CN216275987U (zh) 一种带搓衣板体的盥洗盆
KR200233718Y1 (ko) 생활용품 보관함
CN216293968U (zh) 一种清洗机
CN215376724U (zh) 一种洗护用品展示装置
JP3066969U (ja) 洗浄液容器
KR200325253Y1 (ko) 컵홀더가 구비된 욕실용 수납장
KR200424209Y1 (ko) 다용도 주방수납케이스
KR0136155Y1 (ko) 화장실용 다용도 수납함
KR200266669Y1 (ko) 자동세제투여기와 세제통 및 수세미걸이가 내장된 씽크대
KR20100081473A (ko) 세제 용기
KR100620278B1 (ko) 디스펜서 장치
KR200196574Y1 (ko) 욕실용품 비치수단이 구비된 수납식 비치함
WO2006030472A1 (en) Washing device for kitchenware
KR200281845Y1 (ko) 벽걸이용 세탁세제 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