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792B1 -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792B1
KR100399792B1 KR10-2001-0071366A KR20010071366A KR100399792B1 KR 100399792 B1 KR100399792 B1 KR 100399792B1 KR 20010071366 A KR20010071366 A KR 20010071366A KR 100399792 B1 KR100399792 B1 KR 10039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atekeeper
telephone terminal
gateway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787A (ko
Inventor
강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7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VoIP 라우터를 이용하여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신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지역의 단말기간에 통화 가능하도록 한 상이한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은 제1 전화 단말기가 접속된 게이트웨이 1이 게이트키퍼로의 등록 요청 과정에서 해당 전화 단말기의 식별을 위한 제1 전화 단말기의 애어리어스 주소와 게이트키퍼 등록 기준이 되는 게이트웨이 1의 H.323 ID를 등록 요청 메시지의 터미널 타입 필드와 터미널 애어리어스 필드로 각각 사용하는 과정과; 제1 전화 단말기에 접속된 게이트웨이 1이 게이트키퍼로의 허가 요청 과정에서 게이트웨이 1이 실제 압축한 음성 데이터의 대역폭을 허가 요청 메시지의 대역폭 필드로 사용하는 과정과; 서로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전화 단말기 간 게이트키퍼를 통해 통신할 경우, 통화를 원하는 제2 전화 단말기가 해당 제1 전화 단말기 지역에 등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제2 전화 단말기의 게이트웨이 2 IP를 얻기 위해 외부 게이트키퍼들에게 멀티캐스팅하여 응답이 이루어진 후, 제1 전화 단말기와 제2 전화 단말기간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Gatekeeper of Different Zone}
본 발명은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VoIP 라우터를 이용하여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신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지역의 단말기간에 통화 가능하도록 한 상이한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통화가 패킷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은 ITU-T H.323에 나타나 있으며, 이 권고안은 H.323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과 각 구성 요소들간의 통신에 필요한 제어 메시지들과 각종 절차들을 설명하고 있다.
도1은 H.323 단말(endpoint)과 H.323 실체(entity)로 이루어진 H.323 영역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ITU-T H.323은 IP 네트워크과 같은 패킷 교환 형태의 네트워크에서 H.323 단말기간의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표준으로서 이를 위해 게이트키퍼(Gatekeeper), H.323 단말기, 게이트웨이(Gateway), 다중점 제어부(Multipoint Control Unit)의 실체를 정의하고, 해당 실체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ITU-T H.323에 정의되어 있는 프로토콜에 의하면, H.323 단말기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게이트키퍼에 자신의 애어리어스(alias)와 IP 주소를 등록하여야 하며, 통화를 하기 전에 허가(Admission)를 받아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ITU-T H.225와 RAS(Registration Admission and Status)와 Q.931이다.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랜(LAN)과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Switch circuit Network) 사이에 위치하여 두 네트워크간의 호 설정 및 해제를 담당하는 호 시그널링(H.225-Q.931), 전송형식(H.225-H.221), 통신절차(H.245-H.242) 상의 차이점을 보상한다.
도2는 H.323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해당 게이트웨이는 랜 상에서는 H.323 터미널이나 다중점 제어부의 특성을 가지고,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상에서는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이나 다중점 제어부의 특성을 가진다. 터미널이나 게이트웨이는 게이트키퍼에 등록하기 때문에 게이트키퍼는 어떤 터미널들이 게이트웨이로 동작하고 있는지 인식하고 있다.
즉, 게이트웨이는 음성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의 변환 또는 역변환을 이용하여 패킷 교환 형태의 네트워크 상의 H.323 터미널과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상의 ITU 터미널(예컨대, 전화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H.323 단말기이다.
도3은 H.323 네트워크에서 제1 H.323 단말기와 제2 H.323 단말기간의 통화 절차를 나타낸 시나리오이다.
H.323 네트워크에서의 제1 H.323 단말기(1)는 게이트키퍼(2)에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신의 애어리어스와 IP 주소를 등록하고, 게이트키퍼(2)는 해당 제1 H.323 단말기(1)에 등록 확인(Registration Confirm)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대방 단말기인 제2 H.323 단말기(3)는 게이트키퍼(2)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신의 애어리어스와 IP 주소를 등록하고, 게이트키퍼(2)는 해당 제2 H.323 단말기(3)에 등록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확인한다.
등록된 제1 H.323 단말기(1)는 게이트키퍼(2)로부터 제2 H.323 단말기(3)의 애어리어스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구하고, 통화 할 수 있다.
제2 H.323 단말기(3)의 IP 주소를 얻는 동시에 통화를 허가받기 위해 제1 H.323 단말기(1)는 허가 요청(Admission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키퍼(2)에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허가 확인(Admission Confirm) 메시지를 수신한다.
해당 과정에서 H.323 단말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폭(bandwidth)을 요청하고, 게이트키퍼(2)는 이를 허가하거나 수정해 응답을 한다.
해당 허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제1 H.323 단말기(1)는 호 시그널링(Call Signaling)을 위하여 Q.931 설정 메시지를 제2 H.323 단말기(3)에 전송하고, 해당 제2 H.323 단말기(3)는 통화 허가를 게이트키퍼(2)에 요청하기 위해 허가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키퍼(2)에 전송하고, 해당 게이트키퍼(2)는 제2 H.323 단말기(3)에 허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해당 제2 H.323 단말기(3)는 Q.931 연결(connect) 메시지를 제1 H.323 단말기(1)로 전송한다.
이후, 제1 H.323 단말기(1)는 H.245 호 시그널을 제2 H.323 단말기(3)로 전송하여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록 요청 과정에서 게이트키퍼가 등록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은 단말기의 IP이고, 같은 E.164 번호(애어리어스)를 가지는 다른 IP의 H.323 단말이 등록 허락을 요청할 경우, 동일 E.164에 여러 IP가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개의 수신 E.164 주소에 여러 수신 H.323 단말이 매칭(matching)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허가 요청 과정에서 H.323 단말기는 사용할 대역폭을 요청할 경우, 이때, 단말기는 64K 안팎의 범위를 요청하는데, 이처럼 요청하는 H.323 단말기의 수가 많아지면, 망이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에 있는 전화단말기와 통화 할 경우, 수신 전화단말기가 송신 네트워크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VoIP 라우터를 통해 게이트키퍼 간 통신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지역의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한 개의 수신 애어리어스에 여러 수신 H.323 단말이 매칭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또한, 허가 요청 과정에서 H.323 단말기는 사용할 대역폭을 요청할 경우, 압축한 음성 데이터의 대역폭을 요청하여 보다 많은 전화 통화를 수용하는데 있다.
도1은 H.323 단말(endpoint)과 H.323 실체(entity)로 이루어진 H.323 영역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
도2는 H.323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3은 H.323 네트워크에서 제1 H.323 단말기와 제2 H.323 단말기간의 통화 절차를 나타낸 시나리오.
도4는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의 전화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
도5는 게이트웨이와 게이트키퍼간 통신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
도6은 게이트키퍼간 통신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서로 다른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신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
도8은 도7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통화 절차를 나타낸 시나리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은 제1 전화 단말기가 접속된 게이트웨이 1이 게이트키퍼로의 등록 요청 과정에서 해당 전화 단말기의 식별을 위한 제1 전화 단말기의 애어리어스 주소와 게이트키퍼 등록 기준이 되는 게이트웨이 1의 H.323 ID를 등록 요청 메시지의 터미널 타입 필드와 터미널 애어리어스 필드로 각각 사용하는 과정과; 제1 전화 단말기에 접속된 게이트웨이 1이 게이트키퍼로의 허가 요청 과정에서 게이트웨이 1이 실제 압축한 음성 데이터의 대역폭을 허가 요청 메시지의 대역폭 필드로 사용하는 과정과; 서로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전화 단말기 간 게이트키퍼를 통해 통신할 경우, 통화를 원하는 제2 전화 단말기가 해당 제1 전화 단말기 지역에 등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제2 전화 단말기의 게이트웨이 2 IP를 얻기 위해 외부 게이트키퍼들에게 멀티캐스팅하여 응답이 이루어진 후, 제1 전화 단말기와 제2 전화 단말기간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를 위한 방법은 RAS를 변경하고,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해 에지 라우터를 H.323 존에 따로 두는 대신 VoIP 라우터가 게이트웨이와 에지 라우터의 역할을 하고, 서로 다른 H.323 존의 게이트키퍼 간 통신을 위해서는 H.225의 RAS 메시지를 이용한다.
도4는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의 전화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 네트워크(예컨대, LAN)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게이트웨이는 전화단말기의 아날로그 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보상하여 패킷 네트워크의 단말기와 통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을 전화 단말기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사설 교환기, 팩스(FAX), 키폰(Key Phone) 시스템 등 여러 단말기가 가능하다.
도5는 게이트웨이와 게이트키퍼간 통신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해당 게이트웨이는 게이트키퍼에게 자신의 애어리어스 주소와 IP 주소를 등록하고, 게이트웨이와 전화 단말기가 다른 전화 단말기와 통화하고자 한다면 게이트키퍼에게 허가를 받아야 한다.
등록 요청 과정에서 게이트키퍼의 등록 기준을 기존의 H.323 단말의 IP에서 H.323 단말의 H.323 ID로 바꾼다.
H.323 ID는 IP처럼 상대적 주소가 아니고 절대 주소이므로 하나의 단말이 여러 IP와 매칭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H.323 단말기(게이트웨이 또는 VoIP 라우터)는 등록 요청 메시지의 터미널 타입 필드(Terminal Type Field) 터미널 애어리어스 필드(Terminal Alias Filed)에 외부 터미널이 자신이 등록하고 있는 전화 단말기를 요청할 때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단말의 E.164 주소들과 게이트키퍼가 등록 기준으로 삼는 자신의 H.323 ID를 동시에 넣는다.
허가 요청 메시지의 대역폭 필드는 단말(게이트웨이 또는 VoIP 라우터) 내부의 음성 처리 과정에서 사용하는 대역폭을 줄여 이 값을 요청함으로써 기존 보다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
도6은 게이트키퍼간 통신을 나타낸다.
수신 전화단말기의 IP를 원하는 송신측 게이트키퍼는 다른 게이트키퍼들에게 RAS 메시지 중 주소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팅하고,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게이트키퍼 중 요청된 단말이 등록된 게이트키퍼는 송신 게이트키퍼에게 주소 확인 메시지로 응답하게 된다.
도7은 도6의 과정에서 게이트키퍼는 수신 전화 단말의 IP 혹은 수신측 지역의 게이트키퍼 IP를 얻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송신전화단말의 통화 요청을 허락하고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수신 단말과 통화 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8은 도7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이다.
제1 전화 단말기가 훅 오프(Hook Off)하면, 게이트웨이가 이를 인식을 하고, 제2 전화 단말기의 E.164 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면, 게이트웨이는 게이트키퍼 1(20)에게 해당 번호를 전송하고, 해당 번호를 수신한 게이트키퍼 1(20)은 제2 전화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에지 라우터(라우터 1)를 통해 외부 게이트키퍼들에게 멀티캐스팅(Muliticasting)한다.
해당 게이트키퍼 2(40)는 제2 전화 단말기가 등록어 있을 경우, 게이트키퍼 2(40)의 IP 혹은 게이트웨이 2(40)의 IP를 게이트키퍼 1(20)에게 응답한다. 이후, 제1 전화 단말기는 게이트키퍼 1(20)과 게이트키퍼 2(40)를 거쳐 통화 할 수 있게된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통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게이트웨이와 에지 라우터 역할을 하는 VoIP 라우터로 단순하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VoIP 라우터 1(50)은 H.323 네트워크 단말 중 하나이므로 게이트키퍼 1(20)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신의 애어리어스와 IP를 등록하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1 전화 단말기가 훅 오프하여, 제2 전화 단말기를 다이얼링(Dialing)하면, VoIP 라우터 1(50)은 게이트키퍼 1(20)에게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화 허락을 요청한다. 이때, 대역폭과 제2 단말기의 E.164가 요청된다.
게이트키퍼 1(20)은 제2 전화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E.164이므로 이를 외부 게이트키퍼들에게 위치 요청(Location Request) 멀티캐스팅을 요청한다.
제2 단말기가 등록된 게이트키퍼 2(40)가 VoIP 라우터 2(60)의 IP 혹은 게이트키퍼 2(40)의 IP를 위치 확인(Location Confirm) 메시지로 게이트키퍼 1(20)로 응답한다.
위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게이트키퍼 1(20)은 VoIP 라우터 1(50)에게 허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화 허락을 한다.
VoIP 라우터 1(50)은 Q.931 메시지를 게이트키퍼 1(20)과 게이트키퍼 2(40)를 거쳐 VoIP 라우터 2(60)에게 전송하고, VoIP 라우터 2(60)는 게이트키퍼 2(40)에 통화 허락을 얻은 후, VoIP 라우터 1(50)에게 Q.931 연결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H.245 호 시그널링을 수행한 후, 제1 전화 단말기와 제2 전화 단말기는 통화 할 수 있게 된다.
게이트키퍼에 등록하는 VoIP 라우터의 애어리어스는 전화 단말 뿐 아니라 팩스, 사설 교환기, 키폰 시스템 등 여러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이 가능하다.
또, VoIP 라우터의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과 다른 지역 VoIP 라우터의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과의 통화 뿐 아니라, VoIP 라우터의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과 다른 지역 H.323 터미널간의 통화도 가능하고 H.323 터미널과 다른 지역 H.323 터미널간의 통화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게이트웨이, VoIP 라우터)의 게이트키퍼로의 등록 과정에서 한 E.164 주소에 여러 IP가 매칭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허가 요청 과정에서 대역폭 등록 시 실제 압축한 음성 데이터의 대역폭을 등록함으로써 보다 많은 전화 통화를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전화 단말기와 같은 존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외부 제2 전화 단말기와 통화하고자 할 때 종래에는 에지 라우터가 필요했고 또 제2 전화 단말기가 등록된 게이트웨이 2의 IP를 알아내야 하는 과정이 있어야 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본 발명에서는 VoIP 라우터를 통해 게이트키퍼 간 바로 통신을 주고 받음으로써 서로 다른 지역의 제1 전화 단말기, 제2 전화 단말기간 통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VoIP 라우터가 기존의 게이트웨이 기능과 라우터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VoIP 라우터와 게이트키퍼간 통신에 사용되는 메시지는 H.225 RAS 메시지를 사용하였고, 게이트키퍼간 통신도 H.225 RAS 메시지를 활용함으로써 종래의 통화 방법과 충돌하지 않게 된다.

Claims (4)

  1. 제1 전화 단말기가 접속된 게이트웨이 1이 게이트키퍼로의 등록 요청 과정에서 해당 전화 단말기의 식별을 위한 제1 전화 단말기의 애어리어스 주소와 게이트키퍼 등록 기준이 되는 게이트웨이 1의 H.323 ID를 등록 요청 메시지의 터미널 타입 필드와 터미널 애어리어스 필드로 각각 사용하는 과정과;
    제1 전화 단말기에 접속된 게이트웨이 1이 게이트키퍼로의 허가 요청 과정에서 게이트웨이 1이 실제 압축한 음성 데이터의 대역폭을 허가 요청 메시지의 대역폭 필드로 사용하는 과정과;
    서로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전화 단말기 간 게이트키퍼를 통해 통신할 경우, 통화를 원하는 제2 전화 단말기가 해당 제1 전화 단말기 지역에 등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제2 전화 단말기의 게이트웨이 2 IP를 얻기 위해 외부 게이트키퍼들에게 멀티캐스팅하여 응답이 이루어진 후, 제1 전화 단말기와 제2 전화 단말기간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키퍼에 등록하는 VoIP 라우터의 애어리어스 주소는 전화단말기, 팩스, 사설 교환기, 키폰 시스템의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 주소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게이트키퍼로의 등록 요청하는 과정은,
    관리자가 직접 게이트키퍼에 제1 단말기의 애어리어스와 IP를 등록하는 수동과정과;
    게이트웨이 1이 직접 애어리어스와 IP를 등록하는 자동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화 단말기, 팩스, 사설 교환기, VoIP 라우터에 연결 가능한 스위치 회로 네트워크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KR10-2001-0071366A 2001-11-16 2001-11-16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KR10039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366A KR100399792B1 (ko) 2001-11-16 2001-11-16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366A KR100399792B1 (ko) 2001-11-16 2001-11-16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787A KR20030040787A (ko) 2003-05-23
KR100399792B1 true KR100399792B1 (ko) 2003-09-29

Family

ID=2956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366A KR100399792B1 (ko) 2001-11-16 2001-11-16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1255A (zh) * 2016-09-22 2016-11-23 电子科技大学 一种改进型路由器别名过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787A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265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IP terminal device in line-switching exchanger
KR100326332B1 (ko) 패킷 교환 형태 네트워크의 단말기와 원격 접근 서버를 통해접속하는 단말기간의 통화 방법
US7916717B2 (en) Automated gateway routing, incoming and outgoing
US745056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KR101606142B1 (ko) 음성패킷망에서 네트워크 주소 번역 통과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201493A1 (en) VoIP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In/Call-Out in VoIP Gateway Apparatus
US20040008710A1 (en) Communicaton system, method and cotroller for routing calls within private networks distributed among geographically distant zones
US84673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processing
EP1432173B1 (en) A calling method for node across zones in ip network system
KR100279641B1 (ko) 신호 교환 장치 및 방법
US74746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lsively receiving multi-calls over internet protocol phones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US7221683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packet-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99792B1 (ko) 상이한 지역의 게이트키퍼 간 통화 방법
US7342905B1 (en) Communications system
CN1559133B (zh) 实时通信连接的网络过渡装置和通信系统
Cisco Enhancements to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VoIP on Cisco Access Platforms
Cisco Glossary
KR100770859B1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100402787B1 (ko)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방법
JP2000125040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の接続方法及び電話端末装置
KR100451793B1 (ko) 미디어 프락시를 이용한 사설망에서의 인터넷 음성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374334B1 (ko) 게이트키퍼에서의 논-알에이에스 엔드포인트에 대한보이스오버아이피 통화 지원방법
KR100608617B1 (ko) 엠아이피에스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통신 접속 방법
JP2003110595A (ja) Ipアドレス通知方法
KR20030001672A (ko) 에스아이피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