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500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500B1
KR100397500B1 KR10-2001-0048169A KR20010048169A KR100397500B1 KR 100397500 B1 KR100397500 B1 KR 100397500B1 KR 20010048169 A KR20010048169 A KR 20010048169A KR 100397500 B1 KR100397500 B1 KR 10039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k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907A (ko
Inventor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5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시건장치에서, 상기 시건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무선신호처리부와, 상기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무선신호처리부를 통해 쌍을 이루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인코딩시키고 다단계 패스워드 확인기능을 제어하여 잠금기능을 해제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동일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시건장치로 전송함과 더불어 시건장치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LCD패널상에 표시하는 무선신호처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건장치내에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특정패턴의 디지털 암호신호를 서로 주고받아 다단계로 잠금기능을 해제시키도록 하므로써, 단말기와 시건장치사이에 다단계로 암호신호를 주고받아야만 잠금기능이 해제되므로 암호복사를 전혀 할 수 없어 그에 따라 시건장치의 보안 안정성을 극대화시킨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lo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건장치내에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특정패턴의 디지털 암호신호를 서로 주고받아 다단계로 잠금기능을 해제시키도록 하므로써, 단말기와 시건장치사이에 다단계로 암호신호를 주고받아야만 잠금기능이 해제되므로 암호복사를 전혀 할 수 없어 그에 따라 시건장치의 보안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발달하고 개발된 기술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그러한 기술이나 자료를 보관하는 장소에 대한 보안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정 장소에 인가된 사람만이 출입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시건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시건장치에 전자회로를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숫자를 설정해두고 사용자가 이러한 암호를 다양한 입출력장치를 통해 해제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시건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보안이 요구되는 도어나 개폐부에 설치되어 시건기능을 실행하는 액츄에이터부(70)와, 상기 액츄에이터부(70)의 기능을 포함하여 시건장치(71)의 암호화해독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72)와, 상기 도어나 개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 암호키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널부(73)와, 상기 키패널부(73)로부터 입력된 암호키신호를 인터페이스하여 CPU(72)로 전송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74)와, 상기 CPU(72)에 연결되어 개별 시건장치(71)의 고유 암호키신호 예컨대, 0-9까지의 다양한 숫자조합으로 구성된 암호키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시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특정장소로 들어가거나 혹은 특정 도어를 개폐할 경우 그 일정위치에 설치된 시건장치(71)의 키패널부(73)를 통해 설정된 암호키 신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예컨대, 상기 시건장치(71)에 설정된 암호키 신호가 "0123"이면 사용자는 키패널부(73)의 숫자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숫자를 연이어 누르면 된다. 그러면, 상기 키패널부(73)의 암호키신호가 유저 인터페이스부(74)에 의해 인터페이스되어 CPU(72)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CPU(7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키신호를 메모리부(75)에 저정된 암호키신호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 이때 만약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키신호와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암호키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CPU(72)는 액츄에이터부(70)를 구동시키지않는다. 반면에 상기 CPU(72)는 암호키신호가 일치할 경우 액츄에이터부(70)를 구동시켜 특정장소 혹은 도어의 잠금기능을 해제시켜 현재의 사용자가 입출입하도록 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시건장치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한 암호된 키신호가 단순한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이 디텍터(도시 안됨)와 같은 암호해독장치를 이용하면 해독이 용이하므로 그에 따라 시건장치의 보안성이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또한 상기 시건장치의 CPU(72)로의 접근이 비교적 용이하여 그에 따라 키이 복제가 용이하므로 시건장치의 안정성도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시건장치내에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특정패턴의 디지털 암호신호를 서로 주고받아 다단계로 잠금기능을 해제시키도록 하므로써, 단말기와 시건장치사이에 다단계로 암호신호를 주고받아야만 잠금기능이 해제되므로 암호복사를 전혀 할 수 없어 그에 따라 시건장치의 보안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유코드신호를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출입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시건장치의 기능성도 향상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시건장치에서, 상기 시건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무선신호처리부와, 상기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무선신호처리부를 통해 쌍을 이루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인코딩시키고 다단계 패스워드 확인기능을 제어하여 잠금기능을 해제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동일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시건장치로 전송함과 더불어 시건장치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LCD패널상에 표시하는 무선신호처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건장치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패턴신호를 수신하는 암호화패턴신호 수신단계와, 상기 암호화 패턴신호 수신단계후에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확인하여 일단계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이와 동시에 기저장되어 있던 패스워드를 쌍을 이루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와, 상기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후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상에 표시된 패스워드를 읽어 키입력한 패스워드신호를 기저장된 패스워드신호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확인하고 현재 키입력된 패스워드가 기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시건장치의 잠금기능을 완전해제시키는 잠금기능 완전해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전자 시건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건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시건장치 2 : 이동통신단말기
3 : CDMA모듈 4 : 패턴신호 생성기
5 : 제어부 6 : 패턴신호 생성기
7 : CDMA모듈 8 : LCD패널
9 : 액츄에이터부 10: 키패널부
11: 메모리부 12: 송수화기
13: 코덱부 14: 키패널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게 시건장치(1)와 이 시건장치(1)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시건장치(1)는 이동통신단말기(2)와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무선신호처리부 예컨대, CDMA모듈(3)과, 상기 시건장치(1)의 일단계 암호화 패턴코드신호 예컨대, CDMA 패턴신호로 형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4)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4)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CDMA모듈(3)을 통해 쌍을 이루는 이동통신단말기(2)로 전송하여 인코딩시키고 다단계 예컨대, 이단계 패스워드 확인기능을 제어하여 잠금기능을 해제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에는 상기 시건장치(1)의 일단계 암호화 패턴코드신호 예컨대, CDMA 패턴신호로 형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동일한 암호화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6)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6)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시건장치(1)로 전송함과 더불어 시건장치(1)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입출력되는 호신호를 RF신호처리하는 무선신호처리부 예컨대, CDMA모듈(7)과, 상기 CDMA모듈(7)로부터 출력된 시건장치(1)의 패스워드신호를 표시하고 호처리기능을 표시하는 LCD패널(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건장치(1)의 제어부(5)에는 보안이 요구되는 도어나 개폐부에 설치되어 시건기능을 실행하는 액츄에이터부(9)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5)의 다른 일단에는 도어나 개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널부(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5)에 연결되어 개별 시건장치(1)의 패스워드나 작업처리데이터를 저정하는 메모리부(11)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CDMA모듈(3)에는 송수화기(12)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코덱부(13)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DMA모듈(7)의 다른 일단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널부(14)가 설치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건장치(1)를 보안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동통신단말기(2)로 이 시건장치(1)와 다단계의 암호화 코드신호를 서로 주고받아 잠금기능을 해재시키게 되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2)는 송수화기(12), 키패널부(14) 및 코덱부(13)를 통해 통상적인 호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패턴신호 생성부(6)를 통해 생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 예컨대, CDMA코드 암호화방식을 이용한 패턴코드신호를 페이징채널에 실어 계속 외부로 방출한다.
그러면, 상기 시건장치(1)의 제어부(5)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검출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시건장치(1)의 제어부(5)는 초기상태(S1)에서 암호화 패턴신호 수신단계(S2)로 진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패턴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 패턴신호 수신단계(S2)후에 일단계 암호화코드 비교판단단계(S3)로 진행하여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판단한다.
이때, 상기 일단계 암호화코드 비교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가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잠금기능 유지단계(S4)로 진행하여 현재의 잠금기능을 계속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일단계 암호화코드 비교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가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할 경우에는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S5)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S5)에서는 일단계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이와 동시에 기저장되어 있던 패스워드를 쌍을 이루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S5)후에 패스워드 키입력판단단계(S6)로 진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상에 표시된 패스워드를 읽어 키입력한 패스워드신호를 기저장된 패스워드신호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판단한다. 상기 패스워드 키입력판단단계(S6)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키입력된 패스워드가기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상기 잠금기능 유지단계(S4)로 진행하여 루프를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패스워드 키입력판단단계(S6)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키입력된 패스워드가 기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에는 잠금기능 완전해제단계(S7)로 진행하여 잠금기능을 완전해제시킨다.
환언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가 시건장치(1)의 전파수신반경내로 들어오면 시건장치(1)의 CDMA모듈(3)은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 송출되는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즉, 이동통신단말기(2)가 패턴신호 생성부(6)를 통해 생성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 예컨대, CDMA코드 암호화방식을 이용한 패턴코드신호를 CDMA모듈(7)통해 페이징채널에 실어 계속 외부로 방출한 신호를 수신처리하여 제어부(5)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시건장치(1)의 제어부(5)는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 입력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패턴신호 생성기(4)로부터 생성된 혹은 메모리부(11)에 저장된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데, 이때, 만약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가 시건장치(1)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현재의 잠금기능을 계속 유지시킨다.
그런데, 만약 상기 과정중에 상기 시건장치(1)의 제어부(5)는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가 시건장치(1)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할 경우에 일단계 잠금기능을 해제하는데, 예컨대 이 일단계 잠금기능의 해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실제로 액츄에이터(9)를 구동하여 일단계 잠금을 해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과 동시에 시건장치(1)의 제어부(5)는메모리부(11)에 저장된 다음단계의 잠금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읽어들여 CDMA모듈(3)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CDMA모듈(3)은 입력된 패스워드를 신호처리하여 현재 쌍을 이루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2)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CDMA모듈(3)은 이동통신단말기(2)의 ESN넘버(Electrical serial number)를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단말기(2)로만 패스워드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시건장치(1)의 패스워드신호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CDMA모듈73)에 의해 일정신호처리된 다음 표시신호로 LCD패널(8)상에 표시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는 LCD패널(8)상에 표시된 시건장치(1)가 전송한 패스워드를 읽고 이 패스워드신호와 동일하게 시건장치(1)의 키패널부(10)의 버튼을 눌러준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가 키패널부(10)를 통해 눌러준 패스워드신호는 제어부(5)로 입력되고 그에 따라 이 시건장치(1)의 제어부(5)는 이 입력된 패스워드신호를 메모리부(11)에 저장된 패스워드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는 상기 패스워드비교과정에서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현 상태의 잠금기능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5)는 키패널부(10)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신호가 기저장된 패스워드신호와 일치할 경우에는 현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가 인가된 사용자로 확인하여 액츄에이터(9)로 잠금기능 완전해제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시건장치(1)의 액츄에이터(9)는 입력된 잠금기능 완전해제제어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9)의 기계장치부를 구동하여 잠금기능을 완전해제시킨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설명을 2단계로만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패스워드신호를 여러개로 분할하거나 혹은 상기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여러개로 분할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시킨다면 다단계로 잠금기능을 세분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이동통신단말기(2)에 의해 시건장치(1)의 잠금기능이 완전해제되어 단말기(2)의 사용자가 특정장소로 출입될 경우 그 해제시각을 시건장치(1)의 제어부(5)가 메모리부(11)에 저장시킨 다음 이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출입자료를 PC(도시 안됨)나 기타의 방법으로 꺼내어 활용한다면 출입자 관리를 효율적으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시건장치내에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특정패턴의 디지털 암호신호를 서로 주고받아 다단계로 잠금기능을 해제시키도록 하므로써, 단말기와 시건장치사이에 다단계로 암호신호를 주고받아야만 잠금기능이 해제되므로 암호복사를 전혀 할 수 없어 그에 따라 시건장치의 보안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유코드신호를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출입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시건장치의 기능성도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시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무선신호처리부와, 상기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무선신호처리부를 통해 쌍을 이루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인코딩시키고 다단계 패스워드 확인기능을 제어하여 잠금기능을 해제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동일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턴신호 생성기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시건장치로 전송함과 더불어 시건장치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LCD패널상에 표시하는 무선신호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는 CDMA 패턴신호로 형성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3.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건장치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패턴신호를 수신하는 암호화 패턴신호 수신단계와,상기 암호화 패턴신호 수신단계후에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확인하여 일단계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이와 동시에 기저장되어 있던 패스워드를 쌍을 이루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와, 상기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후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상에 표시된 패스워드를 읽어 키입력한 패스워드신호를 기저장된 패스워드신호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확인하고 현재 키입력된 패스워드가 기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시건장치의 잠금기능을 완전해제시키는 잠금기능 완전해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능 완전해제단계중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일단계 잠금해제에 의해 시건장치로부터 전송된 다음단계의 잠금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패스워드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패스워드신호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계 잠금기능해제단계중에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를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판단하는 일단계 암호화코드 비교판단단계와, 상기 일단계 암호화코드 비교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패턴코드신호가 시건장치의 암호화 패턴코드신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잠금기능을 계속 유지하는 잠금기능 유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1-0048169A 2001-08-10 2001-08-10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9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69A KR100397500B1 (ko) 2001-08-10 2001-08-10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69A KR100397500B1 (ko) 2001-08-10 2001-08-10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07A KR20030013907A (ko) 2003-02-15
KR100397500B1 true KR100397500B1 (ko) 2003-09-13

Family

ID=2771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169A KR100397500B1 (ko) 2001-08-10 2001-08-10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58B1 (ko) * 2003-08-18 2010-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5522B1 (ko) 2006-09-01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WO2010117095A1 (ko) * 2009-04-07 2010-10-14 송존 보안 핸들러와 이를 구비하는 보안 잠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437B1 (ko) * 2014-11-04 2015-05-28 김성주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중 잠금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07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8540B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and access control method
KR101259546B1 (ko)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33285A (ko) 보안 시스템
KR1007244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675300B1 (en) Remote controlled computer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KR100397500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17980Y1 (ko) 금고용 원격조정무선개폐장치
CA3006190C (en) Electric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8065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 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447835A (zh) 一种门锁声波控制系统及方法
KR20010099569A (ko) 무선 원격제어 출입문 개폐장치
KR20060036981A (ko) 전자키 기능 구현 시스템 및 운용방법
JPH1046885A (ja) 電子ロックシステム
US20070174195A1 (en) Key system, key device and information apparatus
KR2003004247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도어개폐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41156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0414713B1 (ko) 다기능 전자 키 및 그를 이용한 제어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0531892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9625B1 (ko) 휴대형 조합키를 이용한 잠금장치 제어 방법과 그를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253741Y1 (ko) 인증기능이 부가된 양방향 무선 리모콘 장치
KR200217982Y1 (ko) 키인식 및 지문인식을 이용한 도어개폐 장치
KR200330569Y1 (ko) 허수를 갖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2003005058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0386461B1 (ko) 다기능 전자 키 및 그를 이용한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200289401Y1 (ko) 상호 작용하는 인증을 이용한 전자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