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328B1 -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 Google Patents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328B1
KR100401328B1 KR10-2001-0052863A KR20010052863A KR100401328B1 KR 100401328 B1 KR100401328 B1 KR 100401328B1 KR 20010052863 A KR20010052863 A KR 20010052863A KR 100401328 B1 KR100401328 B1 KR 10040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nsion
transverse
longitudinal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637A (ko
Inventor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기공
Priority to KR10-2001-0052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3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지를 용융시켜 배출하는 압출기(10)와;
상기 압출기(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조성물을 튜브형태로 성형하며, 몸체 상부에는 필름압출홀(21)이 구비되는 필름성형기(20)와;
상기 필름성형기(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튜브형태로 배출되는 필름(5)을 횡방향으로 인장시키는 횡방향 인장부(30)과;
상기 횡방향 인장부(30)의 상부로 형성되어, 1차 성형된 필름(5)을 압지시켜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가이드롤러(40)들과;
상기 이송가이드롤러(40)를 통해 이동되는 튜브형태의 필름(5)을
컷터(51)로 양측부를 절단시켜 두 개의 시트상태 필름으로 분할시키는 컷팅부(50)와;
상기 컷팅부(50)에서 절취된 필름(5)을 다수개의 압착롤러(61)들 사이를 통과시켜 점차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하는 종방향 인장부(60)와;
상기 종방향 인장부(60)에서 종방향으로 인장되어 양측으로 분할 이송되는 필름(5)을 롤회전수단(71)에 의해 롤상태로 권취시키는 와인더부(7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는 필름성형기(20)의 상부로 횡방향 인장부(30)이 형성되어, 필름(5)을 1차적으로 횡방향으로 인장시키고, 후공정에 의해 종방향으로 2차 인장시키므로, 통기성 필름(5)의 표면에 형성되는 흡수체(80)를 중심으로 외주면에 대칭방향에 대하여 교차되게 공극(90)이 형성되어, 통기성 필름(5)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Air-permeable film extending device}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에 횡방향 및 종방향 연신수단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통기성 필름의 연신작업시 흡수체를 중심으로 외주면에 공극이 종.횡의 두 대칭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통기성 필름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기성 필름은 공기와 습기는 통과하지만 액체는 통과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건축용의 경우 실내 통풍은 가능하면서 응결방지용 및 여성의 생리대나, 유아용 기저귀, 그리고, 노인들의 요실금 치료용으로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시중에서 볼 수 있는 통기성 필름은 주로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를 통해 통기성 필름의 공극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구성은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배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조성물을 튜브형태로 성형하는 필름성형기와, 상기 필름성형기를 통해 형성되는 필름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와인더부와, 상기 와인더부를 통해 이송된 필름을 다수개의 압착롤러를 통해 인장시키는 연신부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는 통기성 필름의 연신작업이 독립된 연신부를 통해 일정방향 즉, 단일방향으로만 공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연신작업이 수행되어 통기성 필름의 흡수체 외주면으로 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는 독립된 연신부를 통해 통기성 필름의 흡수체 외주면에 일방향 즉, 단일방향에 대해서만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연신수단이 구비되어 통기성 필름의 통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구성중 통기성 필름을 인장시키는 연신부가 필름을 단일방향에 대해서만 인장시킬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수체의 외주면으로 필림의 인장으로 형성되는 공극이 어느 일 방향으로만 공극 중심축이 형성되어, 제품에 필요한 통기율을 만족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에 횡방향 및 종방향 연신수단을순차적으로 형성하여, 통기성 필름의 연신작업시 흡수체를 중심으로 외주면에 공극이 대칭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통기성 필름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구성 및 작업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필림성형기와 횡방향 인장수단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횡방향 인장수단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종방향 인장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성 필름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필름 10 - 압출기
20 - 필름성형기 21 - 필름압출홀
30 - 횡방향 인장부 31 - 하우징
32 - 이동통로 33 - 공기분사홀
34 - 공기발생부 40 - 이송가이드롤러
50 - 컷팅부 51 - 컷터
60 - 종방향 인장부 61 - 압착롤러
70 - 와인더부 71 - 롤회전수단
80 - 흡수체 90 - 공극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를 용융시켜 배출하는 압출기(10)와;
상기 압출기(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조성물을 튜브형태로 성형하며, 몸체 상부에는 필름압출홀(21)이 구비되는 필름성형기(20)와;
상기 필름성형기(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튜브형태로 배출되는 필름(5)을 횡방향으로 인장시키는 횡방향 인장부(30)과;
상기 횡방향 인장부(30)의 상부로 형성되어, 1차 성형된 필름(5)을 압지시켜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가이드롤러(40)들과;
상기 이송가이드롤러(40)를 통해 이동되는 튜브형태의 필름(5)을
컷터(51)로 양측부를 절단시켜 두 개의 시트상태 필름으로 분할시키는 컷팅부(50)와;
상기 컷팅부(50)에서 절취된 필름(5)을 다수개의 압착롤러(61)들 사이를 통과시켜 점차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하는 종방향 인장부(60)와;
상기 종방향 인장부(60)에서 종방향으로 인장되어 양측으로 분할 이송되는 필름(5)을 롤회전수단(71)에 의해 롤상태로 권취시키는 와인더부(7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는 필름성형기(20)의 상부로 횡방향 인장부(30)이 형성되어, 필름(5)을 1차적으로 횡방향으로 인장시킨 후, 다음에서 종방향 인장부(60)에 의해 2차로 인장시키므로, 통기성 필름(5)의 표면에 형성되는 흡수체(80)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공극의 중심축이 종, 횡의 두 직교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종횡의 두 중심축에 공극(90)들이 형성되어, 공극(90)수 증가로 인한 통기성 필름(5)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구성 및 작업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필림성형기와 횡방향 인장수단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횡방향 인장수단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종방향 인장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성 필름의 형상을 요부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의 압출기(10)는 수지를 용융시켜 배출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압출기(10)의 후측부에는 압출기(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조성물을 튜브형태로 성형하는 필름성형기(20)가 위치된다.
압출기(10)로 공급되는 수지원료는 충진 폴리올레핀 필름을 후압출 연신함으로써 호흡성을 가진 필림을 얻도록 하는 것이며, 이것을 베이스로 초크를 필러로 혼합한(60% 까지의 탄산칼슘) PP 또는 PE 필름을 인플레이션 또는 캐스트 필름 프로세스로 압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필름성형기(20)는 압출기(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 조성물을 튜브형태로 형성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름성형기(20)의 상부로는 튜브형태로 배출되는 필름(5)을 횡방향으로 인장시키는 횡방향 인장부(30)이 형성된다.
상기 횡방향 인장부(30)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성형기(20)의 상부 필름압출홀(21)의 출구측에는 비교적 두꺼우면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압출된다.
이 횡방향 인장부(30)은 몸체 내측 대각선 방향 양측으로는 필름압출홀(21)를 통해 배출되는 필름(5)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통로(32)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로(32)의 하측으로는 상호 연통되는 공기분사홀(33)이 형성되는 하우징(31)과, 상기 공기분사홀(33)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기분사홀(33)로 공급하는 공기발생부(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횡방향 인장부(30)은 필름성형기(20)의 필름압출홀(21)을 통해 튜브 형태로 배출되는 필림이 하우징(31)의 내부 양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통로(32)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공기발생부(3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력이 순차적으로 연통되는 공기분사홀(33)을 통해 분사되므로, 튜브형태의 필름(5) 직경이 폭방향으로 직경 확대되는 것에 의해 소재 두께가 얇아지면서 횡방향으로 필름(5O)을 인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횡방향 인장부(30)인 공기발생부(34)와 상기 공기발생부(34)를 통해 이동된 공기를 필름(5)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우징(31)의 내측에서 순차적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공기분사홀(33)에 의해 필름성형기(20)의 필름압출홀(21)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필름(5)을 횡방향으로 인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횡방향 인장부(30)의 출구측 및 각 공정의 전후 위치에는 필름(5)을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가이드롤러(40)들이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롤러(40)를 통해 이동되는 필름(5)은 컷팅부(50)로 이송되어 양단부가 컷터(51)로 절취되는 것에 의해 튜브상태가 시트상태의 두장 필름(5)으로 분할된다.
즉, 필름성형기(20)에서는 튜브상태로 필름이 제작되므로 이를 시트상태로 가공 및 권취하기 위해 이송가이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중첩된 튜브상태로 이송될 때 그 양측에 설치되는 컷터(51)를 통과하면서 두 개의 시트상태 필름(5)으로 분할되는 것이다.
이렇게 분할된 필름(5)은 다음 공정인 종방향 인장부(60)로 각각 이송된다.
이 종방향 인장부(60)는 컷팅부(50)의 다음 위치에 양측으로 동일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시트상태로 절취된 필름(5)이 압착롤러(61)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이다.
이 종방향 인장부(60)에 도달하기 직전에는 횡방향 인장부(30)에 의해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인 폭방향으로 이미 신장되어 있는 상태로 공급되는데, 이 필름(5)을 다시 압착롤러(61)들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필름(5)을 압착시켜 그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2차 신장시키는 것이다.
상기 압착롤러(61)들은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그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구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횡방향 인장이 완료된 필름(5)이 다수개 형성되는 압착롤러(61)들 사이를 거치면서 종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횡방향 인장부(30)을 통해 1차적으로 횡방향으로 인장된 필름(5)을 제 1 와인더부(50)를 통해 종방향 인장부(60)로 이동시켜, 압착롤러(61)에 의해 필름(5)을 2차적으로 종방향에 대해서 인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완성되는 통기성 필름(5)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80)를 중심으로 축방향과 폭방향으로 공극(80)의 중심축 방향이 두 개 축을 갖도록 공극(90)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2차에 걸친 종, 횡 필름 신장작업을 맞친 필름(5)은 롤상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유통될 수 있도록 와인더부(70)로 이송되어 진다.
와더부(70)는 종방향 인장부(60)의 최종 압착롤러(61)를 통과한 다음 위치에 설치되며, 롤회전수단(71)이 모터(도시없음)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회전수단(71)은 지관으로 된 롤의 외부에 시트상태의 필름(5)이 감겨진 상태에서 모터구공에 의해 회전되어 필름(5)이 롤상태로 정해진 길이만큼 권취되도록 하여 보관 및 유통시 구겨짐 없이 적은 부피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는 종래와는 달리 통기성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흡수체를 중심으로 공극을 상호 대칭방향에 대하여 교차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횡방향 인장수단과 종방향 인장부를 순차적으로 형성되므로, 통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수지를 용융시켜 배출하는 압출기(10)와;
    상기 압출기(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조성물을 튜브형태로 성형하며, 몸체 상부에는 필름압출홀(21)이 구비되는 필름성형기(20)와;
    상기 필름성형기(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튜브형태로 배출되는 필름(5)을 횡방향으로 인장시키는 횡방향 인장부(30)과;
    상기 횡방향 인장부(30)의 상부로 형성되어, 1차 성형된 필름(5)을 압지시켜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가이드롤러(40)들과;
    상기 이송가이드롤러(40)를 통해 이동되는 튜브형태의 필름(5)을
    컷터(51)로 양측부를 절단시켜 두 개의 시트상태 필름으로 분할시키는 컷팅부(50)와;
    상기 컷팅부(50)에서 절취된 필름(5)을 다수개의 압착롤러(61)들 사이를 통과시켜 점차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하는 종방향 인장부(60)와;
    상기 종방향 인장부(60)에서 종방향으로 인장되어 양측으로 분할 이송되는 필름(5)을 롤회전수단(71)에 의해 롤상태로 권취시키는 와인더부(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횡방향 인장부(30)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 대각선 방향 양측으로는 필름압출홀(21)를 통해 배출되는 필름(5)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통로(32)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로(32)의 하측으로는 상호 연통되는 공기분사홀(33)이 형성되는 하우징(31)과;
    상기 공기분사홀(33)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기분사홀(33)로 공급하는 공기발생부(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KR10-2001-0052863A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KR10040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63A KR100401328B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63A KR100401328B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28U Division KR200255811Y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637A KR20030018637A (ko) 2003-03-06
KR100401328B1 true KR100401328B1 (ko) 2003-10-17

Family

ID=2772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863A KR100401328B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764B1 (ko) * 2019-01-18 2019-06-20 장천수 시트 제조 장치
KR102477920B1 (ko) * 2022-09-13 2022-12-16 (주)헬프네이쳐 생분해성 필름 제조용 필름 가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349B1 (ko) * 2001-10-11 2005-01-24 김영한 고수축률을 갖는 박층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5844A (ko) * 1988-04-21 1989-11-27 안임진 필름의 종, 횡 동시 연신장치
JPH08118466A (ja) * 1994-05-18 1996-05-14 Toshiba Mach Co Ltd フイルム等の縦延伸装置
KR970061491A (ko) * 1997-06-24 1997-09-12 성수경 통기성 필름제조용 연신장치
KR20020074287A (ko) * 2001-03-19 2002-09-30 완 수 김 플라스틱 망상체 연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5844A (ko) * 1988-04-21 1989-11-27 안임진 필름의 종, 횡 동시 연신장치
JPH08118466A (ja) * 1994-05-18 1996-05-14 Toshiba Mach Co Ltd フイルム等の縦延伸装置
KR970061491A (ko) * 1997-06-24 1997-09-12 성수경 통기성 필름제조용 연신장치
KR20020074287A (ko) * 2001-03-19 2002-09-30 완 수 김 플라스틱 망상체 연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764B1 (ko) * 2019-01-18 2019-06-20 장천수 시트 제조 장치
KR102477920B1 (ko) * 2022-09-13 2022-12-16 (주)헬프네이쳐 생분해성 필름 제조용 필름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637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1152B1 (en) Product, apparatus and process for strip lamination of a polymer film and a nonwoven web
US5290377A (en) Method for producing reticular nonwoven fabric
US5942080A (en) Apparatus for strip lamination of a polymer film and non-woven webs
US3919367A (en) Method for molding plastic pipe with enlarged portions formed therein
HU226264B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twin-chambered containers
KR100401328B1 (ko)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EP00237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biaxially orientation-stretched plastic film and film produced thereby
JP2011194854A (ja) 帯状ゴムの製造方法
KR200255811Y1 (ko) 통기성 필름의 연신장치
KR101426779B1 (ko) 메쉬롤을 이용한 비닐 하우스용 필름 제조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KR102276573B1 (ko) 인플레이션 튜브필름성형장치에 구비된 튜브필름이등분장치
CN105555515B (zh) 包括有在第二折叠膜内的第一折叠膜的贮料辊和制造该贮料辊的方法
KR200255817Y1 (ko) 필름 연신기
KR100445978B1 (ko) 필름 연신기
US874771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sh-reinforced thermoplastic membranes
JP2009166365A5 (ko)
FI69776B (fi) Saett att framstaella plastfolie
CA2285404A1 (en) Draw-off device for webs of plastic foil tubing
EP1088645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Wickelhülse zur Aufnahme von bahnförmigem Gut sowie Wickelhülse
CN214606008U (zh) 一种弹力无纺布复合设备
US3018882A (en) Spiral roll of perforated thermoplastic multiple tub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KR100532813B1 (ko) 인플레이션 성형을 이용한 관형 필름 제조장치
KR100467349B1 (ko) 고수축률을 갖는 박층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0359169Y1 (ko) 인플레이션 성형을 이용한 관형 필름 제조장치
JPS63496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