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077B1 -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 Google Patents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077B1
KR100400077B1 KR10-2001-0013991A KR20010013991A KR100400077B1 KR 100400077 B1 KR100400077 B1 KR 100400077B1 KR 20010013991 A KR20010013991 A KR 20010013991A KR 100400077 B1 KR100400077 B1 KR 10040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pstream
filter
noise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705A (ko
Inventor
이근웅
박성연
Original Assignee
미래에스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에스아이(주) filed Critical 미래에스아이(주)
Priority to KR10-2001-001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0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는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송용 전송망에서 헤드 엔드와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향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감쇠 시키는 증폭기에 있어서, 하향 증폭부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헤드 엔드에서 전송된 하향 신호가 증폭 처리되어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하향 처리부와;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에서 전송되어 결합된 상향 신호에서 잡음이 많은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 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엔드에서 상기 잡음의 합성으로 인한 간섭에 의하여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 시키는 상향 필터부와,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된 상향 신호가 증폭되어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되는 상향 증폭부를 구비하는 상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는 상향 필터부를 이용하여 상향 신호 중 잡음이 다량으로 혼입된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킨 후 증폭기를 사용하여 증폭하여 헤드 엔드로 전송시킴으로써, 상기 주파수 영역의 잡음의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고조파 잡음을 억제하여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Amplifier for noise attenuation}
본 발명은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방송용 전송망 등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CATV망에서 잡음이 많은 상향 신호의 잡음을 감쇠시켜 보다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기존의 유선 방송을 위하여 설치가 된 케이블 텔레비전 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별도의 전화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같은 배선으로 전화 또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속도도 향후 더욱 고속화되겠지만 현재로서도 하향 10Mbps, 상향 2Mbps의 충분한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있다. 비록, 나무 구조를 취함으로써 많은 사용자가 몰릴 경우 병목 현상으로 인해서 속도가 저하되긴 하지만, 현재로서는 만족할만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텔레비전 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는 주파수를 상향 5에서 42MHz, 하향 54에서 750MHz으로 비대칭형으로 할당하여 서비스업자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제공받는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런데, 케이블 텔레비전 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에서 상향 서비스가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는 5에서 42MHz에 해당하는 주파수 잡음이 우리 주변에서 무수히 발생되어 상기 상향 서비스의 신호에 혼입되기 때문이다.이는 특히 주파수가 낮은 5에서 13MHz대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데, 이로 인하여 통신 사업자들은 상향 통신의 경우 상기 5에서 13MHz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지 않고 그 이상의 주파수 영역만을 상향 신호에 할당하거나 대역폭이 모자를 경우에는 상기 하향 서비스 주파수 영역의 일부까지 확장하여 상향 신호에 할당하고 있다.
물론, 이런 방식을 취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상향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졌지만, 상기 5에서 13MHz에 존재하는 잡음들이 증폭기 등의 집결지에서 결합 합성시 서로 혼변조 및 상호 변조를 일으켜 고조파 잡음을 생성함으로써 그 이상의 주파수 영역까지 간섭을 하게 되어 상향 통신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도 1은 밀집주거시설 및 업무시설의 방송용 전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서 상향 통신시 문제가 되는 잡음이 생성 및 합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단말에서 전동기 등에 의하여 발생된 잡음이 상향 신호에 혼입되어 중앙의 증폭기로 모이게 되는데, 이러한 5에서 13MHz의 잡음이 혼입되어 있는 신호가 모여 변조가 일어나 13MHz이상의 상향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에도 잡음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잡음이 혼입되어 생성된 상향 통신 신호는 광케이블을 통하여 헤드 엔드(Headend)로 전송되는데, 상기 헤드 엔드에서는 상기 상향 통신 신호를 해독할 방법이 난이함으로,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기 힘들게 된다.
도 2는 밀집주거시설 및 업무시설의 방송용 전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서 발생되는 상향 잡음의 발생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장 많은 잡음을 발생시키는 것은 세탁기, 전자레인지, 청소기, 컴퓨터 등에 삽입되어 있는 전동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밖에 기기 내부의 발진자와 분주기 및 통신기기에 의하여 잡음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밀집주거시설 및 업무시설의 방송용 전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서 발생되는 상향 잡음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부분의 잡음이 0에서 10MHz부근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영역의 주파수는 상향 통신의 영역으로 할당되어 있는 부분이라 할지라도 통신에는 사용되진 않지만, 이러한 잡음이 여러개 합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10MHz이상의 주파수 영역에도 변조로 인한 고조파 성분이 생성되고, 이로 인하여 상향 통신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향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중 다량의 잡음이 유입되는 영역을 감쇠시켜, 상기 잡음의 합성으로 인해 생성되어 상향 통신 대역에 영향을 미치는 고조파 잡음을 감쇠시키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밀집주거시설 및 업무시설의 방송용 전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서 상향 통신시 문제가 되는 잡음이 생성 및 합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밀집주거시설 및 업무시설의 방송용 전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서 발생되는 상향 잡음의 발생원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밀집주거시설 및 업무시설의 방송용 전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서 발생되는 상향 잡음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가 사용된 방송용 전송망이 구축된 건물에서의 상향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를 나타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향 처리부 11.......하향 증폭부
20.......상향 처리부 21.......상향 필터부
22.......상향 증폭부 30.......헤드 엔드
31.......증폭기 40.......가입자 단말기
61, 67...낙뢰 보호기 62.......제 1 차 고역 통과 필터
63.......하향 레벨 조정기 64, 74...방향성 증폭기
65.......하향 출력부 66.......제 2 차 고역 통과 필터
68.......제 1 차 대역 통과 필터 69.......감쇠기
72'......제 2 차 대역 통과 필터 75.......상향 출력부
70.......제 1 차 증폭기 71.......상향 레벨 조정기
73.......제 2 차 증폭기 76.......제 3 차 대역 통과 필터
85.......하향 증폭기
68b, 72, 72'b, 76a...고역 통과 필터
68a, 76b, 72'a.......저역 통과 필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는 하향 증폭부를 구비하고 있어 헤드 엔드에서 전송된 하향 신호가 증폭 처리되어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하향 처리부와;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에서 전송되어 결합된 상향 신호에서 잡음이 많은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엔드에서 상기 잡음의 합성으로 인한 간섭에 의하여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키는 상향 필터부와,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된 상향 신호가 증폭되어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되는 상향 증폭부를 구비하는 상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는 상향 필터부를 이용하여 상향 신호 중 잡음이 다량으로 혼입된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킨 후 증폭기를 사용하여 증폭하여 헤드 엔드로 전송시킴으로써, 상기 주파수 영역의 잡음의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고조파 잡음을 억제하여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가 사용된 방송용 전송망이 구축된 건물에서의 상향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잡음이 혼입된 상향 신호는 건물 1개 동당 한개 내지 수개 설치된 상향 잡음 감쇠 결합기에서 결합된 후 일정 영역이 감쇠되어 최종 증폭기로 전송된다.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된 상향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최종 증폭기는 각 동에서 온 신호를 합성 증폭하게 되는데 상기 동단위에서 이미 잡음 감쇠 처리가 되었기 때문에 합성으로 인하여 상향 통신에 영향을 주는 잡음은 생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처리된 상향 신호는 광케이블을 타고 헤드 엔드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용 전송망은 케이블 텔레비전 망일 수 있으며, 상기 방송용 전송망이 구축된 건물은 아파트 단지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는 하향 증폭부(11)를 구비하고 있어 헤드 엔드에서(30) 전송된 하향 신호가 증폭 처리되어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40)로 전송되는 하향 처리부(10)와;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40)에서 전송되어 결합된 상향 신호에서 잡음이 많은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엔드(30)에서 상기 잡음의 합성으로 인한 간섭에 의하여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키는 상향 필터부(21)와,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된 상향 신호가 증폭되어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되는 상향 증폭부(22)를 구비하는 상향 처리부(2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향 처리부(10)는 상기 헤드 엔드(30)에서 전송된 대략 54에서 750MHz 사이의 하향 신호를 입력받아 백색 잡음 등의 잡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신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전송을 위한 증폭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40)에 정확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하향 처리부(10)는 상기 헤드 엔드(30)로부터 전송된 하향 신호의 잡음이 감쇠되는 하향 필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하향 신호가 증폭되는 하향 증폭부(11)와, 상기 하향 신호의 입출입 상태를 표시하는 하향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득 조정기나 하향 레벨 조정기를 첨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향 처리부(20)는 상기 가입자 단말기(40)로부터 헤드 엔드(30)로 전송되는 5에서 42MHz 사이의 상향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심한 잡음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로 사용이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합성되었을 때 상호변조 및 혼변조로 인하여 상위 주파수대에 잡음을 유발시킬 수 있는 5에서 13MHz까지의 주파수 영역이 감쇠되는 상향 필터부(21)와, 상기 헤드 엔드(30)로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상향 신호가 증폭되는 상향 증폭부(22)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상향 신호의 입출입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향 출력부와 신호의 조정을 위한 상향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향 처리부(10) 및 상향 처리부(20)는 별도의 라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주파수 영역을 달리하여 하나의 라인만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고 있으므로, 낙뢰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측의 공통된 단에 낙뢰 보호기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향 필터부(21)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이 많은 주파수 대역인 5에서 13MHz를 감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된 상향 신호는 상기 헤드 엔드(30) 내의 증폭기(31)로 전송되는데, 이미 문제가 될 잡음이 감쇠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원활한 증폭이 이루어져 그에 따른 원활한 통신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는 전술했듯이, 하향 신호가 처리되는 하향 처리부와; 상향 신호에서 잡음이 많은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킴으로써 헤드 엔드에서 상기 잡음의 합성으로 인한 간섭에 의하여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키는 상향 필터부와,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된 상향 신호가 증폭되어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되는 상향 증폭부를 구비하는 상향 처리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향 처리부는 전체 5에서 750MHz의 주파수가 사용되는 케이블 텔레비전 망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에서 하향 통신에 할당되어 있는 고주파 부분인 54에서 750MHz의 주파수를 처리하는 부분이므로, 헤드 엔드 측에 우선 제 1 차 고역 통과 필터(62)를 위치시켜 하향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잡음을 1차적으로 감쇠시킨다. 상기 감쇠된 하향 신호의 전송 선로 및 자체 처리에 의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하향 레벨 조정기(63)를 장치하였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의 전송을 위하여 레벨이 조정된 상기 하향 신호가 증폭되는 하향 증폭기(85)를 배치시켰으며, 상기 증폭과정에서 생성되는 잡음을 감쇠하기 위하여 제 2 차 고역 통과 필터(66)를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부재의 일정 위치에 방향성 결합기(64)를 사용하여 하향 출력부(65)에 하향 신호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향 출력부(65)는 음극선관,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부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향 처리부는 상향 신호가 입력되어 일정 주파수 영역이 1차 감쇠되는 제 1 차 대역 통과 필터(68)와, 상기 감쇠된 상향 신호가 전체적으로 감쇠되어 적정 증폭 입력 레벨로 변환되는 감쇠기(69)와, 상기 증폭에 적정하게 변환된 상향 신호가 1차 증폭되는 제 1 차 상향 증폭기(70)와, 상기 상향 신호의 왜곡 현상을 보정하고 레벨을 조정하는 상향 레벨 조정기(71)와, 상기 1차 증폭시 상향 신호와 함께 증폭된 잡음과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되는 제 2 차 대역 통과 필터(72)와, 상기 제 2 차 대역 통과 필터(72)를 거친 상향 신호가 다시 증폭되어 원하는 레벨의 신호로 변환되는 제 2 차 증폭기(73)와, 상향 신호의 입출력이 표시되는 상향 출력부(75)와, 상기 상향 출력부(75)로 적정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향성 결합기(74)와, 상기 2차 증폭시 상향 신호와 함께 증폭된 잡음과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되는 제 3 차 대역 통과 필터(76)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차 대역 통과 필터(68)는 가입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상향 신호를 입력받아 1차적으로 잡음이 많은 부분을 감쇠시키는 부재로서, 내부적으로 저역 통과 필터(68a)와 고역 통과 필터(68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쇠기(69)는 상기 1차적으로 잡음이 감쇠된 상향 신호를 증폭기의 입력에 알맞은 값으로 변환시키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제 1 차 상향 증폭기(70)는 상향 신호가 전송에 적합하도록 증폭시키는 부재로서 큰 이득의 증폭기를 사용하는 대신 제 1 차 상향 증폭기(70)와 후술될 제 2 차 상향 증폭기(73)로 나누어 놓은 것은 신호를 일시적으로 증폭시킬 때 발생되는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향 레벨 조정기(71)는 상기 감쇠기(69)에서와 마찬가지로 증폭기의 입력에 적절하도록 상향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부재로서, 신호의 일그러짐 또한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향 레벨 조정기(71)는 이득 조정기로 대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차 대역 통과 필터는 대역 통과 필터 또는 고역 통과 필터(72)를 사용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차 대역 통과 필터 및 후술될 제 3 차 대역 통과와 한곳에 구성하지 않고 별도로 구성한 것은 상기 증폭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잡음을 다시 한번 걸러 주기 위함이다. 여기에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할 경우에 내부에 들어가는 고역 통과 필터와 저역 통과 필터의 순서는 상관이 없다.
본 구성에서는 각 대역 통과 필터는 4폴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4폴을 취할 경우 대역 통과 필터는 40에서 45dB정도를 감쇠할 수 있다. 이러한 4폴 구조의 대역 통과 필터를 3개 사용함으로써 가입자 단말기에서 유입되는 잡음의 최고 출력인 100dB을 모두 감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차 증폭기(73)는 앞에서 설명된 제 1 차 증폭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방향성 결합기(74)는 일정 위치에 사용되어 상향 출력부(75)에 상향 신호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한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상향 출력부(75)는 음극선관,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부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차 대역 통과 필터(76)는 최종적으로 잡음을 감쇠시키는 부재로서, 구체적으로 고역 통과 필터(76a)와 저역 통과 필터(76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향 처리부 및 상향 처리부의 일정 부위에 전송시 저주파에 비해 손실이 큰 고주파 부분을 보정 시키는 경사도 조정기(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경사도 조정기는 동축케이블의 특성상 고주파 부분으로 갈수록 전송 길이에 따라 손실이 증가하는 성질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리 고주파 부분을 증폭시켜 전송함으로써, 목적지에서는 원하는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게 하는 부재이다.
한편, 상기 하향 처리부 및 상향 처리부의 양단에는 낙뢰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낙뢰 보호기(61)(6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차 대역 통과 필터(68)는 상기 상향 신호 입력단 쪽에 저역 통과 필터가 먼저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3 차 대역 통과 필터(76)는 상기 상향 신호 출력단 쪽에 저역 통과 필터가 먼저 위치여야 하는데 이는 상향과 하향 모두 같은 배선을 사용한 후 주파수 영역별로 입력을 받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양단에 들어가는 필터를 듀플렉스 필터(80)(81)로 대치함으로써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향 처리부에 있어서, 저역 통과 필터(72'a)와 고역 통과 필터(72'b)로 이루어진 제 2 차 대역 필터(72')를 사용하여 이전 실시예에서의 고역 통과 필터(72)와 상이하게 구성하였으나 이 부분 또한 고역 통과 필터만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그 외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벨 조정기는 제 1 차 증폭기 다음이 아니라 제 2 차 증폭기의 출력부에 위치하여도 관계없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필터부와 증폭부의 위치만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는 상향 필터부를 이용하여 상향 신호 중 잡음이 다량으로 혼입된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킨 후 증폭기를 사용하여 증폭하여 헤드 엔드로 전송시킴으로써, 상기 주파수 영역의 잡음의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고조파 잡음을 억제하여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송용 전송망에서 헤드 엔드와 하나이상의 가입자 단말기의 사이에 위치하여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감쇠 및 상기 감쇠된 신호의 증폭을 적어도 하나이상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키는 하향필터부와 상기 통과된 신호를 증폭하는 하향 증폭부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헤드 엔드에서 전송된 하향 신호가 증폭 처리되어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하향 처리부와;
    상기 하나이상의 가입자 단말기에서 전송되어 결합된 상향 신호에서 잡음이 많은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엔드에서 상기 잡음의 합성으로 인한 간섭에 의하여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고역통과필터 순서로 통과되도록 구성한 제 1 상향 필터부와, 고역통과필터와 저역통과필터 순서로 통과되도록 구성한 제 2 상향필터부를 포함하는 상향필터부와, 상기 하나이상의 필터부에 의해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된 상향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되는 상향 증폭부를 구비하는 상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전송망은 CATV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처리부 및 상향 처리부는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에 하나이상의 낙뢰 보호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처리부는 하향 신호의 잡음이 감쇠되는 하향 필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하향 신호가 증폭되는 하향 증폭부와,
    상기 하향 신호의 입출입 상태를 표시하는 하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처리부는 상향 신호에서 잡음이 포함된 일정 주파수 영역을 감쇠하기 위해 저역통과필터와 고역통과필터 또는 고역통과필터와 저역통과필터 순서로 통과되도록 구성한 대역통과필터를 하나이상 포함하는 상향 필터부와;
    상기 헤드 엔드로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상향 신호가 증폭되는 상향 증폭부와,
    상기 상향 신호의 입출입 상태를 표시하는 상향 출력부와,
    상기 상향 신호의 보다 정확한 출력을 위한 상향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필터부는 저역통과필터와 고역통과필터 또는 고역통과필터와 저역통과필터 순서로 통과되도록 구성한 대역통과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주파수 영역은 5에서 13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처리부는 상향 신호가 입력되어 일정 주파수 영역이 1차 감쇠되는 제 1 차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감쇠된 상향 신호가 전체적으로 감쇠되어 적정 증폭 입력 레벨로 변환되는 감쇠기와,
    상기 증폭에 적정하게 변환된 상향 신호가 1차 증폭되는 제 1 차 상향 증폭기와,
    상기 상향 신호의 왜곡 현상을 보정하고 레벨을 조정하는 상향 레벨 조정기와,
    상기 1차 증폭시 상향 신호와 함께 증폭된 잡음과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되는 제 2 차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제 2 차 대역 통과 필터를 거친 상향 신호가 다시 증폭되어 원하는 레벨의 신호로 변환되는 제 2 차 증폭기와,
    상향 신호의 입출력이 표시되는 상향 출력부와,
    상기 상향 출력부로 적정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향성 증폭기와,
    전송시 저주파에 비해 손실이 큰 고주파 부분을 보정 시키는 경사도 조정기와,
    상기 2차 증폭시 상향 신호와 함께 증폭된 잡음과 일정 주파수 영역이 감쇠되는 제 3 차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상향 신호 입력단 쪽에 저역 통과 필터가 먼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차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상향 신호 출력단 쪽에 저역 통과 필터가 먼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KR10-2001-0013991A 2001-03-19 2001-03-19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KR10040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91A KR100400077B1 (ko) 2001-03-19 2001-03-19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91A KR100400077B1 (ko) 2001-03-19 2001-03-19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05A KR20010044705A (ko) 2001-06-05
KR100400077B1 true KR100400077B1 (ko) 2003-09-29

Family

ID=1970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991A KR100400077B1 (ko) 2001-03-19 2001-03-19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234B1 (ko) * 2001-02-16 2002-12-31 주식회사 덱스터커뮤니케이션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용 필터링 장치
KR20030066928A (ko) * 2002-02-06 2003-08-14 가람정보산업(주) 상향노이즈 대역별 차단기능을 갖는 네트웍 증폭기
KR100411339B1 (en) * 2002-05-13 2003-12-24 Dexter Comm Co Ltd Internet service filtering apparatus using matv
KR20090090928A (ko) 2008-02-22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잡음 증폭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283A (en) * 1992-12-28 1996-07-09 Kabushiki Kaisha Toshiba Active noise attenuating device
KR100332861B1 (ko) * 1997-06-13 2002-06-20 이형도 음성잡음제거필터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283A (en) * 1992-12-28 1996-07-09 Kabushiki Kaisha Toshiba Active noise attenuating device
KR100332861B1 (ko) * 1997-06-13 2002-06-20 이형도 음성잡음제거필터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05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50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oCA COMPATABILITY STRATEGY
US5966410A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 frequency band
KR100671052B1 (ko) 광동축혼합망에서 다중화 기능을 가지는 광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180332345A1 (en) Bidirectional Amplifier or Node Supporting Out-of-Band Signaling
KR100400077B1 (ko) 상향 잡음 감쇠 증폭기
US200200834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flow of RF noise from subscriber&#39;s premise cable systems into the reverse transmission path of two-way cable networks
US7095960B2 (en) Spurious free dynamic range i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KR20010044704A (ko) 상향 잡음 감쇠 결합기
KR200393485Y1 (ko) 케이블 텔레비전 및 인터넷 통신망의 잡음 감쇠 증폭기
KR20010069547A (ko) 상향 잡음 감쇠기
US68888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leakage from a cable modem
KR100678662B1 (ko) 멀티 채널 다이플렉서를 이용한 간선분기 증폭기
JP4695746B2 (ja) 双方向増幅器
KR100559782B1 (ko) 케이블 티브이망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이즈 필터링 및 신호 증폭 장치
KR100677071B1 (ko) 스퓨리어스 노이즈 제거장치
JPH10215445A (ja) Catv加入者端末、その端末に使用される周波数変換装置または端末装置、及びその端末を備えたcatvシステム
KR100386911B1 (ko) 통신용 멀티 박스
JP4663399B2 (ja) Catvシステム
JPS59215185A (ja) コンバ−タ入出力装置
KR200238656Y1 (ko) 댁내 단말 장치
US20010015967A1 (en) Wireless LAN system
US20030067659A1 (en) System for upstream broadband transmission
JP4526850B2 (ja) 棟内catvシステム
KR101081437B1 (ko) MoCA용 증폭기
KR101511111B1 (ko) 상향 노이즈 차단기를 구비한 구내 전송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