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551B1 -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 Google Patents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551B1
KR100400551B1 KR10-2001-0045519A KR20010045519A KR100400551B1 KR 100400551 B1 KR100400551 B1 KR 100400551B1 KR 20010045519 A KR20010045519 A KR 20010045519A KR 100400551 B1 KR100400551 B1 KR 10040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s
item
displaying
portable terminal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0871A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551B1/en
Publication of KR2003001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8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5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A,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표시장치의 일부 영역만을 사용할 때, 원하는 정보를 보다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의 표시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기 설정된 모든 아이콘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방향키 및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과; 상기 방향키 및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제2과정과;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의 표시면 중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기 설정된 몇 개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한 후, 포인터 이동장치가 조작될 때 커서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아이콘들을 시프트시켜 표시하다가,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포인터 이동장치 및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제4과정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makes it easier to select desired information when using only a portion of a displa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DA or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process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ll the preset icons when the entir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and displaying the details of the icons selected by the user's direction keys and selection keys. ;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at a search item or a record item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direction key and the specific selection key and execut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When only a part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vailable, after displaying some preset icons, the icons are shifted and displayed with the cursor fixed when the pointer moving device is operated. Displaying a detailed content of the icon selected by the step; A fourth step of confirming that a search item or a record item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moving device and a specific selection key is performed and execut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How to display icons on your mobile device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PDA(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플립을 닫았을 때와 같이 표시창의 표시 면적이 좁아 동시에 많은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없을 때 키 입력에 따라 직접 아이콘을 시프트시켜 가면서 표시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isplaying an icon on a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n icon of a portable terminal that is suitable for shifting and displaying an icon directly according to a key input when it is narrow and cannot display many icons at the same time.

도 1a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휴대폰의 플립을 닫았을 경우 표시창에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보인 것이고, 도 1b는 플립을 열었을 경우 표시창에 여러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이들을 참조하여 종래 휴대폰의 아이콘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1A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isplay window when a flip of a mobile phone is closed in the prior art, and FIG. 1B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various icons on the display window when a flip is opene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icon display method.

도 1a에서와 같이 종래 휴대폰의 경우, 플립(11)이 닫힌 상태에서는 엘씨디 표시창(12)을 통해 단지 현재 시각, 무선접속 상태 및 배터리 잔량 등 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을 뿐, 그밖의 아이콘이나 메뉴 등의 비교적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1A, when the flip 11 is closed, only an extremely limited information such as a current time, a wireless connection state, and a battery level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CD display 12, and other icons and It is not possible to display relatively much information such as menus.

하지만, 도 1b에서와 같이 플립(11)이 열린 상태에서는 엘씨디(13) 전체에 여러 아이콘(13A)들을 행과 열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하좌우의 방향키(14A)를 조작하여 선택 포인터(커서)를 원하는 아이콘에 위치시킨 후 특정 선택키를 누르면 시스템 제어부에 의하여 그 아이콘에 대응하는 서비스가실행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1B, when the flip 11 is open, various icons 13A may be displayed in rows and columns on the entire CD 13. In this state, the user operates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14A to place the selection pointer (cursor) on a desired icon, and then presses a specific selection key to execute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con by the system controller.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엘씨디와 같은 표시장치에 보다 많은 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을 갖는 표시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결함이 있고, 선택 포인터인 커서를 이동시켜 원하는 아이콘을 선정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As such, in the portable terminal,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area must be used to display a larger number of icons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Therefore, the cost increases, and a desired icon is moved by moving a cursor that is a selection pointer. There were inconveniences in using it.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플립을 개방시켜야 하고, 플립을 닫은 상태에서는 엘씨디 표시창을 통해 단지 현재 시각, 무선접속 상태 및 배터리 잔량 등 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표시할 수 밖에 없는 결함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flip-type portable terminal, the flip must be opened to select a desired icon, and when the flip is closed, only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time, wireless connection status, and battery level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CD display.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을 닫았을 때와 같이 엘씨디의 사용 가능한 부분이 제한되어 동시에 많은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없는 조건에서 키 입력에 따라 직접 아이콘을 시프트시켜 가면서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for shifting and displaying an icon directly according to a key inpu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usable portion of the LCD is not limited and thus many icons cannot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s when the flip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n icon.

도 1a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을 닫았을 경우 정보 표시 예시도.1A is an exemplary view of displaying information when the flip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closed;

도 1b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을 열었을 경우 정보 표시 예시도.Figure 1b is an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when the flip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opened.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화면 상의 정보 표시 예시도.Fig. 2A is an illustration of information display on an initial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해 정보가 시프트 표시되는 것을 보인 예시도.2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information is shifted display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의 신호 흐름도.3 is a signal flowchart of an icon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1 : 플립 22 : 엘씨디 표시창21: flip 22: LCD display window

23 : 포인터 이동장치23: pointer mov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의 표시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기 설정된 모든 아이콘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상하좌우 방향키 및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과; 상기 상하좌우의 방향키 및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 항목에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제2과정과;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의 표시면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기 설정된 몇 개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되, 포인터 이동장치가 조작될 때 커서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체 아이콘들을 좌, 우측방향으로 시프트시키다가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포인터 이동장치 및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아이콘 표시 방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method of displaying an ic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ll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all preset icons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nd the icon selec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keys and a specific selection key Displaying a detail of the first process;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at a search item or a record item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and a specific selection key, and execut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When only a part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vailable, a few preset icons are displayed, and when the pointer moving device is operated, the entire icons are shifted left and right in a state where the cursor is fixed, and then a specific selection key is pressed. Displaying a detailed content of the icon selected by operation of; And a fourth step of confirming that the search item or the record item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moving device and the specific selection key, and execut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A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s as follows.

사용자가 기본아이콘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휴대폰의 플립(21)을 열면 표시장치인 엘씨디 전체에 기 설정된 모든 아이콘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S1-S3)When the user opens the flip 21 of the mobile phone to select the default icon display mode, all the preset icons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on the entire LCD, the display device (S1-S3).

이때, 사용자는 상하좌우의 방향키를 조작하여 선택포인터(커서)를 임의의 아이콘에 위치시킨 후 특정 선택키를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해 그 아이콘이 선택되어 그 아이콘에 관련된 상세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S4-S7)At this time, the user operates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place the selection pointer (cursor) on an icon, and then presses a specific selection key, whereby the icon is selected to display details related to the icon. -S7)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하좌우의 방향키를 조작하여 선택포인터를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에 위치시킨 후 특정 선택키를 누르면, 시스템 제어부에 의하여 그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실행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내용을 검색하거나 터치키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S8-S12)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rection key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places the selection pointer on the search item or the record item and presses a specific selection key, the system control unit execut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The contents can be searched or the desired information can be recorded by using the touch keypad. (S8-S12)

한편, 휴대폰의 플립(21)이 닫힌 상태에서는 엘씨디 표시창(22)으로 표시 부분이 제한되므로 우선 기 설정된 몇 개의 간단 아이콘 예를 들어, 도 2a에서와 같이 "Icon1-Icon6"만을 디스플레이한다.(S13,S14)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splay portion is limited to the LCD display window 22 in the state in which the flip 21 of the mobile phone is closed, first, only a few simple icons, for example, "Icon1-Icon6"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2A. S14)

초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간단 아이콘은 평상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아이콘들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상시 각 아이콘들의 사용 빈도수를 체크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이를 근거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몇 개의 아이콘들을 선택하여 초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화번호부, 세계시간 등의 아이콘들을 선택하여 초기화면 상에 그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simple icon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may include icons that are commonly used by the user. For this purpos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icon is usually checked and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this, several icons are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if necessary, icons such as a phone book and a world time may be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이때, 사용자가 포인터 이동장치(23)를 회전시키켜 커서를 일정 위치(예: 첫 번째 아이콘)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이콘들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시프트되는데, 도 2b는 아이콘들이 좌측 방향으로 2 스텝 시프트되어 해당 아이콘(Icon3-Icon8)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S15,S16)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원하는 아이콘을 커서 표시위치(예: 최좌측 최상단)에 위치시킨 후 특정 선택키를 눌러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해당 아이콘에 관련된 세부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된다.(S17,S18)At this time, the user rotates the pointer moving device 23 so that the icons are shifted to the left or the right direction while the curso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icon). (S15, S16)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user places the desired icon at the cursor display position (for example, the leftmost top), and then selects a specific selection key. Press to select the desired icon, whereby detailed items related to the icon are displayed (S17, S18).

이때에도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포인터 이동장치(23)를 다시 조작하면 표시된 세부 항목들이 상기 아이콘 표시방식과 같이 시프트 표시된다.(S19,S20)In this case,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inter moving device 23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ed detailed items are shifted and displayed as in the icon display method (S19, S2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 이동장치(23)를 조작하여 원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게 된다.(S21-S23)In this state, the user manipulates the pointer moving device 23 to select and execute a desired detail item (S21-S23).

예를 들어, 선택포인터를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에 위치시킨 후 특정 선택키를 누르면, 시스템 제어부에 의하여 그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실행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내용을 검색하거나 외부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 user selects a selection pointer and then presses a specific selection key,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is executed by the system controller, so that the user can search for the content or use an external keypad. Information can be record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을 닫았을 때와 같이 엘씨디의 사용가능한 부분이 제한되어 동시에 많은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없는 조건에서 키 입력에 따라 직접 아이콘이나 세부 항목들을 시프트시켜 가면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많은 정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선택하여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hifts icons or sub-items directly according to a key inpu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usable part of the LCD is limited and many icons cannot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s when the flip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By displaying,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among a lot of information to use the function.

또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외부 키패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고, 플립을 닫고 한 손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convenience in that users who are not used to input information by a touch screen method can input information using an external keypad, and convenience of searching or inputting information with a single hand by closing a flip. have.

Claims (5)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의 표시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기 설정된 모든 아이콘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방향키 및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과; 상기 방향키 및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제2과정과;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의 표시면 중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기 설정된 몇 개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한 후, 포인터 이동장치가 조작될 때 커서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아이콘들을 시프트시켜 표시하다가,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포인터 이동장치 및 특정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 검색항목이나 기록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A first process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ll preset icons when the entir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vailable and displaying details of the icon selected by manipulation of a direction key and a selection key of the user;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at a search item or a record item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direction key and the specific selection key and execut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When only a part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vailable, after displaying some preset icons, the icons are shifted and displayed with the cursor fixed when the pointer moving device is operated. Displaying a detailed content of the icon selected by the step; And a fourth step of confirming that a search item or a record item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pointer moving device and a specific selection key, and execut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tem. 제1항에 있어서, 방향키는 상하좌우의 방향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keys ar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의 표시장치의 표시면 중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플립이 닫혀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ly a part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third process is usable when the flip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의 기 설정된 몇 개의 아이콘은 평상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아이콘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icons of the third process comprise icons that are commonly used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의 포인터 이동장치는 단말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회전량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의 좌표이동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inter movement device of the third process is a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terminal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coordinates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KR10-2001-0045519A 2001-07-27 2001-07-27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4005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519A KR100400551B1 (en) 2001-07-27 2001-07-27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519A KR100400551B1 (en) 2001-07-27 2001-07-27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871A KR20030010871A (en) 2003-02-06
KR100400551B1 true KR100400551B1 (en) 2003-10-08

Family

ID=2771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519A KR100400551B1 (en) 2001-07-27 2001-07-27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5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63B1 (en) * 2004-10-06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eypad
KR101415764B1 (en) * 2007-10-04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ts menu location mov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192A (en) * 1997-11-25 1999-06-18 Hitachi Ltd Ceramic multilayered coaxial signal wiring board, manufacture thereof, and electronic circuit device
JPH11231371A (en) * 1998-02-19 1999-08-27 Aiphone Co Ltd Pan and tilt structure for camera
KR200218564Y1 (en) * 2000-11-11 2001-04-02 박종범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dial type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192A (en) * 1997-11-25 1999-06-18 Hitachi Ltd Ceramic multilayered coaxial signal wiring board, manufacture thereof, and electronic circuit device
JPH11231371A (en) * 1998-02-19 1999-08-27 Aiphone Co Ltd Pan and tilt structure for camera
KR200218564Y1 (en) * 2000-11-11 2001-04-02 박종범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dial type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871A (en)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55333B (en) A kind of apparatus and method
US7577920B1 (en) Navigating through menus of a handheld computer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EP3206456B1 (en) Contextual search by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A2572574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primary action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90013282A1 (en) Single-Axis Window Manager
KR2007003476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 areas and data display method between displays using same
WO2008139309A2 (en) Glance and click user interface
US20090251418A1 (en) Method of configuring an idle screen and device using the same
JPH08237338A (en) Roller bar menu access equipment for cellular telephone set and its method
EP2334038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US20110181504A1 (en) Electronic Device
US8635559B2 (en) On-screen cursor navigation delimiting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2005092521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747580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put screen change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0400551B1 (en)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413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KR100417194B1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list in a mobile telephone
CA2572665C (en) On-screen cursor navigation delimiting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