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620B1 -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620B1
KR100404620B1 KR10-2001-0052055A KR20010052055A KR100404620B1 KR 100404620 B1 KR100404620 B1 KR 100404620B1 KR 20010052055 A KR20010052055 A KR 20010052055A KR 100404620 B1 KR100404620 B1 KR 10040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aft
floor
fixing plate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739A (ko
Inventor
배영성
Original Assignee
배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성 filed Critical 배영성
Priority to KR10-2001-005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6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2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suspe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바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 같은 목적으로 한 대차의 바닥 고정장치가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소화 50-141361호에서 공지된바 있으나, 이는 이의 개폐(ON, OFF) 레버가 지주관 일측에서 서로 병행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부주의로 오 조작 시는 오동작이 생겨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고, 또한 지주관 내에 끼움 설치된 작동간 및 이의 하단부에 체결된 바닥 고정판은 이의 수납 및 전개되는 운동 거리가 너무 짧고 지면과 근접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이 경사지거나 바닥에 산재하고 있는 타 물체와 쉽게 접촉되는 폐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대차 운행 시에는 해지(OFF) 레버가 자유 유동되어 소음 공해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체결판(1)의 저면에는 지주관(2)과 힌지부(1-2)를 설치하여 이에 대차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ON)레버(7) 및 이를 해지시키는 해지(OFF)레버(8)를 각각 독립되게 설치하여 오조작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 지주관(2)의 하부에는 안내홈(2-1)을 형성하여 지주관(2)에 끼움된 작동간(3) 및 고정 레버(7) 중간부에 완충 및 개폐 스프링(9)(10)을 개재하여 설치된 축(7-1)이 끼움 안내되어 작동간(3)의 운동거리를 크게 하여 대차 운행시 타 물체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작동간(3)의 나사부(3-1)에는 비교적 길이가 긴 높이조절 축(4)을 끼움하여 이의 높낮이 조정으로 크고 작은 대차에 두루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높이조절 축(4) 하단부는 바닥 고정판(5)의 통공(5-1)에 헐겁게 끼움 되어진 상태에서 스프링(6) 및 와셔(6-1)를 사이 끼움하여 체결 너트(4-2)로 체결함으로서 바닥 고정판(5)이 바닥에 접할 때는 이의 각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A cart's ground settling units}
본 발명은 주로 산업 현장에서 운반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차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 같은 목적으로 된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화 50-141361호에서 공지된바 있으나, 이는 작동간의 하단에 설치된 바닥 고정판의 고정(하강) 및 해지(상승)시키는 고정 레버 및 해지 레버가 지주관 일측에서 서로 병행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부주의로 이 레벌 ㄹ 잘못 눌리는 오 조작 시는 오 동작이 생겨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고, 또한 작동간 및 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닥 고정판은 지주관 내에 수납 및 전개되는 운동거리가 너무 짧아서 대차의 운행 시는 지면과 근접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면이 경사지거나 바닥면에 널려 있는 타 물체와 쉽게 접촉되는 폐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대차의 운행 시에는 해지(OFF)레버가 자유 유동되면서 소음 공해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대차 체결판의 저면에 지주관과 힌지부를 설치하여 대차를 바닥에 고정 및 해지시키는 작동간의 개폐(ON, OFF)레버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오 조작에 의한 오 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상기한 지주관의 주면 하부에는 안내홈을 형성하여 개폐 및 완충 스프링을 개재한 고정(ON)레버의 축이 끼움 안내되면서 작동간의 운동 거리를 크게 하고, 작동간의 중심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비교적 긴 높이 조절 축을 나사 끼움하여 바닥면과 접하는 바닥 고정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높이조절 표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 고정판이 지면에서 해지된 상태의 측면표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 고정판이 지면에 접지된 상태의 측면표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체결판 1-1. 체결공 1-2. 힌지부
1-3. 스프링 걸림간 2-지주관 2-1. 안내홈
3-작동간 3-1. 나사공 3-2. 공실
4-높이조절 축 4-1. 고정 너트 4-2. 체결 너트
5-바닥 고정판 5-1. 통공 6-스프링
6-1. 와셔 7. 고정(ON)레버 7a-발판부
7-1. 축 7-2. 축 8. 해지(OFF)레버
8a-발판부 8-1. 축 9-완충 스프링10. 개폐 스프링 11. 대차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차(11)의 저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1-1)이 있는 체결판(1)의 저면에는 힌지부(1-2)와 작동간(3)이 끼움되는 지주관(2)이 설치되어 있으되, 지주관(2)의 주벽 하부에는 안내홈(2-1)을 형성하여 작동간(3) 및 고정 레버(7)의 중간부에 끼움된 축(7-1)이 안내되게 하고, 지주관(2)에 끼움된 작동간(3)의 상측에 형성된 공실(3-2)에는 개폐 스프링(10)이 설치되어 축(7-1)에 일단이 걸림되고 작동간(3)의 중심부에는 나사공(3-1)를 형성하여 완충 스프링(9)을 개재한 높이조절 축(4)이 나사 끼움되어 바닥 고정판(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 너트(4-1)로 고정할 수 있게 하고, 높이조절 축(4)의 하단부는 바닥 고정판(5)의 통공(5-1)에 헐겁게 끼움된 상태에서 스프링(6)과 와셔(6-1)를 사이 끼움한 체결 너트(4-2)에 의해 체결되어 지고, 전기한 체결판(1)의 저면 타측에 형성된 힌지부(1-2)에는 해지(OFF) 레버(8)의 상단부가 축(8-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해지 레버(8)의 중간부에는 전기한 고정 레버(7)의 후단부가 축(7-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대차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인바, 이를 실시할 시는 제 7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대차(11)의 저면 일측에 체결판(1)을 접하여 볼트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 시에는 바닥면과의 접하는 바닥 고정판(5)의 간격은 높이조절 축(4)으로 조절한 후 너트(4-1)로 고정하게 되면 대소 대차에 두루 사용이 가능하다.그리고 고정 레버(7) 및 작동간(3)에 끼움된 축(7-1)은 지주관(2)에 형성된 안내홈(2-1)에 끼움되어 있어, 작동간(3)의 수납 및 전개되는 운동 거리가 크기 때문에(종래에는 20m/m 이하였으나, 본 발명은 45m/m 이상이므로) 작동간(3)이 지주관(2)에 수납될 시는 바닥 고정판(5)의 노출(전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행 도중 바닥 고정판(5)이 바닥면에 산재한 타 물체나 바닥면이 경사인 경우에도 바닥 고정판(5)이 이에 부딪히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그리고 지주관(2)에 끼움된 작동간(3)의 하단에 체결된 바닥 고정판(5)을 바닥면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고정(ON) 레버(7)의 발판부(7a)를 누르면 고정 레버(7)는 축(7-1)을 받침점으로 이의 발판부(7a)는 하강되는데, 이때 축(7-1)은 안내홈(2-1)을 따라 하강되기 때문에 이의 후단부가 도 6표시와 같이 상향 이동함에 따라 이 후단부에 설치된 해지(OFF)레버(8)는 이의 중간부에 설치된 축(7-2)을 받침점으로 발판부(7a)는 상향 이동하고, 동시에 축(7-2)은 내향 이동한다.이때 바닥 고정판(5)이 바닥에 접촉될 시는 완충 스프링(9)을 압축하면서 바닥면에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축(7-2)은 축(7-1)(8-1)과의 관계에 있어서 직선 상에서 볼 때 약간 내향 이동된 상태이고 축(7-1)은 지주관(2)의 상측에 걸림된 개폐 스프링(10)을 당김에 따라 해지(OFF)레버(8)의 펼쳐진 상태를 즉, 축(7-2)이 내향 이동된 상태를 잡아주기 때문에 해지 레버(8)는 펼쳐진 상태가 안정성이 있다. 그리고 바닥 고정판(5)을 바닥면에서 해지시키고자 할 때는 해지(OFF)레버(8)의 발판부(8a)를 누르면 해지 레버(8)는 이의 중간부에 설치된 축(7-2)을 받침점으로 발판부(8a)가 하강함에 따라 고정 레버(7)의 후단부는 축(7-2)과 함께 외향 이동하여 원 상태로 됨과 동시 개폐 스프링(10)의 복원(수축) 탄력으로 고정 레버(7)의 축(7-1)은 작동간(3)과 함께 지주관(2)의 안내홈(2-1)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바닥 고정판(5)은 상향 이동되고, 작동간(3)은 지주관(2) 내의 수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ON)레버(7)와 작동간(3)에 설치된 축(7-1)은 지주관(2)의 안내홈(2-1)으로 안내되고, 해지(OFF)레버(8)의 중간부 및 상단부는 고정 레버(7)의 후단부와 힌지부(1-2)에 축(7-2)(8-1)으로 각각 독립 설치되어 있어 오 조작으로 인한 오작동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동간(3)에는 높이조절 축(4)이 나사 끼움되어, 이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어 크고 작은 대차에 두루 이용이 가능하며, 높이조절 축(4)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닥 고정판(5)은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과 접할 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정 레버(7)와 해지 레버(8)가 축(7-1)(7-2)(8-1)에 의해 각각 독립 설치되어 완충 및 개폐 스프링(9)(10)에 의해 ON, OFF된 상태를 탄력 지지하고 있어 소음 발생 및 오작동의 우려가 없고, 또한 지주관(2)의 주벽에는 안내홈(2-1)을 형성하여 지주관(2)에 끼움된 작동간(3)의 운동 거리를 종래에 비해 배 이상 크게 하여 대차 운행 시는 작동간(3)이 지주관(2)에 완전 수납되게 하였기 때문에 대차의 운행 시 타 물체와의 접촉되는 폐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대소 대차에 두루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체결판(1)의 저면에는 힌지부(1-2)와 지주관(2)이 설치되고, 지주관(2)의 내부에는 완충 스프링(9) 및 개폐 스프링(10)을 개재한 작동간(3)이 끼움되고, 힌지부(1-2)에는 해지 레버(8)의 상단부가 축(8-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관(2) 하주면에는 안내홈(2-1)을 형성하여 작동간(3) 및 고정 레버(7)의 중간부에 끼움된 축(7-1)이 안내되게 하고, 상기 해지 레버(8)의 중간부는 상기한 고정 레버(7)의 후단부와 축(7-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작동간(3)의 나사공(3-1)에는 하단부에 바닥 고정판(5)이 부착된 높이조절 축(4)이 나사 끼움되어 고정 너트(4-1)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KR10-2001-0052055A 2001-08-28 2001-08-28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KR10040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55A KR100404620B1 (ko) 2001-08-28 2001-08-28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55A KR100404620B1 (ko) 2001-08-28 2001-08-28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739A KR20010088739A (ko) 2001-09-28
KR100404620B1 true KR100404620B1 (ko) 2003-11-05

Family

ID=1971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055A KR100404620B1 (ko) 2001-08-28 2001-08-28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36B1 (ko) * 2007-12-20 2013-12-3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높이조절장치
CN103213612B (zh) * 2013-04-11 2015-11-25 茅鸿勇 推车的自动制控装置
CN108715182B (zh) * 2018-05-31 2024-02-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底座锁刹机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361U (ko) * 1974-05-10 1975-11-20
JPS5155559U (ko) * 1974-10-24 1976-04-28
JPS51163254U (ko) * 1975-06-19 1976-12-25
JPS5499259U (ko) * 1977-12-26 1979-07-13
KR890022425U (ko) * 1988-05-31 1989-12-01 임현규 파라솔 지게
KR200219862Y1 (ko) * 2000-09-01 2001-04-16 유수남 바닥 고정 장치
KR200256080Y1 (ko) * 2001-08-28 2001-12-13 배영성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361U (ko) * 1974-05-10 1975-11-20
JPS5155559U (ko) * 1974-10-24 1976-04-28
JPS51163254U (ko) * 1975-06-19 1976-12-25
JPS5499259U (ko) * 1977-12-26 1979-07-13
KR890022425U (ko) * 1988-05-31 1989-12-01 임현규 파라솔 지게
KR200219862Y1 (ko) * 2000-09-01 2001-04-16 유수남 바닥 고정 장치
KR200256080Y1 (ko) * 2001-08-28 2001-12-13 배영성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739A (ko)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249B1 (ko) 루프 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BR9701235A (pt) Suporte aparador para uma porta tipo alçapão instalada na parede superior de um armário em torno de um eixo horizontal oscilante
KR100404620B1 (ko)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KR20030022875A (ko) 철도 차량의 정면부를 위한 에너지 흡수 장치
US20140246963A1 (en) Ironing Board Storage Device Assembly And Method
US4368869A (en) Leveler for dishwasher and the like
CN210890384U (zh) 一种用于集成灶排烟管的支撑组件
DK0786563T3 (da) Stativ, især til fastgøring af sanitetsindretninger
CN208668819U (zh) 建筑施工用降噪楼梯
US3294367A (en) Vehicle supporting rack
KR200256080Y1 (ko)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US3101039A (en) Flue caps for chimneys and the like
CN209553166U (zh) 一种用于固定油门、制动踏板执行机构的装置
DE602005000786D1 (de) Zusammenschiebbare Lenksäule
KR20150029419A (ko) 가구용 서랍레일
CN206609135U (zh) 一种空调安装架
US5944146A (en) Brake mechanism for control of vertical motion of a vertically aligned adjustable drain tube
CN208442208U (zh) 一体式汽车控制器用减震装置
ES2049536T3 (es) Compensador de frenado.
US20060138919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telescoping extension in furniture
US4297950A (en) Tow truck
KR100824768B1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팔레트 록킹장치
CN216976221U (zh) 一种市政燃气工程用可进行减震的管道支撑装置
SU954280A2 (ru) Установка дл внутренней мойки и санит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кузова автофургона
CN218029703U (zh) 一种自动门轨道防震降噪的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