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188B1 -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188B1
KR100400188B1 KR10-2002-0045397A KR20020045397A KR100400188B1 KR 100400188 B1 KR100400188 B1 KR 100400188B1 KR 20020045397 A KR20020045397 A KR 20020045397A KR 100400188 B1 KR100400188 B1 KR 10040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function
key
computer
fun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957A (ko
Inventor
임광성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2008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기능키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기능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컴퓨터의 원격 제어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Method for changing the function key of computer each program i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mputer}
본 발명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변경 가능하게 하고,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기능키 잠금 기능이 가능하여 특정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처리 및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 station) 등의 컴퓨터는 더이상 일부 전문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일반인들의 생활 및 업무 전반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는 정보의 대중화에 발맞춰 고성능화되는 동시에 그 가격이 저렴하여 짐으로써, 일반인들의 통신 수단, 정보 저장 수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체에서는 프리젠테이션, 일반 사무, 그래픽 작업 등 대부분의 업무에 개인용 컴퓨터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입력장치로서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및 제어 수단 등의 고유의 캐릭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문자키, 숫자키, 특수 키 및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진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키보드는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 입력포트를 통하여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업체내에서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피스, 훈민정음 등으로 작성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어 등을 통하여 보드에 디스플레이하고, 키보드를 통하여 화면 전환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상기와 같이 컴퓨터 본체에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드와 컴퓨터 본체가 서로 떨어져 원거리에 위치할 경우, 제3자가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화면 전환 등의 제어를 대신 수행해야 하거나, 화면이전환될 때마다 사용자가 컴퓨터의 키보드 쪽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프리젠테이션 진행의 신속성 및 사용자의 집중력을 저해하여 프리젠테이션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소형/경량화되어 사용자의 손에 쥘 수 있으며, 또한 프리젠테이션에 지장이 없을 만큼의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이 컴퓨터 입력포트에 연결된 화면 전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면 전환기도 개인용 컴퓨터의 입력포트에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야 하므로 케이블이 프리젠테이션 수행에 방해가 될 수 있고, 또한 케이블 길이에 한계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드에서 케이블 길이 이상의 원거리에 위치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리젠테이션시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중 현재 설명되고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곳을 지시하기 위하여, 레이저 등의 광선을 이용한 지시기(Pointer)나 지시봉을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회사 등에서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려면 지시기를 통하여 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지시하면서, 유선 화면 전환기로 화면을 전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의 원활한 수행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에 무선으로 작동하는 키보드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무선 키보드도 포터블(Portable)하게 사용하기에는 그 크기 및 중량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그 키(Key)의 수가 너무 많아 번잡스럽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PC 게임방의 확산과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의 개발에 힘입은 멀티미디어 분야에서의 일반인의 PC 사용은 텔레비젼(TV), 오디오만큼이나 일반화되어 있다. 특히, 젊은층의 경우 음악 감상시 직접 음반 구입보다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MP3 파일을 다운받아 듣는 형태를 선호하고 있으며, 영화나 TV 프로그램 등의 관람도 PC를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PC 원격 제어 장치의 필요성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으나, TV 또는 오디오의 단순기능 제공과 달리 PC의 경우 수많은 응용소프트웨어가 사용되며, 각각에 따른 동작 키값도 다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완벽한 기능 구현이 어려운 이유로, 현재의 제품은 한가지 프로그램에 제한적으로 동작하거나, 혹은 사용할 프로그램별로 사용자가 직접 재설정을 해줘야하는 불편이 있다. 즉, PC 리모콘의 완벽한 구현을 위해서는 사용하는 프로그램 개수만큼의 리모콘을 따로 제공하거나, 무선 키보드를 들고 다니며 자판을 두드려야 한다. 그러나, 키보드를 리모콘으로 쓰기에는 크기면에서 무리일 뿐더러, 각종 소프트웨어의 단축키 값을 일일이 외우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일예로, 무선 마우스의 경우 2m이상만 떨어져도 PC의 글자가 보이지 않으므로, 리모콘으로서의 기능성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요즈음 들어 듀얼 모니터가 출현하고,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를 장착한 PC 및 노트북 컴퓨터가 일반화되가는 등 한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화면을 볼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한대의 PC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기능키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기능키 잠금 기능이 가능하여 특정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기능키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대한 개념 설명도.
도 2 는 상기 도 1의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3 은 상기 도 1의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4 는 상기 도 1의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제어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수신 장치 101 : 수신 제어부
100 : RF 수신부 111,223 : 안테나
112 : RF 수신기 113 : 디코더
120 : 유에스비 접속부 121 : 유에스비 접속 단자
130 : 메모리 200 : 송신 장치
210 : 키 입력부 211 : 키 패드
212 : 키 신호 발생기 220 : RF 송출부
221 : 인코더 222 : RF 변환기
230 : 레이저 구동 스위칭부 231 : 레이저빔 발생부
300 : 컴퓨터 301 : 유에스비(USB) 포트
400 : 드라이브 모듈 401 : 키 설정부
500 : 사용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기능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 수행후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4 단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기능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2 단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그램별로 컴퓨터의 기능키를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기능 수행후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4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5 기능;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6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로그램별로 컴퓨터의 기능키를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2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원격지의 송신장치가 무선주파수(RF)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송출하면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에 연결된 수신장치가 그 RF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무선으로 원격지에서 신속/용이하게 컴퓨터의 화면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변경하게 하도록 하는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변경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잠금 기능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잠금 기능이 설정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별로 한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PC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대한 개념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100,200)는 키(Key) 신호를 입력받아 인코딩한 후 무선주파수(RF : Radio Frequency) 제어신호로 송출하는 송신 장치(200)와, 송출된 RF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뒤 유에스비(USB) 포트로 전송하는 수신 장치(100)로 구성되며, 컴퓨터(300)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100,200)를 연동하기 위하여, 컴퓨터(300)에는 드라이브 모듈(400)이 설치된다.
또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수신 장치(100)는 컴퓨터(300)의 유에스비(USB) 포트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송신 장치(200) 및 수신 장치(10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경량으로 하우징되며, 상호간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유에스비(USB) 포트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운영체제인 윈도우 98 등의 출시와 더불어 관심을 끌게된 직렬 포트의 일종으로서, 오디오 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 기기와 컴퓨터간의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유에스비(USB) 포트는 대부분의 펜티엄 II 급 이상의 메인보드에서 제공되었던 규격이지만, 윈도우 98이 출시됨에 따라 그 안정성이 높아지고 관련 제품이 폭발적으로 출시되었다. 이러한, 유에스비(USB)의 원리는 직렬 포트와 동일하지만, 직렬 포트보다 연결하기 편리하며, 12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므로 웬만한 주변기기를 연결하여도 속도가 충분하고, 최대 127개까지 장치들을 사슬처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수신 장치(100)를 컴퓨터(300)의 유에스비(USB) 포트에 연결하면, 컴퓨터(300)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를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주변 장치로 자동 인식하고, 드라이브 모듈(400)이 컴퓨터(300)에 설치되면 컴퓨터(300)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는 연동하게 된다.
그럼,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송수신 장치(100,2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는 상기 도 1의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 예시도이다.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송신 장치(200)는 사용자(500)로부터 키(Key)값을 입력받아, 이를 인코딩하여 RF 제어신호로 송출하는 과정을 각각 수행하는 유닛(Unit)들로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장치(100)와 상호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키(Key) 신호 입력부(210)는 사용자(500)로부터 키 값을 입력받기 위하여 하우징 외부로 다수의 키가 돌출되는 키패드(211)와 사용자(500)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신호 발생기(21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500)가 해당 키패드(211)에서 원하는 키를 누르면 그 키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킨다.
RF 송출부(220)는 키 신호 입력부(210)를 통하여 발생된 키 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더(221), 인코딩된 키 신호를 RF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수신 장치(100)로 송출하는 RF 변환기(222), 그리고 안테나(223)로 구성된다.
레이저 포인터 구동 스위칭부(230) 및 레이저빔 발생부(231)는 사용자(500)에게 레이저 포인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레이저빔 발생부(231)는 하우징 외부로 스위치가 돌출되어 있는 레이저 포인터 구동 스위칭부(230)의 온(On) 동작에 의하여 레이저빔을 발생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장치(200)의 전방(200a)으로부터 투사한다. 이때, 투사된 레이저빔은 스크린, 차트 및 보드 등에 닿아 레이저 포인트를 형성한다.
송신 제어부(201)는 송신 장치(200)내의 송신 유닛들(210,220)의 상호 작용 및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송신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밧데리 또는 충전지로 구성된다. 한편, 수신 장치(100)는 유에스비(USB) 포트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한편, 수신 장치(100)는 송신 장치(200)로부터 송출된 RF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유에스비 포트(301)를 통하여 컴퓨터(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F 수신부(110)는 송신 장치(200)로부터 송출된 RF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1) 및 RF 수신 회로(112)와,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회로(113)로 구성된다.
유에스비 접속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300)의 유에스비 포트(301)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121)를 포함하여, 디코딩된 키 신호를 컴퓨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드라이브 모듈(400)을 컴퓨터(300)에 설치하기 위한 셋업(Setup) 파일 및 그 설치된 드라이브 모듈(400)과 연동하기 위한 각종 파일들이 저장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데이터 저장장치로 이용된다.
수신 제어부(101)는 수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수신 장치(100)내의 RF수신부(110), 유에스비 접속부(120), 그리고 메모리(130)의 상호 작용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500)로부터 키 값을 입력받아 RF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송출하는 송신 장치(200)이면 어느 것과도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은 상기 도 1의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외부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200"은 송신장치, "100"은 수신장치, "121"은 컴퓨터에 연결되는 유에스비 연결단자, "200a"는 레이저 빔이 송출되는 부분, "211"은 키 패드, 그리고 "230"은 레이저 포인트 구동 스위칭부를 나타낸다.
송신 장치(200)와 수신 장치(100)는 결합/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는 상기 도 1의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제어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500)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를 컴퓨터(300)의 주변 장치로 연동시키기 위하여, 수신 장치(100)의 유에스비 연결 단자(121)를 컴퓨터(300)의 유에스비 포트(301)에 연결한다.
컴퓨터(300)의 운영체제중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98" 이상의 버전에서는 유에스비 포트(301)에 새로운 하드웨어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셋업시켜 주는 기능이 있으므로, 수신 장치(100)의 유에스비 연결 단자(121)가 연결되면 컴퓨터(300)의 운영체제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가 유에스비 포트(301)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하여 "새로운 하드웨어를 감지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자동으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를 주변 장치로 인식하기 위한 셋업 작업에 들어간다.
드라이브 모듈(400)은 컴퓨터(300)와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를 연동시키는 기능 외에도, 송신 장치(200)의 키패드(211)에 존재하는 키 값들을 사용자(500)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변경하게 하는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변경 기능과 특정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 이 잠금 기능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잠금 기능이 설정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별로 한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PC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200)의 키패드(211)에 6개의 키(Key), 즉 1~6번까지의 키가 존재한다면, 드라이브 모듈(400)의 서브 프로그램인 키 설정부(401)를 실행시켜, 사용자(500)는 프리젠테이션 및 각종 프로그램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별로 자주 쓰이는 키를 번호에 대응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A를 "MS Powerpoint"로 지정하여, 1번은 페이지 다운(Page-down), 2번은 페이지 업(Page-up), 3번은 상향 이동(↑), 4번은 하향 이동(↓), 5번은 좌(左)로이동(←), 6번은 우(右)로 이동(→)으로 지정하고, 프로그램B를 "Media Player"로 지정하여, 1번은 플레이(Play), 2번은 스탑(Stop), 3번은 앞으로 이동(▷), 4번은 뒤로 이동(◁), 5번은 볼륨 높임(△), 6번은 볼륨 낮춤(▽) 등과 같이 키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키 설정이 종료되면, 컴퓨터(300)는 원격 제어 장치의 1~6 번키를 "MS Powerpoint"가 활성화되었을 경우 각각 키보드의 페이지다운키, 페이지업키, 상향이동키, 하향이동키, 좌로이동키, 우로이동키와 동일하게 인식하고, Media Player가 활성화되었을 경우 각각 키보드의 Ctrl+P키, Ctrl+S키, Ctrl+Shift+F키, Ctrl+Shift+B키, F10키, F9키와 동일하게 인식한다.
또한, 잠김 기능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잠김 모드를 사용자가 설정하면 해당되는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프로그램에만 제한적으로 동작하는 기능이다. 이 잠금 기능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잠금 기능이 설정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별로 한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PC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Winamp"에 잠김 기능을 설정해 놓았을 경우 "한글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중이더라도, 상기의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를 통하여 받아들이는 신호는 키보드키와 동일하게 인식하나, "한글프로그램"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고, 오직 잠김 기능을 설정해 둔 "Winamp" 프로그램에만 동작키값을 전달해 준다.이처럼, 컴퓨터(300)의 드라이브 모듈(400)은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변경하게 하는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변경 기능과, 특정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각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키값 변경이 자동으로 되기 위해서는(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변경 기능), 디바이스 드라이버 기능과 활성화된 프로세스의 ID 인식 기능이 필요하다.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장치를 OS에서 인식하게 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된 키값을 OS에 가상키(virtual key) 값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활성화된 프로세스 ID 인식은 미리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하여 활성화된 프로세스 ID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된 프로세스 ID의 경우 설정된 키값으로 변경하여 OS에 키값을 날려 줄 수 있게 한다.상기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변경 기능은 소프트웨어적으로 활성화된 프로세스 ID를 자동 인식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설정된 키값을 발생시킨다. 즉, 프로그램 실행중에 주기적인 드라이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장치의 연결 유무를 판단하며, 송신장치(200)에서 전달된 버튼(키 신호)의 ID를 판별한 후에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윈도우 클래스와 프로세스 ID가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키값을 발생시킨다.또한, 상기 잠금 기능은 프로세스 ID 자동 인식과 달리, 한가지 프로세스 ID에만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송신장치(200)에서 전달된 키값은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유무와 상관없이 잠금 설정된 프로세스 ID에만 전달되어 해당 키값만을 발생시킨다.
한편, 사용자(500)가 프리젠테이션 등에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신 장치(100)의 유에스비 접속 단자(121)를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301)에 연결하고, 송신 장치(200)를 수신 장치(100)로부터 분리하여(도 3 참조) 사용자(500)가 휴대한다(S400).
이후, 사용자(500)가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때, 컴퓨터(300)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스크린, 보드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면을 전환하려면 사용자(500)는 휴대하고 있는 송신 장치(200)의 키패드(211)에서 1번키(페이지 다운)를 눌러 키 값을 입력한다(S402).
그러면, 송신장치의 키 신호 발생기(212)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1번키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켜(S404) RF 송출부(220)로 전송하면, RF 송출부(220)는 전송된 키 신호를 인코더(220)로 인코딩한 후(S406), RF 변환기(222) 및 안테나 (223)를 통하여 RF 제어신호를 원격지의 수신 장치(100)를 향하여 송출한다(S406).
한편, 수신 장치(100)의 RF 수신부(110)는 안테나(111) 및 RF 수신기(112)를 통하여 송신 장치(200)로부터 송출된 RF 제어신호를 수신하여(S410), 디코더(113)로 디코딩한 후(S412), 그 디코딩된 키 신호를 유에스비 접속부(120)를 통하여 컴퓨터(300)에 전송한다(S414).
이후, 컴퓨터(300)에서는 드라이브 모듈(400)의 키 설정부(401)에서 앞서 설정된 대로 이를 페이지다운 키로 인식하여, 다음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한편, 사용자(500)는 휴대중인 송신 장치(200)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에 도움이 되도록 레이저 포인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500)가 송신장치(200)의 레이저 포인터 구동 스위칭부(230)를 온시키면, 레이저빔 발생부(231)는 지시용 레이저빔을 발생시켜 송신 장치의 전방(200a)으로부터 레이저빔을 투사시킨다. 이때, 투사된 레이저빔은 스크린 또는 보드에 닿아서 소정의 지시용 레이저 포인트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500)는 수신 장치(100)를 컴퓨터(300)의 유에스비 포트 (301)에 연결하고, 수신 장치(100)와 원거리에 위치한 송신 장치(200)의 키패드(211)를 조작함으로써, 드라이브 모듈(400)의 키 설정부(401)에서 설정한 데로 화면 전환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송신 장치(200)에 설치된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의 지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모듈(400)의 키 설정부를 통하여 키패드(211)의 키값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500)가 원하는 다른 기능 또는 문자를 제어 또는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키의 기능을 임의로 설정/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드라이브 모듈(400)의 키 설정부는 사용자가 재설정/변경하지 않는 한, 현재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프로그램에만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도 제공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변경하게 하도록 하는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변경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미리 설정받아(S500), 그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S502). 여기서, 기능키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삭제/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하여 전달된 키 신호를 수신하여(S504),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저장된 기능키 정보를 검색한다(S506).
그리고 나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하여 전달된 키 신호를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 제어부로 전달한다(S508).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로서, 특정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잠금 절차를 나타낸다. 이 잠금 절차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잠금 기능이 설정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별로 한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PC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미리 설정받아(S600), 그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S602). 여기서, 기능키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삭제/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잠김 모드가 설정된다(S604). 여기서, 잠김 모드에 대한 설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미리 설정받아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된 다수의 프로그램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며, 설정/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잠김기능이 설정되면,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하여 전달된 키 신호를 수신하면(S606), 잠김 모드 설정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또한 타프로그램에 영향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프로그램에만 제한적으로 동작한다(S6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의 기능키를 프로그램별로 설정/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마다 그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게 제어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기능키가 실행된 프로그램별로 자동변경되므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잠금 기능이 제공되므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가 다수 설치되고 각각 다른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한 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어 및 입력할 수 있는 PC 멀티태스킹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기능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수행후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4 단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능은,
    상기 일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일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능에 따라,
    상기 일 프로그램에 대해 잠금 기능이 설정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별로 한 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컴퓨터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 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별로 추가/삭제/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6.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기능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2 단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능은,
    상기 일 프로그램의 활성,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일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능에 따라,
    상기 일 프로그램에 대해 잠금 기능이 설정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별로 한 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컴퓨터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 방법.
  9. 프로그램별로 컴퓨터의 기능키를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능 수행후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4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5 기능;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6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프로그램별로 컴퓨터의 기능키를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가 지원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별로 기능키(KEY)를 설정받아, 설정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중 일 프로그램에 잠금 기능을 설정해 두는 제 2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일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키 정보를 검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키 신호를 상기 검색된 기능키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일 프로그램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45397A 2001-11-09 2002-07-31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방법 KR100400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864 2001-11-09
KR20010069864 2001-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57A KR20020083957A (ko) 2002-11-04
KR100400188B1 true KR100400188B1 (ko) 2003-10-04

Family

ID=2775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397A KR100400188B1 (ko) 2001-11-09 2002-07-31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97B1 (ko) * 2010-05-27 2012-05-18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키 값 변경이 용이한 프리젠테이션용 휴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661B1 (ko) * 2007-07-11 2008-07-28 주식회사 포인칩스 각기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하나의 리모콘으로 제어 가능한원격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828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도움말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828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도움말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97B1 (ko) * 2010-05-27 2012-05-18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키 값 변경이 용이한 프리젠테이션용 휴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57A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039U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装置のためのアクセサリ
US7496697B2 (en)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le computers by remote control
US9253267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unctioning as pen-table and computer system using the same
US9172897B2 (en) Audio/visual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60015826A1 (en) Hard disk multimedia player and method
US20110025633A1 (en) Controlling device with dual-mode, touch-sensitive display
US20050025550A1 (en) Universal remote computer keyboard
US20050104854A1 (en) Multi-mode computer pointer
US20060015808A1 (en) Hard disk multimedia player and method
US8736566B2 (en)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US20060012564A1 (en) Hard disk multimedia player and method
KR20130021614A (ko)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US9354726B2 (en) Audio/visual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submenu
US20100332983A1 (en) Remote host-based media presentation
WO2020200025A1 (zh) 一种游戏手柄的控制方法及设备
US20150137956A1 (en) One-handed remote unit that can control multiple devices
US20030090472A1 (en)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key of local computer per each corresponding programs i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KR100400188B1 (ko) 원격 컴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별 컴퓨터 기능키 제어방법
US20060012565A1 (en) Hard disk multimedia player and method
KR20130115711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420661B1 (ko) 원격 컴퓨터 단말기 제어 장치
US2008012593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r Computer and Apparatus Thereof
US20120007807A1 (en) Full keyboard remote control
JPH11143634A (ja) 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