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877B1 -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 Google Patents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877B1
KR100404877B1 KR10-1999-0063794A KR19990063794A KR100404877B1 KR 100404877 B1 KR100404877 B1 KR 100404877B1 KR 19990063794 A KR19990063794 A KR 19990063794A KR 100404877 B1 KR100404877 B1 KR 10040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thium ion
safety plate
ion batter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301A (ko
Inventor
김수령
김정수
강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9-006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8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자의 잘못이나 제품 제조상의 불량으로 인하여 전지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이를 미리 감지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 회로로 전달함으로써 외부 회로에서 이를 감지하고 전지의 사용을 중단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Li-ION BATTERY COMPRISING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하여 전지 내부에서의 압력 증가를 감지하여 전지 사용상의 안전도를 증대시킨 리튬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기기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크기 및 무게가 작은 고용량 전지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그러나 작고 가벼우면서도 고용량인 전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반드시 추구해야할 과제는 전지 안전의 확보이다. 기존의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 전지의 과충전이나 오용에 의해 전지가 가열되면 전지 내부의 가스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전지 상부에 설치된 안전판이 파괴되어 내부 가스를 방출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안전판이 폭발하기 전까지는 전지가 폭발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며, 또한 안전판 작동시 전지 내부의 가스 및 전해액의 누출로 인체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이온 전지의 안전판(vent) 부위에 압력 감지 소자를 설치하여 전지 내부의 이상 현상으로 인한 압력 상승시 압력 감지 소자가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전지 사용자가 전지 내부의 이상을 미리 알 수있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압력 감지 소자로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정, 로셀염, 티탄산 바륨과 같은 압전 결정이나, 압력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휘어 도전체와 접촉하여 외부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곡면형 안전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각형(角形) 리튬이온 전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압전 소자가 설치된 리튬이온 전지 단면도이다.
도 3은 평면형 안전판과 압전 소자가 설치된 리튬이온 전지 단면도이다.
도 4는 곡면형 안전판과 도전체가 설치된 리튬이온 전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 각형 캔 캡
12 : 양극 단자
13 : 젤리 롤
14, 24, 35 : 각형 캔
22, 32, 42 : 도선
23, 33 : 압전 소자
34 : 평면형 안전판
36 : 안전판
43 : 절연체
44 : 도전체
45 : 곡면형 안전판
46 : 내부 압력에 의해 위쪽으로 굽어진 안전판
본 발명은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하여 전지 내부의 가스 압력 상승을 미리 감지하여 전지의 충,방전이 계속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 장치가 구비된 리튬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 방법의 한 가지 예로서, a) 전지 캔의 상부에 설치된 압력 감지 소자; b) 상기 압력 감지 수단에서 전달되는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는 도선; 및 c) 상기 도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에 응답하여 전지의 충,방전을 중지시키는 안전 수단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는, a) 전지 캔의 캡 상부에 전지 내부 압력 배출구의 폭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부도체; b) 상기 부도체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배출구를 덮는 도전체; 및 c) 상기 전지 캡의 하부에 접해 있고, 전지 내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를 취하며, 내부 압력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하면 곡면 반대 방향으로 휘어 도전체와 접촉하여 외부 회로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곡면형 안전판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지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리튬이온 전지를 도시한 것이데, 양극에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 활물질, 음극에 카본계 활물질을 사용한 각형(角形) 리튬 이온 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는 각형 캔의 상부 캡 구멍 부위에 압전 소자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 압전 소자(23)에서 미세한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때 캔 외부에 연결된 도선(22)와 압전 소자(23)에 연결된 도선 사이에는 압전 소자(23)에서 발생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것을 제어 회로와 연결시켜서 전지의 충전 또는 방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각형 캔의 상부 캔 구멍위에 압전 소자를 설치하고 구멍 아래에는 안전판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기존 안전판의 경우는 안전판이 작동한 이후에도 계속적인 충전이 가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안전판(36)이 작동한 이후에는 전지 내부의 상승된 압력이 그대로 압전 소자(33)에 전달되어 외부 회로로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그러므로 안전판(36) 작동에 따른 전지 내부 전해액의 유출을 막으며, 또한 안전판(36) 작동에 관한 신호를 외부 회로에 전달함으로써 더 이상의 충전작용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리튬이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도 4는 곡면형 안전판과 도전체가 설치된 리튬이온 전지 단면도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압전 소자 대신, 전지 캡의 하부에 접해 있고 전지 내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를 취하며 내부 압력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하면 곡면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도전체와 접촉하여 외부 회로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곡면형 안전판(45)를 설치하여 전지 내부 압력이 상승된 후에는 전지의 충,방전이 계속되지 않게 한것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 기재 사항에 의하여 정해진다.
실시예 1
양극에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 음극에 카본 활물질을 사용한 전극을 올레핀계 전해막으로 분리한 젤리 롤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도 2에서와 같은 캔 내부 및 외부의 곡률 반경이 0.6 mm이며, 크기는 폭 34 mm 높이 48 mm 두께 8.3 mm의 각형 캔(24)에 삽입한 후, 에틸렌카보네이트(EC), 디에틸렌카보네이트(DEC), 및 리튬염(LiPF6)으로 구성된 전해액을 주입하고, 캔 상부 캡(21)을 덮은 다음 가장자리를 레이저 용접하여 리튬이온 각형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캔 상부캡에 도 4와 같이 구멍 부위의 아래에는 아래로 볼록한 안전판(45)를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부에는 절연체(43)를 부착한 다음, 그 위에 도전체(44)를 올려 놓았다. 캔 외부와 도전체(44)에 각각 도선(42)를 연결하고 이들 도선(42)를 저항계에 연결시켰다. 이 전지를 60 ℃ 분위기의 오븐에 두고 저항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35분 경과 후에 저항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캔 상부 캡의 구멍 부위의 윗 부분에 압전 소자를 부착하여 각형 전지를 제작하였다. 캔 외부와 압전 소자에 각각 도선을 연결하고 이들 도선을 전류계에 연결시켰다. 이 전지를 실시 예 2와 같이 80 ℃ 분위기의 오븐에 넣고 관찰한 결과 약 15분 경과 후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캔 상부 캡의 윗 부분에는 도전체를, 아래 부분에는 아래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진 곡면형 안전판을 부착하였다. 이 안전판은 전지 내부의 가스 압력이 상승하면 반대 방향으로 휘어 도전체와 접촉하여 외부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전지 사용자가 압력 상승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압력 증가에 따라 안전판이 쉽게 윗 방향으로 굽어지게 하기 위해 안전판 중앙부에 십자 모양의 홈을 파 둘 수 있다. 캔 외부와 압전 소자에 각각 도선을 연결하고 이들 도선을 전류계에 연결하였다. 실시예 2와 같이 100 ℃ 분위기의 오븐에 넣고 관찰한 결과 약 21분 경과후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리튬이온 전지의 사용자의 잘못이나 제품 제조상의 불량의 경우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이를 미리 감지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외부 회로로 전달함으로써 외부 회로에서 이를 감지하고 전지의 사용을 중단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지 내부의 가스 압력을 방출하는 안전판이 구비된 리튬이온 2차 전지에 있어서,
    a) 전지 캔의 캡 상부에 전지 내부 압력 배출구의 폭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절연체;
    b) 상기 절연체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배출구를 덮는 도전체; 및
    c) 상기 전지 캡의 하부에 접해 있으며, 전지 내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를
    취하며, 내부 압력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하면 곡면 반대 방향으로 휘어
    도전체와 접촉하여 외부 회로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곡면형 안전판
    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지.
KR10-1999-0063794A 1999-12-28 1999-12-28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040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794A KR100404877B1 (ko) 1999-12-28 1999-12-28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794A KR100404877B1 (ko) 1999-12-28 1999-12-28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301A KR20010061301A (ko) 2001-07-07
KR100404877B1 true KR100404877B1 (ko) 2003-11-07

Family

ID=1963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794A KR100404877B1 (ko) 1999-12-28 1999-12-28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15B1 (ko) 2011-04-26 2013-11-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9923197B2 (en) 2014-10-02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composite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negative electr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567B1 (ko) * 2004-04-16 2006-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용 안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전지
KR100854239B1 (ko) * 2006-03-03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온 안전성이 우수한 전기화학소자
KR102379479B1 (ko) * 2017-03-10 2022-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압 기반 배터리 상태 결정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290955B1 (ko) * 2017-08-25 2021-08-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8182A (ja) * 1981-08-13 1983-02-19 Yuasa Battery Co Ltd 蓄電池
JPH09120845A (ja) * 1995-10-24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二次電池
JPH09147927A (ja) * 1995-11-24 1997-06-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シール形蓄電池用のガス圧測定器
JPH11295173A (ja) * 1998-04-08 1999-10-29 Alps Electric Co Ltd 圧力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8182A (ja) * 1981-08-13 1983-02-19 Yuasa Battery Co Ltd 蓄電池
JPH09120845A (ja) * 1995-10-24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二次電池
JPH09147927A (ja) * 1995-11-24 1997-06-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シール形蓄電池用のガス圧測定器
JPH11295173A (ja) * 1998-04-08 1999-10-29 Alps Electric Co Ltd 圧力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15B1 (ko) 2011-04-26 2013-11-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9923197B2 (en) 2014-10-02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composite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negative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301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377B1 (ko) 이차 전지
KR100731462B1 (ko) 이차전지
JP2011018645A (ja) 二次電池
KR100938896B1 (ko) 배터리 팩
US20080131768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100696782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JP6543408B2 (ja) 電池セルのハウジングの内部の圧力を決定する方法、及び、電池セル
EP3637534B1 (en) Cylindrical battery having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easuring internal pressure thereof
KR100571247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JPH0562664A (ja) 防爆型非水二次電池
KR20160035424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05190947B (zh) 具有可复位的安全装置的蓄电池及用于其的合适极柱螺栓
JP2003223886A (ja) 電 池
KR100404877B1 (ko) 압력 감지 소자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20120007802A (ko) 이차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
JP3249883B2 (ja) 電流路遮断機能付き電池
US6004694A (en) Flat accumulator device having an electrochemical cell and electrical contacts
JPH02123663A (ja) 封印1次電池
KR100416096B1 (ko) 안전변 장치와 이를 채용한 이차 전지
KR100670442B1 (ko) 전지 팩
JP2009231060A (ja) 電池パック
KR102331123B1 (ko)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의 캡 어셈블리
KR20060085444A (ko) 원통형 이차전지
KR20000051638A (ko) 이차전지
KR101473392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