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996B1 - 수동형화장실세정제분배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동형화장실세정제분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996B1
KR100404996B1 KR1019970706185A KR19970706185A KR100404996B1 KR 100404996 B1 KR100404996 B1 KR 100404996B1 KR 1019970706185 A KR1019970706185 A KR 1019970706185A KR 19970706185 A KR19970706185 A KR 19970706185A KR 100404996 B1 KR100404996 B1 KR 10040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hamber
dispenser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778A (ko
Inventor
존 에프. 고엘즈
미첼 이. 클링크햄머
마크 이. 웨플러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8070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8Passive dispensers, i.e. without mov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세정 시스템과 같은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의 높이가 상부 수준에서 하부 수준까지 변화할 수 있고, 역으로도 가능한 세정 탱크 등의 액제를 담는 용기속에 배치되기 적합한 분배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배기(10)는 물이 분배기로 들어가는 비율의 조절에 의해 보존된 양의 화장실 청정제를 액체를 담은 용기 속으로 분배하고 전달한다. 본 발명을 또한 분배기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제어된 가용성 화장실 청정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형 화장실 세정제 분배 시스템
화장실 세정 블록 및 자동 변기 세정제 분배기로 구성된 변기 세정기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분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변기 물탱크내에 직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화장실 세정 블록은 화장실 세정 블록을 "중량"에 의하여 아래로 향하는 것에 부가하여 염을 부가시킴으로써 통상적으로 지원되어서 변기 물탱크의 저부로 가라앉도록 된다. 그다음, 상기 화장실 세정 블록은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용해됨으로써, 그에 함유된 세정제를 화장실 물에 방출하게 된다. 이와같은 화장실 세정 블록은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변기 물탱크에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충분한 양의 비수용성 계면 활성제(water-insoluble surfactant)를 포함한다.
상기 공지된 화장실 세정 블록의 물에 대한 용해성은 수용성인 계면활성제에 소수성(hydrophobic) 또는 비 수용성인 물질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어된다.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 4,722,802 호(휴트칭(Hutching) 등)와, 미국 특허 제 4,269,723 호(발폴드(Barford)등)는 조성물과, 이 조성물로부터 화장실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발폴드의 특허는 상기 조성물에서 점토와 물에 대하여 분산되는 중합체와 같은 다른 비 수용성 방출제를 포함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043,931 호(제프레이(Jeffrey)등)와, 미국 특허 제 4,308,625 호(키트코(Kitko))는 2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지는 화장실 세정 블록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고, 상기 2개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중에서, 하나는 비 수용성이며, 다른 하나는 수용성이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820,449 호(멘케(Menke)등)는 C12-C14알킬 황산 나트륨 염과 같은 수용성인 계면활성제와, 모노 또는 디(di)의 알카놀아미드(alkanolamide)와 같은 비 수용성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실 세정 블록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4,722,801 호(분츠크(Bunczk)등)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distearate)를 사용하여 용해비를 제어하는 화장실 블록 조성물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이와같이 준비된 화장실 세정 블록은 쏟아지는 물에 세정제로로서 계면활성제를, 보다 쉽게 변기 물탱크의 물에서 용해되는 소수성/비 수용성인 물질을 부가하지 않고 제조된 화장실 세정 블록보다 긴 수명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비율로 부여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화장실 세정 블록은 몇몇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물의 용해력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미국 특허에서 소수성 또는 비 수용성인 물질은 상기 화장실 세정 블록에서,(1) 일반적으로 화장실 세정 블록에 초과적인 중량과 부피를 부가시키고, (2) 장시간 접촉하고 있는 변기 물탱크와 변기의 표면에 비 수용성인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착됨으로써, 상기 화장실 세정 블록에서 활성적인 성분(즉, 세정제 및 세척제 등)의 효과를 손상시키며, (3) 화장실 세정 블록에서의 활성적인 성분의 유용성이 화장실에서의 물 온도와 난류의 차이에 민감하도록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세정 블록에서 이들 소수성/비 수용성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세정 동작 사이의 기간 동안 상기 성분들이 세정수에 전달되어 농축되기 때문에, 상기 활성 성분이 불균일하게 운반된다. 즉, 상기 화장실 세정 블록은 세정 동작 사이의 시간이 긴 경우, 그후 화장실의 물이 쏟아질 때에는 보다 응축된 양의 활성 성분을 운반하는 반면에, 반복적이고 빈번하게 화장실의 물을 쏟아낸 다음에는 보다 희석된 활성 성분을 운반하게 된다.
소비자 그리고 생산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중 어느것 또는 모든 것을 해결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변기에 미리 정해진 양의 액체 화장실 세정제를 운반하기 위한 분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참조, 미국 특허 제 4,459,710 호(케예스(Keyes)등)와, 미국 특허 제 4,707,865 호(루드위그(Ludwig)등)와, 미국 특허 제 4,707,866 호(본 필립프(von Philipp)등) 및, 미국 특허 제 4,764,992 호(데리아(Delia)).] 이들 분배기 중 일부는 통상적으로, 변기 물탱크가 소정의 레벨로 비워질 때 상기 분배기로부터의 유동을 시발하기 위해 밸브 또는 다른 기구가 사용되기 때문에, "능동형" 분배기로 특징지워진다. 그리고, 조성의 가동 부품이 사용되지 않고, 변기 물탱크에서 물을 하강시키는 동작에 의해서만 소정 양의 액체 세정제가 분배되는 형태는 "수동형" 분배기로 특징지워진다.[참조, 미국 특허 제 4,745,638 호(리차드(Richard))와, 상기 미국 특허 제 '638 호에 언급된 미국 특허들.]
상기 수동형 분배기는 에어록크(air lock), 사이펀(siphon)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액체 화장실 세정제를 운반한다. 이들 운반수단은 액체 화장실 세정제와, 변기 물탱크의 물사이에 제어되지 않는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운반 수단을 사용함으로서, 상기 분배기에 남아있는 화장실 세정제를 하나도 남기지 않으면서, 미리 결정된 양의 액체 화장실 세정제가 모두 분배기로부터 변기 물탱크로 분배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분배기는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밀봉되어 있다. 일시적인 밀봉이 사용될 때라도, 많은 소비자들은 액체 또는 고체의 화장실 세정제의 공급을 재충전하기 위하여 변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분배기를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재충전가능하지만 밀봉되지 않은 분배기는 상업적으로 보다 양호하다. 또한, 많은 소비자들은 액체 또는 고체의 화장실 세정제를 재충전하는 보다 일시적으로 밀봉된 분배기를 버린다. 이런경우에, 환경적인 문제가 대두된다. 따라서, 재충전형 분배기는 버려지는 분배기의 수와 빈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쓰레기를 감소시켜야만 한다.
US-A-4,480,342호에는 다른 형태의 "수동형" 분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는 이를 기초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 세정제 조성물은 충진된 변기 물탱크의 수위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챔버내에 수용된다. 상기 조성물에 대한 물의 접촉은 재충전/배출 통로를 경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는 상기 챔버의 수직벽 위의 위치까지 경사지게 상승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챔버는 대기중으로 공기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탱크를 채운 물이 챔버내의 소정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재충전/배출 통로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변기가 세정될 때, 용해된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챔버내의 물은 챔버내의 수위가 경사진 재충전/배출 통로의 최고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탱크내로 분배된다.
변기가 빈번히 또는 반복적으로 세정될 때 농도의 균일성이 강화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변기로 전달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가용성 고체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 또는 희석될 수 있는 농축 또는 점성질의 액체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세정 동작으로부터 다음 세정 동작 까지의 일관성이 향상된 상태로 변기가 세정될 때 효과적인 양의 화장실 세정제를 제공하도록 분배기내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비 수용성 침전물에 의해 세정제의 효과가 저해되지 않도록,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에서 사용되는 소수성/비 수용성 물질을 전혀 또는 거의 포함하지 않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필요하다. 부가적으로, 변기 물탱크내의 물의 난류로 인한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의 수명상의 변화 효과에 둔감한 화장실 세정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화장실 세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이하게 재충전할 수 있는 분배기가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여, 그 용해 비율이 분배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면서 연장된 시간 주기에 걸쳐 변기 물탱크로의 전달을 실행할 수 있는, 내부에 배치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기 물탱크내에 사용하기 위해 장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재충전할 수 있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그 액체 레벨이 상부 레벨로부터 하부 레벨로 변화될 수 있는 액체 저장 용기, 특히, 변기 물탱크 등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분배기를 사용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등의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은 규정된 양 만큼 희석 또는 용해되어 상기 분배기로부터 분배되는 화장실 세정 혼합물을 사용한다.
도 1A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배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분배기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분배기의 측면도.
도 2A는 접혀진 형태의 도 1A에 도시된 분배기의 정면도.
도 2B는 접혀진 형태의 도 1B에 도시된 분배기의 측면도.
도 3은 분배기에 배치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분배기의챔버와, 상기 분배기의 연장된 부분사이에 배치되는 보유수단을 가진 본 발명의 분배기의 전개 사시도.
도 4는 변기 물탱크에 장착된 본 발명의 분배기.
도 5는 분배기가 장착된 변기 물탱크의 물의 레벨이 화장실의 세정동작 이후 상승될 때 입구/출구 수단(실선)을 통하여 본 발명의 분배기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과, 화장실의 세정 동작에 따라 변기 물탱크의 물의 레벨이 하강할 때 입구/출구 수단(점선)을 통하여 변기로 분배기밖으로 나오는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흐름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
도 6은 도 1A의 6-6선을 따라 취한 분배기의 단면도.
본 발명은 고체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용해되는 정도 또는 내부에 배치된 액체 또는 겔 상태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보다 많은 유체가 되거나 희석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변기로 세정수를 전달하기 위해 변기내로 화장실 세정제를 분배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분배기를 포함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공지된 화장실 세정 블록 및 화장실 세정제 분배기와 연관된 상술한 결함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은 세정 동작과 세정 동작 사이에 보다 균일한 농도로 화장실 세정제를 전달하고,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에 비해 향당된 세정 용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저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저단부로부터 근접벽 및 말단벽(34, 35)이 연장되는 하부(31) 및 상단부(36)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33)를 구비한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하부(31)의, 근접벽(34)에 부착된 도관(50)을 포함하는 입구/출구 수단(50)을 포함하는, 변기 물탱크내에 장착된 분배기(10)와, 상기 챔버의 하부(31)내에 배치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도관(50)은 인접단부(51)와 말단부(52)를 구비하고, 상기 말단부(52)는 상기 챔버(30)의 하부(31)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상기 인접단부(51)는 상기 말단부(52)위에 위치되어서 상기 챔버(30)의 하부(30)내로 경사지게 하향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30)는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을 통해 변기 물탱크내의 물과 유체 소통하며, 변기 세정 동작 이후에, 물이 입구/출구 수단(50)의 말단부(52)로 도입되고, 변기 물탱크내의 수위가 상승할 때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로 챔버(30)의 일부를 채우는 인접단부(51)로부터 배출되고, 변기가 세정될 때, 입구/출구 수단(50)을 통해 변기 물탱크내로 분배되는 형식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부(33)의 상단부(36)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받아들일 수 있고,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단부(51)는 변기가 세정된 이후에 입구/출구 수단(50)의 말단부로 물이 도입되어 상기 챔버의 하부(31)의 말단벽(35)에서 편향되는 난류로서 인접단부로부터 배출되도록 안내되고, 그에 의해, 챔버의 하부(31)내에 배치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희석 또는 용해가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기가 사용되는 변기 물탱크와 같은 액체저장 용기에서 장착되어있는 상태에서 재충전가능한 분배기를 제공한다.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은 분배기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조합은 향상된 유효 수명을 가진 효과적인 화장실 세정기를 제공하고, 종래의 화장실 블록의 소수성/비 수용성인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서 소수성/비 수용성인 물질과 같은 것을 생략함으써, 초과적인 중량과 부피가 감소되고, 변기 물탱크와 변기의 표면에 대한 비 수용성 물질의 침착이 감소되고, 세정 동작이 빈번할때에도 균일한 운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미국 전역에 걸쳐서 변기 물탱크의 난류의 변동은 서로 다른 크기이고 서로다른 지리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역효과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 대한 난류변동의 영향은, 화장실의 세정 동작 이후 변기 물탱크가 재충전될 때 상기 입구/출구 수단을 통하여 분배기로 들어가는 물로부터 바람직한 양의 난류를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분배기에 의하여 감소되거나 무시될 수 있다. 상기 난류는 희석 또는 용해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제어함으로써, 변기 물탱크내로 분배하기 위한 화장실 세정 분배기의 적절한 농도를 제공하고 변기로 운반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향상된 점은 이후의 도면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서 분명하게 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재사용가능한 분배기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각각 포함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배기는 이것에 배치된 액체 또는 겔상태, 또는 고체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희석 또는 용해정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분배기가 장착된 변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분배기에 들어가는 물에 의하여 희석되거나 용해된다. 화장실의 세정 동작시, 상기 분배기는 변기로 운반되어진 변기 물탱크의 물내로 균일한 양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분배한다. 이와같은 화장실 세정 시스템의 분배기를 사용함으로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다양한 향기, 색깔 또는 세정능력을 가지고, 또한 효과적인 사용 수명기간이 제어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변화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로써 사용 적합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세정제 조성물의 수명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분배기가 여전히 변기 물탱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세정제가 분배기내로 쉽게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 도시되고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분배기와 관련하여 사용적합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및/또는 산화제(oxidant)와 같은 활성성분과, 방향성분 및 착색제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성분이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 4급 암모늄 화합물과 요오드 착물과 같은 살균제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적합한 적절한 세정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종래의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킬, 알케닐 및 알킬아릴 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의 알카릴 금속염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식 ROSO3M 및 RSO3M으로 표현되고, 여기에서 R은 약 8 내지 20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 또는, 알킬아릴 그룹이 될 수 있고, 이것의 알킬 부는 약 9 내지 15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그룹이고, 이것의 아릴부는 페닐 또는 이것의 유도체가 될 수 있으며, M은 알카리 금속(즉, 나트륨, 칼륨 또는 리튬) 또는 질소 유도체(즉, 아미노 또는 암모늄)가 될 수 있다. 영국의 알브라이트(Albright) 와 윌슨(Wilson), 월리(Warley)에 의하여 상품명 "NANSA"HS 85/S 또는 노르웨이, 융제르 파브릭커(Unger Fabrkker), 프레디스타드(Fredistad)에 의하여 상품명 "UFARYL" DL85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나트륨 알킬아릴 설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적절한 계면활성제로써 각각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적절한 소수성/소유성(lipophobic) 발란스("HLB")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HLB는 높은 정도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나타내고, 그래서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을 허용한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HLB는 6.0 내지 30.0의 범위, 양호하게는 12 내지 25의 범위를 가진다. 알킬렌 옥사이드 축합제, 아미드, 반극성제 또는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알킬렌 옥사이드 축합제형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그룹이 약 8 내지 약 20 탄소원자를 구비할 수 있고, 에틸렌 옥사이드 유니트의 수는 약 4 내지 12 인 폴리에톡실화 지방족 알콜과; 알킬그룹이 약 6 내지 12탄소원자를 가지고 에틸렌 옥사이드 유니트의 수가 약 5 내지 25가 될 수 있는 폴리에톡실화 알킬 페놀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폴리옥시아킬렌 유도체의 2작용성 블록 중합체 및, 에틸렌디아민의 폴리옥시아킬렌 유도체의 4작용성 블록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미시간주, 와이안도테(Wyandotte), 바스파(BASF) 코포레이션에 의하여 "PLURONIC"F-108(HLB:24.0)과 "PLURONIC" F-127(HLB:1-23.0)과 같은 상품명 "PLURONIC F"(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에틸렌 옥사드-HLB:18-24)와, "PLURAFAC A-38"(HLB:19)과 "PLURAFAC A-39"(HLB:24)과 같은 "PLURAFAC A"(옥시에틸레이트 직쇄알콜)로 상업적으로 팔리는 것을 포함한다.
아미드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암모니아와 지방산이 에타놀아민 유도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아크릴 그룹은 약 8 내지 약 18 탄소원자를 포함하다.
반극성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민옥사이드, 포스핀 옥사이드 및 설폭사이드를 포함한다.
그리셀롤 스테아레이트형 비이온 게면활성제는 글리세롤과 에스테르, 글리세라드와, 에톡실화 지방산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계면활성제의 예는 오하이오, 콜룸버스, 칼사른스 유에스에 인코포레이션에 의하여 "CAPMUL" GMS(글리셀롤 모노스테아레이트-HLB:3.2)와 같은 상품명"CAPMUL"와, "CAPROL" 3GS(트리글리세놀 모노스테아레이트 -HLB:6.2)와 "CAPROL" 6G2S(헥사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HLB:8.5)와 같은 "CAPROL"과, 뉴져지, 페어론, 론자 인코포레이션에 의하여 "ALDO" MS FG(글리세롤 모노 및 디 스테아레이트-HLB:4.0)과 같은 상품명"ALDO"와, "PEGOSPERSE" 1500-MS 글리콜 에스테르[포리에틸렌 글리콜(1500) 모노스테아레이트-HLB:13.8]와 같은 "PEGOSPERSE" 이다. 상기 글리콜 에스테르중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것의 예는 일리노이, 스코키, 칼젠 케미컬 코포레이션에 의하여 "CALGENE"100-S 글리콜 에스테르(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100) 모노스테아레이트 -HLB:15.6)과 같은 상품명 "CALGENE"과; 뉴져지, 파스테르선, 리포 케미컬 인코포레이션에 의하여 "LIPOMULSE" 165(자체유화성이고, 자체 안정된 산의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HLB:11.0)과 같은 상품명 "LIPOMULSE"과; 뉴져지, 포프웰, 골드스미드트 케미컬 코포레이션에 의하여 "TEGINACID" X-SE(다른 비이온을 가진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LB:12.0)과 같은 상품명"TEGINACID"을 포함한다.
글리세라이드의 예는 "IMWITOR"965(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드(hydrogenated lard) 또는 태로우(tallow)-HLB:13.0)의 모노 및 디 글리셀라이드)와 같은 상품명 "IMWITOR"으로 판매되는 것을 포함한다.
에톡실레이트 지방산의 예는 델라웨어, 윌밍통, 아이씨아이 어메리카즈로 부터 "MYRJ"52[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HLB:16.9]와 같은 상품명"MYRJ"와; 뉴져지, 패터선, 리포 케미컬즈 인코포레이션에 의하여 "LIPOPEG"100-S(폴리옥실에틸렌 글리콜(100)POE 스테아레이트-HLB18.8) 과 같은 상품명 "LIPOPEG"으로 판매되는 것을 포함한다.
적절한 2중성 계면활성제는 오하이오, 콜룸버스, 칼스함느스 유에스에이에 의하여 판매되는 Ampho B11-34와 같은 합성 코코아 베타인과 같은 베타인 유도체와; 뉴져지, 크랜베리, 로혼-포우렌스 스페셜티 케미컬에 의하여 판매되는 "Miranol" C2M과 같은 디카복실 코코넛, 오일 유도체의 나트륨 염과 같은 베타인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2중성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거품성질과 이것의 다른 성질을 조절하기 위하여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내에 다른 계면활성제와 관련되어 합체된다.
본 발명에 사용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스테아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넛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물론, 이들 계면활성제 종류들 중 각각의 계면활성제 종류 내에서의 계면활성제의 조합이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또다른 예는 맥큐체온(McCutcheon)의 "유화제와 세제"의 북 아메리카 판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또한, 산화제가 상기 세정제 대신에 또는 상기 세정제에 부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제는 본 발명의 분배기에 사용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충분한 정도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가져야만 한다.
적절한 산화제는 수성용액의 아염소산 이온("OCI")을 포함하거나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산화제 또는 표백제중에서,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르 산("TCCA")은 다른 산화제 또는 세척제와 조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 TCCA는 텍사스, 달라시, 옥시덴탈, 케미컬 코포레이션에 의하여 "ACL"90 plus와 같은 상품명 "ACL"(염소화 s-트리아진 트리온)와, 컨넥티컷, 스탬포드, 오린 코포레이션에 의하여 "CDB"90과 같은 상품명 "CDB"(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르 산)와 같은 것으로 상업적을 이용가능하다. 다른 산화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아염소산칼슘, 디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의 나트륨("ACL"56 또는 "ACL"60과 같은) 또는 칼륨("ACL"59와 같은)염, 디클로로디메틸하이단토인과 트리클로로멜라민, TCCA, 상품명 "DANTOBROM"으로 이용가능한 브로모클로로메틸 하이단토인과, 뉴져지, 페이론, 론자 인코포레이션으로 부터 상품명 "DANTOCHLOR"으로 이용가능한 디클로로디메틸하이단토인은 본 발명의 분배기와 관련하여 세정제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산화제이다.
다른 적절한 산화제는 과산화물, 또는 이의 전구체 및 과산을 포함한다. 적절한 과산화물은 하이드로겐 과산화물과 칼슘 과산화물을 포함한다. 과산화 칼슘은 텍사스, 휴스턴, 인테록스로 부터, 상품명 "IXPER 75C"으로 판매되는 것에 이용가능하다. 과산화물 전구체는 오듐 퍼보레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 퍼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퍼카바마이드 및 과탄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은 독일, 데가사 아게로 부터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과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지만, 과산화물의 불안정성 때문에 사용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위치에서의 형성은 과붕산염, 과탄산염 또는 퍼카바마이드와 같은 과산화물 전구체중 어느 것과 테트라아세틸렌디아민("TAED")과 같은 활성제를 작용시킴으로써 성취된다. 과산화 표백 시스템을 기초로 하는 TAED는 왈스, 크리위드, 홀리웰, 모스틴, 워위크 인터네이셔널 리미티드로 부터 상품명 "MYKON A"으로 부터 이용가능하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고체 과산은 텍사스, 휴스턴, 인테록스로 부터 상품명"H48" 및 "MNPP"로 부터 이용가능한 모노퍼옥시프탈산의 마그네슘 염을 포함한다.
방향성분으로써, 소정의 과잉 물질이 변기에 바람직하게 부여되는 아로마(aroma)형태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많은 향기중 예로서 소나무, 그린 애플, 감귤 및 포푸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변기로 약 1 ppm에서 전달될때의 공기중에서의 아로마 강도를 부여하는 방향 성분이 변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아로마 강도에서, 방향 성분의 일부가 변기 아래로 쓸려내려가더라도, 잔류부분이 욕실 또는 세척실에 필요한 수준으로 아로마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화장실에 사용하기 위한 아로마 강도는 퍼지 및 트랩 가스 크로마토그래피(purge and trap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성분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물("VOC's")은 HNU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되는 모델 PI 101과 같은 광이온화 검출을 사용하여 모니터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10.2eV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고, 0.1 내지 2000 ppm의 검출범위를 가진다. 상기 장치의 이온 챔버를 통한 유동율는 약 100 cc/min이다. 이러한 장치는 상기 물의 표면("헤드 공간")으로 부터 약 4 내지 6인치로 부터 공기를 추출하고, VOC's를 ppm으로 검출한다. 예를들면, 애시드 블루(Acid Blue)9 분말의 중량당 6.0%와, 방향제의 중량당 14.0%와, 알킬 나트륨 설포네이트의 중량당 80%으로 구성된 방향 블록의 헤드공간을 샘플링하고; 상기 조성물의 수명에 걸쳐서 약 0.5 내지 약 5 ppmv의 광이온화 판독을 제공한다.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의 공식은 통상적으로 상기 장치의 검출한계 아래에 존재한다.
서로다른 많은 착색제 또는 염료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색제 또는 염료의 선택은 물론 변기로 운반하기 위하여 분배될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세정 동작 사이의 정지기간 동안에 잔류하는 곳)내로 들어가는 색깔에 의존할 것이다. 상기 착색제 또는 염료는 약 25℃의 온도에서 전체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중량당 0.01%의 정도로 수용성이 되어야만 한다. 스테인 폴세라인(stain porcelain) 등의 착색제 또는 염료는 양호하지 않다.
적절한 착색제 또는 염료의 예는 애시드 블루 1과 애시드 블루 9과 같은 음이온성 염료를 포함한다.
물내로 분배되는 착색제 또는 염료의 양은 바람직한 색깔 강도에 의존할 것이다. 착색제 또는 염료의 흡수성은 페르킨-엘머(Perkin-Elmer)모델 552 분광기와 같은 가시성의 분광기를 사용하여 화장실 사용을 위해 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변기로 운반되는 착색제 또는 염료의 양은 최대 파장에서 측정될 때 약 0.01 흡수단위("a.u.") 내지 0.2 au의 1 cm의 분광셀을 제공하기에 충분한다. 소비자는 통상적으로 색깔있는 세정제품은 상기 범위아래의 색깔 강도에서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비어의 법칙(Beer's Law)을 사용하여 세정 동작에 의해 운반되는 염료의 밀리언("ppm")당 부분을 계산하는 것이 양호하다. 비어의 법칙은 광의 발산선의 강도가 이것이 운행되는 액체의 깊이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흡수(a.u.)와 농도(ppm)는 x축과 y축에서 표준의 염료용액용으로 플로트되고, 직선이 발생될 것이다. 각각의 염료는 그 자신의 특정 구배를 가진다. 상기 흡수측정은 다음의 공식에 의하여 운반되는 ppm 염료내로 전환될 것이다.
Figure pct00001
예를들면, 애시드 블루 9의 구배는 0.106 a.u./ppm 이다. 그래서, 세정수로 운반되는 애시드 블루 9의 ppm은 약 9.4의 상수로 상기 흡수단위를 나눔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착색제 또는 염료는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서 이중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소비자에게 양호하게 될 수 있는 색깔을 가진 화장실 물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세정제는 변기에서 물에 보다 작은 색조를 제공함으로서 고갈될때(또는 고갈되어갈때)를 소비자에게 지시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착색제 또는 염료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때,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로써 동일한 비로 고갈되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고체형태, 액체형태 또는 겔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체 형태가 바람직할 때,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상술된 분배기와 관련되어 사용될때 공지된 케이크화 또는 타블렛화 작용제와 함께 케이크 또는 타블렛 형태로 가압되거나 압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크 또는 타블렛은 물론 케이크 또는 타블렛으로 가공될 동안에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리셉터클 또는 다이의 디자인에 의존할 것이다. 이러한 고체형태의 케이크 또는 타블렛은 유압 샘플링, 또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용액을 몰드내로 부어서, 그다음 상기 조성물이 고형화될 때까지 상기 몰드를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약 0.5 ppm 내지 약 20 ppm, 양호하게는 약 1 ppm 내지 약 15 ppm의 레벨애서 상기 변기에 계면활성제를 운반한다. 이러한 운반은 약 25℃의 물온도에서 약 50 내지 70 dynes/cm으로 상기 변기로 운반되는 물의 표면장력을 하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액체 형태 또는 겔형태가 바람직할 때, 적절한 양의 물 또는 공지된 겔화제가 바람직한 점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과 분배기는 특히 도면과 관련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와 도 1B에서, 상기 분배기(10)는 상부(33)와 하부(31)를 구비하는 챔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30)의 상부(33)는 이것의 상단부(36)에서 개방되어 있으므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10)는 챔버(30)에 미끄럼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게 부착되는 연장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분배기(10)의 연장부(20) 또한 이것의 상단부(21)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망원경식으로 끼워진다.(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를 참조.) 또한, 상기 분배기(10)는 연장부(20)가 놓여있는 램프(ramp:80)를 거쳐서 망원경식으로 끼워지는 위치로 남아있을 수 있다. 분배기(10)의 연장부(20)는 변기 물탱크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분배기(10)를 장착하는 장착 플랜지(40)를 구비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연장부(20)는 망원경식으로 끼워지지 않는 위치에서 하부 램프(81)위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분배기(10)는 사용할 때에 길이가 17.5 cm 내지 약 37.5 cm가 될 수 있으며, 폭은 약 6.0 cm 내지 약 8.0 cm이며, 깊이는 약 1.0 cm 내지 약 3.0 cm가 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기는 챔버(30)의 상부에서 분배기에 부착된 행거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은 돌기식 정렬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배기는 재충전작동시에 행거에서 회전되지 않는다.
입구/출구 수단(50)은 분배기(10)의 챔버(30)에 부착된다.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은 어떠한 실질적인 위치에서도 분배기(10)의 챔버(30)에 부착될 수 있지만, 분배기(10)의 하부(31)에 부착되는 것이 양호하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은 분배기의 작동시에 입구/출구 수단(5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체 케이크(cake)위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단부(51)는 물이 분배기(10)내로 통과할 수 있고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분배기(10)로 배출될 수 있는 분배기(10)의 챔버(30)의 개구에서 분배기(10)의 챔버(30)의 근접벽(34)에 부착된다. 그래서,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은 변기 물탱크가 재충전되고, 화장실의 세정 동작에 따라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분배기를 나갈때에 물이 분배기(10)로 들어오는 도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물이 입구/출구 수단(50)를 통하여 분배기(10)으로 들어갈 때, 특히 챔버(30)의 상부(31)에서 분배기(10)에 난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난류는 변기 물탱크에서의 고압과, 챔버(30)에서의 저압이 존재함으로써,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 단부에 부착됨에 따라 증가된다. 이와같이 발생된 난류는 분배기(10)에 배치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희석하거나 용해하게 된다. 화장실의 세정 동작시 마다, 챔버와 케이크 또는 타블렛(tablet)는 챔버(30)의 물에서 케이크 또는 타블렛의 용해를 가속시키고, 물이 처리하는 물질이 수집하고 응축할 수 있는 챔버(30)의 물내에서 휘저어지지 않는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의 강력한 흐름에 의하여 세척된다. 그래서, 상기 난류는 균일한 운반을 발생시키고, 분배기로부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전체 배출을 궁극적으로 달성한다.
입구/출구 수단(50)은 물이 흡입되는 분배기(10)가 챔버(30)의 말단벽(35)의 내부에서 특정영역으로부터 편향되기에 충분한 각도로 챔버(30)에 부착되어야만 한다. 상기 각도는 챔버(30)의 말단벽(35)의 내부에서 특정 영역으로부터 물이 편향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니트의 폭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말단벽(35)의 내부의 영역은 챔버(30)이 저부로부터 0 내지 10 cm, 양호하게는 0 내지 5 cm로 연장된다. 상기 각도에서, 입구/출구 수단(50)은 난류흐름 물이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로 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적절한 양의 희석 또는 용해량이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고갈될 때, 본 발명의 분배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난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갑작스러운 수명종료를 발생시키므로, 소비자는 분배기(10)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교체될때를 알게 된다.
들어가는 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난류의 양은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과, 챔버(30)의 말단벽(35)와 접촉과 이것으로 부터의 편향이전에 흡입되는 물의 거리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입구/출구 수단(50)은 그자체로써 관형상이고, 분배기(10)로부터 연장되어야만 하므로, 이것의 말단부(52)는 인접단부(51)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고, 인접단부(51)는 양호하게는 하향각도로 분배기(10)에 부착된다.
분배기내의 흐름성질은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과, 탱크내의 물의 밀도와 점성 및, 변기 물탱크에 충전되는 물의 비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난류와 흐름성질의 보다 일치된 계산은 입구/출구 수단의 중심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원형 튜브의 흐름이 포물선이고, 최대흐름이 튜브의 중심에서 있다. 레이놀드 수("Re")로서 지시되는 입구/출구 수단(50)의 중심에서의 최대 난류는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에서, ρ= 유체의 점성
Figure pct00003
= 유체의 속도("유동율")
d= 2r= 튜브의 직경
Figure pct00004
= 유체의 점성
다음의 변수는 본 발명의 분배기의 Re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25℃에서의 물의 밀도 =0.997 g·cm-3
25℃에서의 물의 점성 =0.008904 poise
본 발명의 입구/출구 수단(50) 즉, 튜브의 흐름성질은 다음의 몇몇 가정을 기초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양호한 분배기의 충전 사이클은 10초 내지 100초의 범위에 있다. 또한, 3.5 갤론(13 리터)의 미국 표준 또는 콜러(Kohler)변기의 전체 세정 동작 사이클은 40 내지 90 초이고, 상기 시간의 단지 한 부분만이 분배기의 충전에 사용된다(충전 사이클의 마지막 반). 따라서, 입구/출구 수단(50)의 유동율는 약 1 ml/s 내지 약 10 ml/s의 범위이다.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은 약 0.159 cm 내지 1.27 cm(반경은 0.0794 cm 내지 약 0.635 cm)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은 약 0.30cm 내지 약 1.0(반경은 0.15 cm 내지 0.5 cm)가 양호하고,가장 양호하게는 약 0.4 내지 약 0.7 cm(반경은 0.2 cm 내지 0.35 cm)이다.
입구/출구 수단(50)의 유동율는 다음의 계산과, 포이쥴러의 흐름이 영향을 끼친다는 가정에 의하여 계산된다. 포이쥴러 흐름하에서, 유체의 최대 속도는 입구/출구 수단(50)의 중심에 있다고 가정한다.
유체, 상기 경우에서는 물의 속도는 다음의 계산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Figure pct00005
여기에서, r= 튜브의 반경
Figure pct00006
양호하게는, 입구/출구 수단(50)의 난류는 약 224 Re 내지 18,000 Re의 범위이고, 보다 양호하게는 약 300 Re 내지 약 15,000 Re이며; 가장 양호하게는 약 500 Re 내지 약 10,000 Re의 범위이다.
입구/출구 수단(50)은 고착수단(60)에 의하여 분배기(10)의 챔버(30)에 고착된다. 고착수단(60)은 입구/출구 수단(50)과 분배기(10)사이에 일체로된 단일편이 될 수 있거나, 분배기(10)에 대한 입구/출구 수단(50)의 위치의 일체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작용을 하는 다중편이 될 수 있다. 고착수단은 분배기의잔류부분(이후의 설명을 참조)과 동일한 물질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로서 제조될 수 있다.
사용할 때,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분배기(10)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성물은 분배기(10)의 챔버(30)의 하부(31)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분배기(10)가 변기 물탱크에 장착되기 전이나 또는 장착된 후에 분배기(10)에 배치될 수 있다.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분배기(10)에 배치할 때,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분배기(10)의 챔버(30)의 저부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주의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챔버(30)의 상부(33)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보다 용이하게 수용하고 하부(31)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챔버(30)의 하부(31)보다 더 넓은 것이 양호하다.
고체형태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사용될 때, 조성물이 배치될 때 이것이 하부(31)이 도달하기 전에 분배기(10)의 챔버(30)에 가라앉는 잠재성이 있다. 양호하게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안내부(90)가 블록등이 하부(31)에 도달하기 전에 챔버(30)에 가라앉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액체형태 또는 겔형태 특히, 고점성의 액체가 사용될 때,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분배기(10)의 챔버(30)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챔버(30)의 하부(31)에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도달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상기 화장실 세정 시스템의 성능(즉, 분배기와 관련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소용돌이 치는 와류의 물내에 배치됨에 따라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희석하거나 용해시키는 난류를 발생시키도록 분배기(10)의 챔버(30)의 하부(31)의 저부또는 그 근처에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위치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난류는 다음에 변기에 세정 동작 동안에 용해된 물질을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물질이 분배기의 상부로 흐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챔버(30)의 하부(31)에 도달하는 것이 보장됨으로써, 물론 모든 것이 동일하게 남아있고 분배기(10)는 빈번하게 재충전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적절하게 장착된 분배기(10)를 가진 변기의 세정 동작 이후에, 상기 변기 물탱크는 물을 재충전하기 시작하고, 이 물은 입구/출구 수단(50)을 통하여 분배기(10)로 들어가야만 한다. 상기 물은 변기 물탱크의 재충전 차단 기구가 시작될 때까지 변기 물탱크로 연속되게 들어간다. 이러한 점에서, 변기 물탱크의 물의 레벨은 분배기(10)에 저장된 물의 레벨과 거의 동일하다.
상술된 바와같이, 입구/출구 수단(50)을 통하여 분배기(10)의 챔버(30)로 들어가는 물로부터 발생되는 난류는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의 폭에 의존하여 변화된다.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은 약 0.159 cm 내지 약 1.27 cm가 양호하고, 보다 양호하게는 0.30 cm 내지 1.0 cm이며, 가장 양호하게는 0.4 cm 내지 0.70 cm이다.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은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다. 또한, 입구/출구 수단(50)의 말단부(52)의 내부직경은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단부(51)의 내부직경보다 더 크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입구/출구 수단(50)은 이것이 챔버(30)위의 부착점으로부터 연장될 때 상향각도로 형성되기 위하여 챔버(30)에 부착되어야만 한다. 특히,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단부(51)로부터 입구/출구 수단(50)의 말단부(52)까지에서, 입구/출구 수단(50)은 연장부(20)을 향하여 상향으로 조금 회전되고, 그다음 챔버(30)의 하부(31)의 저부영역(32)을 향하여 하향으로 연장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각도 또는 입구/출구 수단(50)의 구불한 특성은 챔버(30)로 들어가는 물로부터 적절한 양의 난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난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집적되어 응축되는 챔버의 물에서 휘젓어지지 않는 영역을 피함으로써,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근본적인 배출을 허용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신속한 수명종료로 전환됨으로, 소비자는 분배기의 적절한 재충전 시간을 알게 된다. 또한, 상기 난류는 다음의 화장실의 세정 동작 동안에 균일한 운반을 보장하도록 챔버의 상부로 상기 용해된 물질을 가압하는 것은 물론 세정제 조성물의 용해를 가속시킨다.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단부(51)와 챔버(30)의 부착점의 각도는 챔버(30)의 하부로부터 약 0 cm 내지 5 cm의 범위, 보다 양호하게는 챔버의 하부로부터 1.0 cm 내지 2.0 cm의 범위내의 위치에서 물이 챔버(30)의 내부 말단벽으로부터 편향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물론, 챔버(30)내에서 적절한 물의 난류의 양은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단부(51)의 부착점에서 형성된 각도와, 챔버(30)내에서 적절한 양의 물의 난류를 발생시키는 챔버(30)의 크기와의 조합으로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의 폭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에, 입구/출구 수단(50)의 내부직경은 약 0.3 cm 내지 약 1.0 cm가 양호하고, 챔버(30)의 크기, 특히 챔버(30)의 하부는 3 차원의 직사각형으로 될 때, 길이는 약 6 cm이고, 폭은 6 cm이며, 깊이는 약 2.5 cm이다.
물이 들어가는 분배기(10)으로부터 발생되는 난류는 챔버(30)의 하부(31)의저부영역(32)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희석시키거나 용해시킨다. 이것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적절한 농도로 희석되거나 용해되는 저부영역(32)이다. 분배기(10)로 들어가는 물로 인하여, 상기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하부(31)로부터 상부(33)로 입구/출구 수단(50)위의 점까지 분배기(10)의 챔버(30)내에서 상승된다. 상기 희석되거나 용해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분배기(10)내에 부가로 상승되는 점은 변기 물탱크를 충전하는 물과 동일한 레벨이다. 분배기(10)의 챔버(30)의 상부(33)에 위치된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변기의 물을 내릴 때, 상기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입구/출구 수단(50)을 통하여 분배기(10)의 챔버(30)의 상부(33)로부터 분배되어, 변기로 운반되는 변기 물탱크의 세정수로 분배된다. 이러한 난류는 본 발명의 분배 시스템에 의하여 변기에 화장실 세정제를 운반하는 차이점으로 전환된다.
공지된 화장실 분배기와 고체 세정 블록에서, 보다 연장된 기간(즉, 2-10시간)의 세정 동작 사이의 정지시간을 가진후에, 변기의 최초의 세정 동작은 매우 농축된 양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운반할 수 있고, 반복적이고 빈번하게 연속적으로 세정 동작을 하는 것은 화장실 세정제의 농축 양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보다 연장된 기간동안에 세정 동작 사이의 정지기간을 가진후에, 최초의 화장실 세정 동작은 매우 희석된 양의 화장실 세정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반복적이거나 빈번하고 연속적인 세정 동작 이후에, 보다 많이 농축 양의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희석 또는 용해가 분배기(10)의 챔버(30)의 하부(31)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세정 동작시 마다, 상기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잔류부피가 챔버(30)의 하부(31)에 남아있게 된다. 즉, 하부의 물은 변기에 세정 동작 사이에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과 접촉한 상태로 남아있으므로, 분배기(10)내에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보다 농축된 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보다 높은 농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에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성분(방향성분을 절감)의 높은 수용성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잔류부피는 세정물을 빠르게 포화시키고, 그다음 이 조성물이 포화점에서 용해를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부피는 빈번하게 또는 반복적으로 변기를 세정할때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분배 및 운반에 대한 균일성을 발생시킨다.
상기 화장실 세정제의 수명의 초기부분동안에 보다 많은 양의 세정제가 물에 운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상기 세정제는 입구/출구 수단(50)위로 약 1.0 cm 내지 약 2.5 cm로 연장될 수 있다. 주의할점은 상기 세정제가 용해시 입구/출구 수단(50)을 막는 것을 주의해야한다.
희석 또는 용해단계로 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할 때, 특히 고체 형태일 때,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부분은 희석되거나 용해되는 물에 노출된다. 양호하게는, 챔버(30)의 하부(31)의 저부 영역(32)에 배치되는 화장실 세정제가 희석되거나 무르게 될때, 이것은 저부영역(32)의 내부 형태를 거의 충전시킨다. 따라서, 세정제의 운반은 조성물이 조성물의 전체 수명에 걸쳐서 일정한 표면영역으로부터 운반될 때 보다 균일하게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종래의 화장실 세정블록이 용해될 때, 상기 블록은 이것의 효과적인 수명에 걸쳐서 표면영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부터 물질을 운반하게 된다.
분배기(10)에 사용하기 위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서로 다른 색깔 또는 향기를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전체 물에 노출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부분으로부터 희석되거나 용해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색깔 또는 향기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층의 일정하게 제어됨으로 바람하게 상기 물로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분명한 색깔 및/또는 향기층이 발생될 수 있는 고체형태에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준비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하나이상의 챔버와, 각각의 챔버용의 입구/출구 수단(50)을 가지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서로 다른 성분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분리된 챔버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각각의 성분 또는 이것의 조합을 분리된 챔버와 입구/출구 수단으로부터 분배 및 운반함으로써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혼합구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분배기는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은 쉽게 제조가능하여야만 하고, 일단 제조되면, 상기 물질은 탄성이 있어야만 하고, 분배기 또는 변기 물탱크 그자체에서 발생되는 물의 난류와 물의 온도의 변화를 견디어야만 한다. 상기 분배기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성분에 삽입되는 것은 물론 물에 삽입되어야만 한다. 적절한 물질은 PVC, HDPE, LDPE 및PET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물질은 사출성형, 열가소성 형성 및 브로우 성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분배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분배기는 접을수 있는 형태로 상인과 소비자들에게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챔버(30)는 분배기(10)의 챔버(3)의 상부(33)에서 연장부(20)내에 수축가능할 수 있다.(도 2A 및 도 2B를 참고.) 또한, 분배기(10)의 연장부(20)은 챔버(30)의 상부(33)내에서 수축가능할 수 있다. 상기 어느 경우에서도, 상기 분배기(10)는 보다 작은 치수(즉, 약 18 cm)로 포장될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공간을 사용하고, 그리고 환경적인 관점에서 보다 양호하게 보다 작은 포장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분배기의 재충전성은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고갈될 때 변기 물탱크로부터 분배기를 제거하지 않고 분배기를 다시채우거나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형태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고갈될 때 폐기되는것보다 상기 변기 물탱크로부터 제거되거나 않되는지 분배기를 채충전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점은 폐기된 분배기의 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환경적인 관점에서도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서, 분배기(10)의 챔버(30)의 내부로 비의도적인 접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은 취급시에 위험을 발생시키는 산화물 또는 다른 공지된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 예를들면, 보유수단(70)은 챔버(30)의 상부(31)와, 분배기(10)의 연장된 부분(20)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유수단(70)은 분배기(10)의 챔버(30)의 상부(33)위에 결합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배치되며, 분배기(10)의 연장된 부분(20)이 그위에 결합되도록 한다. 양호하게는, 보유수단(70)은 상호록크되는 핑거(71)를 구비한다. 또한, 이와유사한 크기와 형상의 보유수단(도시않음)이 분배기(10)의 연장된 부분(20)의 상단부(21)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용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지 본 발명을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과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으로부터 운반되어지는 활성 성분양의 농도의 균일성을 비교한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블루색깔의 방향 블록내로 다음의 성분을 함께 압출함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pct00007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압출된 화장실 세정 블록은 약 22.8g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분배기는 절첩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상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3.5 갤론(13리터)의 변기 물탱크와 상기 블루색깔의 방향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그곳에 배치되고, 분배기의 저부에 도달하도록 한다.
다른 변기용에서, 공식은 85%가 활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60% 나트륨 아킬아릴 설포네이트; 하이드로실에틸 셀루로즈(결합제)-10%, 보락스·5몰 H2O(필터/염)-16%, 애시드 블루#9-4% 및 방향성분-10%으로 된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이 변기 물탱크에 위치된다. 상기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상기 실시예에서 약 24.86g으로 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의 균일한 운반을 시험하고, 이것을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과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 배치되는 각각의 변기는 처음의 판독을 취하기 전에 3일동안에 하루에 10번 세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3일 후에는, 각각의 변기는 0.5 시간의 간격에서 반복적으로 세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성물로 부터의 실험적인 관찰은 1cm 셀을 사용하는 628 nm로 설정되는 분광기인 페르킨-엘머 모델 552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아래의 표1에 도시된다.
[표 1]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1/은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
상기 데이터로 부터, 상기 화장실 세정 시스템은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보다 더 많이 농축된 양의 착색제를 운반하고,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세정 동작 이후보다 농축되고 균일하게된 양을 운반한다.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과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화장실 물에 부여되는 색깔의 강도정도가 화장실 세정제의 농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화장실 세정 시스템은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보다 더 농축되고 일치된 양의 화장실 세정제를 균일하게 운반하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상기 표는 또한 화장실 세정 시스템이 첫 번째 보다 두 번째 세정 동작으로 부터 상기 변기에 보다 많은 양의 화장실 세정제를 운반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각각의 분배기내로 들어가는 물이 얼마나 많은지를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4개의 서로다른 중량에서 각각의 변기 물탱크에서 장착된 분리된 분배기에 배치된다. 이러한 결정의 결과는 아래의 표2에 도시된다.
[표 2]
Figure pct00010
상기 정보와, 하루당 평균 10번의 변기에서 물을 내리는 것으로 부터, 상기 공식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사용"수명기간을 제공하기위하여 적절한 중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의 목적은 본 발명의 분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적절하게 제조하는 값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과, 분리 분배기에 각각 배치된 종래의 액체 분배기의 것과,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의 7일간에 걸쳐서 화장실 세정제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세정제-LCS, 블록 및 액체를 포함하는 양은 염료가 0.5g 존재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압출 화장실 세정 블록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상기 압출된 블록은 약 9.1g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분배기는 이들이 절첩가능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상과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 1 분배기는 변기 물탱크에 장착되고, 블루색깔의 방향 화장실 세정 블록은 상기 탱크에 배치되어 분배기의 저부에 도달하도록 한다.
상기 화장실 세정 시스템은 변기가 한밤중으로 부터 아침 8까지의 정지기간에서 하루에 10번 세정 동작이 이루어지는 7일간에 걸쳐서 관찰된다. 첫날 변기에 분배기를 장착한 바로 다음에, 상기 변기는 2번(0.5 시간의 간격) 세정 동작이 이루어지고 분광측정이 행하여진다. 그다음 날에, 상기 변기는 8시간의 정지기간 다음에 즉시 0.5 시간에서 세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세정 동작 이후, 분광측정이 페르킨-엘머 모델 552 분광기를 사용하여 변기에서 색깔의 양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아래의 표3에 나타난다.
[표 3]
Figure pct00011
*는 측정하지 않는 것임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
2 번째 변기에서, 제 1 실시예에 기술된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본 발명의 분배기에 배치되고, 변기 물탱크에 장착된다.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본 실시예에서 약 12.5g의 무게로 사용된다.
상기 화장실 세정 시스템은 변기가 한밤중으로부터 아침 8까지의 정지기간에서 하루에 10번 세정 동작이 이루어지는 7일간에 걸쳐서 관찰된다. 첫날 변기에 분배기를 장착한 바로 다음에, 상기 변기는 2번(0.5 시간의 간격) 세정 동작이 이루어지고 분광측정이 행하여진다. 그다음 날에, 상기 변기는 8시간의 정지기간 다음에 즉시 0.5 시간 간격으로 세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분광측정이 페르킨-엘머 모델 552 분광기를 사용하여 변기에서 색깔의 양을 기초로 하여 1 cm 셀의 사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아래의 표4에 나타난다.
[표 4]
Figure pct00012
*는 측정하지 않은 것임
종래의 액체 세정기
3번째 변기에서, 종래의 자동적인 액체 분배기의 50g의 샘플은 다음의 공식을 가진다: 5%의 알파-오레핀 나트륨 설포네이트(40%액체)와, 2%의 애시드 블루 #9(50% 액체) 및, 93%의 물이 본 발명의 분배기에 위치되고, 3번째 변기 물탱크에 장착된다. 이러한 액체공식에서, 단지 2일의 주기가 관찰에 필요한데, 왜냐하면 2번째 날이후에 분배기에 어떠한 물질도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변기는 상기 실시예에서 다른 2개와 같이 동일한 간격으로 화장실의 세정동작이 이루어지고, 이것은 다음의 표 5에 나타난다.
[표 5]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사이에서 물에 대한 용해성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과 종래의 액체 세정제에서, 상기 종래의 액체 세정제는 3일보다 더 작게 소비되므로, 부가의 세정능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화장실 세정 블록은 화장실 세정제의 불균일한 운반을 제공하고, 변기가 반복적으로 세정될 때, 바람직한 양의 세정 능력을 유지하는데는 실패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변기의 빈번한 세정 동작시 균일하고 또한 농축된 화장실 세정제를 운반한다.
제 3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표백하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특히 "CDB-90"인 TCCA가 99.5%이고, 0.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로 부터 블록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화장실 세정 블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배기에 위치되고, 미국 표준 변기 물탱크(3.5 갤론/13 리터)에 장착된다. 상기 블록은 이 실시예의 초기에 약 40.0이다.
상기 변기는 92일 동안에 하루당 10번, 세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변기는 아침에 3번(상기 날짜의 "첫번째 세정 동작" 이후에 반복적인 세정 동작("두번째 세정 동작")) 세정동작이 이루어지고, 오후에 2번, 저녁에 5번 세정 동작이 이루어지며, 두 번째 세정 동작을 제외한 각각에서는 한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세정 동작"이라는 것은 약 2 내지 10 시간의 정지기간이후의 첫 번째 세정 동작을 지시한다.
상기 변기로 운반되는 이용가능한 염소는 적정제(titrant)로써 사이오설페이트를 사용하는 전위차계 적정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이 수명에 걸쳐서 이것의 일체성을 유지하고, 이것은 실험도중에 남아있는 물질의 양을 결정한다. 이 결과는 아래의 표 7에 도시된다.
[표 7]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표 7에 도시된 바와같이, 92일(920번의 세정 동작), 상기 정제는 용해성의평균비에서 36g 또는 한 번의 세정 동작 동안 0.04g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표는 3개월 기간에 걸쳐서 염소운반의 균일성을 나타낸다. (36일에서 높은 유용성의 염소는 변기 물탱크의 따뜻한 물이 존재하여 발생되고, 이러한 날짜는 본 발명의 운반의 균일성의 대표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는 이용가능한 염소의 보다 높고 균일함은 첫 번째 세정 동작 보다 두 번째 세정 동작으로부터 상기 변기로 운반된다. 통상적이고 종래의 100g의 표백제 블록은 이들의 수명 마지막주동안에 2-4ppm사이와, 사용되는 처음 2주 동안의 10시간 정지기간이후에 8-10 ppm을 항상 운반하고, 이들의 수명은 약 4개월이다.
제 4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세정 동작 이후에, 본 발명의 흐르는 물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에 착색제를 운반하는 균일성이 종래의 것과 비교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블루색깔의 방향블록내로 다음의 성분이함께 압출되어 제조된다.
Figure pct00017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약 49.0g이 미국표준의 변기의 탱크에 위치된다. 상기 변기는 35일동안에 걸쳐서 하루에 10번 세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기는 제 4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같이 아침에 3번 세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기에서의 용액으로 부터의 샘플링은 오전 8시 이전과 이후에 세정 동작이 수행되고, 아침 8시와 9시사에서는 3번 35일 동안 걸쳐서 주당 한 번씩 실행된다.
상술된 바와같은 샘플링은 100g의 액체 세정품을 가지는 블록정제로 부터 2000번 세정 동작(블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흡수와, 2000번의 세정 동작의 샘플은 페르킨 엘머 모델 552 분광기를 사용하여 1 cm의 셀에서 628 nm의 파장으로 측정된다. 이것의 결과는 다음의 표 8에 도시된다.
[표 8]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상술된 결과는 본 발명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이 2000번의 세정 동작이 이루어지는(블루) 것이 세정블록보다 0.01 a.u. 이상으로 색깔강도를 보다 균일하게 운반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본 발명이 변기 물탱크에 장착할 수 있는 분배기를 사용하는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분배기는 물의 레벨이 높은 레벨로 부터 낮은 레벨로, 그리고 그반대로 변하는 어떠한 액체 저장 용기에서도 장착되게 적합하고, 하부레벨에서 균일성이 향상된 농도로 운반되는 물처리 물질의 부피를 운반하기 위한 분배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저장 용기의 예는 산화제 또는 다른 물처리 물질이 하부레벨이 도달할 때 물에 바람직하게 운반될 수 있는 수영장과, 영양물 또는 다른 물처리 물질이 하부레벨이 도달할 때 물로 바람직하게 운반되는 수족관이다.

Claims (10)

  1. 저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저단부로부터 근접벽 및 말단벽(34, 35)이 연장되는 하부(31) 및 상단부(36)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33)를 구비한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하부(31)의 근접벽(34)에 부착된 도관(50)을 포함하는 입구/출구 수단(50)을 포함하는, 변기 물탱크내에 장착된 분배기(10)와, 상기 챔버의 하부(31)내에 배치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50)은 인접단부(51)와 말단부(52)를 구비하고, 상기 말단부(52)는 상기 챔버(30)의 하부(31)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상기 인접단부(51)는 상기 말단부(52) 위쪽에 위치되어서 상기 챔버(30)의 하부(30)내로 경사지게 하향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30)는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을 통해 변기 물탱크내의 물과 유체 소통하며,
    변기 세정 동작 이후에, 물이 입구/출구 수단(50)의 말단부(52)에서 도입되고, 인접단부(51)에서 배출되어, 변기 물탱크내의 수위가 상승할 때, 챔버(30)의 일부가 희석되거나 용해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로 채워지고, 변기가 세정될 때, 입구/출구 수단(50)을 통해 변기 물탱크내로 분배되는 형식의 화장실 세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33)의 상단부(36)는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을 받아들일 수 있고,
    상기 입구/출구 수단(50)의 인접단부(51)는 변기가 세정된 이후에 입구/출구 수단(50)의 말단부에서 도입된 물을 상기 챔버의 하부(31)의 말단벽(35)에서 편향되는 난류 형태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고, 그에 의해, 챔버의 하부(31)내에 배치된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의 희석 또는 용해가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하부(31)는 상기 챔버(30)의 상부(33)내로 수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상부(33)는 상기 챔버(30)의 하부(31)내로 수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는 연장부(2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33)와 상기 연장부(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챔버(30)로의 비의도적인 접근을 방지하는 보유수단(7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세정제와, 방향 성분과,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표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약 12 내지 25 범위내의 소수성/소유성 밸런스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또는 그 조합물과 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세정제 조성물은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 염소화된 s-트리아진 트리온, 소듐 디클로로이소시아뉴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칼슘 하이포클로라이트, 브로모클로로디메틸하이단토인, 디클로로디메틸하이단토인, 트리클로로멜라민, 오듐 퍼보레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소듐 퍼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과산화 칼슘, 과산화 아연, 퍼카바미드 및 과탄산나트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산화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출구 수단을 통해 챔버내로 도입되는 물은 약 Re 224 내지 약 Re 18,000 사이의 범위내의 최대 레이놀즈수를 가진 입구/출구 수단의 중앙부내에서의 난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세정 시스템.
KR1019970706185A 1995-03-03 1996-02-23 수동형화장실세정제분배시스템 KR100404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98,040 US6055679A (en) 1995-03-03 1995-03-03 Passive lavatory cleanser dispensing system
US398,040 1995-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778A KR19980702778A (ko) 1998-08-05
KR100404996B1 true KR100404996B1 (ko) 2004-02-05

Family

ID=2357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185A KR100404996B1 (ko) 1995-03-03 1996-02-23 수동형화장실세정제분배시스템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6055679A (ko)
EP (1) EP0813637B1 (ko)
KR (1) KR100404996B1 (ko)
CN (1) CN1120920C (ko)
AR (1) AR001147A1 (ko)
AT (1) ATE220157T1 (ko)
AU (1) AU693324B2 (ko)
BR (1) BR9607701A (ko)
CA (1) CA2163596C (ko)
CZ (1) CZ275397A3 (ko)
DE (1) DE69622159T2 (ko)
EG (1) EG20719A (ko)
ES (1) ES2175075T3 (ko)
HU (1) HUP9801393A3 (ko)
MX (1) MX9706711A (ko)
NZ (1) NZ303077A (ko)
PL (1) PL180557B1 (ko)
RU (1) RU2162499C2 (ko)
SK (1) SK119297A3 (ko)
TR (1) TR199700888T1 (ko)
UA (1) UA46756C2 (ko)
WO (1) WO1996027714A1 (ko)
ZA (1) ZA9616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351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5698B1 (en) 2000-01-18 2002-12-17 Albemarle Corporation Binder-free compacted forms of 1,3-dihalo-5,5-dimethylhydantoins
US6680070B1 (en) 2000-01-18 2004-01-20 Albemarle Corporation Particulate blends and compacted products formed therefrom, and the preparation thereof
US6448410B1 (en) 2000-01-18 2002-09-10 Albemarle Corporation Production of compacted biocidal agent from particulate biocidal agent without using a binder
US7579018B2 (en) 2000-01-18 2009-08-25 Albemarle Corporation Microbiological control in aqueous systems
US6809205B1 (en) 2000-01-18 2004-10-26 Albemarl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N-halogenated organic compounds
US6565868B1 (en) 2000-01-18 2003-05-20 Albemarle Corporation Methods for microbiological control in aqueous systems
US6638959B2 (en) 2000-01-18 2003-10-28 Albemarle Corporation Microbiological control in aqueous systems
US6508954B1 (en) 2000-01-18 2003-01-21 Albemarle Corporation 1,3-dibromo-5,5-dimethylhydantoin of enhanced properties
US7999118B2 (en) 2000-01-18 2011-08-16 Albemarl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N-halogenated hydantoins
DE60101387T2 (de) * 2000-06-08 2004-06-09 Unilever N.V. Reinigungsmittel für harte oberflächen
US6908636B2 (en) 2001-06-28 2005-06-21 Albermarle Corporation Microbiological control in poultry processing
US6965035B1 (en) 2002-07-25 2005-11-15 Albemarle Corp Compacted forms of halogenated hydantoins
FR2856089A1 (fr) * 2003-06-11 2004-12-17 Damien Brierre Dispositif passif, sans parties mobiles doseur et distributeur de produits pour wc
GB2402945B (en) * 2003-06-16 2008-02-20 Jeyes Group Ltd A liquid dispensing device
US7901276B2 (en) 2003-06-24 2011-03-08 Albemarle Corporation Microbiocidal control in the processing of meat-producing four-legged animals
DE102004056554A1 (de) * 2004-11-23 2006-05-24 Buck-Chemie Gmbh Haftendes Sanitärreinigungs- und Beduftungsmittel
US20060130221A1 (en) * 2004-12-20 2006-06-22 Bulala Cherie A Multi-function toilet device
EP1840281A4 (en) * 2005-01-20 2010-12-01 Nippon Soda Co DEVICE FOR DISTRIBUTION OF CHEMICAL SOLUTIONS AND CHEMICALS
US8298482B2 (en) * 2005-06-10 2012-10-30 S.C. Johnson & Son, Inc. Vapor phase hydrogen peroxide deodorizer
US20060280665A1 (en) * 2005-06-10 2006-12-14 S.C. Johnson & Son, Inc. Vapor phase hydrogen peroxide deodorizer
PE20070918A1 (es) 2005-12-01 2007-10-06 Albemarle Corp Control microbiocida en el procesamiento de animales cuadrupedos productores de carne
US7709433B2 (en) 2007-02-12 2010-05-04 S.C. Johnson & Son, Inc. Self-sticking disintegrating block for toilet or urinal
US8307467B2 (en) 2007-08-23 2012-11-13 The Clorox Company Toilet device with indicator
US8090649B2 (en) * 2008-12-18 2012-01-03 Metabank Computerized extension of credit to existing demand deposit accounts, prepaid cards and lines of credit based on expected tax refund proceeds, associ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GB0918759D0 (en) * 2009-10-27 2009-12-09 Reckitt Benckiser Inc Hanger for a lavatory treatment device
US20140075663A1 (en) 2012-09-14 2014-03-20 Impact Products, Llc Urinal screen
US9278152B2 (en) * 2012-09-14 2016-03-08 Impact Products, Llc Solid state fragrancing
DE102013207126A1 (de) * 2013-04-19 2014-10-23 Henkel Ag & Co. Kgaa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Wirkstoffzubereitung in ein Toilettenbecken
MX2016015415A (es) 2014-05-27 2017-03-20 As Ip Holdco Llc Sistema de limpieza de accesorios sanitarios.
US10465366B2 (en) 2014-05-27 2019-11-05 As America, Inc.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US10669705B2 (en) 2016-07-05 2020-06-02 Willert Home Products, Inc. Toilet bow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493177B2 (en) 2017-01-12 2019-12-03 Impact Products, Llc Solid state fragrancing
WO2018140634A1 (en) 2017-01-25 2018-08-02 As Ip Holdco, Llc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CN107338840A (zh) * 2017-03-10 2017-11-10 王静娜 一种除臭剂投放装置
CN106884467B (zh) * 2017-03-10 2017-12-01 金华市至美包装有限公司 一种除臭装置
CN113026880B (zh) * 2021-03-03 2022-07-29 陈雪琴 一种设有防冻裂杀菌装置的智能马桶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17A (en) * 1861-04-09 Grain-separator
AU5737465A (en) * 1966-04-05 1967-10-05 Meinir Products Pty. Limited Improvements in devices for deodourising disinfecting and cleaning toilet bowls andthe like
GB1219200A (en) * 1968-05-29 1971-01-13 Reckitt & Colmann Pr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pensing containers for use in flushing cisterns
GB1418830A (en) * 1973-02-26 1975-12-24 Jeyes Group Ltd Lavatory cleansing blokc
FR2244880B1 (ko) * 1973-09-21 1982-11-05 Oreal
US4269723A (en) * 1978-03-21 1981-05-26 Jeyes Group Limited Process for making a lavatory cleansing block and use
US4216027A (en) * 1978-04-18 1980-08-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sing and disinfecting a flushing toilet
USRE32017E (en) 1978-04-24 1985-11-05 Globol-Werk Gmbh Toilet flush water colorizer
US4308625A (en) * 1978-06-12 198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for sanitizing toilets
US4281421A (en) * 1979-03-12 1981-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ssive dosing dispenser with improved hypochlorite cake
US4419771A (en) * 1982-02-08 1983-12-13 The Drackett Company Passive dispenser
US4375109A (en) * 1982-02-22 1983-03-01 The Drackett Company Passive dispenser having a double air vent system
US4438534A (en) * 1982-03-03 1984-03-27 The Drackett Company Passive dispenser
US4459710A (en) * 1982-10-18 1984-07-17 The Drackett Company Passive dispenser
US4709423A (en) * 1982-11-08 1987-12-01 The Drackett Company Toilet tank dispenser
US4485500A (en) * 1983-01-06 1984-12-04 Knomark, Inc. Gas binding resistant chemical dispenser
US4453278A (en) * 1983-01-06 1984-06-12 Knomark, Inc. Chemical dispenser
US4480342A (en) * 1983-01-14 1984-11-06 The Drackett Company Passive dispenser
USD283726S (en) 1983-09-12 1986-05-06 The Drackett Company Toilet tank dispenser
US4937893A (en) * 1984-06-08 1990-07-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ssive-dosing dispenser employing captive internally-generated gas bubble to provide product isolation
USD292605S (en) 1985-01-09 1987-11-03 The Drackett Company Toilet tank dispenser
USD293263S (en) 1985-01-22 1987-12-15 Boyle-Midway Household Products, Inc. In-tank automatic toilet cleaning device
US4745638A (en) * 1985-07-30 1988-05-24 The Drackett Company Passive dispenser having delayed discharge
DE3542944A1 (de) * 1985-12-04 1987-06-11 Globol Werk Vorrichtung zum zusatz von desinfektionsmitteln oder dergleichen in das spuelwasser eines wc
US4722802A (en) * 1986-03-26 1988-02-02 The Drackett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urfactant cleansing blocks and compositions thereof
US4738833A (en) * 1986-06-13 1988-04-19 Gray James R Self-regulating dosing dispenser
US4722801A (en) * 1986-06-20 1988-02-02 Kiwi Brands, Inc. Toilet bowl cleaner in cake form containing a polyethyleneglycol distearate
US4764992A (en) * 1986-07-18 1988-08-23 The Drackett Company Dispenser having air lock forming means
US4707865A (en) * 1986-07-31 1987-11-24 The Drackett Company Dispenser with fluid pathway including valve to form air lock
DE3640090A1 (de) * 1986-11-24 1988-06-01 Henkel Kgaa Reinigungsblock fuer den wasserkasten von spueltoiletten
AU594572B2 (en) * 1988-05-05 1990-03-08 R & C Assets Pty Limited Dispenser
DE3834262A1 (de) * 1988-10-08 1990-04-19 Henkel Kgaa Wc-wasserkastenautomat
AU621010B2 (en) * 1989-11-30 1992-02-27 Victor Edward Wilson A dispensing device for a toilet cistern
AU116588S (en) 1992-02-28 1993-03-22 Jeyes Group Plc Liquid dispenser
USD345196S (en) 1992-05-11 1994-03-15 Jeyes Group Plc Toilet tank chemical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351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2159T2 (de) 2002-11-07
JPH11501093A (ja) 1999-01-26
ES2175075T3 (es) 2002-11-16
NZ303077A (en) 1999-03-29
CZ275397A3 (cs) 1998-02-18
EP0813637A1 (en) 1997-12-29
CN1180395A (zh) 1998-04-29
US6055679A (en) 2000-05-02
AR001147A1 (es) 1997-09-24
EP0813637B1 (en) 2002-07-03
PL180557B1 (pl) 2001-02-28
CA2163596A1 (en) 1996-09-04
CA2163596C (en) 2000-11-07
TR199700888T1 (xx) 1998-02-21
BR9607701A (pt) 1998-07-07
UA46756C2 (uk) 2002-06-17
EG20719A (en) 1999-12-29
ZA961685B (en) 1996-09-05
PL322107A1 (en) 1998-01-05
CN1120920C (zh) 2003-09-10
SK119297A3 (en) 1998-05-06
DE69622159D1 (de) 2002-08-08
RU2162499C2 (ru) 2001-01-27
KR19980702778A (ko) 1998-08-05
AU4929596A (en) 1996-09-23
WO1996027714A1 (en) 1996-09-12
AU693324B2 (en) 1998-06-25
JP3790271B2 (ja) 2006-06-28
MX9706711A (es) 1997-11-29
HUP9801393A3 (en) 1998-11-30
HUP9801393A2 (hu) 1998-09-28
ATE220157T1 (de) 200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996B1 (ko) 수동형화장실세정제분배시스템
US4200606A (en) Method for sanitizing toilets
US4248827A (en) Method for sanitizing toilets
CA11062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sing and disinfecting a flushing toilet
AU715688B2 (en)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surface cleaning
US4683072A (en) Two-component cleaner and disinfectant tablet
US6662380B1 (en) Dual action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ES2799416T3 (es) Dispositivo para la dispensación de una preparación de principios activos en una taza de inodoro
DE60008086T2 (de) Mehrkomponenten reinigungsmittelzusammensetzungen für harte oberfläche
ES2213026T3 (es) Recipiente dispensador.
SI21141A (sl) Dozirna priprava za oddajanje tekočih učinkovin v splakovalno tekočino v toaletni školjki
BRPI1012851A2 (pt) blocos limpadores de vaso sanitário esféricos, método para a sua produção, e portador de limpeza compreendendo blocos limpadores de vaso sanitário esféricos
ZA200307035B (en) Lavatory cleansing devices.
EP0977824A1 (en) A toilet bowl cleaning and sanitizing composition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NZ203234A (en) Toilet cistern dispenser:multiple chambers emptied by siphonage during flushing
ES2285350T3 (es) Pastillas para inodoros.
JPH02229333A (ja) オンタンク式水洗トイレ用液体芳香清浄剤装置
JP3790271B6 (ja) 受動的洗面所洗浄剤分配装置
US4384869A (en) Activation of hypochlorite bleaching of dyes
WO1993016241A1 (en) Lavatory cleansing devices
EP0324642B1 (en) Lavatory cleansing devices
CA1222923A (en) Method and article for toilet bowl cleaning
MXPA01010080A (en) Multiple component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MXPA99009746A (en) Chlorinated in-tank toilet cleansing block
TH12175B (th) ระบบจ่ายสารทำความสะอาดห้องน้ำแบบถูกกระท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