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496B1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496B1
KR100396496B1 KR10-2000-0078036A KR20000078036A KR100396496B1 KR 100396496 B1 KR100396496 B1 KR 100396496B1 KR 20000078036 A KR20000078036 A KR 20000078036A KR 100396496 B1 KR100396496 B1 KR 10039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ng core
rear cover
rota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765A (ko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4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부와 리어 커버로 이루어지며 좌,우 대칭형으로 분리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외주면에 마련되어 수평 및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리어 커버측에 결합되며 등간격으로 코일이 권선되어 화면상의 CG 조정을 행하는 링코어 CG유닛과; 상기 리어 커버와 링코어 CG유닛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한쌍식 구비되며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끼움구조를 형성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이 체결수단에 의해 링코어 CG유닛은 코어 고정부에서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유동이 안정되게 방지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Deflection yok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세퍼레이터리어 커버측에 결합되는 링코어 CG유닛의 유동을 방지하여 조립성 및 화면상의 포커스 불량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일 요소로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상으로 직진하게 됨에 따라 단순히 화면의 중앙 형광체만을 발광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의 순서대로 스크린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는 것이 편향요크이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이 이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하나로 합체되는 한쌍의 코일 세퍼레이터(10)을 구비한다.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11)와, 리어 커버(rear cover;12) 및 이 리어 커버(12)의 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링코어 CG유닛(20)이 결합되는 코어 고정부(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일 세퍼레이터(10)는 내,외주면으로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14)과 수직 편향코일(15)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수직 편향코일(15)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수직자계를 강화시키기 위한 페라이트코어(16)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리어 커버(12)상에는 화면상의 CG를 조정하는 링코어 CG유닛(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코어 고정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어 고정부와 링코어 CG유닛을 나타낸 코일 세퍼레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코어 고정부(13)는 리어 커버(12) 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후크편(100)을 돌출시킨 것으로, 각 후크편(100)의 끝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돌기(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돌기(110)는 각 후크편(100)이 상호 마주보는 위치로 즉, 링코어 CG유닛(2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편(100)은 링코어 CG유닛(20)의 조립시 초기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돌기(110)가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부면측이 하향으로 진행하면서 확장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코어 고정부(13)에 결합되는 링코어 CG유닛(20)은 대략 고리 형상을 가지며, 소정간격을 두고 코일이 권선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화면상의 CG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코어 CG유닛(20)는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코어 고정부(13)에고정되기 위하여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소정깊이 요입된 이탈 방지홈(200)이 형성되며, 이 이탈 방지홈(200)은 전술한 코어 고정부(13)의 후크편(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편향요크는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코어 고정부(13) 일측에 링코어 CG유닛(20)을 위치시킨 뒤, 코어 고정부(13)를 구성하는 각 후크편(100)과 링코어 CG유닛(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 이탈 방지홈(200)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편향요크에 있어서, 링코어 CG유닛(20)을 코어 고정부(13)에 고정시킬 때 견고하게 조립되지 못하고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코어 고정부(13)를 구성하는 각 후크편(100)의 형상이 동일하고, 이에 대응되는 링코어 CG유닛(20)의 끼움부 형상 역시 동일하기 때문에 운반중에 또는 코일 세퍼레이터(10)에 기타 부품을 조립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립력 또는 충격력에 의해 코어 고정부(13)에서 링코어 CG유닛(20)이 쉽게 이탈되거나 또는 유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링코어 CG유닛(20)이 안정되게 결합되지 못하고 유동되게 되면 화면상에 CG매칭 및 포커스가 불량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세퍼레이터상의 리어 커버 상에 결합되는 링코어 CG유닛가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화면상의 포커스 불량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링코어 CG유닛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 세퍼레이터 11 : 스크린부
12 : 리어 커버 13 : 코어 고정부
14 : 수평 편향코일 15 : 수직 편향코일
16 : 페라이트코어 20 : 링코어 CG유닛
20a : 코일 30 : 회전방지 후크
31 : 이탈방지 후크 32 : 이탈 방지홈
33 : 회전 방지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스크린부와 리어 커버로 이루어지며 좌,우 대칭형으로 분리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외주면에 마련되어 수평 및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리어 커버측에 결합되며 등간격으로 코일이 권선되어 화면상의 CG 조정을 행하는 링코어 CG유닛과, 상기 리어 커버와 링코어 CG유닛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한쌍식 구비되며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끼움구조를 형성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링코어 CG유닛의 외주면에 한쌍식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삼각형상으로 요입된 회전 방지홈, 그리고 이 회전 방지홈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높이에서 턱이 구비되는 이탈 방지홈과; 상기 링코어 CG유닛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리어 커버상에 한쌍식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방지홈에 탄력적으로 끼움되도록 삼각편상의 돌기가 구비된 회전방지 후크, 그리고 이 후크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홈에 걸림작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이탈방지 후크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링코어 CG유닛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요크는 크게 코일 세퍼레이터(10)와, 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각각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14) 및 수직 편향코일(15)과, 그리고 이들 편향코일을 통하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코어(16)와, 리어 커버(12)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화면상의 CG 특성을 조정하는 링코어 CG유닛(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좌,우 대칭형으로 분리되어 일체로 합체되는 것으로 대략 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며, 스크린부(11) 및 리어 커버(12)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종전의 편향요크의 구성과 대동 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 커버(12)측에 장착되는 링코어 CG유닛(20)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된 자계특성을 보장함으로써 화면상에서의 포커싱 및 CG매칭의 불량을 방지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 커버(12)측에 링코어 CG유닛(20)을 결합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마련하여 링코어 CG유닛(20)이 코일 세퍼레이터(10)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수단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는 것으로서, 도 2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커버(12)와 링코어 CG유닛(2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한쌍식 구비되어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유동 방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수단은 크게 링코어 CG유닛(20)의 외주면측에 한쌍씩 형성되는 회전 방지홈(33) 및 이탈 방지홈(32)과, 리어 커버(12)측에 한쌍씩 형성되는 회전방지 후크(30) 및 이탈방지 후크(3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 방지홈(33) 및 이탈 방지홈(32)은 각각 링코어 CG유닛(20)의 외주면에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한쌍식 마련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 방지홈(33)과 이탈 방지홈(32)이 상호 십자형태로 교차 형성되었다.
즉, 상기 한쌍의 회전 방지홈(33)은 링코어 CG유닛(20)의 외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즉,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삼각형상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홈(32)은 전술한 한쌍의 회전 방지홈(33)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코어 CG유닛(20)의 외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즉,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일정높이만큼 요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 방지홈(33) 및 이탈 방지홈(32)은 본 발명에서 링코어 CG유닛(20)의 외주면에 모두 4지점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링코어 CG유닛(20)에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홈(33) 및 이탈 방지홈(32)은 리어 커버(12)상에 일체로 돌출된 회전방지 후크(30) 및 이탈방지 후크(31)에 끼움된다.
상기 회전방지 후크(30)는 링코어 CG유닛(20)에 형성된 회전 방지홈(33)에 대응되는 리어 커버(12)상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즉, 회전 방지홈(3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삼각편상의 돌기(30a)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 후크(30)의 삼각편상 돌기(30a)는 회전 방지홈(33)에 견고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회전방지 후크(30)와 회전 방지홈(33)의 끼움구조 형상을 삼각편상으로 제안하였으나 상호 끼움됨으로써 회전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느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 후크(31)는 링코어 CG유닛(20)에 형성된 이탈 방지홈(32)에 대응되는 리어 커버(12)상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즉, 이탈 방지홈(32)에 접촉되어 걸림작용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돌기(31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한쌍씩 회전 방지홈(33) 및 이탈 방지홈(32) 그리고 회전방지 후크(30) 및 이탈방지 후크(31)를 형성시켰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링코어 CG유닛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즉, 한쌍의 회전방지 후크(30) 및 이탈방지 후크(31)가 형성된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 커버(12) 일측으로 링코어 CG유닛(20)을 위시킨다.
이때, 상기 링코어 CG유닛(20)은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쌍씩 형성된 회전 방지홈(33) 및 이탈 방지홈(32)이 리어 커버(12)측에 마련된 회전방지 후크(30) 및 이탈방지 후크(31)에 끼움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링코어 CG유닛(20)을 리어 커버(12)측으로 이동시키면, 회전방지 후크(30) 및 이탈방지 후크(31)가 각각의 회전 방지홈(33) 및 이탈 방지홈(32)에 조립되어 끼움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방지 후크(30)와 회전 방지홈(33)은 링코어 CG유닛(2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탈방지 후크(31)와 이탈 방지홈(32)은 링코어 CG유닛(20)의 조립 방향으로 즉, 도면에서 바라보면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코어 CG유닛(20)은 리어 커버(12)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유동이 안정되게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링코어 CG유닛(20)의 유동에 의한 화면상의 CG매칭 불량이나 포커싱 불량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링코어 CG유닛과코어 고정부에 각각 회전을 방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체결수단이 구비되므로, 이 체결수단에 의해 링코어 CG유닛은 코어 고정부에서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유동이 안정되게 방지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링코어 CG유닛의 유동이 안정되게 방지됨에 따라 화면상의 불량요인 즉, CG매칭의 불량과 포커스 불량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의 제품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스크린부와 리어 커버로 이루어지며 좌,우 대칭형으로 분리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외주면에 마련되어 수평 및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리어 커버측에 결합되며 등간격으로 코일이 권선되어 화면상의 CG 조정을 행하는 링코어 CG유닛과;
    상기 리어 커버와 링코어 CG유닛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한쌍식 구비되며 회전 방향 및 조립 방향으로의 끼움구조를 형성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링코어 CG유닛의 외주면에 한쌍식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삼각형상으로 요입된 회전 방지홈, 그리고 이 회전 방지홈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높이에서 턱이 구비되는 이탈 방지홈과;
    상기 링코어 CG유닛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리어 커버상에 한쌍식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방지홈에 탄력적으로 끼움되도록 삼각편상의 돌기가 구비된 회전방지 후크, 그리고 이 후크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홈에 걸림작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이탈방지 후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0-0078036A 2000-12-18 2000-12-18 편향요크 KR10039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036A KR100396496B1 (ko) 2000-12-18 2000-12-18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036A KR100396496B1 (ko) 2000-12-18 2000-12-18 편향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765A KR20020048765A (ko) 2002-06-24
KR100396496B1 true KR100396496B1 (ko) 2003-09-02

Family

ID=2768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036A KR100396496B1 (ko) 2000-12-18 2000-12-18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49A (ko) * 2002-03-14 2003-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20030073948A (ko) * 2002-03-14 2003-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2060146B1 (ko) 2018-03-27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킹 코일 고정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8290A (ja) * 1982-06-11 1983-12-19 Denki Onkyo Co Ltd インライン型カラ−陰極線管用コンバ−ジエンス装置
JPS59209251A (ja) * 1984-04-27 1984-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ゼンスヨ−ク
JPH07192655A (ja) * 1993-12-24 1995-07-28 Fuji Elelctrochem Co Ltd 偏向ヨークコア
JPH08153478A (ja) * 1994-11-29 1996-06-11 Sanyo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8290A (ja) * 1982-06-11 1983-12-19 Denki Onkyo Co Ltd インライン型カラ−陰極線管用コンバ−ジエンス装置
JPS59209251A (ja) * 1984-04-27 1984-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ゼンスヨ−ク
JPH07192655A (ja) * 1993-12-24 1995-07-28 Fuji Elelctrochem Co Ltd 偏向ヨークコア
JPH08153478A (ja) * 1994-11-29 1996-06-11 Sanyo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765A (ko)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02B1 (ko) 편향요크
KR100396496B1 (ko) 편향요크
KR20030003524A (ko) 편향요크
KR20030073948A (ko) 편향요크
KR100422042B1 (ko) 편향요크
KR100396501B1 (ko) 편향요크
KR20030073949A (ko) 편향요크
KR100439497B1 (ko) 편향요크
KR100431261B1 (ko) 편향요크
KR100451929B1 (ko) 편향요크
KR200376880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의 틸트코일 일체화 구조
KR200214316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30010382A (ko) 편향요크
KR100410960B1 (ko) 편향요크
KR100370655B1 (ko) 편향요크
KR20026057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고정구조
KR100439508B1 (ko) 편향 요크
KR200289332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결선구조
KR200258824Y1 (ko) 편향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 구조
KR200250974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어를 장착하는 코마코일보빈 고정구조
KR20020048766A (ko)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20030056178A (ko) 편향요크
KR19990025991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30002380A (ko) 편향요크
KR20060056432A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의 틸트코일 일체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