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407B1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접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접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407B1
KR100405407B1 KR10-2000-0071377A KR20000071377A KR100405407B1 KR 100405407 B1 KR100405407 B1 KR 100405407B1 KR 20000071377 A KR20000071377 A KR 20000071377A KR 100405407 B1 KR100405407 B1 KR 10040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
base station
connection
contro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694A (ko
Inventor
김정훈
최경섭
이상연
박형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4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407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MT-2000 시스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접속을 보다 원활하고 능동적이며 동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국 접속유닛의 소정 포트에 접속된 유닛의 다른 포트로의 이동여부를 판단하는 제 1과정; 상기 유닛이 이동하였으면 상기 제어국 접속유닛이 해당 제어국내의 메인 처리수단으로 그 이동 사실을 통보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이동 사실을 통보받은 메인 처리수단에서 상기 이동전 포트에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설정된 포트에 소정의 자원을 할당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하여, 제어국내의 접속 유닛의 포트에 접속된 유닛이 이동하였을 경우 이를 인지하여 기존에 해당 유닛에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연결된 포트에 유닛에 필요한 자원을 자동으로 할당하여 줌으로써 서비스를 원활히 할 수 있고, 운영자는 각 유닛간 포트 이동시에도 각 유닛의 자원의 해제 및 할당 등의 개입없이 시스템에서 각 자원을 관리해 줌으로써 보다 동적으로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각 유닛간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dynamic interface between units of base station controller in IMT-2000 system}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MT-2000 시스템 정합에서 제어국 내부의 각 유닛간 접속을 보다 원활히 하고 유닛 내부의 이동성을 지원하여 동적으로 유닛간 연결을 제어하도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으로 불리우는 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2000년대 초에 서비스를 목표로 ITU-R의 TG/1에서 권고안을 작성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이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PSTN/ISDN/B-ISDN 등과 같은 고정 통신망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에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 주파수 대역은 초기 WARC(현재는 WRC로 바뀜)-92에서 결정된 1,885MHz ∼ 2,025MHz와 2,110MHz ∼ 2,200MHz이고, 기존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기술에 의한 한 차원 높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IMT-2000은 다양한 시스템과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범세계적인 운용에 의한 고도의 서비스 호환성이 있으며, 높은 품질로 소형 경량의 단말기를 사용할 수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IMT-2000은 음성, 데이터 뿐만 아니라 2Mbps급 까지의 고속 데이터 및 영상 통신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계층 셀(pico, micro, macro cell 등) 개념을 도입하며, 전 세계의 글로벌 로밍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IMT-2000은 전세계적으로 공통 주파수 대역(1,885MHz ∼ 2,025MHz, 2,110MHz ∼ 2,200MHz)의 총 230MHz를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 위성 부분은 1,980 ∼ 2,010MHz, 2,170 ∼ 2,200MHz 대역으로 한정하고, 공통의 무선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국제적인 로밍(roaming)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IMT-2000은 기존의 지상 이동 통신 및 위성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합하여 단말기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말 이동성, 가입자가 어느 단말기로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개인 이동성, 이동중에 음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 등을 만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IMT-2000은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을 통합하여 국제적인 로밍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개인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전 세계 기술방식의 통합을 통한 글로벌 로밍을 추구해 온 IMT-2000 서비스가 최종 표준화 단계에서 유럽/일본 중심의 비동기 방식(W-CDMA)과 북미 중심의 동기 방식(cdma2000 3x)으로 나뉘어져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IMT-2000 시스템에서는 제어국(RNC)내부의 유닛(unit)간 접속이 고정적이어서, 유닛 내부의 카드가 다른 포트로 이동할 경우 운영자가 해당 카드에 할당되어 있던 기존의 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연결된 포트의 자원을 할당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국내부의 접속 유닛간 이동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운영자가 매번 간섭하여 유닛간 접속을 수행해야 되고, 그로 인해 운영자의 수작업에 의한 자원 재할당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IMT-2000 시스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접속을 보다 원활하고 능동적이며 동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영자 개입없이 각 유닛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각 유닛간 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된 상위 유닛과 하위 유닛간의 접속 및 이동 상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 유닛 12 : 기지국 접속부
14 : 메인 처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은, 제어국 접속유닛의 소정 포트에 접속된 유닛의 다른 포트로의 이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 상기 유닛이 이동하였으면 상기 제어국 접속유닛이 해당 제어국내의 메인 처리수단으로 그 이동 사실을 통보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이동 사실을 통보받은 메인 처리수단에서 상기 이동전 포트에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설정된 포트에 소정의 자원을 할당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된 상위 유닛과 하위 유닛간의 접속 및 이동 상태도로서, 접속 유닛(10)은 기지국 접속부(12)가 접속가능한 다수의 포트를 구비하고 해당 포트에 연결된 기지국 접속부(12)가 이동하였을 경우 이를 인지하여 그 이동 사실을 메인 처리부(14)로 통보한다.
상기 접속 유닛(10)은 포트별로 연결된 기지국 접속부(12)에 대한 유닛 주소 매핑 테이블을 관리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접속 유닛(10)은 기지국 접속 유닛 주소를 포트단위로 관리하므로 기지국 접속부가 어느 포트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처리부(14)는 상기 접속 유닛(10)으로부터의 이동 사실 통보를 수신함에 따라 새로 이동한 포트에 대한 상기 접속 유닛(10) 및 기지국 접속부(12)에 필요한 자원을 새로이 할당한다.
상기 접속 유닛(10)의 각 포트와 그 포트에 연결되는 기지국 접속부(12)는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접속 유닛(10)과 기지국 접속부(12) 및 메인 처리부(14)간의 통신을 통해 서브 유닛( 접속 유닛(10)과 기지국 접속부(12)간의 1 : 1 접속 상태를 서브 유닛이라 함)으로 연결된 포트에 자원을 할당하며,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 유닛(10)에서는 각 포트별로 해당 유닛 주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상기 접속 유닛(10)의 1번 포트(1 포트)에 기지국 접속부(12)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접속 유닛(10)의 1번 포트(1 포트)가 불량하여 다른 포트(예컨대, 8번 포트)로 이동해야 할 상황이어서 상기 접속 유닛(10)의 1번 포트에 접속된 기지국 접속부(12)를 8번 포트(8 포트)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접속 유닛(10)은 상기 기지국 접속부(12)가 이동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접속 유닛(10)의 1번 포트에 접속되어 있던 기지국 접속부(12)가 접속해제되면 결국 해당 포트의 광 케이블 연결이 끊어진 것이 되므로 광 손실(optical loss)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상기 접속 유닛(10)은 1번 포트의 기지국 접속부(12)가 접속 해제되었음을 알고 광 손실 경보 상태임을 인식하며, 그 상태에서 8번 포트(8 포트)에 상기 기지국 접속부(12)가 접속되면 상기 접속유닛(10)은 광 손실 경보 해제를 검출하고 상기 8번 포트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접속부(12)가 송신하는 고유한 기지국 접속유닛 주소(즉, 8번 포트에 연결된 기지국 접속부(12)의 고유 주소)를 받는다.
다시 말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손실이 발생후 그 광 손실 발생이 해제되면 상기 접속 유닛(10)의 1번 포트에서 8번 포트로 이동한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는 상기 8번 포트를 통해 상기 접속 유닛(10)으로 소정의 메시지(SubUnitAliveCheckReq)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속 유닛(10)은 상기 기지국 접속부(12)가 1번 포트에서 8번 포트로 이동한 것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접속 유닛(10)은 포트 이동이 있었음을 인식함에 따라 소정의 메시지(SubUnitAliveCheckFail)를 8번 포트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기지국 접속부(12)에 포트가 옮겨졌음을 인지시키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만 다른 사이트로 옮겼을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 유닛(10)은 8번 포트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로 신규한 유닛주소 테이블을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는 새로운 자신의 유닛주소를 할당받게 된다.
이후, 상기 접속 유닛(10)은 메인 처리부(14)로 소정의 메시지(ASUMovePortInd)를 전송하여 포트이동이 있었음을 알린다. 그에 따라, 상기 메인 처리부(14)에서는 상기 기지국 접속부(12)와의 새로운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접속 유닛(10)을 통해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로 소정의 메시지(PathAllocAck)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접속부(12)에서는 상기 소정의 메시지(PathAllocAck)에 대한 응답신호(PathAllocCompAck)를 상기 접속 유닛(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메인 처리부(14)는 상기 접속 유닛(10)으로부터 상기 응답신호(PathAllocCompAck)를 받았다는 통보를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메인 처리부(14)는 기존의 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연결된 자원을 할당한다.
다시 말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처리부(14)는 상기 접속 유닛(10)을 통해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로 기존의 자원(경로 및 채널 구성 등)을 해제하라는 메시지(PathFreeReq)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접속부(12)는 상기 접속 유닛(10)을 통해 이전의 자원을 해제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신호(PathFreeAck)를 상기 메인 처리부(14)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메인 처리부(14)는 새로 설정된 기지국 접속부(12)와의 통신 채널을 통해 기존의 통신 채널을 제거하고, 또한 AAL2 자원도 제거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국내의 접속 유닛의 포트에 접속된 유닛이 이동하였을 경우 이를 인지하여 기존에 해당 유닛에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연결된 포트에 유닛에 필요한 자원을 자동으로 할당하여 줌으로써 서비스를 원활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자는 각 유닛간 포트 이동시에도 각 유닛의 자원의 해제 및 할당 등의 개입없이 시스템에서 각 자원을 관리해 줌으로써 보다 동적으로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각 유닛간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기지국 접속부가 접속 가능한 다수의 포트를 구비한 제어국의 접속 유닛을 갖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닛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 접속유닛의 소정 포트에 접속된 기지국 접속부가 다른 포트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과정;
    상기 기지국 접속부가 다른 포트로 이동하였으면 상기 제어국 접속유닛이 해당 제어국내의 메인 처리수단으로 그 이동 사실을 통보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이동 사실을 통보받은 메인 처리수단에서 상기 이동전 포트에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설정된 포트에 소정의 자원을 할당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상기 기지국 접속부가 이동된 해당 포트를 통해 고유의 유닛 주소를 상기 제어국 접속 유닛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국 접속유닛에서 상기 고유의 유닛 주소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접속부가 이동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이동된 포트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접속부로 신규한 유닛주소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한 유닛주소 테이블 제공은 상기 제어국 접속유닛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 접속 제어 방법.
KR10-2000-0071377A 2000-11-28 2000-11-28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접속 제어 방법 KR10040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377A KR100405407B1 (ko) 2000-11-28 2000-11-28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접속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377A KR100405407B1 (ko) 2000-11-28 2000-11-28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접속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694A KR20020041694A (ko) 2002-06-03
KR100405407B1 true KR100405407B1 (ko) 2003-11-15

Family

ID=1970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377A KR100405407B1 (ko) 2000-11-28 2000-11-28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접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4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97A (ko) * 1997-05-19 1998-12-05 양승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국내 장치들간 상태 제어방법
KR19990039644A (ko) * 1997-11-13 1999-06-05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자원 상태 일치를 위한 구동장치및 방법
KR20000038080A (ko) * 1998-12-03 2000-07-05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호 분산 제어방법
KR20000060459A (ko) * 1999-03-16 2000-10-16 김영환 환형큐를 이용한 제어국에서의 호 테이블 자원할당 및 해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97A (ko) * 1997-05-19 1998-12-05 양승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국내 장치들간 상태 제어방법
KR19990039644A (ko) * 1997-11-13 1999-06-05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자원 상태 일치를 위한 구동장치및 방법
KR20000038080A (ko) * 1998-12-03 2000-07-05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호 분산 제어방법
KR20000060459A (ko) * 1999-03-16 2000-10-16 김영환 환형큐를 이용한 제어국에서의 호 테이블 자원할당 및 해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694A (ko) 200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3845B1 (en) Inter-exchange signalling for in-call service change requests
JP4756043B2 (ja)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割り当て間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
FI101924B (fi) Matkapuhelinkeskusten välinen kanavanvaihto suurnopeusdatasiirrossa
US6192055B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setting up a data call, and an adapter equipment
EP1188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roppe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377696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790074B1 (ko) 휴대단말기의 호 연결방법
JPH1155753A (ja) 他のシステムによりサービスを受けている無線電話へローカル・サービスを行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H07250382A (ja) 無線チャンネル選択方法および無線チャンネル選択システム
US6377572B1 (en) Virtual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s
KR100646228B1 (ko) 음성 호의 화상 호 전환 방법
US20080132280A1 (en) Mobile equipment,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034634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코더의 스위칭시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05407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내부 유닛간 동적접속 제어 방법
KR100335630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트래픽 채널할당방법
FI107218B (fi) Menetelmä kanavan allokoi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KR100754648B1 (ko)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30165143A1 (en) Switching method and network element
KR100557147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별서비스등급 설정 방법
EP2416607B1 (en) Base station controller (bsc),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method for converting call mode
KR101448984B1 (ko) 기지국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8460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구분자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0171002B1 (ko) 호 재설정방법
KR2002007382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서비스 방법 및 네트워크 구조
KR20040017864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