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829B1 - 구강쑥뜸구 - Google Patents

구강쑥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829B1
KR100403829B1 KR10-2000-0050639A KR20000050639A KR100403829B1 KR 100403829 B1 KR100403829 B1 KR 100403829B1 KR 20000050639 A KR20000050639 A KR 20000050639A KR 100403829 B1 KR100403829 B1 KR 10040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oral
wormwood
tobac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360A (ko
Inventor
고운맘
Original Assignee
고운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운맘 filed Critical 고운맘
Priority to KR10-2000-005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829B1/ko
Priority to JP2001238024A priority patent/JP4237428B2/ja
Publication of KR2002001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쑥을 원료로 한 민족전래 쑥뜸 방법을 찌고 말리기를 거듭 9홉번 하여 쑥뜸 사용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킨 입으로 뜸을 뜰수있게 한 구강쑥뜸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뜸은 뜸이나 입으로 뜨는 뜸이기 때문에 쑥잎에 내포한 강한 쑥 성분을 부드럽고 순하게 하기 위하여, 찌고 말리리를 거듭 9홉번 하여 그늘에서 잘 말린다음 미립자로 분쇄하여 일정 길이로 3개의 기공이 형성 되도록 성형 제조하여 쑥잎에서 췌취한 100% 쑥섬유질로 쑥필터를 제조하여 연초부에 쑥필터를 부착하여 100% 쑥을 재료로한 담배 모양의 구강쑥뜸구를 형성하여 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담배처럼 입으로 빨아 입안에 쉽게 뜸을 뜰수 있도록 발명 하였으며, 또한 찌고 말리기를 거듭 9홉번한 쑥잎을 그늘에서 잘 건조시킨 후 잘게 절단하여 쑥종이 권련지로 쑥잎을 감싸고 쑥필터를 연초부에 부착한 100% 쑥잎을 재료로한 담배 모양의 구강쑥뜸구를 형성하여 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담배처럼 빨면서 구수한 쑥향을 음미 하면서 입안에 뜸을 뜰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구강쑥뜸구{The mouth mugwort moxacayterier}
지금까지의 쑥뜸구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은 휘어진 파이프에에 쑥뜸구를 사용 하거나 일반 종이 궐련지와 은박지에 쑥잎을 감싸서 연초부를 구성하고 연초부에 부착하는 필터 또한 화학 섬유질 필터를 사용하여 100% 쑥을 재료로한 쑥뜸구 제조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파이프를 사용하여 쑥기운을 코로 넣는 번거러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쑥잎에서 췌취한 100% 쑥섬유질을 재료로하여 쑥종이 권련지로 쑥잎을 말고,100% 쑥섬유질로된 쑥필터를 연초부에 부착하여 담배 모양의 구강쑥뜸구 제조 발명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강쑥뜸구가 뜸은 뜸이나 담배양으로 구성되어 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입으로 빨아 입안에 뜸을 뜨는 방법이기 때문에 숙잎에 내포된 강한 쑥향을 순하고 부드럽게 해야될 기술적인 발명이 필요로 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궁이 길게 자란 쑥을 췌취하여 대궁에서 분리시킨 쑥잎을 압력 찜통에 넣고 수증기 법으로 120℃열수로 1시간동안 찐다. 이와 같이 찌고 말리기를 9홉번 거듭하여 그늘에서 수분이 8-10%가 유지 되도록 잘 건조시킨 다음 미립자로 분쇄하여 진한 쑥물로 반죽하여 일정 길이로 3개의 기공이 형성 되도록 성형 제조하여 쑥필터를 연초부에 부착하여 담배 모양의 구강쑥뜸구를 구성하여 담배처럼 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입안에 뜸을 쉽게 뜨게 하는 것이다. 또한 찌고 말리기를 거듭 9홉번한 쑥잎을 잘 건조시킨 다음 잘게 절단하여 쑥종이 궐련지로 쑥잎을 말고 쑥필터를 연초부에 부착하여 100% 쑥을 재료로한 구강쑥뜸구를 구성하여 담배처럼 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입으로 빨아 입안에 뜸을 뜨게하는 것이다.
구강쑥뜸구 원료가 되는 국화과인 쑥 종류는 다양하다. 사자발쑥(사재발쑥). 사철쑥(인진쑥). 재비쑥. 물쑥. 개사철쑥. 비쑥. 참쑥등 다양한 수십종의 종류가 산과 들에서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쑥은 그 성질은 따뜻하며 쓰면서 독은 없고 성분은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 양질의 미네랄, 다양하고 풍부한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다.쑥뜸의 약리 작용은 쑥잎이 타면서 발생한다. 뜸쑥이 연소되면 흙색의 재와 갈색의 타르성 물질이 나오며 타르성 물질중의 하나인 가테고르가 약리작용을 일으키고, 이 가테고르(항산화제)는 식물체의 셀룰로스와 함께 존재하는 리그닌(고분자의 방향족 화합물)의 열분해에 의해 뜸쑥의 효과가 있게된다.또한 뜸쑥이 탈 때 나오는 쑥 연기는 일부 세균- 병원성 포도상 구균, 대장균, 녹농간균, 플렉스네르 적리균, 가성 디프테리아균 등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있다.약쑥의 효능은 구강청정 효과가 있고 구강염증 치료. 사마귀 치료. 만성간염 치료. 폐결핵천식증 치료. 말라리아 치료. 습진 치료. 복통예방. 자궁출혈 예방. 출혈 치료. 만성변비 치료. 불면증 치료. 황달병 치료. 만성장염 치료등에 큰 도움이 된다고 임상보고 되고 있다.사람 몸에 좋은 여러 종류의 숙잎을 계획에 따라 혼합하기도 하고, 한가지 종류의 쑥만을 택하기도 하여, 압력 찜통을 이용하여 수증기법으로 120℃ 열수로 1시간동안 찐다.이와 같이 찌고 말리기를 9홉 번 거듭하여 강한 쑥향이 나는 쑥잎을 순하고 부드럽게 하여 그늘에서 잘 말린 다음 미립자로 분쇄하여 진한 쑥물로 반죽하여 일정 길이만큼 3개의 기공이 형성 되도록 성형하여 쑥잎에서 췌취한 100% 쑥섬유질로 쑥필터를 제조하여 연초부에 부착하여 100% 쑥을 재료로한 담배 모양의 구강쑥뜸구를 구성하여 연초부 끝에 붙을 붙혀 담배처럼 입으로 빨아 입안에 쉽게 쑥뜸을 뜰수 있게 한 것이 발명의 목적이며 기술 분야이다. 또한 찌고 말리기를 거듭 9홉번한 쑥잎을 수분 8-10%가 유지 되도록 그늘에서 말린다음 쑥잎을 잘게 절단하여 쑥잎에서 췌취한 100% 쑥섬유질로 제조된 쑥종이 권련지로 쑥잎을 말고, 쑥잎에서 췌취한 100% 쑥섬유질로된 쑥필터를 제조하여 연초부에 부착하여 100% 쑥을 재료로한 담배 모양의 구강쑥듬구를 구성하여 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담배처럼 입으로 빨아 입안에 쉽게 쑥뜸을 뜰수 있게 한 것이 발명의 목적이며 기술 분야이다.다른 이물질을 일체 넣지않고 100% 쑥잎을 원료로하여 담배 모양의 연초부를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순하고 부드러우며 기분 좋은 입안 쑥뜸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 발명의 목적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이다.수삼을 쪄서 홍삼으로 변화시키는 가공을 하여, 인삼의 효능을 높인 것과 같은 원리이며, 한약 종류중 법재에 있어서도 약성분 효능을 높이는 방법 으로 찌고 말리기를 9홉 번 하여 약효능을 높이고 있다.강한 향을 내포한 쑥잎을 찌고 말리기를 9홉번 거듭할시 강한 쑥향은 사라지고 순하고 은은하면서, 부드럽고 구수한 향이나는 쑥잎으로 변화되어 공정 제조 과정을 거쳐 구강쑥뜸구를 구성하여연초부에 불을 붙혀 입안에 쑥뜸을 행할시 부드럽고 구수하며, 약효능이 좋은 구강쑥뜸이 되게하는 것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이며, 100% 쑥을 재료로 하여 구강쑥뜸구를 구성하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로서 종래의 기술과 다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이다.이상의 발명 과정을 거친 구강쑥뜸구를 입안에 뜸을 행할 시, 그 구성은 입으로 물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가지고 흡입시 인체에 유해한 성분(먼지 등)을 여과시키도록 구비되는 필터부(100)가 구비되며,이 필터부(10)의 일측부에 일체를 이루면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되어지고 내부에는 가이드홈(210)이 형성된 연결파이프(20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파이프(200)의 가이드홈(210)에 일측부가 삽입 고정되어 필터부(100)의 일면과 연접되도록 일정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전체가 쑥잎(310)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기공(320)이 형성된 연초부(300)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담배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여기에서 상기 필터부(100), 연결파이프(200), 연초구(300)로 이루어진 구강쑥뜸구는 담배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구강쑥뜸구를 입으로 물고 흡연 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형상 및 모양과 크기를 가질수 있도록 구성할수 있는 것임을 밝혀 두는 바이다.그리고 상기 필터부(100)는 쑥잎(310)의 주성분이 열기와 훈기에 동반되어 흡입될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발암물질. 먼지)은 걸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족한 것이고, 이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를 선택 적용할수도 잇는 것이고 연기와 훈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중앙에 홈을 형성하여 별도로 제작할수도 있는 것이다.한편 상기 전체가 쑥잎(310)으로 이루어진 구강쑥뜸구의 제조과정을 공정별로 살펴보면은무공해로 자란 쑥을 채집한 다음 맑은물로 세척을 행하는 제1공정. 이 세척된 쑥을 일정기간 동안 건조시켜 찜통에 찌는 공정. 상기 찌고 말리는 공정을 거듭 9홉 번 반복하여 강한 쑥향을 부드럽고 순하게 변화시켜 순한 흡연 쑥연초 구강쑥뜸구 재료가 되게 하는 제2공정. 이후 건조되어 순해진 쑥을 미립자로 분쇄한 다음 일정형상으로 가공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3개의 기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흡연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3공정을 거쳐서 전체가 약쑥(310)으로 이루어 지며 흡연을 하면서, 입으로 쉽게 뜸을 뜰 수 있는 연초부(300)를 완성하게 된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필터부(100)를 입에 물고 연초구(300)의 쑥잎(310)에 불을 붙혀서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연초부(300)에는 기공(3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하게 빨아 들이지 않더라도 쉽게 흡연이 이루어 지는 것이며, 쑥잎(310)이 타들어 가면서 연소가 될시 흙색의 재와 갈색의 타르성 물질중의 하나인 가테고르가 약리작용을 일으키고, 이 가테고르(항산화제)는 식물체 셀루로스와 함께 존재하는 리그닌(고분자의 방항족 화합물)의 열분해에의해 약리작용을 일으켜 연기와 함께 입안에 이른 쑥잎 성분은 입안의 미세한 세균을 억제시켜 입안 냄새를 없애고 입안을 통하여 생길수 잇는 여러 가지 질병을 에방과 동시에 침과함께 장으로 들어가 몸에 흡수되어 간장. 신장등 5장을 튼튼히 하여 성인병 에방예 큰 도움을 주게되는 효과가 있게 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입으로 물게 되는 필터부와 약쑥으로 이루어진 연초부로 쑥뜸구를 구성하여 치료자가 흡연을 통하여 쑥뜸치료를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체의 호흡기관부에 유익한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일 뿐 아니라 구강, 코, 기관지에서 발병되는 염증, 인도염, 축농증 등을 예방할수 있음과 동시에 치료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치료자의 담배 흡연 욕구를 쑥뜸구로 대체 흡연하게 되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한 구강 쑥뜸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쑥뜸구 모형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쑥뜸구의 결합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쑥뜸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강 쑥뜸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필터부 200, 200a : 연결파이프 210 : 가이드홈
300 : 연초구 310, 310a : 쑥 잎 320 : 기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입으로 물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가지고 흡입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여과시키도록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의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 상단에 위치하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가이드홈에 일단이 삽입 고정될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이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전체가 약쑥으로 이루어지는 연초부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쑥뜸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쑥뜸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쑥뜸구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강 쑥뜸구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공해의 쑥에 대해 살펴 보면은 쑥은 그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쓰고 독이 없고, 성분은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 양질의 미네랄, 다양하고 풍부한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다. 쑥의 생잎 100g중에는 단백질 7.7g, 섬유질 3.3g, 회분 2.0g, 칼슘 140mg, 인 70mg, 비타민B 20.23mg, 비타민A 7940IU, 철분 10.9mg 등의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의 쑥을 이용한 쑥뜸의 효과를 살펴 보면, 쑥뜸은 찬 기운을 물리치고 기(氣)를 따뜻하게 하여 기혈(氣血)을 잘 통하게 함으로서 각종 질환을 개선하며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원기(元氣)를 증진시키는 강장작용을 함은 물론 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며 면역능력을 강화 시키고 혈색소를 증가시키며 진통, 지혈작용을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흡연을 통해 구강, 코, 기관지 등의 호흡기계통에 간접 쑥뜸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쑥의 성분 및 특성과 쑥뜸의 효능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하여 호흡기관부에 유익한 약리작용을 가져 오도록 함은 물론 구강, 코, 기관지에서 발병되는 염증, 인도염, 축농증 등을 예방토록 함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도록 하며, 일부 성분은 복부의 위점막까지 흡입하여 약쑥에 의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입으로 물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가지고 흡입시 인체에 유해한 성분(먼지 등)을 여과시키도록 구비되는 필터부(100)가 구비되며, 이 필터부(100)의 일측부에 일체를 이루면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되어지고 내부에는 가이드홈(210)이 형성된 연결파이프(20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파이프(200)의 가이드홈(210)에 일측부가 삽입 고정되어 필터부(100)의 일면과 연접되도록 일정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전체가 약쑥(310)으로 이루어 지고 내부에는 기공(320)이 형성된 연초부(300)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담배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부(100),연결파이프부(200), 연초부(300)로 이루어진 구강 쑥뜸구는 담배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치료자가 쑥뜸구를 입으로 물고 흡연 쑥뜸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형상 및 모양과 크기를 가질수 있도록 구성할수 있는 것임을 밝혀 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00)는 약쑥(310)의 주성분이 열기와 훈기에 동반되어흡입될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발암물질, 먼지 등)은 걸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족하는 것이고, 이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를 선택 적용할수도 있는 것이고 열기와 훈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중앙에 홈을 형성하여 별도로 제작할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체가 약쑥(310)으로 이루어진 연초부(300)의 제조 과정을 공정별로 살펴 보면은 먼저 비료나 농약이 없는 무공해 상태의 깨끗한 쑥을 채집한 다음 청정수로서 세척을 행하는 제1공정, 이 세척된 쑥을 일정시간 동안 찐 다음 말려 건조시키는 제2공정, 여기에서 상기 찌고 말리는 공정을 9번 반복하여 순한 흡연 쑥뜸을 행하도록 한다. 이후 건조되어 순해진 쑥을 미립자로 분쇄 한 다음 일정형상으로 가공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3개의 기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흡연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3공정을 거쳐서 전체가 약쑥(310)으로 이루어 지며 흡연 쑥뜸을 할수 있는 연초부(300)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필터부(100)를 입에 물고 연초부(300)의 약쑥(310)에 불을 붙여서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연초부(300)에는 기공(3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하게 빨아 들이지 않더라도 쉽게 흡연이 이루어 지는 것이며, 약쑥(310)의 주성분인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질, 양질의 미네랄, 다양하고 풍부한 비타민, 칼슘, 인 등을 제외하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먼지등)은 필터부(100)에서 흡연 쑥뜸시 제거되어 지고 정제된 약쑥(310)의 주성분은 열기와 훈기에 썩여 호흡기 계통 즉 입안, 코, 기관지 등으로 돌아 다니면서 약쑥의 효능이 인체로 스며드는 것임과 동시에 각종 염증을 치료하는 것이고 인도염, 축농증 등의 각종 호흡기 질환을 치료함과 동시에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 시키면서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부는 복부까지 흡입되어서 위 점막에 생기는 염증 등을 치료하고 약쑥(310)의 효능이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4에서와 같이 연결파이프(200a)를 연초부(300)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하고 이 연결파이프(200a)에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진 약쑥(310a)을 집어 넣어 흡연 쑥뜸을 할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약쑥(310a)는 찌고 말리는 과정을 9번반복작업하고 최종적으로 말린 다음 임의의 크기로 사용자가 잘게 써는 방식으로 절단하여 연결파이프(200a)내로 집어 넣어 흡연 쑥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담배와 같이 흡연을 통하여 쑥뜸을 행할수 있어 사용자는 저항감 없이 구강 쑥뜸을 행할 수 있는 것이고 담배 흡연 욕구를 구강 쑥뜸구로서 대체 흡연하여 담배 흡연을 억제 할수 있는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사용자가 금연을 하게 되어 담배를 끊게 되어 건강한 삶을 영위해 나가는 것이다.
입으로 뜸을뜨는 구강쑥뜸구 재료는 쑥잎에서 췌취한 100% 쑥섬유질로 제조된 궐련지 종이로 쑥잎을 말고, 쑥잎에서 췌취한 100% 쑥섬유질로 제조된 쑥필터를 연초부에 부착하여 다른 일체 첨가물을 넣지 않고 100% 쑥을 재료로한 구강쑥뜸구를 제조하는 기술적인 발명의 효과와 목적이 있게 한 것이다.기존 쑥뜸구의 형태와 내용을 살펴보면, 굽은 파이프 도구에 쑥뜸구를 끼어서 연초부에 불을 붙혀 쑥기운이 코를 향하여 들어가게하는 방법으로 코에대한 염증 치료만을 목적으로 기술적인 발명이 되어 구강청정 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쑥기운 자체를 코로 흡입하는 도구 자체가 쑥잎을 감싸는 쑥종이와 쑥필터를 부착한 연초부로 100% 쑥을 재료로한 입으로 직접 뜸을 뜨는 구강쑥뜸구 도구와는 기술적 발명 자체가 별계의 쑥뜸구로 분리되는 것이 확실하다. 또한 치료용 약쑥 권연 숙뜸구에 있어서도 은박지와 일반 종이 권련지로 숙잎을 감싼 형태의 쑥뜸구로서, 쑥잎 가공에 있어서 찌고 말리기를 거듭 9홉번 하여 뜸쑥으로서의 효능을 높잎과 동시 강한 쑥향을 순하고 부드럽게 하여 쑥잎을 감싸는 쑥종이 권련지와 쑥필터를 연초부에 부착하여 100% 쑥연초부를 구성한 구강쑥뜸구 도구와는 기술적 발명 자체가 별계의 쑥뜸구로 분리되는 것이 확실하다.
본 발명은 몸에 좋은 쑥기운이 100% 쑥을 재료로하여 구성된 구강쑥뜸구를 구성하여 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코를 통하지 않고 직접 입을 통하여 쉽게 입안에 이르게 하는데 기술적 발명의 효과와 목적이 있는 것이다.100% 쑥을 재료로 구성된 구강쑥뜸구 역시 뜸 종류이나 입에다 뜨는 뜸이기 때문에 쑥잎을 특별이 가공 해야 하는 기술적 발명이 반듯이 필요하다.찌고 말리기를 9홉번한 쑥잎을 뜸을 뜨기 위하여 불을 붙였을시 숙기운 성분 추출이 80-90%가 되어 한번 찌고 말린 것보다 약리 효과가 더 있다.구강쑥뜸구는 금연과 흡연을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 아니라 5천년 민족 전통을 이어온 쑥뜸의 원리를 근거하여 입안 악취 재거와 쑥기운이 입안으로 쉽게 들어가 침과 함께 위속으로 들어가 몸에 이로운 쑥기운이 몸속에 퍼져 몸속에서 생기는 다양한 질병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이상에서 살펴본바 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찌고 말리기를 거듭 9홉번하여 약성분 효능을 높이고 강한 쑥향을 순하고 부드럽게한 100% 쑥잎 재료로 공정 제조 과정을 거쳐 담배 모양의 구강쑥뜸구를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초부에 불을 붙혀 담배처럼 빨면서 입안에 뜸을 뜨게 될시 순하고 부드러우며 구수한 쑥향이 나도록 기술적인 발명을 하였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기분 좋게 입안에 쑥뜸을 행할수 있는 기술적인 발명의 효과와 목적이 있는 것이다.쑥잎에 내포된 강한 쑥향을 부드럽고 순하게 하기위하여 찌고 말리기를 거듭 9홉번한 쑥잎을 그늘에서 잘 말린 다음 공정 제조 과정을 거쳐 100% 쑥을 재료로 형성된 구강쑥뜸구는 쑥종이 권련지로 쑥잎을 감싸고 쑥필터를 연초부에 부착하여 100% 쑥연초부 끝에 불을 붙혀 담배처럼 입으로 빨아 입안에 쑥뜸을 행할시 몸에 해로운 독성은 없는 것이다. 구강쑥뜸구는 금연과 흡연을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 아니며, 세계인류 모두의 구강청정 효과를 목적으로 발명된 구강쑥뜸구 이다.

Claims (2)

  1. 필터부(100), 연결파이프(200) ,연초부(300)로 이루어진 구강쑥씀구에 있어서,상기 연초부는 약쑥을 채집, 세척하여 일정시간 동안 찌고 말려 건조시키는 것을 9번 반복하여 미립자로 분쇄한 다음 일정형상으로 가공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3개의 기공(320)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쑥뜸구.
  2. 삭제
KR10-2000-0050639A 2000-08-30 2000-08-30 구강쑥뜸구 KR10040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639A KR100403829B1 (ko) 2000-08-30 2000-08-30 구강쑥뜸구
JP2001238024A JP4237428B2 (ja) 2000-08-30 2001-08-06 口腔用もぐさ燻蒸具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639A KR100403829B1 (ko) 2000-08-30 2000-08-30 구강쑥뜸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401U Division KR200214486Y1 (ko) 2000-09-29 2000-09-29 구강 쑥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360A KR20020017360A (ko) 2002-03-07
KR100403829B1 true KR100403829B1 (ko) 2003-11-01

Family

ID=1968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639A KR100403829B1 (ko) 2000-08-30 2000-08-30 구강쑥뜸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37428B2 (ko)
KR (1) KR100403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47B1 (ko) * 2014-12-12 2015-06-03 홍성창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13U (ko) * 1994-07-02 1996-02-14 김종국 휴대용 숯불구이기
KR980000202A (ko) * 1996-06-13 1998-03-30 김동렬 쑥을 원료로 한 쑥 담배의 제조 방법
KR19980022952U (ko) * 1996-10-30 1998-07-25 송욱의 대용담배
KR19980067306A (ko) * 1997-02-03 1998-10-15 곽민철 흡입형 쑥관 연소기
WO1999027806A1 (fr) * 1997-12-01 1999-06-10 Danming Pu Cigarette sa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13U (ko) * 1994-07-02 1996-02-14 김종국 휴대용 숯불구이기
KR980000202A (ko) * 1996-06-13 1998-03-30 김동렬 쑥을 원료로 한 쑥 담배의 제조 방법
KR19980022952U (ko) * 1996-10-30 1998-07-25 송욱의 대용담배
KR19980067306A (ko) * 1997-02-03 1998-10-15 곽민철 흡입형 쑥관 연소기
WO1999027806A1 (fr) * 1997-12-01 1999-06-10 Danming Pu Cigarette sa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47B1 (ko) * 2014-12-12 2015-06-03 홍성창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360A (ko) 2002-03-07
JP4237428B2 (ja) 2009-03-11
JP2002085565A (ja) 200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1516A (zh) 一种中草药保健烟
CN104005300A (zh) 一种吸附增强中药解毒的水松纸原纸及其制备方法
KR100403829B1 (ko) 구강쑥뜸구
CN104005294A (zh) 一种高效过滤的女士烟用接装纸及其制备方法
KR19990055875A (ko) 담배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4582B1 (ko) 작약을 이용한 금연용 담배
CN104005288A (zh) 一种可降低香烟对人体伤害的保健水松纸及其制备方法
KR100389709B1 (ko) 국화꽃 쑥연초
KR200276495Y1 (ko) 구강 쑥뜸구
KR200215702Y1 (ko) 구강 쑥연초구
KR200235446Y1 (ko) 구강 필터 궐련 쑥뜸구
KR100374159B1 (ko) 녹차잎이 함유된 담배 충진재
KR200214486Y1 (ko) 구강 쑥뜸구
KR200267119Y1 (ko) 구강쑥뜸구
KR20020070021A (ko) 구강 필터 궐련 쑥뜸구
KR200244986Y1 (ko) 사자발·인진 구강 쑥뜸구
KR200267120Y1 (ko) 쑥시가
KR100389707B1 (ko) 녹차 쑥연초구
KR100542056B1 (ko) 권련형 맨솔 담배대용품
KR100483473B1 (ko) 쑥시가
KR20030070486A (ko) 구강 쑥뜸구
KR100389708B1 (ko) 박하 쑥연초
KR20030030783A (ko) 구강쑥뜸구
KR200317018Y1 (ko) 금연 보조 담배
KR20020088329A (ko) 사자발·인진 구강 쑥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