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128B1 -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128B1
KR100402128B1 KR10-1999-0059812A KR19990059812A KR100402128B1 KR 100402128 B1 KR100402128 B1 KR 100402128B1 KR 19990059812 A KR19990059812 A KR 19990059812A KR 100402128 B1 KR100402128 B1 KR 10040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rolled
steelmaking
oil sludge
present
cok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303A (ko
Inventor
이현
이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5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1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슬래브를 열간압연하는 열연공장에서 발생된 오일함유 슬러지를 철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코크스 더스트와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질소분위기의 가열로에서 환원하여 제강용 환원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분이 함유된 열연오일슬러지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열연오일슬러지를 83.5~87.5 중량%, 코크스 더스트를 4.5~8.5 중량%, 수용성 바인더를 8 중량%로 혼합된 조성물을 펠릿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펠릿형상의 조성물을 질소분위기로 1100℃이상의 가열로에서 환원한 후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 하는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제강용 환원철은 열연오일슬러지와 코크더스크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제철소내 폐기물의 재활용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며 기존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대용제에 비하여 제강의 효율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발명에 의한 환원철은 철원으로서 제강의 생산량 증대에도 크게 기여하여 경제적으로 부가가치의 증대에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MANUFACTURING OF REDUCTION IRON BY HOT ROLLING MILL OILY SLUDGE}
본 발명은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슬라브를 열간압연하는 열연공장에서 발생된 오일함유 슬러지를 철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코크스 더스트와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을 한 후 질소분위기의 가열로에서 환원하여 제강용 환원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연공장에서 발생되는 열연오일슬러지는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처리를 통하여 재활용을 하거나 매립을 하여 환경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처리함으로써 환경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열연오일슬러지를 처리하는 관련기술로는 물리적으로 유분을 회수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증류탑 등 화성설비에서 유분을 회수하는 시스템기술로는 미국특허 US 4994169호가 알려져 있다. 또한, 화학적 처리방법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액포를 형성하여 슬러지와 오일간의 분리 처리하는 기술로 미국특허 US 4536324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복잡한 단계를 거쳐 처리되어지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것들은 대부분 매립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열연오일슬러지를 처리하고자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열연오일슬러지를 건조하고 코크스 더스트와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질소분위기에서 환원하여 제강용 환원철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 : 본 발명의 제조공정 개략도
제2도 :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환원철의 금속화율을 나타낸 그래프
제3도 : 온도조건에 따라 제조된 환원철의 금속화율을 나타낸 그래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분이 함유된 열연오일슬러지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열연오일슬러지를 83.5~87.5 중량%, 코크스 더스트를 4.5~8.5 중량%, 수용성 바인더를 8 중량%로 혼합된 조성물을 펠릿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펠릿형상의 조성물을 질소분위기로 1100℃이상의 가열로에서 환원한 후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 하는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분이 포함된 열연오일슬러지를 100℃이상에서 건조하고 실공정에 활용시 로타리킬른을 통과하는데 20분 이내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간내에 건조할 수 있는 온도는 200℃이상을 유지해야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열연오일슬러지 83.5~87.5중량%, 코크스 더스트 4.5~8.5중량%, 수용성 바인더 8중량%를 혼합하고 형상을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열연 오일슬러지와 코크스 더스트는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하기 표1과 같은 화학적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바람직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소성분이 84%이상을 함유한 코크스 더스트는 코크스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활용하게 된 것이다.
성분 SiO2 Al2O3 Fe2O3 FeO MnO MgO CaO Na2O+K2O C S
열연 오일슬러지(중량%) 0.15~3.5 0.10~0.5 40.5~47.5 42.5~48.5 0.15~0.32 0.01~0.05 0.01~0.3 0.01~0.1 1.5~8.2 0.03~0.3
코크스 더스트(중량%) 3~5 3~5 0.1 0.1 - 0.1~0.3 0.02~0.07 0.01~0.02 84~87 0.03~0.07
상기 코크스 더스트는 고로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석탄을 건류하여 괴코크스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분말상의 코크스로 화학성분이 탄소가 주성분으로 되어있다.
상기 열연오일스러지와 코크스 더스트에 함유된 화학성분중 알카리 성분(Na2O+K2O), SiO2와 Al2O3은 환원반응을 통하여 환원철을 제조할 때 철산화물과 반응하여 융점을 저하시키는 화합물로써 열연오일스러지 중에 포함된 산화철의 환원촉진제 역할을 한다.
상기 열연오일슬러지에 첨가되는 코크스 더스트의 첨가량이 8.5%를 넘게 되면 환원철중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이 증대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너무 적은 양인 4.5%미만으로 투입될 경우에는 환원반응시에 환원되는 양이 부족하여 90%이상의 환원철을 제조하는데 환원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코크스 더스트를 4.5~8.5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연오일슬러지는 적정 환원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코크스 더스트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며, 건조된 열연오일슬러지를 기준으로 83.5%미만에서는 과잉의 코크스 더스트가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87.5%이상에서는 환원에 필요한 탄소량이 부족하게 되어 원하는 90%이상의 환원철 제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형상제조시의 강도를 내기 위해서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카복실메칠셀롤로우스의 2%와 물98%를 혼합한 용액을 수용성 바인더로 명명하며, 이 수용성 바인더를 본 발명에서는 8%를 사용하였는데, 8%미만에서는 성형강도를 유지가 어렵고 다음공정에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적정강도를 유지하는 8%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방법으로 형상을 제조한 후 질소분위기에서 환원공정을 치게 된다. 상기 조성의 건조된 열연오일슬러지와 코크스 더스트를 혼합하여 수용성 바인더를 8% 첨가하여 가압성형을 하거나 펠렛제조기에서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형상을 제조하고, 질소분위기의 가열로에서 환원 후 냉각하여 제강용 환원철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 1에 나타내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환원철제조를 위한 열연오일슬러지와 코크스 더스트의 적정 혼합의 함량을 구하기 위한 실시예로 수용성 바인더 8%에 열연오일슬러지와 코크스 더스트의 합이 92%가 되도록 하기 표 2와 같은 비율로 배합하고 도 1의 제조공정으로 환원철을 제조하였다. 환원시에는 질소분이기에서 가열로의 온도는 1100℃에서 50분간 환원반응 시켰다.
구분 비교예 1 발명예 1 발명예 2 비교예 3 비교예 2
열연오일슬러지(중량%) 89.5 87.5 85.5 83.5 81.5
코크스 더스트(중량%) 2.5 4.5 6.5 8.5 10.5
상기와 같이 제조된 페렛의 습식화학분석을 통하여 펠렛중의 T-Fe(Fe총량)과 M-Fe(금속 Fe량)을 측정하여 다음식으로 금속화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실용화에 필요한 환원철은 금속화율이 90%이상을 규격으로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의 본 발명예 1~3과 비교예 2에서는 금속화율이 90%이상을 유지하는 반면에 비교예 1에서는 금속화율이 80%정도에 미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코크스 더스트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환원에 필요한 탄소량이 모자라서 오일슬러지중의 산화철성분을 충분히 환원시키지 못한 결과이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충분한 금속화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과량의 코크스 더스트의 함량으로 환원철내의 금속량에 탄소성분의 존재로 상대적인 금속량의 비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코크스 더스트 4.5~8.5중량%와 열연오일슬러지 83.5~87.5중량%를 배합하는 비율이 적정배합으로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중량비율에 2%폴리비닐알콜 수용성 바인더 8%를 첨가하여 공정처리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수용성 바인더를 8%첨가 조건을 본 발명의 제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환원처리시의 가열로 온도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코크스 더스트 6.5중량%와 열연오일슬러지 85.5중량%에 수용성 바인더 8중량%를 배합하여 가압성형으로 펠렛을 제조하고 질소분위기에서 환원반응시의 온도조건을 900℃, 1000℃, 1100℃, 1200℃에서 각각 50분간 환원반응 후 냉각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금속화율을 계산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원온도에 따라서 금속화율이 차이를 보이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화율 90%이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온도조건을 1100℃이상에서 환원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환원을 위한 가열로의 온도조건을 1100℃이상에서 실시하는 조건으로 한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하여 제강용 환원철은 열연오일슬러지와 코크스 더스트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제철소내 폐기물의 재활용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며 기존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대용제에 비하여 제강의 효율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발명에 의한 환원철은 철원으로서 제강의 생산량 증대에도 크게 기여하여 경제적으로 부가가치의 증대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분이 함유된 열연오일슬러지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열연오일슬러지를 83.5~87.5 중량%, 코크스 더스트를 4.5~8.5 중량%, 수용성 바인더를 8 중량%로 혼합된 조성물을 펠릿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펠릿형상의 조성물을 질소분위기로 1100℃이상의 가열로에서 환원한 후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 하는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KR10-1999-0059812A 1999-12-21 1999-12-21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KR10040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812A KR100402128B1 (ko) 1999-12-21 1999-12-21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812A KR100402128B1 (ko) 1999-12-21 1999-12-21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303A KR20010057303A (ko) 2001-07-04
KR100402128B1 true KR100402128B1 (ko) 2003-10-17

Family

ID=1962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812A KR100402128B1 (ko) 1999-12-21 1999-12-21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158B1 (ko) * 2001-11-13 2007-01-11 주식회사 포스코 오일함유 열연슬러지를 이용한 직접환원철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409A (en) * 1977-07-02 1979-01-31 Nippon Steel Corp 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ing steel-making pellets using sludge containing oil and iron
JPS556467A (en) * 1978-06-28 1980-01-17 Nippon Kokan Kk <Nkk> Treating method of high iron content sludge
JPH06212226A (ja) * 1992-07-29 1994-08-02 Kumsan Material Co Ltd 摩擦材用粉鉄の原料及びその還元処理方法
JPH09310128A (ja) * 1996-05-21 1997-12-02 Nippon Steel Corp 含油スラッジの処理方法
KR20000040935A (ko) * 1998-12-21 2000-07-15 이구택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스크랩 대용제 제조방법
KR20010017294A (ko) * 1999-08-10 2001-03-05 이구택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스크랩대용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409A (en) * 1977-07-02 1979-01-31 Nippon Steel Corp 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ing steel-making pellets using sludge containing oil and iron
JPS556467A (en) * 1978-06-28 1980-01-17 Nippon Kokan Kk <Nkk> Treating method of high iron content sludge
JPH06212226A (ja) * 1992-07-29 1994-08-02 Kumsan Material Co Ltd 摩擦材用粉鉄の原料及びその還元処理方法
JPH09310128A (ja) * 1996-05-21 1997-12-02 Nippon Steel Corp 含油スラッジの処理方法
KR20000040935A (ko) * 1998-12-21 2000-07-15 이구택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스크랩 대용제 제조방법
KR20010017294A (ko) * 1999-08-10 2001-03-05 이구택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스크랩대용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303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8190A (en) Method of recycling hazardous waste
CN102264919B (zh) 从炼钢炉渣中回收铁和磷的方法
US20070079667A1 (en) Method of producing stainless steel by re-using waste material of stainless steel producing process
RU2008112004A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шлака
US3262771A (en) Recovery of steel and zinc from waste materials
CN104870660A (zh) 还原铁制造方法及制造设备
KR102260982B1 (ko) 전로 더블슬래그 조업시 효율적인 탈린 및 용강회수 방법
KR100402128B1 (ko)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환원철 제조방법
KR100399234B1 (ko) 고로슬래그 첨가에 의한 열연오일슬러지의 환원철 제조방법
KR101777208B1 (ko) 유가 금속 회수방법
KR100668158B1 (ko) 오일함유 열연슬러지를 이용한 직접환원철 제조방법
KR100388312B1 (ko) 탄산나트륨첨가에 의한 열연오일슬러지의 환원철제조방법
KR101017628B1 (ko) 밀스케일을 이용한 환원철 및 그 제조방법
KR101368541B1 (ko) 스테인리스 제강용 용융 환원제 및 이를 이용한 용융 환원법
JP2001348610A (ja) 滓化促進剤
KR100415649B1 (ko)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스크랩대용제 제조방법
KR101259376B1 (ko) 전기로 조업 방법
KR20000040935A (ko)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스크랩 대용제 제조방법
WO2000015855A1 (de) Verfahren zum aufarbeiten von stahlschlacken und eisenträgern
KR101253258B1 (ko) 부산물 회수 방법
CN110423861B (zh) 生产含铜钢的方法及铜渣作为冷却剂在生产含铜钢中的应用
KR20180031973A (ko) 슬러지를 이용한 탄산염 제조방법 및 탄산염을 포함한 슬러지
CN116200601A (zh) 采用提钒尾渣制备含钒铬生铁的方法
JPS61215204A (ja) 溶銑脱燐スラグから燐を分離回収する方法
KR20030041518A (ko) 제강 전기로 분진의 재활용을 위한 고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